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포먼스 연구의 학문적 계보 -새로운 인문학 교육을 위한 고찰-

        최성희 ( Sung Hee Choi ) 한국연극학회 2010 한국연극학 Vol.0 No.41

        Reflecting the larger postmodern turn from being to becoming, from absence to presence, from product to process, performance studies not only challenges the text-oriented, literature-centered approach of theatre studies but more importantly confronts us to reconsider the very methodology of teaching drama, theatre, and humanities in general. Performance studies that sees the world not as a book to analyze but as a stage to jump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changing reality moves its focus away from the authoritarian `truth` of masters and masterpieces-canonical playwrights and directors-and recalls our body (modernism`s repressed `Other`) as a new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center. Richard Schechner, the major founder of performance studies in the U.S., emphasizes performance as a whole process, of which workshop and rehearsal are the most critical and creative `liminal` phases that allow traditional knowledge and alternative challenges coexist in conflict and intentionally delay the final decision by putting itself in a perpetual process. From this view, classroom is a quintessential space of liminality, a place for `doing` performances not only `studying` them. In order to probe performance studies` paradox of "liminal-norm," this essay attempts to examine complex academic/institutional genealogies-i.e. scholarly development from literary studies to theatre studies, cultural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and illuminate unintentional affinities and continuations among these disciplines. In conclusion I suggest performance pedagogy as an active way of redressing the ironic overtheorization of performance studies, that could turn the classroom into a "workshop" where, by combining intellectual, sensory, and kinetic engagement, text and performance are taught not only as specialized knowledge but approached by students as experiments to be performed, explored, tested, and above all enjoyed.

      • KCI등재

        음악연주와 수행이론 (Musical Performance and Performance Studies)

        이미경 ( Mi-kyung Lee ) 한국음악학학회 2016 음악학 Vol.24 No.1

        이 글은 소위 ‘수행적 전환’(performative turn)의 시대에 ‘수행이론’(Performance Studies)이 음악학 연구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려는 글이다. 서구예술음악 중심의 전통적 음악학 연구는 왜 악보중심의 음악학이 되었으며, ‘연주’ 중심, 혹은 ‘수행’ 중심으로 음악학의 연구대상이 변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음악 외 인문학 전반에 일고 있는 ‘수행이론’은 무엇인가 등을 살펴보고, 수행이론의 관점에서 최근의 음악연주 혹은 현대예술을 바라보는 것은 유용한가, 어떤 점에서 그러한가라는 점에서 논의를 정리하고 있다. 수행이론의 관점에서 음악을 바라보는 것은 음악연주를 하나의 사건으로, 여러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고, 나아가, 그 경험을 구성하는 일련의 사회적 과정 중에서 의미가 발생하는 현장으로 본다는 것이다. During the first decade of 21st cnetury, the ontological priority of musical text has been shaken by prominence of the musical performance. In such an era of “performative tur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 of performance studies on the traditional musicological research. Why the western art music centered musicology has been oriented towards the reconstruction and dessemination of authritative texts and what a paradigm-shift from musical texts to performance implies are considered. To understand musical performance from the view of performance studies means to see it as an ‘event’as an social phenomenon that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individuals, and, beyond the locus of performance, to observe it in the process where the experience has been constructed.

      • KCI등재

        공연-미학적 관점에서 본 판소리 연구사 검토와 판소리 연구의 새로운 방향

        노복순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4 No.-

        This article reviews articles in the performance-aesthetics perspective of Pansori and attempts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future Pansori studies. Therefore, the main subjects of this article other studies focusing on elements related to Pansori performances, performance studies discussing these elements in a comprehensive stand and studies discussing Pansori in the aesthetics perspective. First of all, this article shall take a close look at the performer related, Pansori drummer related and audience related studies as the element related Pansori performance, and shall carefully review comprehensive performance elements and aesthetics related studies. The endeavors of this article discovered that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performer are concentrated on the narrative embellishment and little musical studies, and the other two subjects, Pansori drummer and audience studies, are at early stages. Lastly, there are only a handful of narrative aesthetics and musical aesthetics in the Pansori performance-aesthetics field, and there are almost no Pansori aesthetics study discussing the performer, Pansori drummer and audience as a whole. Therefore this article is proposing the necessity of performance-aesthetics study that discusses Pansori in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focusing on the fundamentals of Pansori, performance-art, and performance studies which is the ultimate value of performance-art. 이 논문은 판소리의 공연-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제 논문들을 검토하고 판소리 연구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판소리 공연과 관련된 제 요소를 중심으로 다룬 논문들과 이러한 제 요소들을 총체적인 입장에서 논의한 공연학적인 연구, 그리고 판소리를 미학적인 측면에서 논의한 연구들이 주요 검토대상이다. 먼저, 판소리 공연에 관련된 제 요소로서 광대 관련 연구, 고수 관련 연구, 청관중 관련 연구를 나누어 검토하고 공연-총체적인 연구와 미학관련 연구도 면밀하게 살피고자한다. 그 결과 광대에 관한 연구는 사설치레 연구에 치우쳐 있고 그 다음으로는 음악학적인 연구가 조금 되어 있었고 나머지 고수와 청관중 연구는 거의 초기상태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판소리 공연-미학 분야는 사설미학과 음악미학정도가 몇 편 있었을 뿐, 광대, 고수, 청관중을 모두 종합적으로 다룬 판소리 미학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바람직한 판소리 연구를 위해서는 판소리의 본질인 공연예술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 공연학적인 관점에서의 논의와 더불어 공연예술의 궁극적 가치지향인 공연학을 바탕으로 한 공연-미학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목표 중요성, 수행 피드백,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상호작용이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Hyun Joo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 중요성과 수행 피드백이 학습시간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실험연구 1), 이러한 영향이 각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실험연구 2)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A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기말고사 준비 상황을 가정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두 개의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연구 1은 목표 중요성(고, 저)과 수행 피드백(현재성취, 목표거리)의 2x2 피험자 간 설계로 실시되었다. 고 중요성 집단은 전공과목(3학점, 상대평가), 저 중요성 집단은 교양과목(1학점, 합·불합격 평가)의 기말고사를 준비하는 것이 목표로 주어졌다. 수행 피드백 조건에 따라 현재성취 피드백 집단은 시험범위 중 현재까지 완료한 학습량, 목표거리 피드백 집단은 앞으로 시험범위까지 완료해야 할 학습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있을 때 투자할 학습시간에 대한 질문에 응답하였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고 중요성 집단과 목표거리 피드백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더 많은 학습시간을 투자한다고 응답하였다. 목표 중요성과 수행 피드백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어, 고 중요성 집단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습시간 투자 차이가 저 중요성 집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 2에서는 실험연구 1을 확장하여 성취목표지향성의 변인을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연구 1과 마찬가지로 목표 중요성과 수행 피드백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가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 중요성, 수행 피드백,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목표 중요성x수행접근목표(목표 중요성 고·저에 따른 학습시간 투자 차이가 수행접근목표 상위 집단에서 큼), 수행 피드백x수행회피목표(수행 피드백에 따른 학습시간 투자 차이가 수행회피목표 상위 집단에서 작음), 목표 중요성x수행 피드백x숙달목표(목표 중요성과 수행 피드백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숙달목표 상위집단에서 작음).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급에서 학습자가 가진 목표의 중요성과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적합한 피드백 제공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oal importance and performance feedback (progress vs. distance) on college students` self-regulation, and how these effects are differentiated b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hrough a set of two studies. For this purpose, Study 1 was conducted with 2 x 2 between subjects design of goal importance (high vs. low) by performance feedback (progress vs. distance) using hypothetical scenarios. The goal importance was manipulated by describing different situations of preparing for final term exam: of core-course (3 credits, norm-based) as high goal importance or elective-course (1 credit, pass/fail). The performance feedback was manipulated by offering different information about their performance related to the amount of academic materials: that participants had presumably already covered (progress) or had yet to cover (distanc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how many hours per a day they would invest to preparing for final term exam. The results showed the main effect of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oal importance and performance feedback on self-regulation: high goal importance condition`s longer studying time; distance feedback condition`s longer studying time; the bigger difference of studying time between distance feedback and progress feedback for the high goal importance condition contrary to low goal conditions. Study 2 explored the different effects of goal importance and performance feedback on studying time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goal importance x performance approach goal (the bigger difference of studying time between high goal and low goal importance for the high performance approach goal condition); performance feedback x performance avoidance goal (the smaller difference of studying time between progress and distance feedback for the high performance avoidance goal condition); goal importance x performance feedback x mastery goal(the smaller interaction effect of goal importance and performance feedback on studying time for high mastery goal condition).

      • KCI등재

        엇갈린 행보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이 글은 미국의 연행 중심론과 한국의 현장론간의 비교를 시도한 것이다. 두 연구 방법론의 전개 양상, 내용, 지향점 등에 대해 각각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를 하면서 그 차이를 드러냈다. 두 방법론이 드러내는 차이를 중심으로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연행 중심론은 즉흥적인 변형, 연행마다 새롭게 창출되는 의미, 의미의 다중성과 충돌 등에 관심을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곧, ‘보편적이고 영원한 진리 탐색에 저항’, ‘과거 지향적 민속학에서 현재 지향적 민속학으로’, ‘정태적 구조 중심의 논의에서 연행과 사회 문화의 구성 과정 그 자체의 동태적 양상 중시로’라는 인식론적 전환을 말하는 것이다. 연행 중심론은 어떤 규범적인 법칙을 추구하려 하지도 않았으며, 총체성 혹은 전체성과는 거리가 있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다. 어떤 정태적 본질과도 거리가 있는 것이 연행 중심론의 문제의식이었다. 동태적인 과정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은 구성주의적 사유를 선취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학사적 차원에서 본다면 연행 중심론은 인식론적 전환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 전환을 방해하는 진정성 추구의 양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인식론적 전환이라 평가할 수 있는 행보를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장론은 연행 현장, 미시적 접근, 공시적 관점, 가변성 등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의 편향을 넘어서려 했다. 연행 중심론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한 것들까지 염두에 두면서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했다. 하지만 그 시도는 또 다른 편향을 낳았다. 새롭게 염두에 둔 전승현장, 거시적 접근, 통시적 관점, 지속성 등의 강조로 수렴되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선험적인 본질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든 연행과 모든 전승을 제어하는 규칙과 규범을 추론하고, 나아가 그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현장론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진정한 민속, 온전한 민속, 지속적 전통 등을 곳곳에서 강조하는 것 역시 어떤 선험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미리 상정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현장론은 연행론이 떠났던 처음 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기존의 고착되고 정체된 것, 보편적이고 영원한 것에 도전하며 형성이 된 연행 중심론이 처음 출발했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버린 것이다. 다분히 반구조주의적이며 구성적인 과정을 중요시 하는 출발의 입장에서 다시 구조주의적이며 본질주의적인 출발 이전의 인식으로 돌아가 버리고 있다. 구성주의적 선언과 도전에서 비롯된 현장론이 결국 도전하고 배격했던 그 인식으로 회귀해 버리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국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의 행보는 엇갈린다. 연행 중심론이 인식의 전환이라는 어쩌면 혁명적인 궤적을 그리고 있다면, 현장론은 시공간적으로 시야의 확장을 도모하다가 인식론적으로 회귀라는 궤적을 그리고 있다. 연행 중심론의 전환이라는 궤적에는 탈구조주의와 구성주의라는 인식이 주도적인 반면, 현장론의 회귀라는 궤적에는 구조주의와 본질주의가 자리하고 있다. 서로 다른 인식론적 지반 위에서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은 자리하고 있다. 한때 잠시 만나는 듯 했지만, 현장론은 다시 돌아가 버렸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I investigate unfold aspects, contents, aim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respectively, and bring out the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those. The result of discussion on the differences of two methodology is as follow.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pay attention to emergent variation, new meaning which is created every performance, multiplicity and conflict of meaning etc. That attention imply epistemological turn which are ‘resistant of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universal and eternal truth’, ‘from the past-intention folklore to the present-intention folklore’, ‘from a discussion of static structure to an attach impotance to dynamic aspects of construction process of performance and social culture’.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do not inquire into the normative rule. The thin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a far cry from any static ess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pay attention to a dynamic process is the preoccupation of constructivist thinking. Even though It seems that authenticity which interrupt the turn is seeked, We can say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in terms of folklore study.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overcome a tendency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is inclined toward performing field, microscopic approach, synchronic perspective, variability etc. Mindful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to neglect things,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dialectical integration. However that attempt produce another inclination which is inclined toward traditional field, macroscopic approach, diachronic perspective, durability, etc. That result from a belief of a priori essence.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is reasoning of rule and norm which control every performance and tradition, and explanation of that fundamentals. The emphasis of authentic folk, continuous traditions also imply that a priori thing which is supposed to worthy is establish in advance. And then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which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departed.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challenge the static, the universal, the eternal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the viewpoint of departure which is anti-structuralism and consider a constructive process, return to the recognition of before departure which is structuralism and essentialism. In consequence, trac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are crossed. As for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the field-contextual study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return’. Post-structua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but on the other hand structuai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field-contextual study. On the different bas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each settle down. At one time two methodology meet a little whil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return to the old place.

      • KCI등재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 2020년대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

        주현식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7

        This study examines the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studies and, based on this, tries to look at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 metaverse by targeting overseas metaverse performances. First of all,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metaverse users, metaverse space, and time a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research.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overseas performances on the metaverse based on this. The British National Theater Company's Draw Me Close: A Memoir (2020), Avatar Artist LaTurbo Avedon's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 (2020), and ULTRAWORLD (2021) by Susanne Kennedy, were considered. The metaverse technology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metaverse performance is also evolving, so this discussion has an essay on metavers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aesthetics in the metaverse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an avatar as 'I am not me' and an actor who is a metahuman or digital twin, changes the way we do, see, and experience performance. The fragmented self of indeterminacy and duality, that is, a new aspect of an actor in which human-flesh and non-human-machine are mixed produces an experience in which the audience can confirm their alterity. Second, the avatar's virtual body interacts with the user's real body. The avatar's body-image is essentially plac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user's actual body. The avatar's virtual body cannot be regarded as a fully digitized, de-embodied body. Rather, it become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omputer screen and the actual body of the user. The moment of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of the avatar, which is traversed by my body,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ccurrence of transformational events through the performance in the metaverse. Third, the performance space on the metaverse implies a ‘heterotopia’ character. It produces a space that exists in reality but does not exist in reality. It is a world within the world, but it is a place without a place, and it is also a world outside the world. The space is psychedelic, ambiguous, instantaneous, personal, and context-dependent. Fourth, the performance of the metaverse calls for a time of absence rather than presence. The metaverse performance embodies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not a presence. Absence is not an emptiness or lack, but an emotional resonance, an extension, and an expectation of presence. If the aesthetics of avant-garde performance in the 20th century was based on the aesthetics of presence, the aesthetics of metaverse performance in the 21st century would be based on the aesthetics of absenc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performance aesthetic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eyond the temporary interest sparked by the pandemic crisis concerning the performance on the metaverse.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이 연구는 연행 연구(performance studies)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검토하고, 이에 기반해 해외의 메타버스 공연 사례를 대상으로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조망해 보려 한다. 우선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메타버스 이용자, 메타버스 공간 및 시간을 연행 연구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펼쳐지는 해외 공연들의 퍼포먼스 미학을 규명한다. 대상은 영국 국립극단의 Draw Me Close: A Memoir(2020), 아바타 아티스트 아베던(LaTurbo Avedon)의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2020), 그리고 한국에서도 초청되었던 독일 폴크스뷔네의 연출가 케네디(Susanne Kennedy)의 ULTRAWORLD(2021)다. 메타버스 기술이 현재 발전 과정 중에 있고, 메타버스 공연 또한 진화하고 있는 중이어서 본 논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예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가 아닌 것도 아닌 나’로서의 아바타, 더 나아가 메타휴먼 혹은 디지털 트윈인 연기자의 등장에 의해 공연이 생산되고 수용되며 경험되는 양상이 변화된다. 비결정성과 이중성의 분열된 자아, 즉 인간-살과 비인간-기계가 혼합된 새로운 양상의 연기자를 통해 관객은 자신의 타자성(alterity)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아바타의 가상적 몸이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 상호행위함에 따라 아바타의 몸-이미지는 본질적으로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의 관계성 속에 놓이게 된다. 아바타의 가상적 몸은 완벽히 디지털화된 탈체현의 몸이라고 볼 수 없다. 그보다 컴퓨터 스크린과 이용자의 실제적 몸 사이의 중재자가 된다. 이용자와 아바타의 상호행위의 순간 실제 나의 몸에 의해 횡단되는 아바타의 몸은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에 의해 변형의 사건이 발발하는 데에 중요 요소로 기능한다. 셋째, 메타버스 상의 퍼포먼스 공간은 ‘헤테로토피아’적 성격을 함축하고 있다. 현실에 있지만 현실에는 없는 공간을 생산한다. 세계 안의 세계이지만, 장소 없는 장소이고, 세계 밖 세계이기도 하다. 그 공간은 환각적이고, 모호하며, 순간적이고, 개인적, 맥락의존적이다. 넷째, 메타버스의 퍼포먼스는 현존이 아닌 부재의 시간을 부른다. 메타버스 공연은 현존의 공연이 아니라 부재의 공연을 형상화한다. 부재는 공허함, 결여가 아니라 정서적 공명이고, 확장이며, 현존에 대한 기대감을 낳는다. 20세기 아방가르드 퍼포먼스의 미학이 현존의 미학에 기초하였다면 21세기 메타버스 퍼포먼스의 미학은 부재의 미학에 기반할 것이다. 메타버스에서의 공연과 관련해 팬데믹 위기로 촉발된 일시적 관심을 넘어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연미학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의 논의는 그 시발점으로서 유의미성을 가지리라 본다.

      • KCI등재

        문화연구에서 길을 잃다: 한 드라마 연구자의 출구 찾기

        최성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10 比較文化硏究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1)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studies in Korea with a focus on recent discourses about its 'crisis' and 2)attempt to find some ways out of these dilemmas in drama/theatre/performance studies. As Raymond Williams redefined 'culture' as 'a whole way of life,' performance studies has expanded the boundary of 'performance' from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nto almost everything that can be studied and analyzed 'as' performance. Performance is not only the final product on display but a whole process that includes training, workshop, and rehearsal of culture. According to Richard Schechner, workshop and rehearsal are the most critical and creative 'liminal' phases that allow traditional knowledge and alternative challenges to coexist in conflict and intentionally delay the final decision by putting itself in a perpetual process. From this view, this essay attempts to find an―no matter how limited and temporary―answer to or a possible exit from political and theoretical aporias of cultural studies.

      • KCI등재

        현행 사회과 수행평가의 실태 분석과 그 함의

        이간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2

        Lee, Khan Yong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performance-based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to provide several sugges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108 teachers and 235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general,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performance-based assessment. However, students were not fully satisfied with the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y wanted to have more objective criteria and they also wanted to have some feedback on their performance from their teachers. Overall, teach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performance assessment, but they pointed out they should spend so much time and energy for the performance assesment. In order to solve all these problems, more meaningful task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more objective criteria, proper amount of feedback on students' performance should be provided. In sum, more effective performance-based assessment which can save time and energy and which can also promote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현행 사회과 수행 평가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그 실태 파악과 대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및 그에 따른 제언을 요약하면, 교사와 학생 양 집단은 수행 평가의 순기능을 인정하면서도 역기능에 대한 부담을 의식하는 혼란스런 인식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교사와 학생들은 수행 평가의 효과와 존재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학생들은 수행 평가의 절차 전반에 대하여 불만을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객관적인 평가 척도와 결과물에 대한 환류 요구가 높았다. 반면 교사들은 전체적인 관리 면에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을 최대 문제점으로 꼽고 있었다. 따라서 현행 수행 평가에 대한 개선점으로서 의미 있는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제가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 객관적인 평가 척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수행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이 있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소요 시간과 노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는 점 등으로서, 한마디로 학습에 효과적이고, 관리에 효율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전라북도립국악원 창작창극 어매 아리랑 <어매 아리랑>의 공연학적 특성 연구

        김정태 ( Jeong Tae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본고는 전라북도립국악원의 창작창극 작품인 <어매 아리랑>을 중심으로 리차드 세크너(Richard Schechner)가 개발한 여섯 가지 관점과 방법을 활용하여 공연학적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공연 참여자들의 존재와 의식의 변환을 고찰한 결과, 공연이후 공연 참여자들의 내면은 살아생전 부모님께 효도를 다해야겠다는 새로운 마음을 갖게 하지만, 자신의 사회적 존재와 의식이 변화되지는 않았다. 공연의 긴장성 구축을 고찰한 결과, 한국전쟁으로 봉산댁과 진수가 헤어진 이후 모자간의 만남이 주목되는 가운데 비극적 장치와 희극적 장치가 교체되는 긴장과 이완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졌다. 즉, 주인공 ‘봉산댁’과 아들 ‘진수’의 이별과 그리움은 점진적인 긴장의 구조로 진행된 반면, 주변 이웃의 삶은 풍자적이면서 해학적으로 풀어내는 이완의 구조로 공연의 재미를 더하였다. 공연자와 청관중의 상호작용 관계를 고찰한 결과, 공연자인 악극일행 중 약장수가 객석에 나와 직접 약을 들고 선전하는 과정을 통해 관객과 눈을 맞추며 말을 건네거나, 악단의 경우도 사회자를 배치하여 관객들의 반응을 유도하거나, 서희도가 가요를 부름으로서 무대와 관객이 소통하는 작용이 이루어졌다. 공연이 이루어지는 전체과정을 살펴본 결과, 공연준비 과정은 예술성과 공공성을 바탕으로 작품선정과 이에 부합하는 공연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고 작품제작회의를 통해 공연일정을 확정하였다. 공연 과정에서 배우들은 다년간 무대경험을 바탕으로 농익은 연기력을 과시하였고, 주제곡인 ‘성수 아리랑’은 청관중들의 가슴 속에 이별의 정한으로 스며들었다. 공연 지식의 전승 방법을 고찰한 결과, 공연 지식은 문자기록, 구비전승, 행위전승 형태로 전승되었다. 창극대본은 문자기록으로 전승되었으며, 작창된 소리는 주로 구비전승으로 학습되었고 악보를 활용하기도 하였다. 배우들의 연기는 행위전승을 중심으로 드라마트루기를 활용하기도 하였다. 공연의 가치평가 방법을 고찰한 결과, 전문가 평가, 관객 평가, 언론 평가 등 공연평가를 실시하여 수준 높은 공연작품을 유도하고 합리적인 공연관리로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공연평가로 드러난 공연의 잘된 점과 부족한 점, 관객들의 설문지 의견을 다음 공연에 적극 반영하였다. 창극 <어매 아리랑>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에 걸쳐 정기공연과 순회공연을 지속하는 동안 계속적인 환류과정을 통해 국악원을 상징할 수 있는 명품공연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했던 배경으로는 전라북도 임실지역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소재로 발굴하여 무대화함으로서 지역성을 담보하였다는 점, ‘가족’과 ‘효’라는 인간의 보편적 주제를 예술적 가치로 다루었다는 점, ‘악극’을 수용하여 보다 많은 관객층과 대중성을 확보하였다는 점, 수십 년 동안 축적된 무대경험과 공력 있는 소리로 단원들의 실력이 농축되어 있다는 점, 다년간의 공연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국악원의 레퍼토리 작품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행정직 국악원장의 잦은 교체와 창극단장의 임기제는 공연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 전용극장이 부재함으로서 상시적인 공연이 어려운 여건은 레퍼토리화의 장애가 된다는 점, 전통과 현대공연물의 통합적 구성 체계와 방식들이 지닌 문제점, 전북도립예술기관으로서 공공성과 예술성은 부합되지만, 수익성의 측면은 아직 해결하여할 과제로 남아 있다. 앞으로 국악원 창작창극 작품연구는 좀 더 구체적인 자료들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논증하는 과정을 거쳐서, 창극 이론의 정립과 전라북도를 상징할 수 있는 명품(Brand) 창작창극 제작에 기여할 수 있는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utilizing Richard Schechner’s Six Axioms for environmental theater. And it is based on Jeollabuk-do Gukak Center’s original Korean classic operas(Changggeuk), < Amae Arirang >. As a result of studying transportation of performance participants and consciousness, most of them (performance participants - a producer, a scriptwriter for play, a director, play actors, and audience etc.) determined to serve their parents during their life time but their own social being and idea weren’t transformed. After studying tension made in performance, there are some connections of tension and relaxation that tragic and humor strategies are interactive. They are in the middle of question whether ‘Bongsandak’ and ‘Jinsu’ met or not after korean war. Missing and farewell of ‘Bongsandak’ and her son ’Heedo’ made some gradual tension, in the same time humorous and satirical life of neighbor made relaxation. These can be interesting parts of performance. After analyzing interrelationship of actors and audiences, the drug peddler goes on the floor with drug and he advertises his drug to audiences. In this situation, he communicates and starts a conversation with them. In the case of band, there is a host who makes audiences do their reaction. Also ‘Seo Heedo’ sings a song for the interrelationship of actors and audiences.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ance, we selected our work based on artistry and publicity making some strategies and the distinguished direction. After several conferences, we finally determined our schedule.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ctors showed their skilled acting from their lots of experiences and music also got fixed over and over for the better performance. Knowledge for the performance has been transmitted by the forms of literal, oral, and behavioral ways. The scripts for Changguk have handed down by written records and songs almost by oral way but sometimes by a sheet of music. The acting of actors has been transmitted by behavioral ways and actors have trained their acting using Dramaturgie. After studying method of evaluating values, there are the evaluation of a performance such as expert evaluation, audience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media to make high quality performance and management of performance to improve efficiency. This evaluation is to reflect good and bad points on upcoming performance and make consensus by accepting audience’s ideas. Changgeuk, <Amae Arirang> is the work that has possibility of representing Gukak Center because it has been performed since 2013 and during this period it has been evaluated and improved constantly. It keeps the locality performing the story based on the Imsil in Jeollabuk-do, deals with universal subjects such as ‘filial duty’ and ‘family’ with artistic mind, broads its mass appeal using musical song and improves its degree of completion. But there are some unsolved problems. First, To hold performance is hard due to frequent replacement of a director of Gukak Center and term system of a head of Changguk. Secondly, there is no person who works as a head exclusively so constant performance is very hard. Third, it satisfies artistry and publicity as the artistic center in Jeollabuk-do bu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erms of profit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proving data, the study of Changgeuk works in Gukak Center has to progress toward contributing production of Brand Changgeuk for representing Jeollabuk-do.

      • KCI등재

        오퍼레이션스 성과와 재무성과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훈(Younghoon Kim),편제범(Jebum Pyun),김대수(DaeSoo Kim) 한국경영과학회 2015 韓國經營科學會誌 Vol.40 No.1

        While many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perations performance on financial performance, most studies considered only a few performance indicators and ignore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effect of operations performance on financial performance, by selecting a rather comprehensive operations performance indicators from firms" financial data. In doing so, we used operating efficienc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indicators for operations performance and a firm"s profitability and future value indicators for financial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we collected 544 firms" operations and financial performance data belonging to eight key industries from the "Forbes Global 2000". We first analysed the differences in operations and financial performance among high, medium and low supply chain performance groups based on the quantitative criteria of Gartner"s "Supply Chain Top 25" ranking procedure. Then we analysed the effect of operations performance indicators on financial performance for both entire industry and individual industries, using multiple re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practical insights into key operations performance indicators to focus on and manage in order to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