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연수 소설의 정치성 양상 연구 - 포즈로서의 성격을 중심으로

        서덕순 ( Seo Deok-soo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5

        김연수의 소설은 거대서사나 담론이 사라진 공간에서 부각된 개인성에 집중한 다. 집단에서 떨어져 나온 개인은 더 이상 집단주체에 의한 기억에 의존하기를 거 부하지만 국가나 공동체를 온전히 부정하는 개념은 아니다. 집단이나 공동체에 대 한 부정적 인식은 그 자체보다는 그로인해 억압되거나 소외된 영역들을 부각시키고 표면에 노출시켜 새로운 서사적 힘을 생성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본고는 김연수 소설의 인물이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띠고 있다고 보고 이의 양상을 ‘개인’의 측면에서, 일차적 타자인 ‘가족’관계망에서, 그리고 이를 확장한 ‘세계’와의 관련 하에 고찰해보았다. 먼저 ‘개인’에 대해 정리하면 대상으로서의 세상이 아닌 개인 스스로가 구체적인 세상 속에 자신을 던져 얻어낸 ‘몸의 상상력’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일상의 새로운 풍경’들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7번국도≫의 ‘세희’와 <우는 시늉을 하다>의 ‘윤경’을 통해 ‘부모없음’으로 오히려 ‘상징적 질서’나 ‘금기’적 욕망에 대한 결핍이 없는 온전한 세계속의 자신이 될 수 있는 주체를 창출해냄을 분석하고 다양한 유사 가족의 형태들이 결과적으로 기존의 가족 정체성을 해체하는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니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세계’와의 관계망에서의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살피기 위해 고통 혹은 사물을 매개로 타자되기를 시도하는 인물들을 분석하였다. 타자되기에 대한 욕망은 새로운 대상과 경계에의 탐색으로 연결되며 그 대상과 새로운 접속을 추구하는 욕망을 꿈꾸게 하고 이로써 공감의 가능성이 생성됨을 보았다. 공감은 세계의 다양함을 추구하고 인물들은 그 차이와 반복의 자장 안에서 타자로의 변이를 시도하며 다른 삶을 창조한다. 김연수 소설 속 인물들은 역동적인 유목민적 주체가 되어 나와 가족을 넘어서 타자로 변이되면서 인식세계를 확장하고 그럼으로써 기존의 질서를 넘어서고자하는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다. 문제적 포스트모던한 세계에 존재하되 그 세계에 대해 메타적 시각을 지닐 수 있다는 뜻이다. 김연수 소설은 욕망의 시대에 욕망을 있는 그대로 표출하기 보다는 그 욕망에 대한 자각을 그리는 소설이다. 이것은 그가 ‘포스트모던하지 않은 세대’의 사람이되 ‘포스트모던한 가면’을 쓸 줄 알고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 작가이기 때문이다. 가면에 가면으로 맞서는 전술이며 이는 문제적 포스트모던(재귀성)을 응시하며 포스트모던의 증환에 맞서는 차별화된, 달리 말하면 포즈로서의 포스트모던이라고 말할 수 있다. Kim Yeon-su’s novels focus on the personality highlighted in the space where huge narratives or discourses have disappeared. Although individual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groups refuse to rely on memories obtained from collective subjects, it is not a concept denying the state or completely denying the community. Rather than denying groups or the community, it is intended to highlight areas oppressed or alienated by groups or the community and expose the areas on the surface to create a new narrative force. This article expanded the post-modern political nature of the generation, which is not post-modern, shown in Kim Yeon-su’s novels into ‘individuals’, ‘family members’ who are primary others, others, and the world and examined each. To summarize about ‘individuals’ first, as subjects, individuals per se, not the world, are ‘imagination of the body’, which can be obtained by casting themselves into the concrete world, and it can be said to have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in that it produces ‘new scenes of everyday life’. ‘Se-hee’ in ≪National Highway #7≫ and ‘Yun-gyeong’ in <Pretend to Weep] create entities that can become themselves in the whole world without the lack of ‘symbolic order’ or ‘taboo’ desires rather because they ‘have no parents’. In addition, the diverse forms of pseudo families in Kim Yeon-su’s novels deconstruct the existing identity. Therefore, they can be said to have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counteracting the reality based on family order. Finally, to summarize about ‘the world’, becoming others through mediation by pain or things can be regarded as the expression of the Possible Worlds and positive thinking of life. Desiring to become others becomes the possibility of empathy because it makes the person unceasingly search for new objects and dream of pursing new contacts with the objects. Empathy pursues the diversity of the world and tries to transform into others in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us creates and form other lives. The subjects in Kim Yeon-su’s novels become dynamic nomadic subjects to transcend themselve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change into others while expanding the world thereby having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Zizek ha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postmodernism is the cultural situation where people give up the pain of penetrating symptoms and crossing illusions while being affected by symptoms and indulging in surplus enjoyment in cynical ideologies. In a post-modern social atmosphere, Others says, “Ok, enjoy it.” After decentering and losing even symbolic effects, these Others just enforce enjoyment. To say in Kim Yeon-su’s style, it refers to saying only in the language of sexual organs. However, he was able to have an external view without falling into the problematic post-modern enjoyment. In this case, rather than being the view of outsiders who exist outside to see, the concept of the external view is a meta view that people can have while existing in the problematic post-modern world. Rather than being novels that express and reveal it as it is in the age of desire, Kim Yeon-su’s novels are those that depict the awareness of the desire. This is because he is a person in the ‘post-modern generation’ but is a writer who knows how to wear ‘post-modern masks’ and has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Knowing to confront masks with masks is an ability of only those who have accurate senses of times. This can be said to be post-modernism opposing the problematic post-modernism (reflexivity) mentioned at the beginning, and differentiated post-modernism opposing the symptoms of post-modernism, in other words, post-modernism as poses.

      • KCI등재

        동양사상, 탈현대 세계관, 탈현대사회

        홍승표(Hong Seung 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현대사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사회 위기의 중요한 근원의 하나는 현대 세계관이다. 현대사회는 현대 세계관의 토대 위에서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현 시점에 이르러 문제가 발생했다. 즉, 현대 세계관에 입각해서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할수록, 현대사회 위기가증폭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현대사회 위기를 해소하고, 새로운 문명으로의 도약을 이룰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은 탈현대사회건설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탈현대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이다. 동양사상은 탈현대 세계관의 구성을 위해 풍부한 자원을 내장하고 있다. 동양사상에 바탕 해서 구성한 탈현대 세계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탈현대 인간관은 인간을 ‘영원한 시간과 무한한 공간을 자신 안에 품고있는 우주적인 존재’라고 가정한다. 또한 인간은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자신과 세계를 자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탈현대 세계상에서 본 세계는 모든 존재들이 근원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하나인 세계이다. 순간 속에 영원이 담겨 있고, 먼지 하나에도 전 우주가 들어 있다. 탈현대 관계관은 너를 전제로 내가 성립하고, 너와 나는 서로를 이루어준다고 하는 관점에서 대대(對待)적으로 대립을 인식한다. 탈현대 세계관은 탈현대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주고, 탈현대사회건설 방안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탈현대 세계관에 바탕 한 탈현대사회건설의 방안은 수행(修行)이다. ‘참 나’를 자각하기 위한 노력인 수행을 통해 존재변화를 이룰 수 있고, 존재변화를 이룬 사람을 탈현대인이라고 한다. 탈현대사회는 탈현대인으로 구성된 사회이기에, 수행은 탈현대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핵심적인 방안이 된다. 탈현대 세계관에 기초한 탈현대사회는 평화로운 사회이며, 사랑의 사회이다. 탈현대사회는 중심과 주변의 구조가 해체된 가운데 모든 것이 중심이 되는 탈중심적인 사회이며, 조화로운 다문화사회이다. Current society meets the critical crisis. The fundamental cause of modern society crisis is the modern view of world. Modern society accomplished very much, but nowadays serious problems occur. Construction of post-modern view of world is the only solution to solve the modern society crisis and to jump to a new civilization. In constructing the new world view, East Asian thoughts involve many useful resources. Human being is regarded as a cosmos who involve the whole cosmos. Also human can realize himself and all beings as the whole cosmos. In terms of post-modern world view, everything is related and one involves the other in himself. One can exist only by the being of the other and they help each other. Post-modern world view can provide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and the way how we can reach to post-modern society. The way how to reach to post-modern society is mind training. By mind training, we can be a post-modern man and post-modern society is composed of post-modern man. Post-modern society is very peaceful and full of love. Post-modern society has no center but every part of society is center. Post-modern society is harmonious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효孝와 자慈, 탈현대 세대윤리, 그리고 노인복지

        홍승표(Hong Seung 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3

        노인 불행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서, ‘노인이 행복한 세상’에 대한 탐구는 사회학의 주요 과제가 되었다. 이 글은 효孝와 자慈, 탈현대 세대윤리, 노인복지라고 하는 네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노인이 행복한 세상’ 구현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현대 노인 불행의 근원이 현대 노년관이란 것을 밝히고, 탈현대 노년관의 기초 위에서 논의를 전개했다. 이 글의 논지는 다음과 같다. ‘효’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전현대적인 ‘효’와 탈현대적인 ‘효’가 그것이다. 이 중, 탈현대적인 ‘효’만이 ‘탈현대 세대윤리 1’ 즉 ‘젊은이의 노인에 대한 공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탈현대 세대윤리 1’은 현대가 추구해왔던 ‘노인에 대한 복지’를 완성시킬 수 있다. ‘자’에도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모성애가 에고와 결합한 현대적인 ‘자’와 모성애가 ‘참나’와 결합한 탈현대적인 ‘효’가 그것이다. 이 중, 탈현대적인 ‘자’만이 ‘탈현대 세대윤리 2’ 즉 ‘노인의 젊은이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탈현대 세대윤리 2’는 궁극적인 의미에서의 노인복지라고 할 수 있는 ‘노인에 의한 복지’를 구현할 수 있다. Unhappiness of the aged reaches to very serious level. Therefore, investigation of the world where the aged is happy become an important task of sociol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ooking for the world where the aged is happy. The key words are filial piety, love of parents, post-modern generation ethics, and welfare for the aged. We will show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unhappiness of the aged is the modern view of the aged. And we will discuss based on the post-modern view of the aged. The poi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re is two kinds of filial piety. The pre-modern filial piety and the post-modern filial piety are those. Only the post-modern filial piety can be expanded to the post-modern generation ethics 1 which means the respect of the young to the aged. And the post-modern generation ethics 1 can complete the welfare to the aged. There is two kinds of the love of parents. The modern love of parents and the post-modern love of parents are those. Only the post-modern love of parents can be expanded to the post-modern generation ethics 2 which means the love of the aged to the young. And the post-modern generation ethics 2 can realize the welfare by the aged.

      • KCI등재

        포스트 모던에 나타난 패러디 건축과 패션이미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우세희 ( Se Hee Wu ),김혜경 ( Rye Kyung Kim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0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5 No.2

        예술은 창작적이지만 되풀이 될 뿐이라는 가정 아래, 예술가의 독창성을 부정하여 그 가치는 ``창작`` 과 ``표절`` 이라 는 이분법에서 진일보하여 넓은 창조방법론 위에서 인용 내지 차용, 패러디 (Parody) , 혼성모방, 아이러니, 유희성 등 과 함께 대두 되고 있다. 특히 패러디 현상을 포스트모던의 문화 현상 속에서 특징적 현상으로 받아들임을 인식하 고 그 안에서 일치되는 양상을 갖고 있다. 복식과 건축은 인간 행위의 소산으로 오랜 역까 동안 발전하여 왔다. 복식과 건축, 양자는 동일한 조형 예술의 형 식 원리에 입각되어 있다는 공통성과 아울러 특히 인체와 그 마음을 담는 공간 형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패러디 현상에 발견된 특징적 양상을 바탕으로 포스트모던 건축과 복식에 비교 분석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거쳤고, 패러디 현상이 주는 디자인의 창작적 가치에 역점을 두고 다뤄보고자 하였다. 포스트모던 건축과 패션의 복고성은 포스트모던의 역사주의적 경항과 맞물려 설명되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복고 성은 과거의 이미지를 개현한다기보다는 과거성의 전달이라는 긍극적 목적에 따라 이미지만을 차용하여 새로운 표현성을 갖게 한다는 데에 패러디 화 과정이 적용되어진다는 것이다. 이렇듯 포스트모던의 특징과 패러디 기법이 적용되는 과정이 미묘하게 일치함을 포스트모던 건축과 패션 이미지 현상에 적용시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모던 건축과 패션의 복고성은 포스트모던의 역사주의적 경향과 맞물려 설명되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복고성은 과거의 이미지 를 개현한다기보다는 과거성의 전달이라는 긍극적 목적에 따라 이미지만을 차용하여 새로운 표현성을 갖게 한다는 데에 패러디 화 과정이 적용되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예로 작품이 패러디되어 복식에서 표현되거나 포스트모던의 다양한 예술 양식이 패션에 패러디되는 경우, 또 과거의 대표적 복식 스타일이 변용되어 패러디되는 경우가 있다. 둘째 기존의 전통적 틀에. 서 벗어나 가변적이고 상대적임을 인정하게 개방적 대도를 보이 는 포스트모던 건축과 패션의 다원성은 복식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괄적으로 받아들인다. 즉 기존의 용도를 변용시킨다든지 대상물을 오브제로 복식에 패러디시켜 의외성과 아이러니를 지니게 하는 것이 그 예이다. 셋째, 포스트모던의 기존의 이미지와 미래적 양식을 실험적으로 결합시키는 절충주의적 경항을 지닌다. 이것이 포스 트모던 건축과 패션에 반영되어 이의 표현성을 나타버는 패러디 복식이나 상반된 이미지가 공존하는 패러디식의 형 태로 나타나게 된다. Under the assumption that arts are creative but only repeated, the originality of artists is neg ated. And their value has made a greater progress from the dichotomy of ``creation`` and ``plagiarism and comes to a forefront together with citation and borrowing, parody. pastiche. irony, playfulness and the like. Especi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phenomenon of parody is accepted as the characteristics phenomenon in the post-m odem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they have the aspect that they becomes consistent with each. Fashion and architecture have developed as the product of human behavior over the long history. Both fashion and architecture have the commonality that they are based on the identical form principle of fine arts and especially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serves to form the space containing the human body and mind. Therefore,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post-m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phenomenon of parody and carried out theprocess of their application. And it attempted to deal with them with an em phasis on the creative value of desig n giving the phenomenon of parody. The retro nature of post-m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can be explained in conjunction with the tendency of historicism. Here, the retro nature is that the process of parodying is applied for post-m odem architecture and fashion to borrow only the imag e and have new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ultimate purpose of delivering pastness rather than reproduce the past image. Like this, the characteristics of post-m odernism and the parody technique subtlely is consistent. When they were applied to the image phenomenon of both post-m 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retro nature of post-m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can be explained in conjunction with the tendency of historicism, Here, the retro nature is that the process of parodying is applied for post-m 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to borrow only the imag e and have new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ultimate purpose of delivering pastness rather than reproduce the past im age, According Iy, to take an illustration, there are the case that the work is expressed in fashion through its parody, or the case that the diverse artistic styles are parodied in fashion, or the case that past typical fashion style is transformed and parodied, Second, the plurality of post-m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showing the open-mined attitude of getting away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framework and admitting variability and relativity comprehensively accommodates the object applicable to fashion design, That is, it is the example that both post-m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transformed the existing use and had unexpectedness and irony by parodying the object to fashion, Third, both post-m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take the eclectic tendency experimentally combining the existing post-modern im age and future style, They are reflected in post-m odern architecture and fashion and come to appear in a form of parody which parody fashion representing its expressiveness and its opposed image exists.

      • KCI등재후보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강순애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four aspects o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regional history includes provincial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and as far as modern and post-modern history is concerned, the concept of regional history is on expansion. Seco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in compliance to Public Institutes Records Management Law, enacted in 1999 and currently is in charge of handling public records of 373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offices, 514 regional government offices, Offi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of other public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s working on a ten year project from 2004 to collect the scattered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to classify them regionally and thematicall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been col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collection was initiat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Those records that are collected from 1997 and 2005 are mainly from the liberation period. Third, characteristics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and of The AKS’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are elaborated. Fourth, establish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ouncil’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Committee is recommended, NAK leading the council and promoting further cooperation. In this section, an emphasis on allotted tasks of three institutes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gitalized resource sharing, to improve on contents and to promote public and international use is placed as well. 본 연구는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방안의 네 가지 측면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 지역사의 개념은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등으로 쓰이는데 근․현대사와 관련해서는 지역사의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1999년에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근․현대 지역사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대학, 기타 공공기관의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근․현대 지역사료를 시군별 자료수집과 더불어 주제별 자료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초기에는 현대사연구소를 중심으로 근․현대사 사료를 수집하였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는 수집된 사료는 해방기를 전후한 자료들이다. 셋째,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다. 넷째, 세 기관 사이의 공동협의회의 구성은 국가기록물관리위원회 산하에 ‘근․현대 지역사료 협의회’를 두고, 국가기록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각 기관과 연대해 나가며, 근․현대 사료의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콘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담된 역할이 있어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周易』과 탈현대 사회의 비전

        홍승표(Hong, Seung Pyo)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ooking for a new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through I-Ching. Looking for a new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is very imminent task in sociology because the current sociology is losing vision of future society. Why is current sociology losing vision of future society? The fundamental reason is the world view of current sociology. The world view of current sociology is the modern view of world. And this is the period when the modern time should be disappeared. Therefore, current sociology based on the modern world view can not provide a vision for future society. I-Ching includes fluently the unified view of world which is the post-modern view of world. This is why a new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is explored through I-Ching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One of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through I-Ching is the society of love. The society of love means the society where all confronts combine as love.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odern society where all confronts compete and conflict each other. One of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through I-Ching is the society of forgiveness. The society of forgiveness means the society where every kind of mistakes and faults is forgiven.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odern society where every kind of mistakes and faults is punished. One of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through I-Ching is the society of yin. The society of yin means the society where feminineness is pursued.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odern society where masculinity is ruling. One of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through I-Ching is the society of courtesy. The society of courtesy means the society where people acts politely.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odern society where people acts impolitely. One of the vision of post-modern society through I-Ching is the society of self-control of desire. The society of self-control of desire means where desire is under control.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odern society where desire is pursued.

      • KCI등재

        노자와 탈현대사회의 비전

        홍승표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이 글에서는 『노자』에 담겨 있는 탈현대사회에 대한 비전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 초점은 세 가지인데, ‘불초자들의 사회’, ‘겸겸군자의 사회’, ‘부쟁의 사회’로서의 탈현대사회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 그것이다. 현대인의 눈으로 바라볼 때, 탈현대사회는 어리석고 모자란 사람들로 구성된 사회이다. 탈현대인은 바보처럼 에고로서의 자신이 겪는 모든 불행과 고통을 감수한다. 탈현대인에게 있어 에고가 겪는 불행과 고통이란 아무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탈현대사회는 겸손한 사람들로 구성된 사회이다. 자신을 포함해서 모든 존재에 대한 경외심을 갖고 있는 탈현대인은 오만할 수도 비굴할 수도 없다. 탈현대인은 자신보다 약한 사람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 그래서 탈현대사회에서는 약한 것을 존중하는 가운데 윤리적인 사회질서가 형성된다. 탈현대사회는 평화로운 사회이다. 탈현대사회에서는 너와 나의 이익이 서로를 이루어준다. 그러므로 탈현대사회는 서로 다툼이 없는 사회이다. 탈현대사회는 전란이 종식된 사회인데, 그것은 탈현대인에게는 전란의 원인이 되는 인위적인 욕망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탈현대사회는 영속적으로 평화로운 사회이다. In this paper, we want to explore the vision of the post-modern society. The focuses are three. The first is the society of fools. The second is the society of modest persons. The third is the society of peace. In terms of modern view, post-modern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is composed of fools. Post-modern man doesn't care the unhappiness of ego. The reason is that the unhappiness of ego is nothing to post-modern man. Post-modern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is composed of modest persons. Post-modern man can not be arrogant or servile because he has respect to everything in the universe including himself. Post-modern man has the power to locate himself lower than the one who is weaker than him. Therefore, ethical social order is built in post-modern society. Post-modern society is a peaceful society. My and your benefit is in harmony. Therefore, there is no conflict. Post-modern man does not have the artificial desire. Therefore, post-modern society is peaceful consistently.

      • KCI등재

        탈현대교육으로서의 유교교육

        홍승표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30 No.-

        Today's sociologist should concentrate the whole power on exteriorization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at the time of the grand transition of civilization. This paper is about how the Confucian education can be utilized to exteriorize the post-modern education. The Confucian education includes many pre-modern elements, a little modern elements, and plentiful post-modern elements. The reason why the Confucian education includes plentiful post-modern elements is that the Confucian thought is based on the post-modern view of human being. The Confucian thought is based on the view of human being who has 'the real I' and who has diverse characteristics. The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is post-modern. Therefore, the Confucian education based on the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has much implication in exteriorization of the post-modern education. In this paper, first,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which can be utilized to exteriorize the post-modern view of human being which can be become of the post-modern education. Second, we will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Confucian education for the exteriorization of the post-modern education. Main point is how the Confucian education which is to cultivate saint and the Confucian education which is to cultivate the man who can take the golden mean can be utilized as the post-modern education. 문명 대전환기에 해당하는 현 시점에서 사회학자는 탈현대문명의 구 상화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본 논문은 탈현대교육을 구상화하는데 있 어서 과거 유교교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유교교 육에는 물론 전현대적인 요소가 많고, 현대적인 요소 역시 일부 포함되 어 있지만, 탈현대적인 요소도 풍부하게 내장되어 있다. 유교교육에 탈 현대적인 요소가 풍부한 이유는 유교가 갖고 있는 탈현대적인 인간관에 기인한다. 유교는 ‘참 나[仁]’를 내재하고 있는 존재로서의 인간관과 ‘참 나’가 헤게모니를 행사하는 가운데 인간의 욕망, 감정, 생각, 본능, 육체 등을 존중하는 전체적인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갖고 있다. 이런 유교 인간관은 탈현대적인 특징을 갖기 때문에, 유교 인간관에 바탕을 둔 교육도 탈현 대교육의 구상화를 위해 풍부한 시사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탈현대교육의 기반이 되는 탈현대 인간관의 구 상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유교 인간관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 째, 탈현대교육의 구상화를 위해 의미 있는 유교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자 한다. 주된 내용은 유교의 성인聖人교육과 중용中庸교육이 어떻게 탈 현대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 KCI등재

        장자사상과 초등사회과에서 탈현대적 삶에 대한 교육

        이현지 ( Lee Hyun-ji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4

        현대사회는 물질적인 풍요를 인류에게 선사했지만, 삶으로부터 소외, 불평등 심화, 환경파괴 등의 사회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탈현대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찾도록 초등학교에서부터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탈현대사회란 사회구성원이 함께 공존하기 위한 현명한 선택을 할 때 가능한 미래이다. 그러므로 탈현대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 인류가 어떤 삶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미래사회의 삶의 목표와 방법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해답을 장자사상에서 찾고자 한다. 장자사상은 삶에 대한 철학적 지혜와 방법을 내재하고 있는 풍부한 사상의 보고이다. 특히 장자사상에는 탈현대적인 삶의 비전을 구상할 수 있는 삶의 원리에 대한 지혜가 다양하게 내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장자사상에서 탈현대적 삶의 비전을 모색할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서,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현대적인 삶의 문제점에 대해서 분석하고 진단하고자 한다. 현대인의 삶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진단을 통해서,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이 어떤 삶의 비전을 수립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초등학교 사회과교육에서 삶에 대한 교육의 의미를 제기할 것이다. 둘째, 장자사상의 삶의 원리를 살펴볼 것이다. 장자사상에 내재해 있는 삶의 기본, 삶에 대한 지식, 삶에 대한 지혜 등을 분석하고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셋째, 장자사상에서 말하는 탈현대적인 삶의 모습을 고찰할 것이다. 장자사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탈현대적 삶의 방법은 도(道)와 하나가 되는 삶, 충만한 삶, 거울 같은 삶 등이다. 이에 대한 초등사회과에서 탈현대적인 삶의 교육모델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탈현대적인 삶의 비전으로서 장자사상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Modern society has provided material affluence to mankind, but social problems such as alienation from life, deepening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re deepen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rom elementary schools to form values so as to fi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odern people exposed to these problems and to find ways to move on to the post-modern era. A post-modern society is a possible future when members of society make wise choices to coexist together. Therefore, an educational foundation must be laid on what life mankind should choose to realize the de-modern society. Discussions on the goals and methods of life in future societies can be studied from various angles. In this study, we want to find the answer in the Chuang-tzu’s thought. Chuang-tzu is a rich repository of ideas that embody philosophical wisdom and methods of life. In particular, Chuang-tzu’s thought contains a variety of wisdom on the principles of life that can create a vision of a post-modern life. This study will explore the vision of a post-modern life in the Chuang-tzu’s though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following. First, I would like to analyze and diagnose the problems of modern life. Through careful analysis and diagnosis of modern people’s life, we will examine what kind of life vision modern people liv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establish, and raise the meaning of education about life in primary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Second, we will look at the principles of the life of Chuang-tzu’s thought. We will analyze and examine the basic principles of life, knowledge of life, wisdom of life, etc. which are inherent in the Chuang-tzu’s thought. Third, we will look at the post-modern life as we speak in the Chuang-tzu’s thought. The ways of living a post-modern life that can be found in the Chuang-tzu’s thought include life to become one with the tao, a full life, and a mirror-like life. The department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n educational model for post-modern life. Lastly, I would like to discuss the meaning of Chuang-tzu’s thought as a vision of a post-modern life.

      • KCI등재

        在日ディアスポラ文学の ‘脱近代’ 的想像力

        김환기,山崎正純 한국일본학회 2011 日本學報 Vol.88 No.-

        This thesis approached Korean-Japanese literature in modern and post-modern perspectives and post-modern imaginations in Korean-Japanese literature were studied in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First, the modern perspectives of Koran-Japanese literature were studied based on the diaspora, related to historical and ideological relationships of individuals-groups-nations that have been represented by nations and people under the modernism/post-modernism influences, politics and ideology, and development of cultural imperialism. In this study, the post-modern perspectives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suggested that it has not developed based on imperialism and modern nation-state's ideology, but has developed in multilateral ways. Especially, post-modern imagination was focused on post-colonialism acculturation (walk-on-the-wire kind of spirit of Bum-suk Kim, sorrow and joy from freedom, and social recognition of women in ‘Row the boat on the ground’), realism and identity of ‘living in Japan’ (criticism on confusional patriarchy in ‘Red fruit’ by Chang-seng Kim, relative imagery of usual places in Su-il Won's novels), imagination of diaspora based on extended meaning (‘internal others’ under hybrids in literature by Hwe-sung Lee, Gisa Sa, and Megumu), and open minded view of the world and post-nationalised communism (communism of Kim-ho Kim's books, historical books, historical novels by Jung-myung Kim, kids books by Shizca)Therefore, when Korean-Japanese literature's modern writings have represented imperialism, modern nationalism based on pure-blood and constraints in homogeneous myths, we can say that post-modern writing have focused on open-minded view of the world and it has linked to multilateral and realistic self, identity of ‘living in Japan’, and horizontal spirits and generality. Futhermore, Korean-Japanese literature's post-modern imagination is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Korean society where we can see a big change to multilater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