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은 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김창희 한국동북아학회 2013 한국동북아논총 Vol.18 No.2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North Korea is carrying out political socialization for firmly establishing the Kim Jong-un regime and securing the sole leadership of his. The hegemony theory of political socialization is a trial to force people to believe that compelling power is based on the agreement of the majority. This theory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political situation of North Korea. North Korea had executed ‘raising Kim Jong-un’ of political socialization before he was officially confirmed as a successor. In order to impress Kim Jong-un as a ‘youth leader’ on the public, refined operations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Advocating ‘youth-first policy’ in the 2010 party articles revision was relevant to the operations. After the demise of Kim Jong-il, promoting Kim Jong-un as a supreme leader, North Korea has had all the people to follow and to protect Kim Jong-un’s leadership loyally. That is, this means the revised propaganda to the public to comprehend him not as a successor but as a supreme leader. The contents of political socialization for founding the Kim regime is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ontents: ① a great leader to inherit Baekdu lineage and the tradition of military-first policy; ② immortalization to admire Kim Jong-il’s achievements and instructions; ③ Kim Jong-un’s governing ideology and politics centered on the people. For the political socialization above, ideology-enhancing education has been ongoing and the priority has been given to ‘Kim Jong-il patriotism,’ which contains his lofty service to North Korea and the people and emphasizes practice rather than slogan or flag. The drastic measures of a satellite launch and a nuclear experiment was done in the name of the realization of Kim Jong il’s instructions. These events had the intention to show Kim Jong-un’s robustness and statu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o foster the people’s pride, thus gathering them together to ‘desperate protection for the supreme leader.’ The people’s support has been obtained through nationwide mass rallies for the celebration of the launch and experi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litical socialization is mobilized mass support and this means a social control. This strong use of the repressive social control mechanism argued in the hegemony theory of political socialization standardizes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North Korea. In this sense, mass support in North Korea is not voluntary but treacherously obedient and this trend is likely to provoke the limitation of political socialization. 이 연구는 북한이 김정은 체제의 안착과 그의 유일한 지도권 확보를 위하여 어떻게 정치사회화를 해나가고 있는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정치사회화의 헤게모니이론은 강제력이 다수의 동의에 기반 한 것이라는 것을 믿도록 만들려는 시도로, 북한의 정치현상을 분석하는데 적실성이 있다. 북한이 ‘김정은 띠우기’라 할 수 있는 정치사회화를 진행시켜온 것은 후계자로 공식화되기 이전부터였다. ‘청년대장’ 김정은을 인민에게 각인시키기 위하여 끊임없이 치밀한 작업을 하였다. 2010년 당규약 개정에서 ‘청년중시노선’을 제창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는 않다. 김정일 사망 직후 북한은 김정은을 최고영도자 내세우면서, 전체 인민들은 존경하는 김정은 동지의 영도를 충직하게 받들고 일심단결 수호해야 한다고 하였다. 후계자가 아닌 최고지도자로써 인민들이 받아드리도록 그 내용을 바꾼 것이다. 김정은 체제의 구축을 위하여 인민들에게 내면화시키고자 하는 정치사회화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즉, ① 백두혈통과 선군전통을 이어받은 위대한 지도자, ② 김정일의 업적과 유훈을 기리는 영생화, ③ 김정은의 통치이념과 인민중심의 정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은 사상교양교육을 진행하였는데, 그 중심에는 ‘김정일애국주의’가 있다. 여기에는 김정일의 숭고한 위국․위민이 담겨있다고 하면서, 구호나 깃발이 아닌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로켓위성발사와 핵실험이라는 극단적인 행위도 김정일 유훈의 실현이라는 미명아래 실행하였다. 이는 김정은 자신의 강건함과 위상을 국내외에 보여주면서, 인민들에게 자긍심을 갖게 하고 ‘수령결사옹위’로 결집시키려는 것이다. 전국 각지에서 성공기념대회를 개최하여 인민적 지지를 끌어내고 있다. 북한 정치사회화 특성 중의 하나는 동원적 지지이고, 이는 사회통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정치사회화의 헤게모니이론에서 말하는 억압적 사회통제기제를 강하게 작동하여, 북한의 정치사회를 획일화시키고 있다. 이것은 인민들의 자발적 지지가 아니라 면종복배의 결과로 나타나 정치사회화의 한계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 KCI등재

        “아버지와 나는 다르다?” 세대정치와 정치사회화

        홍재우(Jae Woo Hong)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3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political socialization on the turnout and vote choices of college students in a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e recent significant generation gaps in electoral politics have required a serious attention and restoration of the concept of political socialization which has been forgotten for decades. The generation cleavage, observed and argued about its exist by many journalists and scholars, may threat and replace the traditional regional cleavage in Korean politics. An almost antique concept of political socialization can be employed as a very useful device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dynamics of current generation politics. In previous political culture literature, a family, parental influence within,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agents of political socialization. Surveying 400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political socialization conducted through domestic communications and family's political culture make meaningful effects on the electoral choices of the students. The empirical analyses of this paper show that the students are under parental influence on the matter of ideology and party identification, though they are more progressive and liberal than their parents. The tests confirm, however, that the more exposed to political contents and communication in family, the more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re expected. An interesting finding is that regardless of negative or positive nature, the absolute quantity of political socialization brings higher turnout rate. The ideological direction of political socialization that are measured by policy preferences als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ffsprings' vote choices. Generation politics seems exist with many different political behaviors between generations, but the effects of political socialization of family are still sustained, and it requires more systemic exploration.

      • KCI등재

        탈북민 의식을 통해 본 북한 정치사회화의 특징 -남북한 주민들의 정치 통합을 위한 과제-

        유호열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3

        통일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저하되고 통일 피로감, 통일 저항감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통일한국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북한 정치체제의 변화 가능성과 북한의 정치사회화과정을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SSK연구팀의 탈북민 대상 설문조사 분석 결과, 북한 정치사회화의 특징은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당과 국가 차원에서 사상 교양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둘째, 시장에 의한 당 국가체제의 역할과 기능 대체로 당, 국가, 수령의 절대적 권위에 대한 변화가 아래로부터 형성되고 있다. 셋째, 핵심 요소인 수령에 대한 권위와 복종은 다른 어떤 요소보다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 넷째, 평양의 특권층, 엘리트 간부들의 정치사회화 수준은 일반 주민들과 양극화로 표현될 만큼 격차를 보이고 있다. 남북한의 성공적인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단계별·점진적 통합 및 충분한 정치 교육을 통한 새로운 정치사회화로 극복해야 한다. For the past 70 years, Korean Peninsula has been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due to their contrasting ideologies, while maintaining respective ways of life. Amidst today's declining expectation of, and increasing public resistance toward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t is of necessity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and its process of political socialization. According to SSK research team's survey of the Public Policy Research Center of Korea University, North Koreans'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are constantly changing, certainly distinct from those in the past.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litical socialization. Firstly, North Korean political socialization has been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for a very long time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s rigid control and supervision of political idea education. Secondly, after North Korea's famine, North Korean one-party state and centralized and absolute political leaders have been substituted for the rise of the market system, while the changes are slowly occurring from the bottom. Thirdly, despite the recent visible challenges against North Korean seemingly unquestionable political authority and system, the absolute obedience towards the key figures of North Korean political socialization, Kim Il-sung, Kim Jung-il and Kim Jung-un continuously remains infallible. Lastly, the gap between Pyeong-yang's political elite and the others is unimaginably great, especially regarding the level of political soci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a successful reunification toward the goal of minimizing the socio-political gap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 gradual approach through political education and socialization is pivotal.

      • KCI등재

        The Effect Analysis of Online Reading and Writing on the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of Adolescents

        이영수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1

        Since adolescents become adult citizens in the future and exercise sovereignty independently, the kind of political consciousness they hav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effective directions and measures for youth's political socialization in order to cultivate correct political consciousness that can b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Furthermor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dia on the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of adolescents, rapidly taking place in our society. It empirically examined a series of processes by which young people acquire and exchange political information online, the online social capital they formed, and their political dialogue in the cours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20 teenagers participating as members of a specific community, such as Asunaro, a youth human rights behavior.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items extracted through big data as a question scale to observe adolescents’ online reading and writing behavior. Also, it examined the political-related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forming political-related perceptions and attitudes based on the study observ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line media, especially online reading and writing behavior on social media was becoming a major channel to promote youth's political participation with affecting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various types of youth.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who have a high understanding of social issues and frequently talk about these with close people, such as parents and friends, freely discuss thes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after school group activities. Young people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politics in their own way, and they recognized their own political participation as a new type of politics that was opposed to the existing political participation methods of the older generation.

      • KCI등재

        인터넷 이용이 청소년의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조경식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youth's internet use and inquire into the relation of youth's internet use and political socialization. Three variables were selected by the cause of youth's internet use being divided into internet characteristics and use motive, finally combining the former with the latter. 251 questionnaire papers from 5 departments of 2 college in gyung-gy province were used to b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College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in entertainment, music, online-news, goods information, ets. But not website on political matters. Internet characteristics which have an influence on political socialization speed, asynchronism, interaction and inter use motives are self-development desire, escape desire, information obtain desire, information share desire. In the relation between youth's political socialization and internet use motive by internet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btain desire by synchronicity affect political trust, escape desire by asynchronism and speed, self-development desire, information share by easiness, information obtain desire by anonymity, self-development and information share by anonymity have an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youth's internet use has an influence on political socialization and so contend that the study of political socialization by youth's internet use must be made in multi-dimensional levels.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institution which an diverse range of social interests about young people, the making of linkage program, the prevention of political use going along with internet characteristics, opening debate on various political matters, the hope for the future can be reflected in political socialization must be set up.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이용과 정치사회화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원인을 인터넷 특성과 이용동기로 구분하고 이들을 함께 고려한 변수들을 선정하였다. 경기도 2개 대학 5개학과의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들은 오락, 영상물 등에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정치관련 웹사이트에는 낮은 반응을 나타냈다. 정치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의 특성으로는 신속성과 비동시성, 상호작용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며, 인터넷 이용동기로는 자기발전과 도피적 욕구, 정보추구, 정보공유욕구 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특성에 따른 이용동기와 청소년의 정치사회화의 관계 분석에서는 인터넷의 동시성과 청소년의 정보추구동기가 연계될 때 정치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도피적 욕구가 인터넷의 비동시성이나 신속성과 각각 결합함으로서 정치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의 용이성이 자기발전욕구 또는 또래와의 정보공유욕구와 각각 연계될 때, 인터넷의 익명성이 정보추구욕구, 자기발전욕구, 또래와의 정보공유욕구와 각각 연계될 때 정치참여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과 같이 연구는 청소년의 정치사회화에 인터넷의 이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입증하여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에 의한 정치사회화의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관심과 연계프로그램의 마련, 인터넷의 특성에 편승한 정략적 이용의 방지, 다양한 정치관심사에 대한 토론의 장, 미래에 대한 희망이 정치사회화에 반영 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The Politics of Scale: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Korean Housing Politics

        Yeon-Taek Ryu(류연택)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는 한국 주택정치에서의‘지리적 스케일의 사회적ㆍ정치적 구성(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을 분석하였다. 최근 미국 및 유럽에서 도시지리학을 포함한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주제 중 하나는‘지리적 스케일의 사회적ㆍ정치적 구성(또는 생산)’이다. 이에 관한 논의의 출발점은 바로 공간적 스케일은 존재론적으로 미리 주어지거나 고정되어 있다기 보다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정치적인 경쟁의 대상물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다. ‘스케일의 정치(politics of scale)’ 또는‘지리적(공간적) 스케일의 사회적ㆍ정치적 구성(생산)’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운동(social movement)에서 서로 다른 공간적 스케일이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접목되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스케일의 정치’관련 논문들은 사회운동에서의 스케일의 역할을‘스케일 상승(up-scaling)’또는‘정치적 행동의 스케일(scales of activism)’위주로 논의하였다. 반면에 풀뿌리 시민사회운동에서의 스케일의 역할 연구라는 특성으로 인해‘스케일 하강(down-scaling)’또는‘규제의 스케일(scales of regulation)’논의는 미약하다. 한편, ‘스케일의 정치’논의는 스케일의 이용을 통한 소수정치세력 및 사회소외층의 정치적ㆍ사회적‘임파워먼트(empowerment)’과정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기존의‘스케일의 정치’와 관련해서 어떻게 스케일이 (특히‘스케일 하강’이) 무특권 사회집단을 소외하고 배제시키는지에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공간의 생산 및 재생산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한국 정부는 주택시장 관리 체제 및 제도 하에서‘스케일 도약(jumping scales)’구체적으로‘스케일 하강’을 통해 여러 지리적 스케일에서의 주택 공간 생산 및 재생산에 대한 헤게모니를 가지게 되었다. 한국 정부는 주택 개발에 대한 다스케일적(multiscalar) 정책을 사용함과 동시에 중앙 정부, 지방 자치단체, 정부 산하 주택 관련 기관, 그리고 한국 다국적 기업(재벌) 간의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네트워킹을 통해‘스케일 도약’능력을 점점 더 획득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지리적 스케일은 분석의 공간 단위 또는 범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지리적 스케일은 사회적 내포(social inclusion),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정당화(legitimation)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연대할 또는 배제할 기관 또는 조직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조직 네트워킹시의 공간적 스케일의 선택과 범위의 결정을 수반하며, 이는‘정치의 스케일 공간성(scale spatiality of politics)’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다양한 형태의‘규제의 스케일’을 전개해 온 한국 정부는 정부의 주택 개발 논리의 정당화를 위해 재벌, 고소득층, 중산층을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시켰으나, 국지적 스케일에서의 서민 조직들과 사회소외계층을 의사결정 과정으로부터 제외시켰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conjunction with Korean housing politics. Recently,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issue of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Spatial scales have increasingly been regarded as socially constructed and politically contested rather than ontologically pregiven or fixed. The scale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to how different spatial scales can be used or articulated in social movements, with an emphasis on ‘up-scaling’ and ‘scales of activism’ rather than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 Furthermore, the scale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aspect of empowerment. However, it is worthwhile to examine how scale ? especially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 ? can be used not only for marginalizing or excluding unprivileged social groups, but also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space, including housing space. Under a regulatory regime,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gained more control over the (re)production of housing space at geographical multi-scales by means of ‘jumping scales,’ specifically ‘down-scaling.’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increasingly obtained the capacity to ‘jump scales’ by using not only multiscalar strategies for housing developments, but also taking advantage of various scales of institutional networking amo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Chaebols, across the state. Traditionally, scale has been regarded as an analytical spatial unit or category. However, scale can be seen as means of inclusion (and exclusion) and legitimation. Choosing institutions to include or exclud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hoices and range of spatial scale, and is closely connected to ‘scale spatiality of politics.’ Facilitating different forms of ‘scales of regulatio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ncluded Chaebols and upper- and middle-income groups for the legitimization of housing projects, but excluded local-scale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unprivileged social groups as decision-makers.

      • KCI우수등재

        모국 및 이주국에서의 사회화가 이민자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정규,하상응 한국정치학회 2019 한국정치학회보 Vol.53 No.2

        This paper examines how two types of political socialization—one in the home country and the other (resocialization) in the host country—affect immigrants’ participation in political process in South Korea. Analysis using a large-scale survey conducted in 2012 demonstrates that immigrants who lived in a democratic country are more likely to be politically active in their host country (South Korea) than those who lived in a non-democratic regime. It turns out that length of residence in the host countr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zation and political engagement: those who did not have any pre-migration exposure to democratic culture become more politically active as they live longer in South Korea. The conditional effect of resocialization has observed in voting behavior, but not found in non-electoral participation such as activites in political parties and labor un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political incorporation of immigrants, an important yet relatively neglected subject in political science. 본 연구는 모국 및 이주국(한국)에서의 정치환경 노출 경험이 이민자의 정치참여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작업이다. 2012년 전국다문화실태조사 자료 분석 결과, 모에서 민주적 정치환경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이민자들은 한국의 정치 과정에 참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민자의 과거 경험이 단절되지 않고 변화된 환경으로 전이된 데 따른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에 거주한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국에서의 민주적 정치환경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이민자와 그렇지 않은 이민자 간에 한국 정치 과정에 참여할 확률의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민자의 출신국가의 정치체제와 상관없이, 한국에서의 거주 기간이 길어지면 한국의 민주적 정치제도에 적응하게 됨을 의미한다. 다만 한국에서의 거주 기간이 주는 조건부 효과(conditional effect)는 투표참여에서만 확인되었을 뿐 비선거적 참여(non-electoral participation) 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민자들이 경제 혹은 사회ㆍ문화 영역에서 이주국에 적응하는 과정은 기존 사회과학의 관심을 오랫동안 받아 왔지만, 정치 영역에서의 적응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적다. 이 연구는 이주국에서의 원활한 이민자의 정치 편입(political incorporation)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 KCI등재

        정치참여의식이 시민의 정치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성춘(Lee, Sung Ch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정치문화 정착과 형성을 위해 시민들의 정치의식과 정치참여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실증분석을 시도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인 시민들의 정치의식과 정치신뢰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선거 의식 수준과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치에 대한 만족도와 정치에 대한 평가가 높아졌다. 둘째, 가설 2인 시민들의 정치의식과 사회소속감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는 선거 의식수준과 사회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소속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인 정치신뢰가 정치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정치 만족도와 정치평가가 높을수록 적극적 정치 참여와 소극적 정치 참여의 참여행동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인 사회소속감이 정치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시민의 사회소속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정치 참여와 소극적 정치 참여의 정치참여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시민들의 선거인식과 정치가에 대한 인식 등 정치의식이 높을수록 정치에 대한 신뢰도와 정치참여행동 역시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structural (influence) of citizens" political aware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e settlement of political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izens" political awareness and political reliability in Hypothesis 1 showed that the higher their election sense and self-efficacy,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and evaluation of politics.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izens" political awareness and social sense of belonging in Hypothesis 2 showed that the higher the election sense and recognition in society, the higher the social sense of belonging. Thirdly,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olitical reliability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Hypothesis (3) showed that the higher the political satisfaction and political assessment, the higher the posi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nega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ense of belonging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Hypothesis 4,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itizens" social belonging awareness, the higher the posi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egative political participa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olitical awareness of the citizens, such as their election sense and knowledge about their politicians, the more positive were their political reliabil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정치적 중립성 의무와 사회과 교사의 수업

        이경호,박성혁 한국법교육학회 2024 법교육연구 Vol.19 No.1

        사회과는 시의성 있는 사회현상을 학습 내용으로 포함하는 과목의 특성상 논쟁적인 문제를 다루며, 자연히 사회과 교사는 수업 실행에 있어서 정치적 중립성을 고민하게 된다. 교사가 쟁점이 되는 문제를 다룬다는 사실만으로도정치적 중립성 의무를 어긴 것을 의심받기도 하며, 어디까지가 이를 지키는 것인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치적 중립성 의무는 사회과 교사를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사회에서 쟁점이 되는 부분을 피하는 것이 더 나을지 고민하게 한다. 즉, 정치적 중립성 의무는 편파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수업하기 위한 고민과 맞닿은 것인 동시에, 정치적인 요소를 회피하는 교육을 하게 하는 제약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상황에서 사회과 교사가 정치적 중립성 의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어떻게 수업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사들은 민원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이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 고민하도록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과 교사들은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서로 다른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됐다. 셋째, 사회과 교사들은 현재의 정치적 중립성 의무에 따라 방어적인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정치적 중립성의 의미와 적용에 대한 모호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정치적 중립성 의무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했다. Social studies teachers are often faced with questions of political neutrality when dealing with controversial issues in a subject that deals with timely social phenomena. The mere fact that they address controversial issues may call their political neutrality into question, and it is unclear where the line is drawn. In this situation, political neutrality duty forces social studies teachers to consider what it means to be politically neutral and whether it is better to avoid controversial issues in society. In other words, political neutrality duty is a device to teach in a non-partisan way, but it is also a constraint to teach without politic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ive their political neutrality duty in this context and how they teach based on perceptions about du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ive the complaint an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challenging them to think about political neutrality. Second,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what it means to be politically neutral, which stemmed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 role and influence. Third, social studies teachers social studies teachers teach in a defensive manner in response to current political neutrality duty. This situation can be interpreted as stemming from ambiguity about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political neutrality, and interpretation of this situation suggests the need for and direction of a discussion on political neutrality duty.

      • KCI등재

        사회과 정치사회화 개념의 비교가능성 확보 방법

        김용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4

        The aims of social studies and political socialization comparative research are best served when the general theories are constructed and applied to the widest possible variety of spatial-historical contexts. The absence of generalized conceptual systems about political socialization in the contemporary comparative social studies has led to the theoretical shortcomings. A major factor of theory building in political socialization phenomena is establishing cross-cases comparability to political socialization concept. In this respects, this article is to be a trial of the comparable concept formation methods that is important the successful theory building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n social studies. The construction of comparable concepts can be possible through equivalent indicators because concepts are formed by indicators and include indicators. According to above,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equivalence in cross-cases analysis revolve around the construction of homogeneous indicator structures. If indicators for particular systems are inter-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same way in each system, the structures of the indicators can be inferred to be equivalent. Equivalent concepts in comparative social studies is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dure. This is an equivalent conceptualization method as the best way for establishing of comparability of political socialization. 사회과에서 정치사회화 개념은 사회과의 본질 개념 중 하나이다. 사회과와 정치사회화는 정치체계에 알맞은 구성원의 속성인 민주시민성의 함양과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정치사회화 개념이 사회과 비교연구에서 사회과의 핵심 내용을 반영하는 유용한 분석도구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치사회화 개념이 비교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이한 비교 사례나 체계의 상황․맥락성으로 인한 개념의 모호성과 편향성을 극복하고, 비교가능성 확보를 위한 조정 과정을 거쳐 개념척도로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정칙사회화 개념의 비교가능성 확보 방법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것은 보다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등가개념화 절차로 정리할 수 있다. 즉, 프레이(Frey)의 확증방식의 논리와 셰보르스키(Przeworski)와 튜니(Teune)의 상관관계 추적방식을 중심으로 등가개념화 절차를 제시하면, 먼저, 이론적 차원에서 연역적으로 개념 정의를 보편지표라고 추론할 수 있는 항목들로 내린 후, 보편지표 중에서 동일지표를 추적하여 사례나 체계 고유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최종적으로 보편-유의미 고유지표를 도출하여 비교가능성을 확보한 개념을 구축하는 과정이 된다. 결국, 사회과 비교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치사회화 개념은 정치사회화 개념이 지닌 본질적 속성을 여러 가지 등가성 추적 방법으로 규명해 냄으로써 비교가능성을 확보한 측정 및 서술도구로 재조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