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 진료에 대한 인식

        최진욱,조희경,이성기,도현진,오승원,임열리,최재경,권혁중,조동영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9

        Background: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a lot of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hen they visit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family physicians’ perception and attitude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and the effect of those factors on the actual physicians’ practice behavior for the disabled. Methods: We sent questionnaires by post mail to 1,000 members listed in the 2007 address book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Medicine. Results: Among the total of 90 family physicians who had answered, 72 (80.8%) had willing attitude to treat the hearing impaired people,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it was essentially a doctor’s duty. In the group who were unwilling to treat the disabled, the most principal reason was that they were not equipped with sufficient facility and medical system. Gender was the only factor affecting the physicians’ attitude significantly and the female doctors had a higher intention to treat the hearing impaired people than male doctors (P=0.035). Age, location of hospital, number of patients, practical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peop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octors’ attitude. The number of physician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s health promotion personall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treatment intention (P=0.007). Nevertheless, few physicians had the willingness to equip the hospital facility for the hearing disabled, even in the group of willingness to treat the disabled.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very few disabled patients visit their clinic, and so forth they felt no necessity to improve and re-organize their clinical environment. Conclusion: Most family physicians are willing to treat hearing impaired people. But even in the willing group, almost all of them are unwilling to improve or equip the medical facilities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personally, because only a few disabled people visit the primary care hospital in the real practice. 연구배경: 청각장애인들은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의료기관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일차진료를 담당하는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진료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 요인들이 실제 진료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도 대한가정의학회 개원의 명부에 등록된 명단에서 임의로 1,000명을 추출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설문 대상 1,000명 중 응답한 가정의학과 개원의 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청각장애인 진료에 대한 태도는 72명(80.0%)이 청각장애인을 진료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였고, 가장 큰 이유는 의사로서의 기본 역할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70명(77.8%)으로 가장 많았다. 진료의향이 없는 가장 큰 이유로는 진료여건이나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서가 14명(15.6%)였다. 청각장애인 진료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유의한 항목은 성별로서 여성에서 유의하게 진료의향이 높았고(P=0.04) 그 외 나이, 근무지역, 일 평균 환자수, 청각장애인 진료경험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 환자의 특성에 대한 믿음은 질병에 대한 지식이나 건강관리 상태 등이 일반인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다소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청각장애인 진료의향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원의가 개인적으로 청각장애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참여를 희망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진료의향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07). 그러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진료환경을 향후 개선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개원의는 매우 소수였으며 개선 의지가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청각장애인 환자가 거의 없어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였다. 결론: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은 대부분 청각장애인을 진료할 의향이 있었다. 그러나 진료의향이 있는 군에서도 청각장애인 환자 수가 소수이기 때문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병원 진료환경을 구비하고 있거나 향후 개선할 의지가 있는 개원의는 매우 적었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청각보장구의 필요 및 보유적절성 연구

        안중호,이진용,김윤,김용익,심현준,이광선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7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0 No.3

        Background and Objectives:Hearing impairment is a common problem that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age and hearing impaired persons need enough and proper medical and social services. We aimed to assess the present status of hearing rehabilitation services and measure the satisfaction of hearing impaired persons in their living. Subjects and Method:We selected a total of 60 persons by stratified randomized systemic sampling from hearing handicapped persons pre-registered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re were 32 males and 28 females with the mean age of 54.0± 17.7 years. We checked the hearing handi-cap inventory (HHI) (AI),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of subjects. Results:From 60 subjects, 35 sub-jects (58.3%) needed hearing aid and 13 subjects (21.7%) needed cochlear implantation. Thirty six subjects (60.0%) were cla-ssified into group 4 and 5 in HHI and the mean VAS score was 4.0± 2.5. Among the 40 subjects with hearing aid, only 7 subjects (17.5%) had a proper device of hearing rehabilitation. In addition, no subjects had cochlear implantation (CI) even though they needed it. Conclusion:From this study, most hearing impaired persons had difficulties in every day living and had emotional problems. The low rate of proper hearing rehabilitation suggested that clinicians have to be concerned about providing hearing rehabilitation and expanding social and medical services for hearing impaired persons. (Korean J Otolaryngol 207 ;50 :198-202)

      • KCI등재

        복합문화예술센터 장애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

        곽철완,김호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inform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ulture and art complex. As a research metho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group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earing impairments, and visual impair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specific information services for these groups of people. The results of the information services needed were indicated, based on four sections: the center web pages, information desk, orientation area, and information search area. Specifically,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active supports would be provided at the information desks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visual impairments as well as facilitie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orientation area, special equipment would be provided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visual impairments, and exclusive seats for wheelchair users. For further studies, a detailed research about the information behavior for visitors with disabilities in the culture and art complex would be needed. 본 연구는 최근에 복합문화예술센터가 증가하면서 방문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체, 청각,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집단면담법을 이용하여 복합문화예술센터에서 제공되어야 할 장애인 정보서비스에 대해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는 홈페이지 정보, 안내 데스크, 오리엔테이션 장소, 정보검색 장소로 구분하여 지체, 시각, 청각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안내 데스크에서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적극적인 서비스와 지체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논의되었다. 오리엔테이션 공간에서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기기 설치와 지체 장애인을 위한 좌석 위치를 제시하였다. 제언으로 복합문화예술센터에서 장애유형별 정보 탐색 행태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직업적응 과정에 나타난 의사소통 경험연구

        전근표(Jeon, Keun Pyo)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직업적응 과정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경험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방식을 세 영역으로 음성언어사용자, 한국수어사용자, 이중언어(수어+음성)사용자로 구분하여 청각장애인이 직장생활을 영위하고 적응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을 의사소통 방식에 따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 영역별 연구참여자들의 의사소통 방식이 청각장애인의 직장 내 소통, 취업과 직업적응, 직업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들, 어려움과 적응과정, 그리고 직장생활에 미친 영향들을 탐색하는 질적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방식별 직업적응 과정에 나타난 주요 요소는 첫째, 직장 내 회의, 강연, 교육을 진행할 때는 문자통역이 필요하며 중요전달사항은 글로써 전달하여야 하고 의사소통 방식에 따른 소통 배려가 필요하였다. 둘째, 청각장애인을 위한 취업준비 및 취업 지원 방안과 맞춤형 직업훈련, 직종개발이 필요하고 적절한 근무환경구성, 장애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하였다. 셋째,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동료의 배려, 소통하는 직장문화 형성, 청각장애인에게 맞는 직무와 환경이 필요하고 청각장애인 스스로 겸손하게 배우고 동료들과 원만한 관계유지를 위해 노력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to be shown in job adapt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divided communication method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into three areas, those are phonetic language user, Korea sign language user, dual language user. It was to identify the required factors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o adapt and maintain work life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It searched how the communication method of research participants in each area affected the communication, employment, job adaptation and maintenance in the workplace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consist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phenomena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difficulties, adaptations and maintenance of work life. In conclusion, the major elements of the process of job adaptation according to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communication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ext message translation need when conduct meetings, lectures, and education in the workplace. Important details should be communicated by text. And they need consideration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ir communication method. Second, They need the way for effici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nd employment support, to implement customized vocational training and job development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lso,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proper working environment and to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Third, They need to understan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o give consideration of colleagues, to form of workplace culture for communicate, and they construct of suitable role and environment along to their characteristics. Also,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need to learn humbly and try for a goo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 KCI등재후보

        한국의 청각장애인 진로・직업교육 변천과정 고찰

        정동영,이효자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of proces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ince 1909 when the educatio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started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reports and statistical data of government and the school magazines of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institu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 with hearing impairments is centered on the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until late 1980s, but welfare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s started to share the its function in early 1990, and in 2000, it is extended to the institution for higher educations. Second, the content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s impairment are started with the subject need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1910s, and it had included the contents which are relevant with occupation in 1930s, and added the contents requir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case of middle schools and the contents related with occupation in case of high schools in 1980s. And in late 1990s, it has changed to choos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Third, even if the method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had been started with instruction within the school boundary of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it was changed to the form of commissioned education to each companies after Korea`s 1945 liberation. Furthermore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in late 1980s and adapted the concept of transition. Therefore we can found tha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in Korea has been progressed from educating them with the contents that are requir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a way of instruction on school-ground at the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offering them contents that is related with occupation by collaboration of institution of education, rehabilitation, and welfare facilities, and so o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본 연구는 한국에서 청각장애인의 교육이 시작된 1909년부터 현재까지 이들의 진로・직업교육 변천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자료와 통계자료 및 청각장애학교의 교지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기관은 191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청각장애학교들이 중심이 되었으나, 1990년대 초부터는 복지기관과 재활기관으로 확대되었고, 2000년대에는 고등교육기관에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내용은 1910년대에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1930년대에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1980년대에 중학교의 경우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을, 고등학교의 경우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체계를 확립하였고, 1990년대 말에 개인의 요구에 따라 내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변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방법은 1910년대부터 학교의 교내지도로 이루어지다 광복 이후에 사업체별 위탁지도의 형태로 전환된 후 1960년대 말에 다시 교내지도로 전환되었고, 1980년대 말에 진로교육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1990년대 말에 전환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청각장애인 진로・직업교육은 처음에 청각장애학교에서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을 교내에서 지도하던 방식에서 현재는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기관, 재활기관, 복지기관 등이 협력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청각장애인 진로·직업교육 변천과정 고찰

        Lee, Hyou ja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of proces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ince 1909 when the educatio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started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reports and statistical data of government and the school magazines of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institu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 with hearing impairments is centered on the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until late 1980s, but welfare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s started to share the its function in early 1990, and in 2000, it is extended to the institution for higher educations. Second, the content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s impairment are started with the subject need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1910s, and it had included the contents which are relevant with occupation in 1930s, and added the contents requir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case of middle schools and the contents related with occupation in case of high schools in 1980s. And in late 1990s, it has changed to choos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Third, even if the method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had been started with instruction within the school boundary of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it was changed to the form of commissioned education to each companies after Korea`s 1945 liberation. Furthermore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in late 1980s and adapted the concept of transition. Therefore we can found tha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in Korea has been progressed from educating them with the contents that are required for self-reliance in living in a way of instruction on school-ground at the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offering them contents that is related with occupation by collaboration of institution of education, rehabilitation, and welfare facilities, and so o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본 연구는 한국에서 청각장애인의 교육이 시작된 1909년부터 현재까지 이들의 진로·직업교육 변천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자료와 통계자료 및 청각장애학교의 교지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기관은 191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청각장애학교들이 중심이 되었으나, 1990년대 초부터는 복지기관과 재활기관으로 확대되었고, 2000년대에는 고등교육기관에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내용은 1910년대에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1930년대에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1980년대에 중학교의 경우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을, 고등학교의 경우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체계를 확립하였고, 1990년대 말에 개인의 요구에 따라 내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변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진로·직업교육 방법은 1910년대부터 학교의 교내지도로 이루어지다 광복 이후에 사업체별 위탁지도의 형태로 전환된 후 1960년대 말에 다시 교내지도로 전환되었고, 1980년대 말에 진로교육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1990년대 말에 전환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청각장애인 진로·직업교육은 처음에 청각장애학교에서 생활 자립에 필요한 내용을 교내에서 지도하던 방식에서 현재는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기관, 재활기관, 복지기관 등이 협력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인 보청기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대(S. D. Lee),박정배(J. B. Park),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보청기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4차년도 장애인 고용패널 5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Andersen-Newman의 서비스 이용모델을 기반으로 선행요인, 가능성 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청각장애인의 보청기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요인에서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능성 요인에서는 총소득이 낮고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욕구요인에서는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보청기 사용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In order to understand those factors to influence the hearing-impaired in connection with their using hearing ai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21 hearing-impaired people examined by a fourth-year Kore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first, used Andersen-Newman service use model to categorize any influential factors into precedence factors, possibility factors and desire factors, and second, in order to look into how these factors would work on the hearing-impaired’s using the hearing aids, the study conduct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precedence factors, when the hearing-impaired people are older and more highly-educated, they would be happier to use the hearing aids while when it comes to the possibility factors, when the gross income of these people is lower but when they are more willing to accept the fact that they have a disability, they would have a fewer problems with using the hearing aids. In addition, regarding the desire factors, when the hearing-impaired people can hear relatively better than the other hearing-impaired, they would be more significantly willing to use the hearing aids.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learned, the study discussed the limits of its research and proposed implications.

      • KCI등재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조사

        김기원,고영준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9 No.-

        청각장애인들의 장애로 여겼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문자나 영상 서비스 등을 이용으로 거리나 공간의 제약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서비스로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체험 분야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이 문화시설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장애 요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 조사를 통해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사용자의 경험의 이해 및 요소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두 번째, 국내 문화예술체험 앱 개발 사례를 통해 정보구조 분석 및 국가정보화기본법 제 32조 5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기준으로 준수정도를 평가하였다. 세 번째,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소속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퍼소나 모델링을 하였다. 네 번째, 관찰조사를 위해 청각장애인 중 대표사용자 4명과 비장애인 2명을 선정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을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여 청각장애인 배려 앱 개발 시 참고할 사용자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주요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는 수화영상과 자막의 동시 제공을 들 수 있고 정보구조의 단순화, 소리 및 음성에 대한 시각적·촉각적 피드백 제공, 익숙한 매체를 통한 디자인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 Eve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nce regarded as an obstacles of hearing-impaired people, it became possible to communicate without space or distance limit thanks to the message utilizing mobile device or screen service. Although these services are carried out, however, many hearing-impaired people are having discomfort because of services that did not consider them.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experience, there occurred many cases that hearing-impaired people experienced much discomfort due to lack of service that considers them. Thus, this research intended to ease the discomfort regarding the application service use when hearing-impaired people use cultural facilities and understand the user request for cultural facility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hearing-impaired people through user survey in order to remove the obstacles. For the research method, fist, literature was studied regarding the understanding and factors of user's experience and features of hearing-impaired people. Second, through the case of cultural art experience application development, observance level was evaluat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section 5 of 32 articles of information structure analysis and Framework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ird,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deaf belonging to the Korean deaf undergraduates association and based on its results, modeling was done for more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users. Fourth, for observation investigation, 4 representative users among hearing-impaired people and 2 people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had usability test.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ound in the research above, hearing-impaired peopl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nd user's claims that will be referred upon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the deafs were synthesized and suggested. User's claims resulted include sign language image, same time provision of caption,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visual and tactual feedback provision regarding the sound and voice, design provision through familiar media.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조사

        김기원 ( Ki Won Kim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9 No.-

        청각장애인들의 장애로 여겼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문자나 영상 서비스 등을 이용으로 거리나 공간의 제약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서비스로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체험 분야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이 문화시설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장애 요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 조사를 통해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사용자의 경험의 이해 및 요소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두 번째, 국내 문화예술체험 앱 개발 사례를 통해 정보구조 분석 및 국가정보화기본법 제 32조 5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기준으로 준수정도를 평가하였다. 세 번째,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소속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퍼소나 모델링을 하였다. 네 번째, 관찰조사를 위해 청각장애인 중 대표사용자 4명과 비장애인 2명을 선정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을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여 청각장애인 배려 앱 개발 시 참고할 사용자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주요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는 수화영상과 자막의 동시 제공을 들 수 있고 정보구조의 단순화, 소리 및 음성에 대한 시각적·촉각적 피드백 제공, 익숙한 매체를 통한 디자인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 Eve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nce regarded as an obstacles of hearing-impaired people, it became possible to communicate without space or distance limit thanks to the message utilizing mobile device or screen service. Although these services are carried out, however, many hearing-impaired people are having discomfort because of services that did not consider them.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experience, there occurred many cases that hearing-impaired people experienced much discomfort due to lack of service that considers them. Thus, this research intended to ease the discomfort regarding the application service use when hearing-impaired people use cultural facilities and understand the user request for cultural facility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hearing-impaired people through user survey in order to remove the obstacles. For the research method, fist, literature was studied regarding the understanding and factors of user``s experience and features of hearing-impaired people. Second, through the case of cultural art experience application development, observance level was evaluat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section 5 of 32 articles of information structure analysis and Framework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ird,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deaf belonging to the Korean deaf undergraduates association and based on its results, modeling was done for more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users. Fourth, for observation investigation, 4 representative users among hearing-impaired people and 2 people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had usability test.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ound in the research above, hearing-impaired peopl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nd user``s claims that will be referred upon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the deafs were synthesized and suggested. User``s claims resulted include sign language image, same time provision of caption,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visual and tactual feedback provision regarding the sound and voice, design provision through familiar media.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근무만족도와 관리자의 고용만족도 조사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성민아,정은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8 장애와 고용 Vol.18 No.2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근무만족도와 청각장애인을 고용한 고용주 또는 관리자의 고용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청각장애인 29명 관리자 1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청각장애인의 근무환경에 대한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인은 대부분이 5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 월급제로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구직은 친구나 선후배를 통해 하고 있고, 정확한 출퇴근시간과 휴일보장이 근무조건의 1순위이면서 동시에 가장 큰 이직사유이기도 하였다. 이직은 1-2번 정도 있었고 이직 시 친구나 선후배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직업훈련 경험이 직무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으나 직업훈련경험이 적으므로 체계적인 직업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고용환경으로 관리자들은 대부분 장애인 고용의무제를 계기로 채용을 하고 있으며, 청각장애인의 고용에 대해서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용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점은 학교직업교육에서도 관리자들의 요구와 필요를 파악하여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인간관계 기술과 적응지도를 심화시켜 좀 더 현장에 부합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셋째, 보수와 안전시설, 복지, 전반적인 만족도 면에서 종사자들은 만족하고 있었고, 관리자 역시 적정하다고 보고 있는 점이 상호 부합되고 있다. 다만 근무시간과 휴무보장에 대해서는 종사자와 관리자가 다소 다른 평가를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를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관리자의 청각장애 종사자에 대한 요구를 보면 고졸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동료와 상사와의 원활한 관계형성과 언어능력을 요구 하였으며 취업 전 진로상담과 직업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학교와 직업훈련기관에서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직업전 교육과 의사소통 능력 배양, 인성교육 등을 통해 단순노무와 생산으로 제한된 직종과 업무를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On this research I grasp company's object which plan to employee a person with hearing impaired and improvements after employment to maintain employment security so researches manager's satisfaction and a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desire after employment and education of human nature and vocational training before employment and present work condition for them so I hoped to be an indication for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 The object of subjects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from 29 person with hearing impaired who works on and 19 managers on 9 company excluding company which had closed and bankruptted. The conclusion from the research are below. First, in case of a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work satisfaction, choice condition was narrow from choice of a types of business to be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Most respondent were work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a way of looking for job was not various just choose a job by friends or seniors and juniors. Also reason of defections by overwork and holiday work was high so work time and holiday is important factor on holding down a job. The overall of work satisfaction was good and had a positive mind about manger's concern, safety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and consult with manager when in trouble. On the one hand experience on vocational training was helpful to work so they need educational system before a job and vocational training. Secondly, managers were satisfied mostly on a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employment and had a extra plan to employee them. They had a positive mind on communications, refered a institution and a special school for employment and satisfied with skill of work. Employer and manager who employee a person with hearing impaired require a high school graduate and making a good relation with a manager and a fellow and linguistic ability. To develop making a good relation and linguistic ability requires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effort by oneself and effective seat arrangement and a regular counsel and manager or employer's continuous concern and elevation on conversation by writing will lead to more good work activity. Also manager said that one´s course counsel and vocational training must be proceeded before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