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ritiquing Heavily Normative Conceptions of Harmony: Thoughts from the Han Feizi

        Eirik Lang Harris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20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33

        The idea of harmony is valued in a wide variety of ways by a wide variety of thinkers in early China. It is certainly most prominent in Confucian texts, for which it is a clear and distinctive good both morally and politically. However, texts like the Laozi and the Zhuangzi also have normative visions that can be conceptualized in terms of harmony. Furthermore, harmony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even in much more “realist” texts such as the Han Feizi. This paper will argue that it is possible to think through Han Fei’s political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a broader concept of harmony, and that in doing so, several important points may be revealed. First, insofar as harmony has a positive role to play, it must be systematized and turned into an objective standard. Second, this objective standard must be hooked up to the overarching cosmic dao, and third, this conception of harmony is necessarily stripped of any moral normativity. Thinking through harmony in this way may have a range of benefits not only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in its original historical context, but also in thinking through ways in which it may be of value today. It will perhaps force us to realize that there are a range of incompatible conceptions of harmony. As such, there may be a need to evaluate the disputations over these various conceptions of harmony as we try to ascertain what, if anything, from them may profitably be brought into conversation with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 KCI등재

        「禹貢」의 和而不同적 공동체 모델

        이은호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6

        「우공禹貢」은 정치지리학(政治地理學)의 전범(典範)이다. 「우공」에는 지리적 구역으로서의 “구주九州”와 정치적 구역으로서의 “오복五服”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일통(一統)된 천하(天下)를 획정(劃定)한다. 「우공」의 오복은 현대정치지리학 이론에 부합하는 모델(model) 가운데 하나로서, 중앙의 구심력을 잘 표현해주고 있는 생동감 있는 정치적 모델이다. 구주에는 산줄기와 물줄기 등 고정된 자연지형으로서의 경계 이외에도 해당지역의 토질, 특산품 등도 기록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본고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지역의 구성원들이다. 「우공」에는 “도이島夷”, “우이嵎夷”, “래이萊夷”, “회이淮夷”, “화이和夷”, “삼묘三苗”, “서융西戎” 등 다양한 이족(異族)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그 지역의 토착세력들로서 일통(一統)된 천하를 구성하는 다양한 성원들이다. 이들은 고래로부터 이어져 온 다양한 종족과 문화를 대표한다. 구주 속의 구성원과 문화 그리고 생산품들은 고정된 지리에 역동성을 가미해주며 이는 정치적 화해(和諧)를 지지(支持)한다. 기존의 수직적 역사구조를 수평적 역사구조로 전환해보면, 이들 구주와 그 구성원들은 일원(一元)에서 다원(多元)으로의 확대되어가는 문명발전구조와 일치하며, 「우공」의 일통(一統)속에서 이러한 화이부동(和而不同)적 공동체모델을 확인할 수 있다. 「Yugong禹貢」 is the epitome of political geography. 「Yugong」 records Geographical "jiuzhou(九州)" and political "wufu(五服)" that symbolizes a unified world. 「Yugong」’s wufu(五服) is one of the models that conforms to modern political geography theory. and It is a lively political model which expresses the central power of emotion. In addition to the fixed natural topography such as mountains and rivers, the Jiuzhou(九州) also records the soil and specialties of the area. In this paper focus on the members of the region. There is various kinds of nation such as "daoyi(岛夷)", "yuyi(嵎夷)", "laiyi(莱夷)", "huaiyi(淮夷)", "heyi(和夷)", "sanmiao(三苗)", "xirong(西戎)” in 「Yugong」. They are the indigenous forces of the region and various members of the unified nation. They represent the various tribes and cultures that have flowed from ancient. Jiuzhou(九州)'s members, culture, and products add dynamics to fixed geography that supports political harmony. If we convert the existing vertical history structure into a horizontal history structure, Jiuzhou(九州) and its members are consistent with the expanding civilization structure from one source to the other. In Yugong, we can see this unified collective model.

      • KCI등재

        조선 후기 붕당정치의 역사적 의의

        이재룡(Lee, Jae-Ryo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

        조선조 중후기의 붕당정치는 오늘날의 정치현상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조 중엽에 이르게 되면 정치적 결단은 ‘공론公論’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이 성립되었다. 조선조 중후기에 붕당정치가 형성된 배경으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성리학적 이념으로 무장된 사림士林들에 의한 도학적道學的 정치이상이다. 붕당정치는 붕당을 중심으로 국정을 이끌어 가야 한다는 조선 후기의 정치 운영의 한 양태로서 조선왕조에 특유한 공론정치의 역사적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붕당정치의 의의는 그것이 조선반도에서 새롭게 모색되고 검증을 거쳐 비록 일시적이나마 순기능을 했던 역사적 실체로서 현대 한국적 정치모델로 부각될 수 있다는 점이다. 현대의 국가정치체제는 정당정치적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다. 근대적 간접민주주의에서 직접민주정치에로의 전환이다. 그 결과 국민의 의사는 정당에 의하여 형성되고 다수결로서 결정되는 국민의 의사는 대표의 원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치자와 피치자의 자동성의 원리에 의해서 국민의 의사로 간주된다. 따라서 정당국가적 민주주의에서는 의회 다수당의 의사와 국민의 의사가 동일시된다. 정당국가에서의 선거 또한 국민대표의 선출이라는 권력분립적 의미는 퇴색되고 정당의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적 성격으로 변하고 있다. 이 점에 비추어 볼 때 국회의원들은 정당을 대표하며 정당을 통해 국회가 구성되고 국회는 그 자체가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국회의원은 정당의 대표자이자 국민의 대표자이다. 결코 지역주민의 대표자가 아니다. 각 헌법기관들은 서로 간에 견제와 비판을 통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어야 한다. 이 점이 조선조의 붕당정치에서 빌어 올 수 있는 중요한 정치원리이다. ThefactionpoliticsofChosunwasestavlishedbysalim(山林)with Neo-confucianism. The system of the faction politics acted at the politics with the containment to the principle of the balanced through these an unbi-ased view. By appling of the principle of the faction politics to modern Korean politics, we can set up the new relation of the a political party and the National Assembly, the a political party and th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We can create a ideal party politics national assembly system. The national assembly system of modern is a party politics democratism system. We can apply the principle of the balance and harmony, of the pursuit of the idea value to these national assembly system. These are a goal to pursue of faction politics. And so we need to mak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restrict at the party thoroughly.

      • KCI등재

        조선 후기 붕당정치의 역사적 의의: 정당정치에의 원용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고찰

        이재룡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

        ThefactionpoliticsofChosunwasestavlishedbysalim(山林)with Neo-confucianism. The system of the faction politics acted at the politics with the containment to the principle of the balanced through these an unbi-ased view. By appling of the principle of the faction politics to modern Korean politics, we can set up the new relation of the a political party and the National Assembly, the a political party and th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We can create a ideal party politics national assembly system. The national assembly system of modern is a party politics democratism system. We can apply the principle of the balance and harmony, of the pursuit of the idea value to these national assembly system. These are a goal to pursue of faction politics. And so we need to mak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restrict at the party thoroughly. 조선조 중후기의 붕당정치는 오늘날의 정치현상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조 중엽에 이르게 되면 정치적 결단은 ‘공론公論’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이 성립되었다. 조선조 중후기에 붕당정치가 형성된 배경으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성리학적 이념으로 무장된 사림士林들에 의한 도학적道學的 정치이상이다. 붕당정치는 붕당을 중심으로 국정을 이끌어 가야 한다는 조선 후기의 정치 운영의 한 양태로서 조선왕조에 특유한 공론정치의 역사적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붕당정치의 의의는 그것이 조선반도에서 새롭게 모색되고 검증을 거쳐 비록 일시적이나마 순기능을 했던 역사적 실체로서 현대 한국적 정치모델로 부각될 수 있다는 점이다. 현대의 국가정치체제는 정당정치적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다. 근대적 간접민주주의에서 직접민주정치에로의 전환이다. 그 결과 국민의 의사는 정당에 의하여 형성되고 다수결로서 결정되는 국민의 의사는 대표의 원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치자와 피치자의 자동성의 원리에 의해서 국민의 의사로 간주된다. 따라서 정당국가적 민주주의에서는 의회 다수당의 의사와 국민의 의사가 동일시된다. 정당국가에서의 선거 또한 국민대표의 선출이라는 권력분립적 의미는 퇴색되고 정당의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적 성격으로 변하고 있다. 이 점에 비추어 볼 때 국회의원들은 정당을 대표하며 정당을 통해 국회가 구성되고 국회는 그 자체가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국회의원은 정당의 대표자이자 국민의 대표자이다. 결코 지역주민의 대표자가 아니다. 각 헌법기관들은 서로 간에 견제와 비판을 통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어야 한다. 이 점이 조선조의 붕당정치에서 빌어 올 수 있는 중요한 정치원리이다.

      • KCI등재

        社會管理創新主題選擇 -善治政府與和諧社會-

        肖金明 ( Jin Ming Xia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6 No.1

        The rising concept of innovation of social governing has profound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of social governing, the inevitable phenomenon in some historic stage especially at the period of social transformation, is equal to the economic reform initiating 30 years ago. It is the demand of coordination of economics, society and politics, which aims at the maintenance of social stability, the promotion of social harmony and the co-development of economics, society and politics. On the purpose of alleviating social conflicts, resolving disputes and social risks, and achieving good governance of society, the innovation of social governing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e innovation of social governing is contributing to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in democratic governance, democratic progress and the power of democracy, which will promote China`s socialist political system, the reform and modernization of political system. Generally speaking, publicity, openness and systemization are the features of the social governing, which should be highlighted in the innovation. Facing the reality of powerful administration, centralization and traditional political inertia, we should emphasize on socialization, localization and legalization,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innovation. The innovation of social governing is a more complicated project than the economic reform. Strengthen and innovate social governing should insist the principle of comprehensiveness, coordination and sustainability, Building a responding, serving, limited, open, responsible, and law-abiding government and reconstructing a fair, moral, united, autonomy, and harmonious society are the key points of the innovation of social governing.

      • KCI등재

        르네상스 인문학자 기욤 뷔데의 문학의 ‘공적 유용성’에 대한 관점 연구

        손주경(Sohn, Joo-K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4

        문학이 제공하는 ‘박식한 지식’이 없이는 세상이 폭력적일 수밖에 없고, 종교적 폐쇄성에 갇힌 파편화된 학문연구는 보편적이고 총체적인 지식의 전달에 실패한다고 파악하는 기욤 뷔데(Guillaume Bude)에게서 문학의 기능은 현실의 표면적 진실을 발견하거나 개인적 기쁨을 얻는 차원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에 따르면 언어의 아름다움 이면에 정신의 아름다움인 지혜를 담고 있는 문학은 신의 지혜와 메시지에 담긴 조화로움을 발견하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 인간에게 감춰진 진실과 최고의 선이 지닌 본질에 접근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인간성을 닦아주고 조화롭게 만드는 기능을 지닌 문학의 지혜는 그리하여 사회 구성원 사이의 결합과 조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한다는 차원에서 사회적 의미 역시 내포하고 있다. 특히 문화의 융성을 이룩한 지혜와 언어의 웅변성을 담고 있는 고대문헌에 대한 교육은 정치체제의 안정과 조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정신적 자양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정치의 궁극적 목적이 질서에 기반을 둔 조화로운 사회의 건설에 있다면, 그리고 이를 통해 문화의 발전을 꾀하는 데 있다면, 문학은 정치적 이상의 실현을 촉진시킬 지혜와 언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정치는 문학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 뷔데의 관점이다. 이렇듯 지혜를 전달하는 언어와 지식을 통해 개화된 문화의 토대를 건축함으로써 정치체제의 안정을 기도하고, 그 영광을 후세가 기억하게 만들 수 있는 문학의 유용성에 대한 뷔데의 주장은 개인적 기쁨을 넘어 사회 구성과 정치 발달, 그리고 문화의 현양이라는 기능을 담당하는 문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변호라고 할 수 있다. Guillaume Bude, an author representative of the French Renaissance humanists who acted for the revival of the humanities, held it a prime necessity to study literature in order to preserve, protect and complete our human nature. Because he believed that without the “erudition” provided by literature, the world could only be violent and humans could easily fall back to animal-hood. He thought that academic studies fragmented and confined by religious constraints as they were, had failed to deliver a holistic and universal knowledge, and stressed upon the fact that the functions of literature were not limited to mere pleasure and superficial truths. Literature, he said, encloses the wisdom enabling us to perceive the beauty of the mind within the beauty of language, and therefore its role is to help us discover God’s beauty and harmony. Thus if it is something that constitutes an early stage of knowledge, imperfect and imprecise, which fails to deliver the wisdom needed to maintain the equilibrium of life, then it is not to be considered as literature. For Guillaume Bude, the utility of literature is first to be found in its capacity to create harmony and to put forward the best in men by allowing them to access their true nature and virtue. Furthermore such a capacity has also to do with the role of literature within society since the wisdom of literature helps constituting union and harmony between the members of the society. In order to make possible the birth of a great political leader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examples of great rulers from ancient texts should be passed over to the future generations. In this respect, politics need to protect literature, and humanists have the duty to present models of social harmony to the political powers. Thus what Guillaume Bude advocated was an attempt to reach a stable political system, by founding a civilized culture upon a wisdom acquired through language and knowledge; in this context the utility of literature is such that it can help future generations remember and learn from the past. His view can also be seen as a defense of the social value of literature, helping to promote culture, to structure the society and to develop politics. According to him, literature is an assets available to all and which must be acknowledged by all those who enjoy culture.

      • KCI등재

        천부경의 정치철학에 관한 연구

        정경환(Kyung-Hwan Chu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민족사상 Vol.15 No.1

        본 논문은 천부경에 대한 연구방법론과 정치철학에 관한 내용이다. 천부경은 상고시대 우리 민족의 경전이다. 천부경에는 우리 민족의 정신, 사상 및 철학이 깊이 내재되어 있다. 천부경을 공부함에 있어서 우리가 망각해서는 안 되는 연구방법론에 대해 정리하였다. 우선 자의적(恣意的) 해석에서 벗어나야 한다. 다음으로 국수주의적 해석을 금해야 한다. 셋째, 있는 그대로 객관적 해석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다른 이의 학문적 성과나 이론과 연계해서 해석하는 방법에서 벗어나야 한다. 다시 말하면 천부경은 우리가 후천적으로 습득한 지식, 습관, 경험 등에 기준해서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천부경은 81자에 불과하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은 매우 심오하고 영적일 정도로 우주, 세계, 인간을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천부경에 담긴 정치철학을 살펴보면 첫째, 조화론이다. 천부경은 일자(一者)라고 하는 우주의 근본 실체로부터 천지인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대의론이다. 천부경은 인간들 간의 사소한 감정싸움과 같은 갈등을 넘어 공동체 전체를 위한 대의론을 주창하고 있다. 셋째, 통합론이다. 마지막은 인본론이다.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 사상을 천부경 철학의 핵심적 귀결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political philosophy of CheonBu-Gyeong(the Heavenly Book). CheonBu-Gyeong is a scripture of Korean people during the ancient times. The spirit, thought, and philosophy of the Korean people are deeply embedded in . In studying Cheonbugyeong, we summarized the research methodology that we should not forget. First of all, it should be free from arbitrary interpretation. Next, we should prohibit ultranationalistic interpretation. Third, objective interpretation is required as it is. Finally, we should deviate from the way we interpret it in conjunction with others' academic achievements or theories. In other words, CheonBu-Gyeong should not be approached based on the knowledge, habits, and experiences we acquired. Although CheonBu-Gyeong is only 81 characters long, its contents are so profound and spiritual that it encompasses the universe, the world, and humans. If you look at the political philosophy contained in the horoscope, first of all, the theory of harmony. Cheonbugyeong emphasizes the harmony of the heavenly beings from the fundamental reality of the universe, known as the sun. Second, it's a theory of great cause. Cheon Bu-kyung is advocating a theory of great cause for the entire community beyond minor conflicts such as emotional battles between humans. Third, integration theory. The last is the theory of humanism. The idea of heaven and earth becoming one in a man can be said to be a key consequence of the philosophy of Cheon Bu-kyung.

      • KCI등재

        고려시대 국왕 잔치의 양상과 그 성격

        韓政洙(Han Jung-Soo) 歷史敎育硏究會 2011 역사교육 Vol.118 No.-

        Royal banquets of Goryeo were fundamentally hosted by the king for virtuous men or for the people on felicitous occasions; the king would hold felicitous assemblies, which acted as a medium for the king of Goryeo to practice benevolent rule as part of the process of gaining/maintaining the king’s authority, grace, and harmony. These resulted in amicable unity. Through holding diverse types of banquets such as yeon(宴), gogyeon(曲宴), chiju(置酒), hyang(享), po(?), and hyang(饗), the king attempted harmony between his subjects and himself by upholding moral obligations and respect between ruler and subjects, order between the old and the young, and propriety toward others. Furthermore, the ruler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through provisions for the elderly and banquets for the people as well, of which there were so many varied types that these could be called “politics of banquets”. As can be seen from above, the various royal banquets of Goryeo are not only events where the sovereign bestowed benevolence and confirmed his authority, they also were significant for fostering harmony between ruler and his subjects and edifying the people.

      • KCI등재

        플라톤의 ‘좋음의 이데아’

        오수웅(Sue Woong Ohrr) 21세기정치학회 201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5 No.1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wo. The first is to define ‘the idea of the Good’ in Republic of Plato. The second is to highlight the implications of Plato`s idea of the Good on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s. In doing so, this article analyses the relationship of 5 subjects and dialectics to ‘the idea of the Good’, and investigates what philosopher king should do, and what sort of arts as a practical knowledge he/she should have. As the resul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dea of the Good’ in Plato`s works can be defined as “the measure with proportional balance and harmony,”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of 5 subjects and dialectics to ratio(proportion), balance and harmony which can be convergent to the measure. And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the idea of the Good’ and 6 subjects have a remarkable implication on political education of the citizens these days, by proving their relationship to the jobs and the arts of philosopher king/queen.

      • KCI등재

        신박물관학 이후, 박물관과 사회의 관계론

        박소현(Park Sohyun) 현대미술사학회 2011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29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 and society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the field of museology and art history. The new museology was an expression of such long concern but a critical approach to the established museology, which centered on the socio-ontological problems of museum rather than techn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ICOM’s newest slogan “social harmony” is also a product of such an socioontological turn triggered by the new museology. By the way, what is new museology? How the new museology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 and society? The New Museology(1989) edited by Peter Vergo has been generally understood as the declamation of new museology, but the range of new museology is not limited to this one origin or practice but includes multiple and interdisciplinary thoughts and practices all around the world. So I intended to revisit the new museology with various approaches and practices that I interpreted with three kinds; first, museum as social metaphor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market principle, second, the ubiquity of museum power which penetrates everywhere through the sociopolitics of gaze, especially with Tony Bennett’s Foucauldian museum visitor studies and Barbara Kirshenblatt-Gimblett’s concept of museum effect from anthropological approach, third, new museology as a social movement tha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Latin America and created new community-based museum models. I think the recent ICOM’s slogan“ social harmony” is the mixed product of those different new museologies, and so it has no choice but to including conflicting and inconsistent issues within itself. Therefore, I think we have to scrutinize those complex new museological practices because we live in the age when the social engagement of museum is demanded more intensively than ever before and the raison d’etre of museum will be located in the social relationship more and more. This literature is a kind of introduction for such a scrutinizing and needs a lot of follow-up studies, for example, the community-based new museologies that is more important contemporary issue than anything else, which will open up interdisciplinary areas between museology and art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