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구감독의 권력기반에 대한 선수의 인식

        최옥진(Choi, Ok-Jin),고기태(Ko, Ki-Tae)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cer players recognize their head coach’s power and authority in relation to soccer players’ background and experiences and then to establish an effective base for head coaches’ authority.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nd data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soccer player’s recognition of a head soccer coach’s authority by their team affili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cer player’s perception in all areas of a coach’s authorities: compulsory power, professional power, legitimate power, consultation power, and reward power. While both consultation power and reward power are least recognized amongst adult soccer players; compulsory power, professional power, legitimate power are realized most amongst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Second, in relation to the soccer player’s position, there was no substantial distinction on the perception in all areas of a coach’s authorities;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on professional power amongst the adult division soccer players. Third, an examination of the soccer player’s differential view of a head soccer coach’s authority, with reference to whether the player is a key player or not, was performed and found that the consultation power was most significant amongst the middle school key players as compared to non-key playe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on both compulsory power and professional power amongst high school non-key players as opposed to key players. Fourth, in relation to the grades of soccer players, middle school quarter-final players in lower division teams recognized a coach’s reward power more than the middle school quarter-final upper division teams. Both professional power and legitimate power were perceived more amongst high school quarter-final teams or upper division teams as compared to quarter-final or lower division teams. Fifth, between Korean soccer players and foreign soccer play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in the perception of a coach’s authority in all areas of compulsory power, professional power, legitimate power, consultation power, and reward power of the coach.

      • KCI등재

        초기불교에 있어 국가권력(왕권)과 교권

        조준호(Cho Joon-Ho) 한국인도학회 2009 印度硏究 Vol.14 No.2

        본고는 인도의 초기불교에서 정치권력이라 할 수 있는 왕권이 교권, 특히 불교와는 어떻게 관계를 맺으면서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먼저 바라문교와 불교에 있어 왕권과 국가의 기원에 대한 이해에 따라 왕권과 교권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나아가 불교의 교권이 세간의 정치권력(왕권)에 대응하여 어떻게 출세간성을 확보했는지를 주로 율장과 경장을 통해 대략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인도불교의 시작은 세간의 왕권과 출세간적 교권간의 기능과 역할에 있어 서로간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승인하며 출발하고 있다. 현대적인 표현으로 말하면, 정치권력과 종교 간의 문제에 있어 정교분리의 차원이라 할 수 있다. 왕권과 교권은 정교분리를 서로 인정했기에 세간적인 이해관계로 경쟁하지 않았고 왕권은 교단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지원하였다. 또한 교단의 구성원들이 정치적인 면에서 권력추구에 나서지 않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탁발과 보시에 의지하는 것과 같은 영리활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다. 그리고 독신에 엄격한 계율을 지키는 금욕생활로 도덕적인 권위를 보여주었기에 왕권으로부터 간섭이나 통제가 배제된 치외법권적인 출세간이 보장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적인 정교분리의 세간과 출세간 관계는 경우에 따라서는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기도 하였다. 불교교단은 왕권의 지원과 보호와 함께 왕권과 교간간의 긴장과 대립 그리고 간섭과 통제 등도 있었다. 정교분리가 확립된 붓다 시대와 이후 불교사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불교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 원만하게 이루어졌다. 이처럼 인도불교의 출발은 국가와 밀접한 관계 속에 있지만 정치권력과의 결탁을 거부하는 독립된 출세간의 위상을 보여준다.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한 정교분리의 출발점은 이후 불교교단 또한 기본적으로 출세간의 영역이 인정되는 가운데 왕권과 관련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This article is to review relationship between royal power and religious authority of Buddhist order as reflection in the P?li Vinaya and Sutta Pi?akas. For this purpose, it is examined, first of all, understanding for origin of royal power and state between Brahmanism and Buddhism. It is also examined that how Buddhist order coped with royal power of the mundane. Countermeasure of Buddhist order guaranteed the supra-mundane as religious authority from political authority. Therefore, the beginning of Indian Buddhism secured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from royal power of mundane. At the same time, Buddhist order also recognised political authority of the mundane. In the modern view, such kind of cross-recognition can be said as a way of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religion. The separation between religious authority and political authority wa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in ancient India. That is why Buddhist order did not participated mundane interests and concerns. It is generated positive support and safeguard from royal power. Politically, member of the order was not in pursuit of rank and power. They depend on only offerings, not at all concerned any kind of business. Moreover, they remained unmarried for life and led an ascetic life according to rigid rules. Such moral authority strengthened the supra-mundane of extraterritoriality. Even so, It means not always getting a guarantee that the order took interference and regulation by royal pow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In concluding remarks,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religion was settled period of the fonder of Buddhism. The social role and function of Buddhism could be within the range of the normal separation. In this way, the beginning of Indian Buddhism showed close relationship of government, but at the same time, the order rejected in collusion with political power as the status of autonomy. The starting point of Buddhist independence from political power continues fundamentally in history of Indian Buddhist order. Such foundation provides firm ground of supra-mundane in view of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religion. Consequently, the autonomy of Buddhist order from mundane power has diverse aspects according to the times and territories in whole Buddhist history.

      • KCI등재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에게서 권력(Power)과 권위(Authority)의 관계 :로버트 파인(Robert Fine)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성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7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5

        This article tries to study about the relation between power and authority in Hannah Arendt. That is because the concepts of power and authority occupy the important position in Arendt’s theory and a dilemma can appear through the relation of that two concepts. Power is deeply related to action and freedom. Power is made where plural people who do free action come together. And authority is the fence which guarantees the formation of power stably. In this way, on the one hand, power and authority have complementary rel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y can have contradictory relation. While power is the expression of free action as quite new beginning, authority tries to establish this new beginning. Robert Fine points out this dilemma. we can regard that as a collision between power and authority. Through this contradiction which appears in Arendt’s theory, we can face various fundamental problems of political philosophy. 이 논문은 한나 아렌트의 이론 내에서 나타나는 권력(power)과 권위(authority)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 둘의 관계를 고찰해보는이유는 아렌트의 이론 내에서 권력과 권위라는 두 개념이 아렌트에게서 핵심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둘의 관계를 통해 하나의 딜레마가 나타날수 있기 때문이다. 권력은 행위(action)와 자유(freedom) 개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자유롭게 행위하는 복수의 인간이 모였을 때 권력은 형성된다. 그리고권위는 이러한 권력의 형성을 안정적으로 보장해주는 울타리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 권력과 권위는 한편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지만, 다른 한편으로이 둘은 모순적인 관계를 가지기도 한다. 권력은 완전히 새로운 시작으로서의자유로운 행위의 표현이지만, 권위는 이러한 새로운 시작을 확립하려고 한다. 로버트 파인(Robert Fine)은 이러한 딜레마를 지적한다. 이는 변화와 안정의충돌로 이해될 수 있다. 아렌트에게서 나타나는 이러한 모순을 통해 우리는 정치철학의 여러 근본문제들과 직면하게 된다.

      • KCI등재

        처분권한이 없는 임대인이 임대주택의 권리를 취득한 경우의 처분행위 효력- 대법원 2019.3.28. 선고 2018다44879,44886 판결 -

        양형우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6 No.2

        The Civil Code of Korea has no provisions on granting disposition authority or supplementing (complementing) disposition authority subsequently so there are flaws in the law. In principle, if an unentitled person acquires the right of an object after an act of disposition, the flawed disposition authority is complemented by the effect of the change in a real right. Therefore, the other party should interpret that the right is lawfully acquired from that point on without any additional legal acti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44879, 44886 decided on March 28, 2019, states that leases subject to Article 3(1)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nclude cases where a lease contract is signed with a lessor who is not the owner of the house but has the authority to legally enter into a lease contr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refore, when a real estate collateral trust contract is concluded, the trustee has the power to lease, and when the truster enters into a lease contract with the consent of the trustee and the house is delivered to the lessee and the lessee completes the moving-in report, the subsequent complement of disposition authority is recognized, as the lessee acquires opposing power as soon as the truster completes the registration of ownership transfer due to the attribution of trust property.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44879, 44886 decided on March 28, 2019, is significant in clearly stating that when a lessor without disposition authority acquires the ownership of a house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s of complement, the lessee who meets the requirements for opposing power prescribed in Article 3(1)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obtains opposing power immediately after the lessor acquires ownership, but it is considered undesirable that Supreme Court decision 2012Da93794 decided on February 27, 2014, was not abolished which denied the lessee’s right to preferential payment on the grounds that the lessor did not have disposition authority. From a legislative perspective, it would be advisable to establish provisions similar to Article 185 of the Civil Code of Germany. 우리 민법은 처분권한부여, 처분권한의 추후 보완(추완)에 관하여 규정을 하지 않아 법률의 흠결이 존재한다. 무권리자가 처분행위를 한 후에 목적물의 권리를 취득한 경우, 원칙적으로 물권변동의 효과로서 흠결된 처분권한이 추완되고, 따라서 상대방은 다른 추가적인 법률행위 없이 그 시점부터 적법하게 권리를 취득한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대상판결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1항이 적용되는 임대차에는 주택의 소유자는 아니지만 주택에 관하여 적법하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임대인과 사이에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경우도 포함된다고 한다. 따라서 주택에 관한 부동산담보신탁계약을 체결한 경우, 임대권한은 수탁자에게 있으며, 위탁자가 수탁자의 동의 없이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후 그 주택을 임차인에게 인도하고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마친 때에는 위탁자가 신탁재산의 귀속을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즉시 임차인은 대항력을 취득한다고 하여, 처분권한의 추완을 인정하고 있다. 대상판결은 추완의 법리에 따라 처분권한이 없는 임대인이 주택의 소유권을 취득하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1항의 대항요건을 갖춘 임차인은 임대인이 소유권을 취득한 즉시 대항력을 취득한다고 명확히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임대인에게 처분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을 부정한 대법원 2014.2.27. 선고 2012다93794 판결을 폐지하지 않았다는 점이 아쉽다. 입법적으로는 독일민법 제185조와 같은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 권한남용금지의 원칙과 그 한계 - 대법원 2016. 12. 15. 선고 2016두47659 판결 -

        박균성 ( Park Kyun Sung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3

        평석대상 판결인 “대법원 2016. 12. 15. 선고 2016두47659 판결”은 행정 권한 남용의 금지를 최초로 일반적으로 선언하고, 권한남용금지의 근거를 법치주의에서 찾고 있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다만, 권한남용의 금지의 원칙을 법적 구속력이 있는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하나로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있지는 않은 점은 아쉬운 점이다. 앞으로 권한남용의 금지의 원칙을 법적 구속력이 있는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하나로 명시적으로 선언하는 판결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평석 대상 판결은 세무조사권의 남용을 금지하는 것으로 규정한 국세기본법 제81조의4 제1항을 그 자체로서 구체적인 법규적 효력을 가지는 규정으로 보고, 세무조사권 남용의 판단기준으로 “세무조사가 과세자료의 수집 또는 신고내용의 정확성 검증이라는 본연의 목적이 아니라 부정한 목적을 위하여 행하여진 것”을 들고 있다. 그렇지만,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은 행정법상 법의 일반원칙으로서 명문의 규정이 없음에도 인정되는 법원칙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세무조사권의 남용을 금지하는 것으로 규정한 국세기본법 제81조의4 제1항은 세무조사분야에서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을 단순하게 선언한 규정에 불과한 규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권한남용의 판단기준으로 제시한 “본연의 목적이 아니라 부정한 목적을 위하여 행하여진 것”은 모호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법치주의 및 행정권 한법정주의에 따라 모든 행정권한은 법령상 주어진 목적이 있으므로 법령상 규정된 목적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행정권한을 사용하는 것은 원칙상 권한의 남용으로 위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행정기관은 법주체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으로서 기관 상호간에 협력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여야 할 의무가 있고, 행정기관이 권한을 행사함에 있어 추구하는 목적에는 여러 목적이 혼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행정권한의 남용의 기준을 “행정권을 주어진 목적과 실체적 관련이 없는 다른 목적으로 행사하는 것”에서 찾는 것이 일응 타당하다고 본다. 그리고,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은 재량행위뿐만 아니라 기속행위에도 적용되는 법원칙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은 적극적인 권한행사 뿐만 아니라 권한의 불행사에도 적용되는 법원칙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향후 대법원 판례가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을 법의 일반원칙으로 명시적으로 선언 하고 권한남용의 개념 및 판단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기를 기대한다. The annotated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16 Du47659 Decided December 15, 2016", is meaningful as it declare generally prohibi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abuse, and to find its basis in the rule of law. However, I feel the lack of which the case did not stipulat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one of general principles in administrative law. In the future, I expect decisions that declar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one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to bind legally. The annotated decision indicated that the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on tax investigation was based on the Article 81 (4) 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a criterion of authority abuse on tax investigation was doing it “not for the own purpose, but for an unjust purpose".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regar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a legal principle of administrative law without any written provisions, and the Article 81 (4) 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hich prohibits authority abuse of tax investigation is to be recognized as a provision that declares simply that principle in the field of tax investigation. And it is an ambiguous that “it was done not for the own purpose, but for an unjust one”, which is presented as a criterion of authority abuse. All of administrative authorities have purposes given by laws, according to the rule of law and administrative power from laws, so using administrative authorities not for the purpose prescribed by laws but for others is in principle illegal as abuse of power.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criter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abuse which “it is to exercise the executive power for other purpose not related to substantial object”, since administrative agencies are obligated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 in cooperation with each agencies as bod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 and have several purposes mixed frequently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should not only apply to discretional act but also binding act, and be regarded as a rule not only applying to active authority exercise but also to nonuse. We expect that the Supreme Court declares the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general principle of law explicitly, and clarify the concept and judgment standard of authority abuse.

      • KCI등재

        정부힘과 정부신뢰에 대한 인식 및 납세에 대한 태도가조세순응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세지식과 미끄러운 경사이론을 중심으로-

        강민조 한국세무학회 2018 세무와 회계저널 Vol.19 No.2

        The Slipper Slope Framework (SSF) posits that 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determine taxpayer compliance can be reduced into two dimensions:perceived power of authority (Power) and perceived trust in authority (Trust). According to the framework, Power, Trust and their interaction are key factors to understand taxpayer behavior and to devise tax enforcement policies. Hence, the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lausibility of SSF in the context of Korean tax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tax authority. Notably, the study not only examines empirical validity of SSF but also seeks to find a better way to adopt the tax compliance framework in association with the importance of tax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s with regard to fiscal policy. The experiment conducted via online survey with 107 college students shows that tax edu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Power and Trust. Moreover, the interaction of Power and Trust, attitudes toward taxpaying, and risk preference have been found to affect tax compliance intention in a hypothetical income tax evasion scenario. The result implies that SSF can come into play in establishing and administering tax enforcement strategies that foster taxpayer compliance. In particular, tax education and information campaign should be redesigned to shape appropriate tax knowledge in regard to perceived power of authority and trust in authority. 미끄러운 경사이론(the slippery slope framework)은 납세자 조세순응의 결정요인을 정부힘(Power of authority)과 정부신뢰(Trust in authority)라는 두 차원으로 축약하여, 개인별․국가별 조세순응의차이를 납세자와 과세당국의 상호작용 방식으로 설명한다. 이 연구의 목표는 납세자 조세순응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유용한 개념적 틀이자 정책적 도구로 개발된 미끄러운 경사이론을 우리나라 조세환경의 맥락에서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세정운영에 도움이 되는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특히, 미끄러운 경사이론의 경험적 타당성을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재확인하는 데 그치지 않고세무회계 교육 및 세정홍보 전략의 중요성과 연계하여 해당 이론의 비판적 수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조세관련 과목의 수강 여부는 정부힘과 정부신뢰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특히, 정부힘에 대한 인식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세정당국이 제도적 개선의 노력과 더불어납세자 교육 및 홍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탈세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또한정부힘과 정부신뢰에 대한 인식 및 납세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가상적 상황에서의 세무신고의사결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였다. 다만, 정부힘과 정부신뢰의 단일한 차원으로는 조세순응의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두 차원이 결합되었을 때만 조세순응을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끄러운 경사이론이 조세순응을 제고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에 유용한 정책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납세자 교육 및 세정 홍보는 납세자들이 정부힘과정부신뢰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인식을 갖추도록 고안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권한남용금지의 원칙과 그 한계 - 대법원 2016. 12. 15. 선고 2016두47659 판결 -

        박균성 ( Park Kyun Sung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3

        평석대상 판결인 “대법원 2016. 12. 15. 선고 2016두47659 판결”은 행정권한 남용의 금지를 최초로 일반적으로 선언하고, 권한남용금지의 근거를 법치주의에서 찾고 있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다만, 권한남용의 금지의 원칙을 법적 구속력이 있는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하나로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있지는 않은 점은 아쉬운 점이다. 앞으로 권한남용의 금지의 원칙을 법적 구속력이 있는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하나로 명시적으로 선언하는 판결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평석 대상 판결은 세무조사권의 남용을 금지하는 것으로 규정한 국세기본법 제81조의4 제1항을 그 자체로서 구체적인 법규적 효력을 가지는 규정으로 보고, 세무조사권 남용의 판단기준으로 “세무조사가 과세자료의 수집 또는 신고내용의 정확성 검증이라는 본연의 목적이 아니라 부정한 목적을 위하여 행하여진 것”을 들고 있다. 그렇지만,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은 행정법상 법의 일반원칙으로서 명문의 규정이 없음에도 인정되는 법원칙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세무조사권의 남용을 금지하는 것으로 규정한 국세기본법 제81조의4 제1항은 세무조사분야에서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을 단순하게 선언한 규정에 불과한 규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권한남용의 판단기준으로 제시한 “본연의 목적이 아니라 부정한 목적을 위하여 행하여진 것”은 모호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법치주의 및 행정권 한법정주의에 따라 모든 행정권한은 법령상 주어진 목적이 있으므로 법령상 규정된 목적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행정권한을 사용하는 것은 원칙상 권한의 남용으로 위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행정기관은 법주체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으로서 기관 상호간에 협력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여야 할 의무가 있고, 행정기관이 권한을 행사함에 있어 추구하는 목적에는 여러 목적이 혼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행정권한의 남용의 기준을 “행정권을 주어진 목적과 실체적 관련이 없는 다른 목적으로 행사하는 것”에서 찾는 것이 일응 타당하다고 본다. 그리고,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은 재량행위뿐만 아니라 기속행위에도 적용되는 법원칙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은 적극적인 권한행사뿐만 아니라 권한의 불행사에도 적용되는 법원칙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향후 대법원 판례가 권한남용금지의 원칙을 법의 일반원칙으로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권한남용의 개념 및 판단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기를 기대한다. The annotated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16 Du47659 Decided December 15, 2016", is meaningful as it declare generally prohibi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abuse, and to find its basis in the rule of law. However, I feel the lack of which the case did not stipulat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one of general principles in administrative law. In the future, I expect decisions that declar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one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to bind legally. The annotated decision indicated that the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on tax investigation was based on the Article 81 (4) 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a criterion of authority abuse on tax investigation was doing it “not for the own purpose, but for an unjust purpose".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regar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a legal principle of administrative law without any written provisions, and the Article 81 (4) 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hich prohibits authority abuse of tax investigation is to be recognized as a provision that declares simply that principle in the field of tax investigation. And it is an ambiguous that “it was done not for the own purpose, but for an unjust one”, which is presented as a criterion of authority abuse. All of administrative authorities have purposes given by laws, according to the rule of law and administrative power from laws, so using administrative authorities not for the purpose prescribed by laws but for others is in principle illegal as abuse of power.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criter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abuse which “it is to exercise the executive power for other purpose not related to substantial object”, since administrative agencies are obligated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 in cooperation with each agencies as bod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 and have several purposes mixed frequently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should not only apply to discretional act but also binding act, and be regarded as a rule not only applying to active authority exercise but also to nonuse. We expect that the Supreme Court declares the prohibition of authority abuse as general principle of law explicitly, and clarify the concept and judgment standard of authority abuse.

      • KCI등재

        임용권 행사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 대법원 2019도17879 판결을 중심으로―

        윤영석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22 刑事判例硏究 Vol.30 No.-

        Recently, abuse of authority has attracted strong social attention. Discussions and arguments about this offence are becoming more active as they are involved in various political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plores abuse of authority from a new perspective, focusing on the exercising authority for appointment by head of local government. A case law determined that the abuse of authority is established when "a public official who has a general job duty abuses one's authority.' A general job duty is a fairly abstract concept, and the Supreme Court has not provided clear guidelines on its interpretation. This ambiguity brought the risk of being subject to arbitrary judgment in the application of the offense of abuse of authority. And based on the logic of “No authority, no abuse,” the case law determined that the illegal and unjust acts of public officer without authority did not constitute abuse of authority. The logic of case law has a problem that the exercise of the authority of a person without authority is not punishable even though it is a more serious crime than the exercise of the authority of a person with authority. The redefinition of the abuse is needed. Meanwhile, the case law interprets the exercise of authority targeting private individuals has a greater chance of establishing an offense of abuse of authority than in the case of those targeting public officials.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2019do17879,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ordered a working staff to "recommend" a specific person for promotion, and the personnel committee made a decision following the recommendation. This is because the independence of the Personnel Committee is structurally vulnerable. The specific expression by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puts a considerable pressure on the members of the Personnel Committee and disables the committee practically.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accepts the existing interpretation for offense of authority of abuse.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says authority of head of local government is very wide. So the Supreme Court rejected the establishment of abuse of authority. This ruling, however, failed in reflecting the reality and more forward-looking ruling in the future is expected.

      • KCI등재
      • KCI등재

        상소제기의 특별수권과 소송대리권의 소멸시기- 대법원 2010. 12. 23. 선고, 2007다22859 판결 -

        오상현 ( Sang Hyun Oh ) 법조협회 2014 法曹 Vol.63 No.5

        대상판결의 판시취지를 요약하면, ① 당사자가 소송 계속 중 사망하였으나 그를 위한 소송대리인이 있어 소송절차가 중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망인의 공동상속인 중 수계절차를 밟은 일부만을 당사자로 표시하여 판결하더라도 그 판결의 효력은 수계하지 않은 나머지 상속인들에게도 미친다. ② 망인의 소송대리인에게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이 부여되어 있으면 심급이 종료(판결 송달)되어도 소송절차가 중단되지 않고 상소기간이 진행된다. ③ 당사자 표시가 잘못되었음에도 망인의 당연승계인 모두에게 효력이 미치는 판결에 대하여 그 잘못된 당사자 표시를 신뢰한 망인의 소송대리인이나 상대방 당사자가 그 잘못 기재된 당사자 모두를 상소인 또는 피상소인으로 표시하여 상소를 제기했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 판결 전부에 대하여 상소를 제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④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을 부여받은 소송대리인이 상소를 제기하면 그 소송대리인의 소송대리권은 소멸하고 이에 따라 소송절차는 중단된다(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을 받았어도 상소심에서의 소송대리권은 없다는 취지)는 것이다. 위 ①은 굳어진 판례와 같은 취지이고, ②는 대법원 1992. 11. 5. 자, 91마342 결정의 취지를 재확인한 것이며, ③과 ④가 새로운 법리를 밝힌 것이다. 위 ④의 취지 중, 민사소송법 제90조 제2항(소송대리인의 특별수권사항) 제3호가 규정하는 ‘상소의 제기’의 특별수권을 받아도 상소심에서의 소송대리권은 없다는 판시취지는, 위 규정의 연혁이나 다른 특별수권사항인 ‘반소의 제기’에 비추어 문제가 있고 우리나라의 통설 및 일본의 통설·판례와 다르지만, 위와 같은 해석이 불가능하지는 않고 심급대리의 원칙에 충실한 해석임에 비추어 위 판시취지에는 찬성한다. 나아가 위 ‘상소의 제기’를 문리에 충실하게 상소의 제기 권한만을 의미한다고 새기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와 같이 해석하는 것이 오랜 기간에 걸쳐 굳어진 심급대리의 원칙에 철저한 해석이다. 대상판결은,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을 받아도 상소심에서의 소송대리권은 없다고 해석하면서도 망인의 소송대리인에게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심급이 종료(판결 송달)되어도 소송절차가 중단되지 않고 상소기간이 진행되며(위 ②), 상소를 제기하면 그 소송대리인의 소송대리권이 소멸하여 그 때 소송절차가 중단된다(위 ④)는 것인데, 이는 잘못이라고 본다. 우리나라의 통설 및 일본의 통설·판례가 망인의 소송대리인에게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심급이 종료되어도 소송절차가 중단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유와 근거는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을 부여받으면 소송종료시까지 완전한 소송대리권을 가지므로 심급종료 이후에도 민사소송법 제238조의 ‘소송대리인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대상판결의 판시취지처럼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을 받아도 상소심에서의 소송대리권이 없다면,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을 받았어도 원래 가지고 있던 소송대리권은 심급종료시에 소멸한다고 해야 한다. 결국, 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을 받았더라도 심급이 종료되면 심급대리의 원칙에 따라 그 심급에서의 소송대리권은 소멸하고 그 때(심급종료시에) 소송절차가 중단되어 상소기간이 진행되지 않으며, 다만 특별규정(민사소송법 제90조 제2항 제3호)과 당사자의 특별수권에 의하여 상소를 제기할 권한만은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옳다. 또한 대상판결은 이 사건과 같은 통상의 공동소송(합일확정이 요구되는 필수적 공동소송이 아니다)에서 상소장에 상소인으로 표시되지 않은 사람에게도 상소의 효력이 미칠 수 있다(위 ③)고 했는데, 이는 소송행위의 표시주의, 외관주의 원칙에 반하고, 위 취지에 따르려면 실제 소송절차에서 상소심 당사자를 확정하는데 혼란(이 사건을 포함하여 상소심에서 본안재판을 마쳐야 당사자를 확정할 수 있는 등)이 예상되며, 형식적 당사자개념과도 배치되어, 도저히 찬성할 수 없다. Civil proceedings shall be interrupted upon a party``s death(Civil Procedure Act article 233 paragraph 1). But if there exists the attorney appointed by the dead party, the proceedings shall not be interrupted(the above act article 238). In that case, the attorney shall be considered as attorney of all inheritors. Supreme Court Decision 2007Da22859(decided on December 23, 2010) says, in those cases, ① Even if the court adjudicates on the case omitting some inheritors, the judgment has effect on all inheritors. ② If the attorney has the particular authority to file an appeal, the proceedings shall not be interrupted even though the instance ends, and the period of time of appeal shall progress. ③ If the attorney or the opposite party files an appeal indicating all inheritors on the judgment, that appeal should be considered as the one against the whole judgment. ④ When the attorney(who has the particular authority to file an appeal) files an appeal, the powers of the attorney shall expire, and the proceedings shall be interrupted(in other words, the particular authority to file an appeal doesn``t include the authority of representation in a higher court). The above ① is same as many precedents and ② is reconfirmation of Supreme Court Decision 91Ma342(decided on November 5, 1992). ③ and ④ are dealing with the new issues. I consent to that ``the particular authority to file an appeal`` doesn``t include the authority of representation in a higher court. Moreover, it should be interpreted literally as the authority to file an appeal itself. Such interpretation would be the one pursuant to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on by instance. But I cannot consent to the above ②. The popular view in Korea, Japan and the precedents in Japan are that when an attorney has the particular authority to file an appeal, the proceedings shall not be interrupted even though the instance ends, and the period of time of appeal shall progress. The reason and ground are that if the attorney has the particular authority to file an appeal, he(she) has the authority not only to file an appeal, but also to represent the inheritors in the higher court. But Supreme Court``s decision is that when the attorney files an appeal, the powers of the attorney shall expire and the attorney shall not have any authority to represent the inheritors. My argument is that even if the attorney has the particular authority to file an appeal, the powers of the attorney shall expire when the instance ends. Thus, the proceedings shall be interrupted and the period of time of appeal shall not progress. The attorney has authority only to file an appeal pursuant to particular authorization. I dissent from the above ③(an appeal could be effective to other inheritors who hadn``t been indicated on a written appeal). I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indication and appearance in litigation. And to follow it, who are the parties in the higher court might be conf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