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 공정성이 조직 아노미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Jeong, Ye-jee),홍계훈(Hong Gye-Ho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지각된 조직 아노미 및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직 공정성이 조직 수준 정치지각을 통해 조직 아노미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팀 제도가 만연한 현 시점에서 조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은 구성원들에게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현저성(saliency) 과 가시성(visibility)이 높은 팀에 대한 정치지각으로 이어질 개연성 역시 높다고 판단된다. 즉, 분배 공정성과 절차 공정성, 대인간 공정성이 조직 수준에서 확보되었다는 인식은 하강효과(cascading effect)를 통해 조직 정치지각은 물론 팀 수준 정치지각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팀 정치지각은 상승효과(upward spiral effect)를 통해 팀에 대한 태도는 물론 조직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즉, 팀 내 비합리적 정치를 높게 지각하는 구성원 들은 소외감과 일탈로서의 조직 아노미를 높게 인식하는 반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정도는 낮아져서 궁극적으로는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조직 아노미 인식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 정치지각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팀내 정치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각된 조직 아노미를 높이는 반면, 조직몰입의 정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내 정치지각은 분배 및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며, 특히 분배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 분배공정과 조직몰 입,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차 공정성의 경우 예상과는 달리 팀 정치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 으며 따라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함의점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specially,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team politic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wo outcomes. We expect that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personal justice will reduce perceived team politics. When an organization distributes fair outcomes according to fair procedures and the authority figure who enacted the procedures treats employees with dignity and respect, employees will think their team could not be managed by organizational politics. Additionally, we expect that while perceived team politics will positively affect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it will nega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we collected data from 671 employees from 3 firms. The sample consisted of 336 males and 313 femal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distributive and interpersonal justice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However, procedural justi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team politics. Perceived team politics aggravated the level of per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redu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 exp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played the role of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commitment and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dditionally, the effect of interpers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team politics. We discusse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스키장 직원의 조직공정성이 정치지각수준별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태욱(TaeWookChung),전중환(JungHwanJeon),주종미(JongMiJoo)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5

        본 연구는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조직후원인식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주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조직행위론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독립변수로서 조직후원인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게다가, 조직구성원간의 정치지각이 조직후원인식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스키장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521부를 회수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13.0과 LISREL 8.7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절차공정성만이 조직후원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정치지각집단에서 저정치지각집단보다 절차공정성이 조직후원인식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정치지각집단이 고정치지각집단보다 분배공정성이 조직후원인식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의 경로계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을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키장 조직은 조직구성원에 대한 차별적인 인사관리전략을 정치지각의 정도에 따라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ch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uld be determined.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distributive justice or procedural justice through an intensive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olitics was investiga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 total of 521 usable data were collected in ski resorts. SPSS 13.0 and LISREL 8.7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ly procedural justice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addition, a high group of perceived politics showed the stronger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le a low group of perceived politics had the stronger influence of distributive justic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refore, managers in ski resorts should establish the different strategic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the level of perceived politics.

      • KCI등재

        조직공정성 및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의 조직냉소주의, 혁신저항,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주원(Han, Ju Won) 한국비서학회 201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부정적 태도가 조직차원과 연결된다는 점을 파악하고 이를 위해 조직 구성원이 인지하는 조직공정성과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의 조직냉소주의, 혁신저항,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나타낸다. 첫째 조직공정성이 조직냉소주의, 행동적 혁신저항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구성원이 조직공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종업원의 부정적 태도가 적게 나타나며 창의성과 같은 긍정적 태도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정치지각은 조직냉소주의, 혁신저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구성원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구성원들이 조직정치를 지각하는 수준은 종업원의 부정적 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셋째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조직공정성과 행동적 혁신저항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냉소주의, 혁신저항, 창의성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변인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조직구성원의 부정적 행동이나 태도가 조직공정성 및 조직정치지각과 같은 조직특성에 따라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남을 파악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조직차원에서 종업원의 부정적 태도인 조직침묵이나 혁신저항, 창의성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살펴보고 성공적 변화혁신을 위한 조직관리 방안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negative attitude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re connected with the organizational dimensi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organizational cynicism, innovation resistance, and creativity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s silence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justic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behavioral innovation resistance and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The higher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fairness of employees, the less negative attitude of employees and the more positive attitude such as creativity increases.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and innovation resistance, and had significant impacts on creativit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sile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behavioral innovation resist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he negative attitude of employees(organizational cynicism and employee innovation resis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negative behavior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politics.

      • KCI등재

        공공조직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후원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황동연(黃東淵),류제환(柳濟煥),배귀희(裵貴熙) 한국정책과학학회 202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조직 내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후원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외생변수가 직무만족 및 조직신뢰를 매개로 어떻게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조직에서의 조직정치지각과 조직후원인식이 갖는 영향력과 조직신뢰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조직관리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9년 행정안전부 재직 중인 공무원 390명을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AMOS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정치지각은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주지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조직신뢰를 통해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후원인식은 조직신뢰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조직신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조직신뢰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후원인식과 조직정치지각은 조직신뢰를 매개로 조직만족과 조직몰입에 간접효과를 주고 조직신뢰는 만족을 매개로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차원에서 조직후원인식을 강화시키고 조직정치지각을 약화시키기 위해 제도적 장치를 만들고 조직운영의 합리화를 위해 노력해야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후원 인식이 갖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이 갖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Recentl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public sector has become one of hot issues. Under this context, much attention was paid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Thu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public sector. Thus, we tried to develop conceptual framework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390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giving an overall response rate of 86%.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make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trust directly, having any negative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politics are tested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e empirical results have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as a dysfunctional behavior, may have detrimental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contrar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nhancing organizational trust and create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enhanc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ublic sector organization tries to find out antecedents of it such as organizational justice. Furthermor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y reducing selection bias for random sampling method.

      • KCI등재

        구성원이 인지한 경영진 디커플링, 팀장에 대한 신뢰와 팀 정치지각이 구성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아노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홍계훈,Yejee Jeong,Gye-Hoon H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2

        최근 인사․조직은 물론 사회, 종교,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는 아노미(anomie)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무규범(normlessness)으로 인한 혼란과 가치 구조의 분열로 인한 긴장 상태를 뜻하는 아노미는 현대 사조직 내에도 만연한 현상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아노미로 인한 혼돈이 구성원의 역할 외 행동 및 반생산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은 물론 선행 연구를 통해 구성원들이 인지한 경영진들의 디커플링(decoupling), 팀장에 대한 신뢰(trust in team leader), 팀 내 정치지각(perceived politics in team)의 세 요소가 조직 아노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선행 요소들이 구성원들의 반생산적 행동 및 역할 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 아노미가 매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4개 회사의 949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 아노미는 역할 외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시에 반생산적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직 아노미는 경영진 디커플링, 팀장에 대한 신뢰, 팀 내 정치지각과 구성원 행동(반생산적 행동과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진 디커플링과 두 결과 변수 간의 관계에서는 조직 아노미가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팀 내 정치지각과 두 결과 변수 간의 관계에서는 조직 아노미가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조직 아노미는 팀장에 대한 신뢰와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에서도 부분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팀장에 대한 신뢰와 반생산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함의점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This study examined organizational anomie, which has emerged recently as a popular focus of research. Anomie, which today is associated with normlessness and alienation, has developed primarily from the work of Durkheim (1897) and Merton (1957). The organizational anomi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as based not only on the notion that trying to achieve the expected goals of most organizations was impossible, and thus organizational members would resort to illegal or immoral means to do so, but also on the amorality that resulted from deregulation.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determine which factors in teams and organizations aggravate or mitigate organizational anomi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ree factors affecting anomie in organizations: perception of top management team (TMT) decoupling, trust in the team leader, and perceived team politics. Decoupling is the organizational practice of disconnecting structure from action in other words, formal statements of how and why things should be done in organizations are often decoupled from how they are actually done. TMT decoupling in this study means the variance between the decision-making or behaviors of the TMT and the organizational mission, vision, and culture. TMT decoupling may lead to high levels of anomie. Trust in the team leader refers to a team members’ belief in their leader, even if the consequences of the leader’s behavior are risky to the team members. Trust in the team leader may lower anomie through team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s based on confidence and faith. Finally, perceived team politics have been defined as the degree of perception that an intentional social influence exists in teams. Perceived team politics may therefore lead to high levels of anomie. We hypothesized about the effects of these three factors on members’ extra-role behavior (ERB)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and examined the anomie in an organization as a mediator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mbers’ behaviors. This mediation mechanism dovetails with previous research on anomie in organizational settings and the hypotheses call attention to members’aliena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to the breakdown of the members’ sense of attachment to the organization. To advance the analysis, we collected data from 949 employees from four industries. The sample consisted of 412 males (43.4%) and 507 females (53.4%). The mean team tenure of the participants was 37.63 months and the average age was 32.64. We designed a robust research model in order to assess model fit and avoid common method variance issues. Using the verified model,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examined to test our research hypotheses. Supporting most predi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team politics and TMT decoup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CWB and a negative impact on ERB. In addition, trust in the team leader had a negative impact on CWB and a positive impact on ERB, and all of the abov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organizational anomie.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TMT decoupling on CWB and ERB was ful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anomie.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detail.

      • KCI등재후보

        중간관리자들의 커리어 및 조직몰입에 대한 조직정치지각의 영향: LMX와 LLX의 조절효과 검증

        코바야시타카코 ( Kobayashi Takako ),김하연 ( Ha Yeon Kim ),강대석 ( Dae Seok K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1 HRD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중간관리자급 직원들이 지각하는 조직정치의 부정적 영향을 다중몰입 관점과 개발적 시각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즉 커리어 및 조직몰입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치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토함과 동시에,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치, 부서장 LMX(leader-member exchange)의 이원상호작용(two-way interaction)과 부서장-경영진간 LLX(leader-leader exchange)를 추가한 삼원상호작용(three-way interaction)을 검토했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수도권에 소재한 4개(금융, IT서비스, 자동차제조, 건설)의 대기업에 근무하는 (부서장이 아닌) 213명의 과장급 이상의 직원들로부터 획득되었다. 분석 결과, 조직정치지각은 커리어몰입과 조직몰입 모두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커리어보다는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부서장 LMX는 지각된 조직정치와 중간관리자급 직원들의 커리어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했다. 지각된 조직정치, LMX, 그리고 LLX의 삼원상호작용 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두 몰입 변수들에 대한 LLX의 강한 주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질 높은 LLX가 중간관리자급 직원들의 조직내 태도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politics×immediate supervisor`s relationship with middle managers (i.e.,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term, which added executive`s relationship with the immediate supervisor (i.e., leader-leader exchange, LLX). Valid and reliable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213 middle managers working in four of the leading corpor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s had negative impacts on both commitments to career and organization. Furthermore, perceived politic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career commitment. The moderation effect of LMX on the predictor-outcome relationships was not found, and nor wa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However, a strong main effect of LLX on the two commitment variables was found, which implies that LLX may play a major role in shaping middle managers` attitudes in an organization.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송용욱,문명,조윤형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the employees in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Also, the process and situation of servant leadership's effect on through job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promotion policies. We set the hypothesis was based on direct effect,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hypothesis and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local governments at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s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job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 on job calling. Also, job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Four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e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Finally, we considered moderated mediate effects which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re low on go along to get ahead’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job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local government public sectors’s servant lead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nurture the servant leader and strengthen the sense of job ca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engagement. Key words: Servant leadership, Job calling,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Go along to get ahead, pay/promotion policies), Work Engagemen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과정과 상황을 고려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 전남지역 기초자치단체 5곳과 광역자치단체2곳에서 총 30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자치단체는 정치⋅행정⋅경제 전반에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근속연수 역시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피기에 충분히 장기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직업소명의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가설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로 조절된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공직에서도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을 높이고 높아진 직업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낮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므로 조직정치를 줄여야 한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자치단체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번트 리더를 육성하여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서번트 리더십, 직업소명의식, 직무열의, 조직정치 지각(가만히 있기, 임금/승진 정책)

      • KCI등재

        상사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원호(Jeung Won Ho),김상훈(Kim Sang Hu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현대 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상사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먼저, 상사신뢰와 직무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사신뢰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직업적 안정성이 보장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검증함으로써 상사신뢰의 효과에 대한 외적타당도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보다 중요하게도, 상사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가치감의 매개효과와 조직정치지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총 260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수집된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사신뢰는 직무만족과 정(+)의 관계를,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가치감은 상사신뢰와 정(+)의 관계가 있고, 직무만족과는 정(+)의 관계,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계가 있었으며, 상사신뢰와 직무태도와의 관계를 매개함이 확인되었다. 조직정치지각은 상사신뢰와 일가치감의 관계를 조절하였는데, 조직정치지각의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상사신뢰가 일가치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사신뢰가 일가치감을 매개로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서도 조직정치지각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value of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politics on the 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perceived value of work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of work.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local government officers.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rust in supervisor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rust in supervisor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mediated by perceived value of work. Finally, the 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perceived value of work were moderated by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lso moderated by organizational politics. This study extend the extant understanding of trust in supervisor by providing explanation of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rust in supervisor exert influence attitudes of organizational members.

      • KCI등재후보

        리더의 주도적 행동과 배려가 구성원의 조직정치지각에 미치는 영향

        최세경(Se-Kyung Choi)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5 창조와 혁신 Vol.8 No.2

        본 연구는 리더의 주도적 행동과 배려가 조직구성원의 조직 내 정치적 분위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때 리더의 복합적인 리더십 스타일 사용이 구성원의 조직정 치지각 감소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함께 고찰하고 있다. 조직정치지각은 Kacmar 와 Carlson(1997)이 제시한 조직정치지각 지표(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Scale : POPS)를 이용하여,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 내 출세를 하기 위해 대세를 따르는 수준, 보상과 승진이 정치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준 등에 대한 지각을 응답하도록 하였고, 리더 행동은 Parker와 Collins(2010)의 주도적 행동과 김가원 (2009)이 제시한 배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직정치지각,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기초로 하여 4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상사와 부하를 한 쌍으로 한 총 173쌍의 응답을 바탕으로 실증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더가 주도적 행동과 배려를 모두 높게 보일 때 보상/승 진 지각이 낮아졌고, 리더의 배려가 높을 때 대세 따르기 지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s on follower'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Data were obtained from a matched sample of 173 white-collar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a single leadership behavior styl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pay and promotion policies while using a complex leadership style of proactive behavior and consideration has negative effect. Second, consideration has negative effect on go along to get ahead but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active behavior and consideration was found.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 can differ in two distinctive political situations and suggests that leaders should adopt different behavior styl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respectively.

      • KCI우수등재

        변혁적 리더 대 진성 리더

        정예지(Ye Jee Jeong),이수정(Soo Jung Lee),김문주(Moon Joo Kim) 한국경영학회 2012 經營學硏究 Vol.41 No.3

        In recent years, we are facing with a serious problem of the market-capitalist system caused by immorality and unethical practice of leaders who have led capitalism.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authentic leadership which has emerged recently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fields in leadership studies. It selects South Korea as the empirical case study. Researchers on authentic leadership have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leadership theories which only concentrating on the skill and style of leaders. They also insist that authentic leaders can make a greater contribution to both long-term and short-term performance than any other types of leaders. In this research, we define authentic leadership as ``a very basic, genuine element and a root construct of positive leadership.`` Authentic leaders are sincere to themselves and exhibit behavior positively and transform or develop associates into leaders themselves. An authentic leader mainly shows two kinds of character which are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Selfawareness is the starting poin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it means that leaders know mission, visions, identity, emotions, motives, and values of leader themselves and their organizations. And authentic leaders also need to be fully aware of themselves. Self-regulation is a kind of self-control mechanism where authentic leaders try to reduce discrepancies between the actual-self and ideal-self. Self-regulation of authentic leadership helps the leader to endure the external influence and pressure. To verify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authors compar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m effectiveness. Although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persuasiveness of the authentic leadership theory, we also try to analyze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t the same time as it is well known for its universality in leadership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both leaderships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e-related performance(team performance and teaminnovativeness) and order-related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ve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However, if the authentic leadership is controlled,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der-related performance(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disappears.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whereas, team innova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re all still significant. In conclusion, authors found the possibilities of authentic leadership in Korean firms and argue that various type of leaderships without authenticity could be just skills, gesture, and style of leaders. Even th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trong effect on changerelated performance,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pseud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rom ``authent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ir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We also discusse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clai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