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족 민간신앙에 대한 고찰

        조윤경 釜山外國語大學校 比較文化硏究所 2006 比較文化硏究 Vol.18 No.-

        Cho, Yoon-Kyoung. 2006. an investigation about a minority of korea people private faith. Journal of Cross-Cultural Studies, 18, 79-98. As the title of this thesis is ≪an investigation about a minority of korea people private faith≫, it studied about the birth background and character of a minority of korea people private faith. Private faiths are the witness of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and reflect the course of cultural development in the development of human history, including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human religion. Private faiths result from the human spirit and beliefs, reflecting the mental activities and worship for nature of primitive human beings. An Korea race was proud of eternal history and praisal culture is one of the well popular races private faiths like animism, totemism, naturism, ancestor worship. Since An Korea race e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china, there are private faiths, that is, the foundation is closely connected with a ordinary or original religion of korea. However, with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special china environments, it hold of a component of the china religion culture and have the feature in the side of form and content, character of the ones. First, a minority of korea people private faith have the change at the phases of the times in the their special historical background. Second, that is fully developed a rather changed private faith, differed from the original country in the special history condition and nature environment. Third, a minority of korea people private faith involved much the peculiar traditionalism of race.

      • KCI등재

        미국 사법상 신의성실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계약교섭단계를 중심으로 -

        정성헌 ( Jeong Seong-heo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7 法과 政策 Vol.23 No.1

        The `Good Faith` stipulated in the Korean Civil Code section 2 is kind of principle which applies to our whole private law system, not only performance and enforcement of contract, but also negotiation of contract.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used it to recognize a specific duty(duty to inform in actual case) in precontractual stage. However, its details has never been presented, so lots of problems are indicated due to its ambiguity. So, lots of scholars mentioned that an attention is required when operating it. While the Civil Law Jurisdictions like Korea recognize and use the Good Faith broadly,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are reluctant to accept it. England as an origin of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denies the Good Faith, but America(USA) explicitly adopt it through its codes and restatements. However it is restricted within performance and enforcement of contract when it comes to private law. That is, the Good Faith is not recognized in relation with the precontractual stage in American Private Law. Rather specific systems, such as misrepresentation(non-disclosure in case of ommission) or promissory estoppel have dealt with related problematic situations. This is because freedom of negotiate is regarded more seriously and ambiguity is a kind of taboo in America(largely in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But counter-arguments are raised lately. In this article, I introduced the Good Faith in American Private Law with precontractual stage as the central figure since we can find the big difference here. In view of the difference I tried to review its role in our legal system and suggested to improve our problems. In the situation that interest in the Good Faith is getting bigger nowadays, we should specify its details particularly its structures and its standards, and we can find our way through American (largely Common Law Jurisdictions`) experience.

      • KCI등재

        Lesslie Newbigin’s Debate with Post-Christendom

        허성식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5 선교와 신학 Vol.35 No.-

        본 논문은 기독교 신앙과 교회는 기독교공동체 내에서만 아니라, 교회너머의 모든 일반사회 영역에서도 공적이어야 한다는 레슬리 뉴비긴의 주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의 많은 저술 가운데 발견되는 이런 교회의 공적인 부르심과 선교적 책무에 대한 글들을 검토해보는 가운데, 본고는 뉴비긴이 왜 이런 교회의 공공성에 관한 주장을 펴게 되었는지 그 역사적인 맥락을 짚어보면서, 더불어 그의 이런 주장 안에 들어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해보려 한다. 뉴비긴은 기독교 신앙과 교회의 진정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회란 일반세상과 격리된 채 있는 ‘게토화된’(ghettoized) 사회나 개개인의 종교적인 만족을 위해 존재하는 ‘사유화된’(privatized) 사회가 아니라, 마치 소금과 빛처럼 세상 가운데 벌거벗은 채로 드러나 있어야 하는 공동체, 즉 ‘공적인’(public) 사회로 하나님이 세상 가운데서 부르시고 보내신 공동체임을 거듭 강조한다. 교회가 본질적으로 공적인 기관임을 뉴비긴은 평생 자기자신의 삶과 자신이 섬겼던 교회와 기관들을 통해서 체득했기에, 뉴비긴에게 있어서 이런 주장은 전혀 생소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주장이 새롭게 다가오는 것은 그가 활동했던 서구기독교사회, 특히 영국 기독교가 ‘후기기독교사회’(post-Christendom)로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교회의 세속화와 사유화, 게토화 현상 때문이었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뉴비긴이 이렇게 변질되어가는 후기기독교사회와 논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을 주목하고 연구하였다. 뉴비긴의 공적인 신앙과 공적인 교회론의 중심주제들은 “개인적이지만 공적인 복음”, “특수적이지만 공적인 역사적 사건”, “타당하지만 공적인 기독교 신앙의 구조”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고 이런 주장들은 “공적인 신학의 출발점은 지역교회이다”라는 그의 결론으로 귀결된다. 비록 뉴비긴의 공적인 신앙과 교회에 관한 논의가 몇몇 비판적인 의견에서 볼 수 있듯이, 그러면 어떻게 교회가 사회 각 영역에서 공적일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자세한 논의가 부족하기 때문에 구체성이 결여된 면이 있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결점을 보완하는 것은 후학들의 몫이라 생각하며, 그가 왜 이런 주장을 하게 되었는지, 이런 주장들이 교회가 본질상 그리고 사역의 현장에서 보다 선교적인 교회가 되는 데 어떤 의미를 던지는가 하는 점은 꼭 생각해보아야 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explores Lesslie Newbigin’s argument that the Christian faith and the Church ought to be “public” not only within Christian communities, but also in all spheres of society beyond the boundary of the Christian fellowships. In his continuous dialogue with the post-Christendom in which the Christian faith can be easily privatized, Newbigin explores why and how we should exhort Christians and Christian communities not to live their lives in a ghettoized, privatized, and individualized ecclesiastical sphere, but in all the public spheres of the world. In the second chapter, it discuss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Newbigin’s discourse on public faith. In the third chapter, the main themes of Newbigin’s discourse on public faith are explored: personal but public gospel, particular but public historical events, plausible but public structure of the Christian faith, local congregations as the crux of public theology, increasing influence of the Christian faith on the public spheres. And finally, in discussing how we can put the Christian faith to practice in all sectors of life in public, both corporately and individually, I will critically evaluate Newbigin’s idea of public faith in the broader sense of its practicality.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while Newbigin decisively refuted the bad practices of Western Christendom, especially violent evangelism and its complicity with imperialism and colonialism, he re-emphasized the necessity of building up a new type of Christian society in which the gospel could be proclaimed and practiced as public truth within and beyond the local congregations as public truth in all public spheres. As shown in chapter four, it is right to critically point out the lack of specificity of how to put his idea of public faith in the real public life. But I would like to say that he did his job as a guide to where we should go as a Christian community in this post-Christendom era.

      • KCI등재

        원효찬(元曉撰) 『대승기신론별기』와 색부찬(塞部撰) 『대승기신론사기』 -현행본 『대승기신론별기』의 성격 재검토-

        최연식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 Vol.89 No.-

        Wŏnhyo’s Special Exposition is known as the earliest among his writings on the ‘Awakening of Faith.’ But it is suspicious that the Special Exposition was really written by Wŏnhyo himself, because the onnotation of the word of ‘(Arising)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隨緣) in it is clearly different from his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While the word of ‘(Arising)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connote the Thusness/Tathāgatagarbha(如來藏)’s combining with the Darkness(Non-brightness) and the exposure of appearing/birth and distinction/death of Being in the Special Exposition, the same word means just following the circumstances of things in the Commentary. Also there are some odd inverted sentences in the Special Exposition. So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whether present text of the Special Exposition can be identical with the original Wŏnhyo wrote or a changed one written by later people. We can find several records on the Special Exposition and the Commentary in the old documents on the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Japanese Nara-period. The records show the Commentary was consisted of twice as many pages as the Special Exposition; 61 to 32 or 75 to 38 or 104 to 51. But the ratio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writings. The numbers of the characters are 34,894(the Commentary) and 20,222(the Special Exposition), and the ratio is 1.75 to 1. According to the style of Nara-period transcription, the number of the pages consists with the volume of the Commentary, while that of the Special Exposition cannot cover the volume of it. Present text of the Special Exposition has about 2,500 characters more than the Nara-period text. Besides the special usage of the word of Su-yŏn(隨 緣), there are some other suspicious expressions in the Special Exposition, which Wŏnhyo cannot have used. They are the 1)referring of the Gate of Suchness and the Gate of Appearing and Distinction - two Gates of One Mind – to the Gate of Non Shape, 2)the Gate of Combining with Darkness(Non-brightness), the inconsistency in the use of the term for Alāya-consciousness and 3)the confused quotation from the Non-increase and Non-decrease Sutra. These suspicious expressions show that the present text of cannot be the same with original. We find important comments on this matter in Japanese monk Encho’s note in his Catalogue of Buddhist Scriptures of Eastern Country edited in 1094, where he said the Private Exposition composed by Säkbu(塞部) is identical with Wŏnhyo’s Special Exposition. As there’s the record of “Säkbu(塞部)’s Composition(塞部撰)” in the end of the Special Exposition, it is very possible that Säkbu’s Private Exposition must be identical with present Special Exposition. Säkbu’s Private Exposition is thought to have been written as the private record for himself on Wŏnhyo’s Special Exposition, but later it replaced the original.

      • KCI등재

        한국 기독교대안학교의 공적신앙 인식과 실천에 대한 질적 연구

        허찬영 ( Heo Chan Young ),이수인 ( Lee Soo Inl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39 No.-

        한국 기독교는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성장이 멈추고 오히려 교세가 감소하고 있다. 교세의 감소뿐만 아니라 사회적 신뢰도도 낮게 평가되어 공공성의 위기라는 자성의 목소리가 크다. 또한 2000년 이후부터 교회의 위기 극복의 대안이자 공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기독교 대안학교들이 많이 세워졌고,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성의 위기에 처한 한국 기독교가 세운 기독교대안학교들이 공공성 회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공적 신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공공성의 위기에 처한 기독교의 토양에서 세워진 기독교대안학교들이 공적 신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어떻게 공적 신앙을 실천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7명의 대안학교 교사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인터뷰하는 질적 연구의 방법을 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교사 개인은 공적신앙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지만 학교의 공적인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학교의 현실적인 문제, 정치적이라는 오해, 교회와의 관계 때문이다. 대부분의 학교들은 사회봉사로 공적신앙을 실천하고 있었고 수업에서의 공적신앙 요소의 반영은 교육과정이 아닌 교사 개인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고 있었다. 하지만 어떤 학교는 공적신앙의 요소를 깊이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구성·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교회기반학교는 공적신앙 인식이 부족한 반면 법인이 운영하는 학교는 공적신앙 인식이 잘 되어 있고 실천도 다름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 기독교대안학교의 공적신앙의 실천을 위해 1) 복음의 총체성 회복, 2) 온전한 기독교적 지성의 구비, 3) 교회사 교육, 4) 제자직과 시민직의 균형을 제안한다. Around the turn of 2000s, Korean churches have stopped growing and even showed declined their religious influence. Furthermore, there are some self-examinations among Christians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their crisis of publicness regarding the poorly-rated social reliabili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studies about Korea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recognition of public faith and their effort of regaining the impaired publicness, even though this study analyzed the many precedent studies which claimed the crisis of Korean Christianity’s public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Korea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recognize public faith and to examine how they are practicing their public faith.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utilized a qualitative study based-o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seven Christian teachers who work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teacher participants have sufficient recognition regarding public faith and the importance of public faith for Christian life. However, not a teacher but a school as a whole has low recognition of public faith. The participants had some concerns related to this issue; realistic problems that the schools are facing, misconceptions related to political opinions, and relationship with churches. Also, there were some valuable findings. First, for those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practicing public faith are doing it as a form of a community service. Second, applying public faith to the class depended on the individual teachers, not a curriculum or schools. However, some schools have curriculums which deeply involves features related to public faith. In addition, church-based schools were at the lower levels in the recognition of public faith while corporate-based schools had good recognition and practice of i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ur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Korea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valuing and practice of public faith. 1) recovering the totality of the gospel, 2) improving Christian mind, 3) educating church history, 4) maintaining a proper balance between discipleship and citizenship.

      • KCI등재

        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으로: 공공신학적 조망

        문시영(Si-Young Moo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7 No.-

        이 글은 공공신학을 한국기독교의 자성과 성숙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이것은 공공신학을 한국기독교에 대한 ‘디스’의 통로가 아니라 자성을 위한 플랫폼으로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한국기독교는 ‘잘되는 영성’을 벗어날 수 있을까?”를 질문한다. 신념과 행동 및 태도와 가치관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영성 개념을 적용하여, ‘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social spirituality)으로의 전환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잘되는 영성에 집착하여 사회적 영성을 상실하고 있는 한국기독교의 자화상을 ‘신앙의 사사화’(私事化, privatization) 극복이라는 문제의식을 통하여 자성하자는 뜻이다. 공공신학을 통하여 한국기독교의 자성을 추구하는 과정은 사사화 극복의 문제 혹은 ‘탈사사화 테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잘되는 영성에 함몰된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공적 책임과 소통에 관심하며 복음의 공공성을 구현하는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와 더불어, 공공신학이 한국기독교에 낯설거나 불편한 사항이 아님을 확인하고 공적 신앙에 적극적으로 관심하도록 이끌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공적 신앙을 제자도에 대한 관심과 연결짓는 과정이 필요하다. 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야 할 책무는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도에 근거한 것으로서, 공적 신앙은 사회적 제자도의 실천에 속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This article reinterprets public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flection and maturity of Korean Christianity. It is an attempt to read public theology as a platform for self-reflection, not a channel for disrespect to Korean Christianity. To this end, this paper asks, “Can Korean Christianity escape from ‘prosperous spirituality’?” It is to suggest a transition from "prosperous spirituality" to "social spirituality" by applying a broad concept of spirituality that encompasses beliefs, actions, attitudes, and values. This means that the self-portrait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is losing its social spirituality by obsessing over prosperous spirituality, is to be self-reflecting through the awareness of task for overcoming the privatization of faith. The process of pursuing the self-reflection of Korean Christianity through public theology is not limited to the deprivatization-thesis. In addition to overcoming the privatization of faith immersed in prosperous spirituality, we must also move toward social spirituality that realizes the publicness of the gospel, interested in public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Moreover, efforts are needed to confirm that public theology is not unfamiliar or uncomfortable to Korean Christianity and to lead them to actively pay attention to public faith.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nect public faith with interest in discipleship. The task to move from prosperous spirituality to social spirituality is based on the discipleship of Jesus Christ, and public faith should be recognized as belonging to the practice of social discipleship.

      • KCI등재

        북한민법상 동산선의취득 제도에 관한 소고

        장병일(Byeongil Ja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4 No.2

        남북 통일방식과 관련하여 두가지의 가능성(독일식 흡수통일, 2체제 1국가 형식)을 생각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국가연합 방식(2체제 1국가)의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민법’ 규정상의 선의취득제도 규정과 남한 민법상의 선의취득제도와의 기능적 비교가능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북한민법 제62조는 “공민은 자기 소유의 재산을 권한없는 자에게서 넘겨받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가진 공민을 상대로 그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잃어버린 물건에 대하여서는 그 사실을 모르고 가진 경우에도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근본적으로 물건의 거래안정 등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우리민법 제249조, 즉 “평온, 공연하게 동산을 양수한 자가 선의이며 과실없이 동산을 점유한 경우에는 양도인이 정당한 소유자가 아닌 때에도 즉시 그 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다.”는 선의취득규정과 그 궤를 같이하는 규정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남한과 북한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정치체제에서 연유하는 경제체제, 즉 시장경제와 계획경제라는 차이에서 연유하는 소유개념도 달라서 물건이 국가소유재산에 속하는 것인가, 사회협동단체 재산에 속하는 것인가 아니면 개인의 소유재산에 속하는 것인가에 따라 선의취득제도의 적용모습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북한의 선의취득제도는 전체적으로 사회주의 소유제도에서 추구하는 집단이익의 보호, 즉 국가소유재산 보호와 거래안정을 통한 사회전체적 보호에 사회주의 이념이 구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전체 거래이익의 보호라는 틀에서 본다면 어느 편이 전체적 이익이 더 큰가에 따른 구분으로 볼 수 있다. 즉 현 시점에서 볼 때, 북한 내 선의 취득제도 적용범위와 관련된 사안들은 집단이익의 보호라는 틀에서 집단적 이익의 크고 작음에 따라 그 인정여부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Article 62 of the North Korean Civil Act states, “Civilians can demand the return of their property to the other party even though they know that they take over their property from the unauthorized.” For lost items, they may be requested to be returned even if they are possessed without knowing the fact. This regulation is the same as regulation of ‘bona fida acquisition’ (Civil Code Article 249) in that it seeks stability in property transaction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political system. namely liberalism and socialism. The difference in the poltical system is connected the difference in economic system, namely the market economy and planned economy. Consequ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ownership in north korea, the application of good faith acquisition is various. namely (1) If the object(goods) belongs to the state, the good faith acquisition shall not apply. This can be found in socialist ideology, which derived from collectivism. (2) Where the property is belonged to a socialist cooperative, its application shall vary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acquisition of good faith. All of these issues can be assessed as follows. In the end, it can be find, which has greater collective benefit to accept good faith acquisition. This study raise the needs for research, tha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se contents.; The survey on property of each subject and reserch on the legal nature of the such a property. These findings will clarify the arrangement of ownership relationships. This could serve the legal standard for the trade of good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 [제1주제 성직자 차원] 포스트 코로나 사회의 가톨릭 사제직 : 도전과 쇄신

        최영균(Choi Young Kyun)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2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9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의 사회와 일상생활을 변화시켰다. 교회 역시 미사와 모든 활동이 중단되었다. 코로나19로 달라진 사회적환경에 맞는 교회적 적응과 쇄신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사제직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을 도전과 위기라는 관점에서 진단하고, 사제직의 쇄신을 위한 에토스와 규범을 색출한다. 이 글은 포스트 코로나 사회의 교회 사목 환경을 세 가지로 진단하고 있다. 첫째, 세속화와 신앙의 사사화(privatization) 현상이다. 세속화로 인해 전통적인 공동체 중심의 신앙생활이 약화되고, 신앙은 보다 사사화될 전망이다. 둘째, 사제적 카리스마와 리더십의 위기이다. 보다 평등하고 합리적이며 소통을 중시하는 리더십에 대한 대중의 열망이다. 셋째, 디지털 네트워크와 사이버 공간의 확산 그리고 과거보다 인간 이동이 자유롭게 되고, 그 반경의 확장은 전통적 사목구 중심의 공동체 생활의 약화를 가져 올 것이다. 이러한 환경적 도전에 대해 사제직은 세 가지 방향성에서 적절한 사목적 쇄신과 변화로 대응해야 한다. 첫째, 목자적 사랑의 에토스가 필요하다. 개인 자체가 우상화되는 시대에 보다 섬세하게 개인들의 상황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한 마리 잃은 양을 찾아나서는 목자의 사랑이 요구된다. 둘째, 합리적이고, 평등한 교회 성원들 간의 규범이 필요하다, 그러한 규범을 시노달리타스의 이념 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 하느님 백성으로서 각자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상호 경청하고 합의하며, 성령의 뜻을 찾는 과정이 바로 시노달리타스의 정신이다. 사제들의 권위적이고 위계적인 소통과 관계방식은 이러한 시노달리타스의 방향성에로 전환되야 한다. 셋째, 사목현장의 탈 영토화에 따른 환대의 에토스다. 전통적인 사목구의 경계를 넘어서 사목의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 가난하고 소외받은 사람이 있는 곳으로 찾아가는 사목적 환대와 열정이 요구된다. 물론 그 장소는 가상의 디지털 공간도 포함한다. 포스트 코로나 사회가 분명 교회와 사제들에게는 위기이지만,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전망한다. 성스러움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의 관점에서 사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현존을 성사로써 재현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상의 가장 낮은 곳에서 봉사하고 사람들을 위해 헌신하는 사제의 존재는 그 자체로 사회적 질서의 표징이 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our society and daily lives. The catholic church has also been forced to stop mass and all other activities. The socio-environmental change caused by Covid-19 will require the church to adapt and reform. In this contex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risis of social environment around the priesthood in terms of crisis and challenges. After that, will track down the ethos and the norms for the renewal of the priesthood. This paper looks into the Covid-19 environment related to the church in three trends. The first is privatization of the faith embedded in secularization. Secularization means weakening the traditional community centered practice of faith. Faith is expected to become more private. The second trend is the crisis of leadership and charisma of the priest. People desire for leadership that further emphasizes equal and reasonable communication. The third is the extension of digital network and acceleration of human mobility in comparison to the past. This extension could weaken the religious life centering at a collective parish. The priesthood should also respond to these socio-environmental challenges in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ethos equivalent to a pastor’s love is needed. Amidst the era of self idolization, the ministry must focus on the situations of the individual believers. Pastoral charity, charity equivalent to a shepherd looking for his stray lamb, is required.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reasonable and equal norm among the people of the church. Such norm is found in ideology of the Synodalitas(synodality). The spirit of the Synodalitas is the process of finding the will of the Holy Spirit and listening to and agreeing with each other in their ministry as people of God. The style of the communication in which priests take authoritarian and rigid hierarchical attitudes, should be changed in the orientation of Synodalitas. The third way is pastoral hospitality in the expansion of the area designated to the pastor. The pastor must work beyond the traditional area given. It is required that priests go out to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with pastoral hospitality, as well as individuals in the digital space. There is no doubt that the post-covid era is a difficult time for the church. However, the future is still somewhat bright as priests are able to reproduce the presence of the Christ and his Grace with sacraments. Furthermore, priests who serve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serve to be a sign of the social order. As a result, the reason why future society still requires light and salt would be rightly because of the existence of a priest.

      • KCI등재

        종교사회복지의 트릴레마에 관한 고찰

        이정기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4 신학과 사회 Vol.38 No.2

        이 연구는 종교와 사회복지를 둘러싼 거시적 환경과 종교사회복지의 정체성과 존립에 따르는 여러 딜레마들에 관한 논의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복지혼합에서 정치적 자원봉사주의는 종교적 이타주의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전문성과 종교적 자원의 이타성 사이에 존재하는 딜레마의 내용은 무엇인지 주로 고찰하였다. 이로써 사회복지 전문가주의, 정부의 진화된 자원봉사주의, 종교의 보수적 이타주의가 트릴레마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도식화하였다. 이 결과에 따라 종교 조직의 폐쇄성을 넘어서는 연대의 지점을 확보하고 협력을 구축함으로써 새롭고 효과적인 종교사회복지의 실천 모형이 될 수 있도록 트릴레마의 지점들 간에 매개구조를 요청한다. This study deals with discussions on the macro environment surrounding religion and social welfare, and the various dilemmas related to the identity and existence itself of religious practices in social welfare services. Specifically, I examined how political volunteerism utilizes religious altruism in the welfare mix, and what the content of the dilemma exists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the altruism of religious resources.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and schematized that social welfare professionalism, the government's evolved volunteerism, and religious conservative altruism form a trilemma. According to this result, I request a mediation structure between the points of the trilemma so that it can become a new and effective practice model for religious practices in social welfare services by securing a point of solidarity and establishing cooperation that goes beyond the closedness of religious organizations.

      • KCI등재

        국제계약상 신의칙의 파생원칙인 사정변경의 원칙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낙현(Nak-Hyun HAN),배정한(Jung-Han BAE),최석범(Seok-Beum CHOI) 한국무역상무학회 2019 貿易商務硏究 Vol.83 No.-

        당사자들은 계약이 성립하면 원칙적으로 자유의지에 따라 합의된 계약내용을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이러한 계약준수의 원칙은 사적 자치의 주요 내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계약체결 후 당사자가 예견할 수 없는 상황의 발생으로 인해 그 기초가 된 사정이 변경되어 신의칙상 최초 계약에 따른 구속력을 인정하는 것이 부당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사정변경의 원칙은 이러한 경우 계약의 예외적인 수정 또는 해제 등을 인정하고 있다. 이 사정변경의 원칙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이 원칙을 명문으로 입법화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지만, 한편으로 반대의 의견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계약에서 적용되고 있는 사정변경의 원칙에 대한 효과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If a contract is established, the parties should, in principle, faithfully carry out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agreed upon in accordancewith their freewill. The principle of compliancewith these contracts is themain content of private autonomy,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the capitalist economy and cultural development. However, itmay happen that the circumstances that the basis of the contract is changed to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that the party could not foresee, and that it is unfair to recognize the binding force according to the original contract under principle of good faith. In such cases, it is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to admit the exceptional modification or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ill be analyzed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as a derivative principle of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international contract after a comparative legal consideration between the major countries and the Uniform Contract Law in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t also examines the implications for the process of amending the civil law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