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 오월드 공연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안시현,변정민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6

        This monograph researched about vitalization plan for Daejeon O-World’s regular performances to develop unique contents for O-World and conduce them for vitalizing; Daejeon O-World, a landmark of Daejeon, opened in May 2002, and it has been continuously attracting visitors from all cities across the nation including the home city, with various performances over 15 years.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visitors who participated in performance contents; the survey was based on performance environment, participation behavior, satisfaction and more. Specific problems were drawn through the survey result analysis. Problems and potentials of performance contents, and assignments and strategy were drawn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This monograph suggested that O-World’s core contents (killer contents) need to be produced within O-World. The theme and main character of performance contents must also be the animals from O-World; they must lead the storytelling. Also the result showed that O-World needs to change bidd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contents and events, thus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of specializing main performance contents by separating events and performance. In order to make this effective, O-World needs a professional director rather than inviting a director from an agency. The professional director will serve as a core element to bring creative and interactive performance for Daejeon O-World’s unique performance contents.

      • KCI등재

        漢文科 遂行評價의 現況과 改善 方向

        宋秉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한문과 수행평가는 두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교육부에서 수행평가의 지침이 나오기 이전의 시기와 이후의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수행평가 지침 이전은 특별한 이론이나 계획 없이 각급 학교 교사 자율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시기는 개별 교사들이 당시 교과 수업의 시수 부족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실시하거나 교수-학습 방법의 획일화에 대한 대안으로 개별적으로 원시적인 방식의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과제형 수행평가'가 그것이다. 과제형 수행평가는 '했느냐의 여부'에만 기준을 두었으며, 기타의 학습자의 성취도에 대한 기준 따위는 거의 없었다. 일부 개별적으로 반영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전체 비율도 매우 낮았으며, 대부분 학업 성취도에 반영하지 않았다. 엄밀하게 보면 '과제형 수행평가'는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는 평가의 보완이라기보다는 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활동의 연장이기 때문이다. 1999년 '한문과 평가 개발 연구'가 나오면서 한문과도 수행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서는 한문과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등급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를 근거로 예시 문항 및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행 평가를 위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도 함께 개발되었다. '한문과 평가 개발 연구'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평가에 대한 교사의 부담이 과중하였다. 평가 기준이 지나치게 상세하였다. 주당 단위수가 적어 매년 교사 1인이 10∼24학급을 맡아야 하는 한문과 교사로서는 평가 자체가 부담이 될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둘째, 한문과의 성격에 부합하는 수행평가 유형이 한정적이었다.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수행평가가 한자·한자어에 관한 것이었다. 한자·한자어에 대한 수행평가는 대부분 포트폴리오형이었다. 따라서 한문과 성격에 맞는 수행평가 유형이 거의 없었다. 셋째, 한문과 교과 내용을 다양하게 반영하는 '내용 반영형 수행평가 도구'가 부족하였다. 개발된 수행평가를 분석해 보면 가지수는 많지만, 다양한 학습 내용이 없었다. 이는 교육 과정에 한문과 교수-학습 내용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구체적인 세분화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학습 내용을 반영한 수행평가를 개발하고자 하여도 반영할 학습 내용과 학습 요소가 부족한 것이다. 한문과 수행평가의 개선은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데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첫째, 교사의 평가 부담을 해결하여야 한다. 교사의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가 편리해야 하고, 평가 회수를 줄여야 한다. 둘째, 한문과의 학습 내용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평가 도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한시 감상'과 관련되는 '문학작품 감상형 수행평가'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한문과 학습 내용을 반영한 '내용 반영형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교육과정에 명시된 한문과 내용체계의 영역은 한자, 한자어, 한문으로 되어 있다. 각 영역의 내용체계를 보면 한자는 한자 익히기, 한자 활용하기. 한자어는 한자어 익히기, 한자어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한문은 한문 익히기, 한시 익히기, 한문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전통 문화 계승 발전시키기 등이다. 이런 내용체계의 학습 내용과 학습 요소를 구체화하고 세부화하여야 한다. 그래야 학습 목표가 분명해지고 그에 따른 단순한 수행평가 내용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한문은 文史哲이다. 문학과 역사 철학의 부분을 담아낼 수 있는 수행평가의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다. 대부분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교사는 교육학적 이론에 부담을 느끼고, 학자는 이론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한문과는 다른 교과와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한문교사는 한문과 성격과 내용에 맞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학적인 이론에 대한 능동적인 자기화가 필요하다. The period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writing subject could be divided into two period. The first period was b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nounced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second was after that pronouncement. Each school teacher did perform temporarily the basic principle of performance assessment not having special plan and theory. Each school teacher during this period did the lower and basic performance assessment to supplement curriculum unit or to replace an fixed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previous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was regarded as the type of the early and traditional performance assessment.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just focused on 'assignment having done or not', it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the basic model for measuring learners' achievement. Some teachers tried to put learners'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ir school record, but most teachers did not. Strictly speak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was not a real assessment comparing with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system. Namely this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not supplement of the previous assessment but the extens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hinese writing department is absolutely insufficient in curriculum unit point comparing main subjects like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was totally performed to complete the insufficient unit of curriculum. As a result, the assessment hasn't shown any coherence in both methods and contents, still it had no effect on the previous evaluation. After a series of process, in 1999,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study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was introduces, so the department could concretely put up and arrange the model of performance assessment. This research paper could be arranged the base of attainment, of evaluation, and the grade of method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Researchers developed the example questionnaires and measurements for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is paper.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there were developed a variety of measurement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study of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had a few problems. First, the teacher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couldn't avoid having heavy burden relating to evaluation. The base of evaluation was explained excessively in detail. The unit of the Chinese writing subject per week was small, so one Chinese writing teacher every year must be in charge of 10 to 24 classes. And this caused most teachers to feel heavy burden and pains. Second, th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fitting in Chinese writing department were very limite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ny cases of teachers' evaluation, most type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mainly focused o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was the type of portfolio. Unfortunately, at now, there are not any useful and proper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Chinese writing department. Third, there were short of the measurement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cluding the contents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through various ways. The established performance assessment had lots of numbers, while had not various learning contents. This means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learning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in curriculum was not composed systematically and also not diversified in detail, either. So it was very difficult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cluding learning contents for want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must begin from solving above problems. First, education authorities must solve the teachers' burden about evaluation. To solve the teachers' burden, for one thing, the measurements and means for evaluation must be easy, and the students number for evaluation must be also lessen and limited. Second,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to evaluate the learning content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need to be developed. For instance, it can be a good example to introduce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appreciating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 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Third,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including the learning content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also need to be developed. The teaching range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in curriculum is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 Chinese word, and Chinese classics. Here, more closely speaking, Chinese character covers practicing the Chinese character, using the character and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Chinese word covers practicing Chinese word, using Chinese word, and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And Chinese classics also covers practicing Chinese writing and Chinese poetry, using Chinese writing,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The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composed these contents system must be embodied and detailed. In case we try it, the purpose of learning will be clear and then the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will also be developed. Last, Chinese writing is a kind of combined subject including literary, philosophy, and history. Chinese writing, therefore, requires developing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covering all the three parts. Most of the teachers us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have difficulty in receiving educational theory, while scholars tend to keep their theory. Chinese writing department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departments in various aspects. So, it's natural and desirable for Chinese teachers to develop the measurements and means for the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agreeing with the originality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So, Chinese writing teachers must make themselves be efficient teachers against numberous educational theory.

      • KCI등재

        공연예술분야 온라인 공유 플랫폼 및 서브 콘텐츠 연구 – 『태양의 서커스 엔터테인먼트』 사례를 중심으로

        김가은,박진원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는 다양화된 영상 매체 플랫폼을 통한 공연예술 분야의 온라인 공연 콘텐츠 제작 형식과 현황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태양의 서커스 엔터테인먼트의 선도적 사례를 연구하여 태양의 서커스만의 브랜드 가치혁신 요소, 디지털 허브 플랫폼인 “Cirque Connect” 배경 및 현황과 오리지널 콘텐츠를 다각화한 다양한 서브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공연예술 분야의 디지털 플랫폼 활용 및 서브 콘텐츠 제작은 미디어 콘텐츠 감상에 익숙한 대중의 니즈를 파악하여 공연기획 초기 단계부터 다방면의 서브 콘텐츠 생성을 고려한 전략적 기획이 필요하다. 이는 서브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다양한 문화예술분야 콘텐츠와의 차별성으로 공연예술 디지털 콘텐츠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향유 방식에서 공연예술분야의 대중성을 향상 시키며 공연예술 산업의 저변확대를 가능케 할 것이다. 다변화된 문화의 흐름 속에 공연예술분야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작품의 예술적 문화 가치를 높이는 브랜드 가치 혁신과 그것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브 콘텐츠 제작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rms and current status of online performance content production in the field of the performing arts through diversified video media platforms. For this, it studied the leading case of Cirque du Soleil Entertainment and analyzed the unique brand value innovation elements of Cirque du Soleil,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hub platform of "Cirque Connect", and its various sub-contents that have diversified original contents. Digital platform applications and sub-content production in the field of the performing arts require an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he public, who are familiar with media content appreciation, and strategic planning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everything from the initial stages of performance planning to the creation of varied sub-contents. This will promote the improvement of sub-content quality and increase the product value of digital contents in the performing arts through distinctions made from other various forms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environments in which inform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related to performance works can easily be accessed through online platforms will enhance the popularity of the performing arts field and allow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o expand its base in rapidly changing cultural enjoyment methods. For the performing arts field to be competitive within cultural trends that are being diversified, the most important tasks to be completed are gaining brand value innovation that enhances the artistic and cultural value of performance works and based on this, producing various sub-contents.

      • KCI등재후보

        문화원형사업과 공연 문화콘텐츠 ― '종교문화' 디지털콘텐츠화와 관련해서 ―

        이남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2 No.-

        This paper focuses the present stages and relations between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and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especially in relation with the digitization of religious cultures. And it especially examines the digitization of the Buddhist culture more concretely among religious cultures. And in this paper, we will use the concept of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more broadly, in other words, we are going to see religious ritual and actions as a kind of 'sacred' the Public Performance. At first, we are going to review the present stage of Culture content and Culture industry in Korea, and summarize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which had begun at the year of 2002. And we are going to checked 170 projects of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and choose the project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and especially those of Buddhist culture. There are many Buddhism related projects, and which are the rituals, the life style of monks at temple, the architectures of temple, and instruments for example 'four things' of Buddhistic instruments, etc. We can see and use much contents and multimedia, for example pictures, sound, characters, animation, etc. At the present stage, it is very important for Religious institutions and groups and to have more concerns at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and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And it is required to digitalize the various materials of religious culture including the pictures, images, sound data, maps, etc. It will be an important work and function for the Religious institutions and groups to build the religious Public Performance Content. Certainly it will be a creative reformation of religious culture for the future. 이 글에서는 일차적으로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의 연계성이라는 부문에 주목하면서, 문화콘텐츠의 인프라 구축이라 할 수 있는 문화원형사업과 공연문화 콘텐츠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공연문화의 주요한 한 부분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는 ‘종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 나아가서는 그것이 문화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공연문화에 대한 개념 문제와 관련해서, 이 글에서는 종교적인 의례와 행위 자체를 일종의 신성한 ‘공연문화’로 볼 수 있다는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예를 든다면 팔관회, 승무, 영산재, 독경, 아침·저녁 예불, 사시(巳時)불공, 명고타종(鳴鼓打鐘) 등을 그런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불교 영산재를 공연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연구도 이미 나왔다. 본격적인 논의에서는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에 대해서 그 추세와 특성을 간략하게 정리한 다음, 2002년부터 실행되고 있는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그 사업 안에 공연문화와 관련된 어떤 과제들이 있는가 하는 점을 파악해보았다. 그리고 종교문화, 특히 불교문화와 관련해서는 어떤 과제들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불교문화의 경우, 의례나 의식 뿐 아니라 그와 관련된 것으로 승려의 생활문화, 사찰 건축, 전통시대 건축물, 불교 사물(법고, 범종, 목어, 운판 등) 등에 대한 내용을 전문적인 고증된 내용과 사진, 동영상,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어 시각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공연문화에 관심을 가진 단체나 기관에서는 문화원형콘텐츠 디지털화 사업의 연구 성과에 관심을 가지고서 데이터베이스 내지 인프라 구축을 계속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관련 학회나 기관에서 장기적인 구상과 계획을 가지고서 공연문화 콘텐츠를 구축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같은 맥락에서 종교단체나 관련 기관들 역시 종교문화 측면에서 이러한 공연문화 콘텐츠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하겠다. 이는 ‘종교의 대중화’ 차원에서도 필요한 것이며, 변해가는 시대에 걸맞는 종교문화를 창조적으로 형성해가는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3D홀로그램을 이용한 무용공연콘텐츠

        이원미 ( Lee Won-mee ),백현순 ( Baek Hyun-soo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한국무용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3D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무용공연 콘텐츠를 만들고자 할 때 이루어지는 공연절차나 양식에 대한 연구이다. 즉 무용과 영상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공연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작품의 예술적 상상력을 이끌어 내는 무용창작의 새로운 동력을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우선 3D 무용공연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사람의 문(門)>이라는 시놉시스를 창안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 수행을 위한 다섯 단계의 절차를 진행하였다.1단계의 절차는 기획구성이다. 2단계의 절차는 안무창작이다. 3단계의 절차는 영상창작이다. 4단계의 절차는 CG 편집이다. 5단계의 절차는 종합편집 및 홀로그램화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인 6단계는 성과 및 검증이다. <사람의 문(門)> 공연콘텐츠 제작을 위한 추진전략은 공동화와 개별화, 그리고 통섭화의 과정을 통해 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3D홀로그램을 이용한 무용공연콘텐츠 효과로는 첫째, 무용과 기술분야의 혁신화 둘째, 기술의 효율적 활용 셋째, 2D와 3D홀로그램의 기능적 장점을 보유 넷째, 이동식 무대의 실현으로 이동과 설치가 용이 다섯째, 하이퍼리어리티의 감동을 전달 여섯째, 무용공연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곱째, 경제적, 교육적 파급효과를 고려한다면 무용콘텐츠의 진보적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여덟째, 새로운 무용학 연구 아젠다(agenda)를 제공할 뿐 아니라 아홉째, 한국춤이 가진 미적 표현의 확대화를 꾀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ance performance procedure and its mode when it comes to production of performance dance contents using 3D hologram. In order to produce 3D dance performance contents, the synopsis of `Door to Human Being` has been created and based on the synopsis, five-stage procedures for its production have been carried out. First, composition of planning. Second, creation of choreography. Third, creation of image. Fourth, editing based on CG. Fifth, comprehensive editing and hologram processing. Last, performance outcome and its investigation. The strategy for making the performance contents of `Door to Human Being` involves collaboration, individualization and convergence, which facilitates the working process of the task. The effects of dance performance contents using 3D hologram are as followings: first, innovation in dance and technology. Second, efficient utilization of technology. Third, possession of functional advantages of both 2D and 3D hologram. Fourth, facilitation in mobility and establishment of hologram through realization of movable stage. Fifth, realization of hyper-reality. Sixth, presentation of new paradigm in the field of dance performance. Seventh, growth of dance contents in terms of economy and education. Eighth, provision of new agenda in dance studies. Last, contribution to enlargement of aesthetic expression of Korean dance.

      • KCI등재

        충북지역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한 공연콘텐츠 개발사례연구 - 공연 <광풍의 절개>를 중심으로 -

        한정수,오진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5 No.1

        문화관광부 ‘문화비전2030’의 내용을 살펴보면 지역문화분권을 실현하고, 지역적 특성과 지역의 문화 예술을 주민들과 활성화하는 문화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이에 각 지역의 특성과 특수성, 문화의 다양성 을 인정하며 문화예술 콘텐츠를 제작하고 창조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본다. 각 지역은 지역별로의 특수성과 문화원형, 역사적 사실 및 역사적 인물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공연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역 사적 인물이나 사건은 공연콘텐츠 개발의 소재로 많이 활용되는 요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충북지역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한 공연<광풍의 절개>를 중심으로 공연 콘텐츠 개발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공연 <광풍의 절개>의 중심인물인 중봉 조헌은 본디 충북 태생은 아니지만, 충북의 옥천에서 후율당을 설립하 여 후학을 양성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고, 후에 의병장으로서 청주성을 탈환하는 등의 충북과 인연이 많 은 문인이자, 의병장이자 정치개혁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북지역 역사 인물의 공연 콘텐츠 화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 <광풍의 절개>의 중심인물인 중봉 조헌의 일대기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공연에 있어서의 실제화 작업에서 스토리텔링의 방향성 및 대본 개발의 과정 및 공연에서의 음악을 통한 공연의 리듬감, 무대와 영상을 활용한 시공간의 확장을 중심으로 공연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많은 예술가들이 각 지역의 대표적인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개발하고 다양한 연극적 요소를 활용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공연 콘텐츠로 더 나아가 세계적인 공연 콘텐츠로 거듭 나기를 바란다. If you look at the contents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s ‘Culture Vision 2030’, it is taking the lead in realizing local cultural decentralization and revitaliz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and arts with residents. Therefore, it is very encouraging to produce and creat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while acknowledging the characteristics, specificity, and cultural diversity of each region. Therefore, in this thesis, we are going to study the case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contents, focusing on the performance <The Consancy in the Storm> centered on historical figures in the Chungbuk region. Jungbong Joheon, the central figure in the performance <The Consancy in the Storm>, was not originally from Chungbuk Province, but established ‘Huyuldang’ in Okcheon, and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nurturing younger students. It can be said that he is a writer with many connections, a medical officer, and a political reformer. For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ase of performance contentization of historical figures in the Chungbuk region, and study the biography of Jungbong Joheon, the central character of the performance <The Consancy in the Storm>. Also, in the actualization of this performance, we will analyze th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storytelling, the process of script development, the rhythm of the performance through music, and the expansion of space and time using the stage and video. Through this, we hope that many artists will be able to develop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centered on representative historical figures of each region, and we hope that various theatrical elements will be used to create regional performance contents and global performance contents.

      • KCI등재

        2012 여수세계박람회 콘텐츠 분석을 통한 국내 메가 이벤트의 연출 방법 연구

        조준희(Cho, JoonHu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2 문화산업연구 Vol.12 No.3

        We should decide how to approach to effective directorial ways in order to establish successful contents strategy of mega event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in the age of limitless cultural competition. We have thought highly of the outer scale and quantities of the ones rather than essentially directorial viewpoints so far considering previous Asian Games Seoul 1986, Seoul Olympic 1988, Dae-Jeon Expo 1993, Korea Japan World Cup, and Expo 2012 Yeosu Korea.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Expo 2012 Yeosu Korea which was invested astronomically, I would like to study the trend of the contents of current domestic mega events and suggest the way to direct the ones such as Expo 2012 Yeosu Korea effectively in terms of directorial viewpoints in the future. Through this kind of analysis, I would like to contribute the process that directs coming mega events such as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Asian Games Incheon 2014, Pyung Chang Winter Olympic 2018 and that could be based on the mainstream of worldwide creative contents. I divided the contents of Expo 2012 Yeosu Korea up video·exhibition one, performance one, and complex content according to those technical style. I hope to suggest the style of the contents that are suitable to future mega event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kinds of contents and responses of spectators. I will examine the Big O, Expo Digital Gallery, and Exhibition Hall 2 in Korea pavilion as video·exhibition content, Sea Show, Invited Shows & Street Shows, Children Theater as performance content, and Theme Pavilion, Exhibition hall 1 in Korea pavilion, Samsung Pavilion, and Climate & Environment Pavilion as complex content. We should decide how to approach to effective directorial ways in order to establish successful contents strategy of mega event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in the age of limitless cultural competition. We have thought highly of the outer scale and quantities of the ones rather than essentially directorial viewpoints so far considering previous Asian Games Seoul 1986, Seoul Olympic 1988, Dae-Jeon Expo 1993, Korea Japan World Cup, and Expo 2012 Yeosu Korea.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Expo 2012 Yeosu Korea which was invested astronomically, I would like to study the trend of the contents of current domestic mega events and suggest the way to direct the ones such as Expo 2012 Yeosu Korea effectively in terms of directorial viewpoints in the future. Through this kind of analysis, I would like to contribute the process that directs coming mega events such as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Asian Games Incheon 2014, Pyung Chang Winter Olympic 2018 and that could be based on the mainstream of worldwide creative contents. I divided the contents of Expo 2012 Yeosu Korea up video·exhibition one, performance one, and complex content according to those technical style. I hope to suggest the style of the contents that are suitable to future mega event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kinds of contents and responses of spectators. I will examine the Big O, Expo Digital Gallery, and Exhibition Hall 2 in Korea pavilion as video·exhibition content, Sea Show, Invited Shows & Street Shows, Children Theater as performance content, and Theme Pavilion, Exhibition hall 1 in Korea pavilion, Samsung Pavilion, and Climate & Environment Pavilion as complex content.

      • KCI등재

        중국 사이버대학의 서비스 특성화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위건,권순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4

        This research focused on searching the specialized factors which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is research was approached from three perspective of professor, graduation and employment, and brand image to embody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We drew five factors of contents variety, contents quality, practical orientation of contents, lecture presence, and learning management as the Influencing factors of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We proved our research model by analyzing 170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leted by colleg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cyber universities in China.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howed as below: 1) The level of contents variety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higher level gains better outcomes. 2) The level of contents quality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better quality gains better outcomes. 3) The level of practical orientation of contents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e higher the better. 4) The level of lecture presence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e stronger the better. 5) The level of learning management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e higher the bett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특성화 요인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의 성과를 교수, 졸업 및 취업, 브랜드 이미지 측면에서 접근하였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사이버대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특성화 요인으로 콘텐츠 다양성, 콘텐츠 품질, 콘텐츠 실무지향성, 강의 실재감, 학습관리를 도출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의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인터넷 설문을 배포하여 총 170부의 유효설문을 수집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콘텐츠 다양성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의 콘텐츠 품질이 우수할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콘텐츠 실무 지향성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강의 실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학습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는 사이버대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학습자의 학습성과 향상 방안을 찾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달리 사이버대학의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접근하였다. 왜냐하면 교육 분야의 경쟁이 점차 글로벌 경쟁으로 심화되고 있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로는 한계가 있어 새롭게 재검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실용음악 고등학교에서의 공연 및 영상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의 드럼 및 보컬전공 중심으로-

        홍성규,유상일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음악교육연구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and develop a new model of education connected to video contents and stage performance contents in high school applied music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levant data in an effort to examine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derived contents. Furtherm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students in school about their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level in connect and development of video contents and stage performance contents. Thereby, developing a new model of education showed positive results in connected field like these : Getting improvement of achievement in education, Developing creativity and musical abilities of students, Making student's debut possible. In this study, the result was contemplated through a model of education from Seoul Music High School's curriculum.

      • KCI등재

        한국문화콘텐츠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에관한 실증 연구

        김창봉,남윤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5

        Throughout the 21st century, cultural contents industries are getting the spotlight as an environmental friendly industry and the fusion of the creativity and digital technology in the age of knowledge economy. Since 2010, the face of IT development has been changing very rapidly with the advent of contents platform such as smart mobile, tablet PC, e-book reader and tha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ing information distribution network, mobile broadband access are expected that the market of media based cultural contents that incurred by intellectual property. Korean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relation to Halyu which is a recent phenomenon widely spread to Japan, China, East-Southern Asia and Europe, is evolved as one of trade items. Thus, we ought to study the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ement strategies, in order to discover which strategic factors will affect global trade performance.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we have found critical success factors. From a study of 66 questionnaires taken from leading figures including CEOs, directors and global marketing officers as well as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to test the hypothesis. This empirical study reveals that for a global strategy, first, global advance marketing factor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cultural trade performance. In detail, construction of global human network, participation to international contents market and exhibitions, systemic information management for helping export including that of local culture, potential customers and competitors, global targeted product (global standardization) supporting service for customer activities of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of trade; both e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Last but not least, experience of winning of international award and festival participation influnce positively the trade performance. 문화콘텐츠는 기술의 발달과 지식 경제 시대의 창조력과 디지털 기술이 결합된 고부가가치 녹색산업의 하나로 최근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글로벌 문화콘텐츠 시장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전자북 등의 콘텐츠 기기 확대와 4G를 비롯한 방송통신기술 개발과 유통망의 확산이 가속화되면서 세계적으로 글로벌 지역으로 시장이 확장 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문화콘텐츠는 최근의 한류 현상과 더불어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지역으로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은 글로벌화 전략을 성공하기 위하여 전략적인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해외 시장에서의 문화콘텐츠 해외시장 진출 전략 요인들을 파악하고 사업성과에 미치는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문화콘텐츠 기업들의 임원진, 실장 및 해외사업담당 책임자급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수거된 150부중 66부의 유의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신뢰성 분석, 요인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해외인적네트워크구축, 전시, 해외시장개척을 위한 체계적인 정보관리, 글로벌 표준화 상품기획, 등 해외진출마케팅요인은 해외 수출을 통한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콘텐츠의 국제적인 어워드(award)수상과 페스티벌 참여 경험 여부는 해외 수출을 통한 사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