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시 보건소에 등록된 미숙아의 영유아기 성장과 발달 상태

        주현옥 한국아동간호학회 2008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during the 2 years after birth.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2 infants, 51 each for premature infants, and for healthy full-term infants. Participants in the premature group accounted for 17.5% of all premature infants who were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G city. Development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Denver II. Results: The catch-up growth of the premature was 100% in weight and in height. Suspicious developmental delay according to the Korean Denver II was 3.9% in normal infants and 31.2% in premature infants. Factors related to the suspicious developmental delay in premature infants were their age and health state at birth. The rate of suspicious developmental delay was higher in infants over 6 months and infants unhealthy at birth. Conclusion: A premature follow-up program, which includes nutrition education to achieve catch-up growth and to prevention obesity, along with continuous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born prematurely is recommended. Provision for home visits and telephone counseling for premature infants and their families who do not to use the public health center should also be included.

      • KCI등재

        가정간호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 모성자신감 및 미숙아의 성장, 의료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김현정,이은정,이지윤,이미경 한국모자보건학회 2015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HHCP) for the premature infant and their mother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premature infant's growth, readmission, emergency visits, unplanned hospital visits, the anxiety of the premature infant's mother and the confidence of maternal role. Methods: This study was the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The 43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ntrolled groups were 22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21. The HHCP developed though the researched review and analysis of the premature infant's mother’s requests. Results: The HHCP was composed of preparing discharge, premature infant care, and telephone counseling. Premature infant care was composed of feeding the baby safely, using medical device, assessing baby, bathing and touching. The HHCP had effects on premature mother's anxiety (p= 0.04), maternal role’s confidence (p=0.001) and had no effects on the premature infant’s growth, readmission, emergency visits, unplanned hospital visit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HHCP was effective on the premature infant mother's anxiety and maternal role’s confidence. Anxiety reduced, and maternal role’s confidence increased. To help the premature infant and their mother and to settle down, Home Health Nursing service had to be arranged before the discharge.

      • 미숙아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과 요구도

        박지윤 ( Ji Yun Park ),방경숙 ( Kyung Sook Bang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추후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숙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 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59.3%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2세 미만의 일반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발달지식에 관해 연구한 Cho, Jung과 Kim (2006)의 연구에서 평균 정답률이 70.0%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지식수준이 좀 더 낮으며, Sim, Byon, Park, Park과 Kim (2007)의 연구에서 0~36개월 일반 영아 어머니의 발달 지식 정확도가 50% 내외로 측정된 결과와 비슷한 수준이다. 미숙아의 양육에 대한 어머니 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77.8%로 발달지식 보다는 높은 양육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 등(2004)의 연구에서 나타난 일반 신생아 어머니의 평균 양육지식정도가 70.12점으로 나타난 결과와 임신기 부모의 양육지식에 관해 연구한 Jang (2006)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평균 양육지식 점수가 69.69점이었던 것 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의 지식은 양육에 대한 측면보다도 발달에 대한 측면이 더욱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m 등(2007)은 현재 발달수준에 적절한 보호와 자극이 제공되면 최적의 발달을 이룰 수 있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발달 지체나 결손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하면서 어머니에게 영아의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도록 돕는 부모교육의 실시가 시급하다고 하였다. 특히 일반 만삭아들에 비해 발달에 취약한 미숙아들의 어머니는 미숙아의 발달지연을 최소화하고 발달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일반 어머니들보다 더욱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만 이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교육의 기회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교육 요구도 조사결과 운동발달에서 미세운동에 관해 알고 싶어 하는 어머니들이 많았다.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와 저체중 출생아에서 미세운동 지연과 같은 경미한 운동장애가 나타날 위험이 높으며 학업성취에서도 미세운동 속도에 문제를 갖게 된다는 결과(Bracewell & Marlow, 2002)에서 알 수 있듯이 미숙아일수록 미세운동 발달이 중요한데, 어머니들은 눈에 쉽게 보이는 운동 발달 시기는 잘 알고 있지만 발달적 변화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미세한 발달까지는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세부적인 발달에 대한 지식이 미숙아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를 예방하고 중재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발달 및 양육지식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인터넷이 52.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두 번째는 병원이었다. 이는 Rikhy 등(2010)이 52%의 부모들이 아동발달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보고한 내용과 유사하다. 국내 연구에서는 미숙아 어머니들이 지인들이나 미숙아 부모들로부터 육아정보를 구하고 주로 인터넷에서 발달 정보를 구한다고 하였다(Park & Lee, 2007). 전문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병원이 지식을 얻는 주된 경로가 아닌 점은 병원에서는 아기의 임상적인 질병 상태나 건강에 관한 사항에 대한 정보를 주로 제공하게 되는데, 실제 퇴원 후 아기를 양육하면서는 여러 가지 양육 관련 정보와 추후 발달에 관한 정보를 궁금해 하면서 병원을 통해 전문가의 정보를 얻기 보다는 인터넷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구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현대사회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포털사이트나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서도 미숙아 부모 모임을 통해 서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지를 받고 있지만(Lee, 2007), 인터넷을 통한 정보는 전문가에 의해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신뢰성 있는 정보와 어머니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지지적 관리가 더 중요할 것이다(Kim, 2005). 입원기간동안 병원에서는 전문가를 통해 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퇴원 후에도 추후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양육 및 발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다양한 중재제공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전문가에 의한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및 중재는 주로 병원 또는 보건소에서 가능하겠지만, Ju (2008)의 연구에서 대부분의 미숙아 어머니들이 발달선별검사와 육아상담을 위해 보건소에 내원하기를 거부하였다고 한 것처럼 어머니들이 병원에 발달 및 양육에 대한 교육과 추후 관리를 받기 위해 내원 하기가 힘들다면 미숙아 발달 및 발달선별검사에 대한 교육을 받은 간호사 또는 전문가가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미숙아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더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을 활용하도록 할 경우, 퇴원 후 24시간 비디오 컨퍼런스를 통해 전문가의 상담을 제공한 경우 부모는 가정에서 아기를 양육하는데 자신감을 얻었으며 이는 부모가 도움이 필요할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낸 연구(Lindberg, Axelsson, & Ohrling, 2009)와 같이 인터넷에서 비디오와 같은 영상을 통한 전문가의 상담을 부모의 요구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은 만족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등 현대의 어머니 요구에 적합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정보의 제공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6명(21.9%)이라는 적은 수의 어머니만이 아기가 성장하면서 발달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발달 문제를 겪게 될지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한 어머니도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들(Khan et al., 2006; Latal., 2009)에서 미숙아 발달 지연율에 대한 보고에 비해 미숙아 어머니들의 아기의 발달 문제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가 가정에서 아기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임을 고려할 때 미숙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과 인식은 아기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고 미숙아를 올바르게 양육하기 위해서는 미숙아가 퇴원하기 전부터 미숙아 발달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병원에서 전문가에 의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미숙아 양육과 관련된 어머니의 교육 요구도는 발달 증진 방법에 대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 이상증상확인이었다. 발달에 대한 교육 요구의 세부 항목으로는 성장, 미세운동, 언어발달시기, 발달검사시기, 교정연령에 따른 정상발달에 대한 교육 등 다양하였다. 교육 요구도 항목에서 추가로 기타 항목에 어머니들이 답한 내용에는 ‘시기에 맞는 운동발달’, ‘양육 시 발달의 정상적인 시기별 특징’, ‘아기를 양육하는데 있어 우리 아기에게 맞는 발달 상황’ 이라는 답변들이 있었다. 또한 미숙아 양육과 발달, 운동발달, 발달검사 및 치료의 세부항목에 관하여 모두 알고 싶다고 답한 어머니들도 있었다. 이를 통해 발달에 대한 미숙아 어머니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숙아를 양육하는 데 있어 수유나 목욕과 같은 기본적인 양육 지식에 대한 정보는 많지만 발달증진에 관한 정보는 쉽게 구할 수 없어 발달에 관한 어머니들의 요구가 많은 것이라 생각되며, 발달에 대한 지식 중에서도 발달 시기 또는 교정연령에 따른 발달에 대한 교육 요구가 많으므로 어머니의 요구도와 아기의 발달 시기에 따른 정보의 제공과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발달이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와 같은 발달 과정이나 원리에 기초한 교육을 시행하는 것은 영아의 발달을 도울 수 있으므로(Sim et al., 2007), 연령별 정상 발달에 대한 교육은 어머니의 교육 요구도를 충족시킴과 더불어 추후 미숙아 발달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될 것이다. Tak (2007)과 Park (2011)의 연구에서는 고위험 신생아의 교육 요구는 이상증상 확인과 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고 하였고 다음은 성장발달 순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이상증상 확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 높았지만, 발달증진 방법에 대한 교육 요구가 더 높았다. Kim(2001)은 미숙아 어머니가 가장 염려하고 있는 아기상태는 모든 월령에서 ‘신체 및 지능의 정상적 발달 여부’ 라고 한 바 있다. 이처럼 미숙아 어머니는 정상적 발달에 대한 걱정이 많은 만큼 관심과 요구도도 높았는데, 이전에는 아기의 현재 질병이나 이상증상에 대한 교육 요구가 더 높았으나 점차 발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면서 본 연구에서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Park과 Lee (2007)는 퇴원 후 미숙아 양육에 대한 지침이나 정보가 부재한 상황에서 미숙아를 양육해야 하는 부모들의 고충은 매우 크며 따라서 미숙아 발달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발달 지침과 위험 조짐 등에 대한 정보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발달 지연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과 걱정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현재 병원에서도 퇴원교육을 포함한 양육 및 발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미숙아의 추후 발달이나 발달 단계에 초점을 맞춘 교육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발달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추후 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 된다. 미국에서는 1983년부터 시행한 개별화 장애아동 교육(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를 통해 신체, 인지, 의사소통, 사회 정서, 적응에 장애가 있거나 발달 지연이 있는 3세 이하의 모든 아동과 그 가족이 조기 중재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발달 장애의 합병증이 많은 미숙아는 긍정적인 성장 발달의 결과를 보고하였다(McCormick et al., 2006). 또한 발달 중재 프로그램은 병원 입원기간 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부모에게 도움이 되므로(Saigal & Doyle, 2008), 우리나라에서도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정기적인 건강진단과 방문건강관리 사업을 통한 미숙아 관리 외에 병원에서 의료진이 연결되어 장기적인 건강관리와 조기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일관성 있게 시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소재 S대학병원과 시립 B병원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모든 미숙아 어머니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더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대상자를 확보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지식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도구로써 도구의 보완이 더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과 양육에 대한 지식과 요구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임상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미숙아 어머니의 특성 및 요구도에 따른 교육과 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미숙아 관리 프로토콜 개발은 미숙아 어머니가 아기를 잘 발달할 수 있도록 양육하고 적응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간호 실무에서 이와 관련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her`s knowledge of premature development and rearing and their education need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premature mother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as 73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Knowledge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and rearing was measured by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previous research. The education needs about development and rearing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using SPSS 20.0.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on development was 59.3 out of 100. The category of knowledge on language development was rated the highest, and motor development category was the lowest. The score of knowledge on rearing was 77.8 out of 100. The knowledge on bathing category was rated the highest and defecation category was the lowest. The growth education needs for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The method for developmental improve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rearin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remature infant mothers have less knowledge on premature development than premature rearing, also mothers were interested in development and there were many needs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 미숙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가 지각한 영아의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김소영 ( So Young Kim ),권미경 ( Mi Kyung Kwon ) 부모자녀건강학회 2005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8 No.2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premature infants` mother and full-term infants` mother. It aims at establishing the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infants. It investigates the basic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the mother of premature infant.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 2005 to May 30, 2005, and the subjects were total 123 mothers: 44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nd 79 mothers of full-term infants under 6 months who visited general hospitals, individual pediatrics, and health center located in G city. "What My Baby Is Like(WBL)" developed by Pridham, Chang, and Chiu(1994) and translated by Bang Kyeong Sook(1999)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of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Index (PSI) developed by Abidin(1990)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by Kim Dong Hee(1997)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of parenting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 12.0 window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ant`s temperament perceived by premature infants` mothers and full-term infants` mothers (t=-4.08, p=.00). In subcatego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mature infants` mother and full-term infants` mother in geniality(t=-3.62, p=.00), adaptation(t=-3.43, p=.00) and reaction(t=-2.01, p=.0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between premature infants` mother and full-term infants` mother(t=6.57, p=.00). The parenting stress of premature infants mothers appeared to be higher than full-term infants` mothers. They showed the higher stress i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rea(t=6.27, p=.00) and child area(t=7.38, p=.00) among 3 areas of parenting stress. 3.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As mothers perceived the infant`s temperament negatively, the parenting stress. Especially, the negative correlation of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of premature infants` mothers(r=-.44) was stronger than that of full-term infants` mothers(r=-37). From the research, as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receive more stress, their stress can cause the serious problem to the relationship of the mother and the infant. Therefore, th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others towards their infants into the positive perception reduce the parenting stress.

      • KCI등재

        미숙아로 출생한 영아의 6개월 발달 관련 요인에 대한 전향적 연구

        방경숙,강현주,이부현,권미경 한국아동간호학회 2016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2 No.3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remature infant at six-month age an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al status of the premature infa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8 premature infants whose corrected age was six-months old and their mothers. The developmental states of infants were followed-up with the Korean Prescreening Developmental Questionnaire (KPDQ-II).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were identified from the medical records. Ot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husband’s support, social support, and mother-infant attachment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the mothers. Results: Forty three percent of the infants were in the group of questionable status of development on the KPDQ-I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mature infants with normal developmental status and those with questionable developmental status depending on gender (χ2=5.03, p=.034), gestational age (t=2.59, p=.012), hospital stay (t=-2.08, p=.042), revised Neurobiologic Risk Score (t=-3.05, p=.004) and mother-infant attachment score (t=2.12, p=.040). Conclusion: Mother-infant attachment, as well as physiologic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is an important variable in early development. Therefore, early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has to be done for physiologically vulnerable premature groups. Also, providing proper nursing support to improve maternal attachment needs to be considered.

      • 정상아 어머니와 미숙아 어머니의 영아 신호에 대한 민감성 비교 연구

        권미경 關東大學校醫科大學醫科學硏究所 1998 關東醫大學術誌 Vol.2 No.1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mother's responsiveness to infant cue in order to improv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infant. The subjects were premature infant's mother' 41 and full-term infant's mother 86 who visit to general hospital or a public health center in Kangnung. The gestational age of premature infants was less that 38weeks and birth weight 2500g. The gestational age of full-term infants was more that 38weeks and birth weight was more that 2500g.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ontent about infant cue in Barnard's MCAST program, This questionnaire was revi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pertise in this field. The question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 10 questions about engagement cue, questions about disengagement cue, and 9 questions about general cue and reflex behavior. Each item measured the mother's I meaningless, I got in case which mother can's recognize the meaning of reaction. The result presented that two group mothers showed relatively positive reaction to engagement cue. However, most mothers still didn't recognize that their infants can lead a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show active response in interaction, Mothers tended treat them as just passive objects. And premature infants mothers showed the more negative reaction or meaningless than full-term infant mothers. In disengagement cue, mothers tented not to give proper responsiveness to their infants when the infants desired feeding or not and they did not desire mother-infant interaction. In general cue and reflex behavior, the mother's reaction was positive and they took it granted as a infants behavior.

      • KCI등재후보

        감각자극이 미숙아의 모-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김미예,김선희,장군자 한국아동간호학회 2004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 of sensory stimulation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in premature infan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6 pairs of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from NICU of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Taegu, 18 pairs for intervention group and 18 pairs for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999 to October, 2000. For the intervention group Field's sensory stimulation(tactile and kinesthetic stimulation) was applied 2 times a day for 10 days(10:00-11:00 in the morning and 7:00-8:00 in the afternoon by researcher and mother). To determine mother and infant interaction during feeding, tool developed by Kim Mi-Ye(1999)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AS program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other-infant interaction between two groups(t=-5.38, p=.00). It indicates that sensory stimul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mother-infant interaction. In the aspects of the quality of mother-infant interaction, sensory stimulation was most effective in improving sensitivity to mother and infant's synchronic behaviors(t=-5.43. p=.00) and followed by growth fostering(t=-5.07, p=.00), sensitivity to infant's cues(t=-4.53, p=.00), clarity of infant's cues(t=-3.03, p=.00) and responsiveness to the mother's behaviors(t=-2.14, p= 0.04).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maternally administered sensory stimulation should be applied clinical practice to improve interaction of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 KCI등재

        우리나라 모자보건 정책사업 분석 - 미숙아와 저체중출생아를 중심으로 -

        이혜정,이광옥,신미경 한국아동간호학회 2009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5 No.1

        In recent years, reductions in infant mortality have mainly been accomplished by improving the survival of premature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however premature infants still remain at great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 related to premature infants and to provide a future direction for improving maternal child health (MCH) in Korea. We reviewed two MCH service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premature infants: 1) a registry and financial support program for families with a premature infant, and 2) financial support to buil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rural public hospitals.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vital signs record system to identify high risk infants and to monitor the trends in infant mortality due to prematurity. Prevention efforts and preconception care for childbearing women is also an important strategy to reduce the rate of preterm births. Finally, we need consider long-term follow-up plans for premature infants for a successful transit to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Developing MCH policy related to premature infants that decreases the occurrence of premature may decrease infant mortality, and also improve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 KCI등재

        Levothyroxine Sodium Administration and Late Circulatory Collapse in Premature Infants with Thyroid Dysfunction

        ( Hyun-jeong Do ),( Jae Young Cho ),( Jung Sook Yeom ),( Ji Sook Park ),( Ji-hyun Seo ),( Jae Young Lim ),( Chan-hoo Park ),( Hyang-ok Woo ),( Hee-shang Youn ) 대한주산의학회 2019 Perinatology Vol.30 No.3

        Objective: Levothyroxine sodium (LT4) is considered safe, and widely administered to premature infants with thyroid dysfunction. Late circulatory collapse (LCC) has not been defined clearly, but it has been characterized as refractory hypotension in premature infants. Recently, LCC after LT4 administration was reported in Japan.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n the aspect of LT4 as a risk factor of LC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LT4 administration and LCC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premature infants (≤32 weeks gestation) admitted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11 and 2018.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LT4 supplementation and LCC,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reviewed and compared between premature infants with and without LCC. Results: Among 347 premature infants, LCC occurred in 21 (6.1%) on median 19.0th day. Sixteen (76.2%) of 21 infants with LCC were receiving LT4 and LCC was developed on median 3.0 days after LT4 initiation. Gestational age ≤28 weeks, birth weight <1.5 kg, hemodynamically significant patent ductus arteriosus, culture proven sepsis, necrotizing enterocolitis, congenital hypothyroidism, use of LT4 and diuretics, values of serum thyroid stimulating hormone, free thyroxine and sodium were significantly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LCC and no LCC group. Prematurity ≤28 weeks of gestation and LT4 replacement were risk factors of LCC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LT4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premature infants with thyroid dysfunction and serial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should be warranted if LT4 was administered.

      • KCI등재

        미숙아 어머니의 직접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라진숙,채선미 한국모자보건학회 2015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rect breastfeeding self-efficacy (DBSE) of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and its relations with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family perceptionon direct breastfeeding.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employed. A total of 76 mothers with prematureinf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3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Data were collected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showed 51% of correct answers on direct breastfeedingknowledge. No one breastfed their premature infants in NICU while about a half of the mothersused bottle feeding with breast milk and formula. Almost all of the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96.1%) expressed intention to begin and continue direct breastfeeding. Their DBSE was at amoderate level, 3.09±0.65. The DBSE of the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was significantlycorrelated with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family perception on breastfeeding. Also DBSE was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direct breastfeeding experiences than their counterparts. Maternalprevious direct breastfeeding experience, direct breastfeeding experience in NICU, and family perceptionon direct breastfeeding significantly explained 38.8% of the variance in DBSE of motherswith premature infant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mother of premature infants with experience of direct breastfeedingin NICU and positive family perception on direct breastfeeding seems to increase DBSE. Therefore, NICU discharge program should include education on direct breastfeeding to thosemothers. Also family-centered approach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DBSE of the motherswith premature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