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 기반 시뮬레이션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하이경(Yi Kyung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B시 소재 D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부정맥환자간호시뮬레이션에 참여한 학생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86명의 학생에게 2020년 12월 1일~12월 31일까지 구글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서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실습몰입(r=52, p<.001)과 불안(r=-.31, p=.004)이 문제해결 적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문제해결 적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습몰입(β=.46, p<.001)이었고 그 다음은 불안(β=-.21, p=.026)이었다. 문제해결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두 요인에 의한 회귀방정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18.84, p<.001), 회귀방정식의 설명력은 29.6%이었다. 결론 교수자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업설계 시 실습몰입을 증진시키고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고 추후에는 문제해결 적극성의 증가하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여 문제해결역량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ing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eam-based simula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86 senior nursing students at one University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low during simulation, anxiety, and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1,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were flow during simulation and anxiety.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was flow during simulation (β=.46, p<.001), followed by anxiety (β=-.21, p=.026).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8.84, p<.001), and the power of explanation was 29.6%. Conclusions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in team-based simulation, the instructor should design to increase flow during the simulation and minimize anxiety.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effect of increased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on problem-solving competency.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김혜자(Hyeja Kim),강명주(Myungju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J도 소재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07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Pearson’s 상관계수분석으로 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은 SPSS PROCESS macro의 병렬매개모형분석과 Bootstrap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수준은 5점 만점에 3.73점이었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문제해결적극성, 성장마인드셋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병렬다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으로 가는 직접경로와 성장마인드셋을 매개로 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으로 가는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반면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문제해결적극성과 성장마인드셋을 높일 수 있는 수업전략 및 교과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hat sought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 growth mindset and a fixed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7 nursing students attending two universities in J-do.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parallel mediation model analysis of PROCESS macro and Bootstrap method were us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ubjects was 3.73 out of 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so, growth mindset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other words, the direct route from the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of nursing students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indirect route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medium of growth mind set were noted. b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ixed mindse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mplement measures that can improve the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and growth mindset to enha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서은희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o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clinical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with a quasi-experimental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etest-posttest survey among third graders in nursing who took a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class at S university in D city, and finally, data from 78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30, 2022 to October 28, 2022,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The findings suggest that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 by significantly increasing on problem-solving proactivit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team efficac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therefore based on a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the effects should be verified through randomized controlled pre-and post-tes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s are consistent, it will be necessary to follow up in the long term.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D시에 소재한 S대학의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을 운영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에 응답한 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8월 30일부터 2022년 10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은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에게 임상 현장 사례를 기반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다면 임상에서 요구하는 핵심 능력 및 교육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충분한 표본 수의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 효과의 지속성을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진정성 리더십은 팀 내 피드백 풍토를 증가시키는가? 팀내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 스타일의 3차항 조절효과 검증

        정재금,최석봉 한국산업경영학회 2023 경영연구 Vol.38 No.-

        조직 구성원은 개인 및 팀의 성과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피드백 활동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조직에서 개인의 피드백 행동이 활발하게 나타나려면 피드백 행동이 장려되고 권장되는 풍토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피드백 행동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에도 풍토나 팀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 수준에서 팀 피드백 풍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진정성 리더십을 상정하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또한,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이 진정성 리더십과 팀 피드백 풍토 간에 긍정적 영향을 촉진하는 상황요인으로 보았다. 분석대상은 42개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종업원(81개팀, 3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진정성 리더십은 팀 피드백 풍토에 긍정적 영향관계임이 밝혀졌고, 타인관점수용 또한 진정성 리더십이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은 진정성 리더십이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에 무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끝으로 진정성 리더십이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에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을 통시에 투입한 3차항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 수준이 모두 높을 경우 긍정적으로 강화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팀 피드백 풍토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특히 타인관점수용과 적극적 문제해결스타일과 같은 상황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팀 수준에서 분석함으로 팀 피드백 풍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관계를 밝히는 보다 완성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한계점과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ssumed authentic leadership as a leading factor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eam feedback climate at the team level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addition, perspective taking and problem-solving style were considered as situational factors that promote positive effect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eam feedback climate. The analysis target was 81 teams (328 employees) of 42 domestic companies.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that authentic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feedback climate. We also found that perspective taking played positiv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eam feedback climate. However, proactive problem-solving style was not shown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above relationship. Finally, we analyzed the 3-way interaction effects that in-troduced perspective taking and problem-solving style into the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on team feedback clim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ults of positive reinforcement were shown when both perspective taking and problem-solving style levels were high. These findings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nd dynamic interaction effects affecting team feedback climate.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의대생과 간호대생의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 팀효능감 간의 관계

        윤소정,이은영,박귀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의사와 간호사의 협력은 병원 내에서 의료의 질향상과 환자안전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래의 의사와 간호사가 될 의대생과 간호대생의 팀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이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과 부산에 위치한 의학전문대학원 1학년 161명과 울산에 위치한 간호대학 3학년 63명과 4학년 56명이었다.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 간에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 그리고 팀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팀효능감에 미치는 변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의대생이 간호대생보다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 팀 효능감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팀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의대생과 간호대생 모두 대인관계의 이해와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병원 조직 내에서의 팀 효능감 및 팀 성과를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Collaboration between doctors and nurses is important for improving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within the hos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ar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eam efficacy of the medical students and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first year medical students in Incheon and Busan, and 63 third year and 56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in Ulsan. We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on the team efficacy of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medica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ursing students in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efficacy. In add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and the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team efficacy of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eam efficacy and team performance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 운영의 효과

        김윤희(Yun-Hee Kim),류세앙(Seang Ryu),김희영(Hee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근거기반실무 간호교육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험하며 숙련되도록 이끌어야한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실무의 일부를 통합한 간호학과 2학년의 기본간호학 수업을 운영하고 근거기 반실무의 기초역량 향상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었다. 대상자는 2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108명이었다. 실험군은 2016년 2학기 15주 수업기간 중 총 8주, 24시간의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형의 문제해결 적극성,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그리고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은 Chi-square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가설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은 저학년 학생의 근거기반실무 기초역량인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학년별 목표에 적합한 교과과정에 의한 간호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비판적 사고의 향상에 대한 장기적 노력이 더 필요하다. The nursing education with evidence-based practice (EBP) should set a differentiated edu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so that the students experience it step by step and it leads them to be skil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and operate the EBP in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es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n improvement of EBP basic competency of the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108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nursing at the two univer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8 weeks and 24 hours during the 15-weeks, second semester 2016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fundamental nursing class. Data were collecte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future use of EB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strument and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with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 used EBP was an effective lesson to improve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which is the EBP basic competency for the lower grader. Long-term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EBP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by curriculum appropriate to grade-based goals of EBP.

      • KCI등재

        일개 의과대학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팀바탕학습 인식도 조사

        박귀화,최창휴,전양빈,박국양,박철현 한국의학교육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TBL)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academic ability. Methods: Thirty-eight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took an integrated cardiology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8 were male and 10 were female. A questionnaire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of TBL were administered, and the scor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grouped into three: high, middle, and low.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BL efficacy perception scale consisted of 3 factors: team skill, learning ability, and team learning. The group of male students and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bility recognized the effect of TBL on improvements in learning ability more than females and those with low academic ability.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 team efficacy reported that TBL was effective with regard to team skill improvement.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 scores on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high proactive problem solving tended to perceive the TBL's effect on team skill improvement. Team efficacy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BL. Conclusion: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BL differ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of team learning, such as TBL, to have a positive impact and stronger effects.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이 경찰관의 적극적 경찰활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허용훈(Huh, Yong Hoon),문유석(Moon, Yus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최근 지역경찰활동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범죄문제에 대한 사전적・선제적・예방적인 경찰활동을 강조 하는 적극적 경찰활동(proactive policing)에 대한 경찰관의 태도 및 영향요인을 부산시에 근무하는 250명 경찰관 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적극적 경찰활동에 대한 태도 분석결과 지역경찰을 수행하는 경찰관들의 적극적 경찰활동에 대한 태도는 평균 3.6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고 있으나 아직 적극적인 수용의 정도까지는 못 미치고 있으며, 계급이 높고, 재직기간이 오래되며, 지구대 근무기 간이 긴 경찰관일수록 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분석에서, 사회적 지지는 경찰관의 적극적 경찰활동 태도와 자아효능감에 정(+)의 영향, 자아효능감은 적극적 경찰활동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경찰활동 사이에서 부분적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경찰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경찰관의 자아 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시행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police officers’ attitude and influencing factors towards proactive policing that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local policing of Korea, using survey data conducted on 250 local police officers working for Busan Metropolitan City. Police officers showed relative high level of positive attitude on proactive policing with average of 3.65 on the Likert Type 5 point scale but not enough to fully accept the new way of policing.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police officers with higher ranking, longer tenure office, longer service period at the local polic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on the proactive polic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ed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has positive influence on proactive attitude and self-efficacy, while self-efficacy has positive influence on proactive policing with a mediator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proactive polic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tressed the need for improving social support and police officers’ self efficacy as a way to activate proactive policing in local polic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