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의 도입

        김인호 대한변호사협회 202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9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may face concurring claims in tort arising in connection with a contract.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has been well developed in a contract.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little experience on the operation of party autonomy in the field of t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party autonomy is to be introduced in tort, and, if it is, it's the extent and limits. It is time to revisit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with party autonomy in a limited fashion to expand party autonomy to enhance legal certainty and also to protect weaker par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ut limits on party autonomy to protect weaker parties. The revision could get a lesson from Rome II Regulation extending party autonomy to a tortious obligation with necessary limits. While article 14 of the Regulation allows an ex ante choice as well as an ex post choice of law to govern a tortious obligation, it limits the freedom of choice to enhance legal certainty and foresseability. According to article 14, an ex ante choice of law is not permitted in a consumer contract or an employment contract to which all the parties are not pursuing a commercial activity. The limits set by article 14 to protect weaker parties should also be observed when the applicable law to a tortious obligation is determined by way of the accessory connection of article 4(3).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operation of article 14 will extend party autonomy to the field of torts beyond the field of contracts. It is noted that for the purpose of consistency Rome II Regulation should be referred to when introducing party autonomy in the PIL because the PIL is based on Rome Convention predecessor to Rome Regulations. First, this paper reviews whether there is need for party autonomy in the field of torts. Then, when doing so, this paper reviews discriminating regulation due to timing of the agreement, express and implied agreements, consent and material validity of the agreement, any permissible content, eligible laws, dépeḉage, and parties to th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examines the rights of third parties and preservation of mandatory provisions to protect conflicting interests when introducing party autonomy. Then, this paper reviews limits on party autonomy by internationally mandatory provisions and public policy. Also the paper reviews whether the conditions set out in article 14 apply to indirect party autonomy by way of the accessory connection mechanism. This paper proposes and interprets a provision introducing party autonomy in torts based on Rome II Regulation. When relying on accessory connection,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limits set out by article 14 should also be observed to protect weaker parties. This paper proposes a provision extending party autonomy in torts and suggests interpretation thereof. This research could enhance forseeability of the parties and contribute to the revision of the PIL in the field of torts striking balance between conflicting interests. 국제거래관계에서 계약위반으로 인한 채무가 발생하면서 또한 이와 함께 불법행위에 기한 채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전자에 관한 당사자자치는 널리 인정되는 것으로 확립되어 있으나 후자에 관한 당사자자치의 인정 여부 나아가 인정하는 경우 그 범위와 한계에 관하여는 상대적으로 법리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제한적으로 당사자자치를 규정하고 있는 국제사법을 개정하여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확장하여 인정함으로써 당사자의 예견가능성을 제고하고 한편 당사자자치를 확대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충되는 다른 법익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를 위하여 당사자자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넓게 인정하면서 필요한 제한을 하고 있는 로마 II 규정의 조항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로마 II 규정 제14조는 불법행위에 관하여 사후 준거법의 합의는 물론 나아가 사전 준거법의 합의를 허용하되 그 한계를 명확히 획정함으로써 불법행위의 준거법에 관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견가능성을 제고하고 있다. 로마 II 규정 제14조는 당사자가 영업활동을 영위하지 아니하는 소비자계약이나 근로계약의 경우에는 불법행위에 관하여 사전 준거법의 합의를 허용하지 아니한다. 이 경우 로마 II 규정 제4조 제3항의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결정할 때에도 두 조문 간의 조화로운 해석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라는 로마 II 규정 제14조의 취지를 존중하여 종속적 연결을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향후 로마 II 규정 제14조의 합리적 해석을 통하여 당사자자치는 계약의 영역을 넘어 불법행위의 영역에서도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사법이 로마규정의 선행체제인 로마협약을 기초로하고 있으므로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도입함에 있어 로마 II 규정을 검토하는 것이 일관성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당사자자치를 도입할 경우 당사자자치의 요건으로 준거법 선택의 시기에 따른 차별적 규율의 필요, 준거법의 명시적 선택과 묵시적 선택, 준거법 합의의 존재와 유효성, 허용 범위와 한계, 선택할 수 있는 준거법의 범위, 준거법의 분열, 준거법 합의의 당사자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한편 당사자자치의 도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충하는 다른 법익의 보호를 위하여 제3자의 권리 보호와 순수 국내사건에서의 제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당사자자치에 대한 국제적 강행규정과 법정지의 공서에 의한 제한을 검토하였다.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지정하는 경우 불법행위에 관하여 간접적으로 당사자자치를 인정하는 결과가 되므로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에 관한 규율이 종속적 연결에 의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로마 II 규정의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에 관한 규율을 기초로 우리나라 국제사법에 도입될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를 규정하는 조항을 제시하고 그 해석을 검토하였다. 특히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지정하는 경우 소비자계약과 근로계약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를 위한 해석이 필요하다. 국제사법에 불법행위에 관한 당 ...

      • KCI등재

        지방자치와 정당공천제 -기초의회의원을 중심으로-

        이종훈 ( Jong Hoon Lee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3 世界憲法硏究 Vol.19 No.3

        The 6th nationwide local government & parliament election is going to be held on June 4, 2014. Considering such election, it should be necessary whether political parties influence, especially, on local parliament election by using of method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at a party officially announce it would nominate and support a specific candidate to the public (“Party-Nomination System”) would be desirable or not. The Party-Nomination System regarding local autonomy has several pros and con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assertion which political parties must always influence on local government & parliament election, based upon the fact that local autonomy possesses an aspect of value distribution, is not rational. It would be desirable that rather because local autonomy possesses an aspect of value distribution, value distribution shall be made objectively and only for the interest of resident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political interests and/or regionalism. And, at this time, the problem is that a talented newcomer hoping to enter into local government and parliament could be blocked by the Party-Nomination System. Also, because a certain political party has dominated a specific local government & parliament in past local election, it would be highly possible that much proble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at a certain political party takes advantage of a local government & parliament for only it`s own political interest has arisen, in terms of being mutually checked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parliament.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turnout of election of the turnout of local government & parliament has been far lower than that of election of the President and/or Congressmen, it could be concluded that a lower turnout in the aspect of local autonomy based upon the Party-Nomination System meant the failure of political responsibilities. And, due to the Party-Nomination System, especially under a political situation that a nomination guarantees winning an election, the risk that a candidate bribes a political party for nomination cannot help existing. Furthermore, it would be the tendency that the bribery relating to the Party-Nomination System could be easily connected into corruption crime in the process of operation of official duty by a successful candidate. Next, several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Party-Nomina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nstead of the Party-Nomination System, introduction of the method that a candidate selects a political party he supports and express the party to the public as he likes (“Candidate Expression System”), should be necessary. By using the method, it is highly expected that side effects of the Party-Nomination System could be reduced, because the method makes candidates of local government & parliament less subordinated to the nationwide politicians. Second, in case of repealing the Party-Nomination System, it would be highly probable that the ratio of winning numbers of women be decreased. In preparation for this situation, women registration list method (“Women Registration List Method”) that only women could be candidates and competition should be made among only women, could be considered. Third, in order to fortify direct democracy, the method that local voters over a certain number could propose a local bill to the local parliament directly and such bill be passed upon a consent of majority by local assemblymen, could be taken into account. Fourth, even though a person who a criminal penalty over a probation be sentenced and finalized under the violat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nd/or the Political Fund Act, would be pardoned and/or his penalty being in no effect in the future, a legislation that such person shall not be run for election to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and/or the local assemblymen must be established promptly. In sum, to realize a fundamental ideal of local autonomy such as the autonomy by local residents, but considering minimizing a turmoil in actual life due to a rapid change of institution, the Party-Nomination System shall be repealed, at least, in the election of assemblymen of a city, county and district office, provided that it would be highly desirable that the method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Candidate Expression System and/or the Women Registration List Method mentioned above, in order to solve side effects arising from abolishment of the Party-Nomination System, shall be supplemente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regarding the Party-Nomination System shall be revised immediately in preparation for 2014 National Local Autonomy Election to be held 6 months later.

      • KCI등재

        지방자치구현과 지역정당

        강재규(Kang, Jae Gyeu)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1 No.2

        The true realization of the local autonomy is the desirable direction of human society to go. The ultimate goal of decentralization is the realization of full democracy of State and society, by returning a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ower in the area to the residents of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to the closest residents from local governments. Also, the ideal of local autonomy is that our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national sovereignty and democracy will actually be realized in the local administration. For its realizatio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and democracy must be settled to the far corners of the country and society. And all institutions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nhanced in direction that constitutional principles can be realized. I called this as a comple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democracy. Today, developed local governments of the world shall exercise their various authorities, such as foreign policy, territorial jurisdiction of the sea, the rights to regulate private property, including a broad range of taxation. Because local governments were delegated such authority from States. Therefore, local governments can regulate them with their own ordinances. In Japan, many of the local governments enact their basic ordinances which is called as ‘Constitution of Local Government.’ I think these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unlike the global trend such as for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because the nature and operation of political party system in our current Constitution and Political Party Law is consisted of centralism and its operating too, national party subordinates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election. As well as it significantly hurts the ideal of local autonomy in Constitution, and compared to the flow of world history that is the tru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 this is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Therefore, this researcher thinks that ‘political decentralization’ is essential for strengthening and expanding of local autonomy, and also strongly argue that the free activity and establishment of local party should be guaranteed as a useful tool for political decentralization. Local party is a political association to collect the entire public opinion is secondary purpose, but to resolve the local issues and to gather public opinion of local residents is primary purpose. The local residents have a primary responsibility for local issues, so they should endeavor to resolve them. Under our current legal system, these local parties are not accepted, but they will be secured by the freedom of association in our Constitution(Article 21, Paragraph 1). But local parties can’t be the subject of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our current legal system, and also they can’t participate in the election, because they can’t be met the requirements that Political Party Law and Election Law need. Therefore, in order to guarantee the freedom of establishment and their activities, and to participate in local elections, the revision of our current Political Party Law and Election Law is urgently needed. If so, the national party and local party will be able to compete fairly in a the two-dimensional system. Then, our political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will be taking place concurrently. I hope that our current Political Party Law and Election Law will be amended soon. If these laws quickly will be amended, by looking at examples in other countries, the establishment of local parties can be institutionalized by law, and the national parties and local parties shall be equally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se laws. Once again, I strongly argue that the political decentralization is our urgent task to solve for tru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 진정한 지방자치의 실현은 인류사회가 나아가야할 바람직한 방향이다. 지방분권의 최종적인 목표는 주민, 특히 주민과 가장 가까운 기초자치단체의 주민에게 지역의 정치․행정에 관한 권한을 돌려줌으로써, 국가․사회의 완전한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길이다. 또한 지방자치의 이념은 우리 헌법이 최고의 원리로 삼고 있는 국민주권주의, 민주주의를 지방행정에 실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주권주의와 민주주의라는 헌법이념이 국가․사회의 구석구석까지 뿌리를 내려 활짝 꽃을 피울 수 있도록,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제도는 이들 헌법원리가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필자는 이를 일컬어 국민주권주의와 민주주의의 전국화 라고 부른다. 세계의 지방자치 선진국들은 지금까지 중앙정부의 권한이던 사무, 예컨대 외교정책, 영해 등 바다의 관할권, 재산권 등 기본권의 규제, 과세권 등을 포함한 광범한 권한까지 지방자치단체의 규범인 조례로써 규율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사항으로 하고 있다. 일본에서 다수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치단체의 헌법’이라할 수 있는 자치기본조례를 제정하는 것도, 이러한 추세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지방자치의 확대강화를 위한 세계적 흐름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현행헌 법과 정당법상의 정당제도는, 그 제도가 갖는 중앙집권주의적인 성격과 그 운영방식 때문에 중앙당이 선거라는 형식을 통해 지역을 중앙에 예속시킴으로써, 헌법이 규정하는 지방자치의 본지를 현저히 해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진정한 지방자치의 구현이라는 세계사적 흐름에 오히려 역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치의 지방분권화’야말로 지방자치의 확대강화를 위해 필수적 이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치의 지방분권화’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서의 지역 정당(local party)의 설립과 그 자유로운 활동이 적극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말하는 지역정당이란 “전국가적인 국민의사 형성과정에의 참여는 이차적인 목적에 지나지 않고, 주로 지역문제의 해결 내지 지역적 의사형성에 참여하는 것을 주목적 으로 하는 정치적 결사체”를 말한다. 이는 지역의 문제에 대해서는 지역주민이 1차적 으로 책임을 지고 해결하여야 하는 지방자치의 본지에도 부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정당은 현행법상 허용되지 않지만, 헌법상 결사의 자유(제21조 제1항)에 의해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정당은 현행 정당법상 정당설립의 요건을 충족시킬수 없기 때문에, 정당법상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될 수 없고, 선거법상 선거에 참여할 수도 없다. 따라서 지방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지역정당의 설립․활동의 자유를 보장 하기 위해서는, 입법론적으로 정당법과 공직선거법의 개정이 시급하다. 그럴 경우 정당 제도는 국가정당과 지역정당이라는 2원적 시스템으로, 상호 선의의 경쟁을 통해 정당 제도와 지방자치의 발전을 견인하게 될 것이다. 필자는 앞으로 우리나라도 현행 정당법과 공직선거법의 조속한 개정을 통해, 외국의 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지역정당의 설립이 법적으로 제도화되고, 현행법상의 정당과 동등하게 헌법과 정당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희망한다. 또한 궁극적으 로는 현행법상의 정당도 지방선거에서 후보를 낼 수 있고, 반대로 지역정당 역시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에서 후보자를 냄으로써, 현행법상의 정당과, 앞으로 설립될 지역 정당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정당제도로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진정한 지방 자치의 구현을 위해서는 정치의 지방분권화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중재 자치의 개념과 내용

        손경한(Kyung Han Soh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성균관법학 Vol.24 No.3

        Recently, discussions on arbitral autonomy have been substantially increased.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hurdles for arbitral autonomy. This paper starts with the issues of institutional grounds for arbitration system and theoretical grounds for arbitral autotomy. The author argues that arbitral autotomy derives from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which encompasses not only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but also the Principle of Autonomy in Dispute Resolution. This paper classifies arbitral autotomy into two categories, i.e., autotomy of arbitral party and autotomy of arbitrator. The autotomy of arbitral party includes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agreement, autotomy of arbitral party as to arbitrator, autotomy in choice of law and in arbitration procedure. the parties to an arbitration agreement enjoy freedom in conclusion of an arbitration agreement including designation of the seat of arbitration and the subject matter thereof, namely, arbitrability. Further, the parties are free to determine the arbitrator’s authority, to exempt arbitrator’s liability as well as to appoint arbitrator(s). The author argues that the freedom of the parties in choice of both substantive and procedural law for the arbitration should be guaranteed. As a part of autotomy of the parties in arbitration procedure, the right to appeal for arbitral award may be waived and enforcement of an arbitral award can be granted even after the award has been set aside by the local court. On the other hand, autotomy of arbitrator is another significant part of arbitral autonomy. Arbitrator can designate the seat of arbitration absent from that of the parties. Arbitrator has the power to determine his own authority, known as Competence - Competence, and arbitral procedure including the power to order interim measures prior to final award. In the absence of the parties’ choice, arbitrator may exercise its authority to determine the governing law for substantive issues as well as procedural issues. The author requires municipal courts respect arbitration agreement to the maximum extent and limit their authority in intervening arbitration procedure. In order to enhance and secure arbitral autonomy, he wishes international rules therefor to be established as early as possible. he envisions that an ultimate autonomy in arbitration can be realized by introducing a system of self-enforcement of arbitral awards without aid of municipal courts.

      • KCI등재

        현대 국제사법에 있어서 당사자자치의 원칙의 근거와 수용현황

        오석웅(O, Seog-Ung)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8 No.-

        국제사법상 ‘당사자자치의 원칙(Principle of Party Autonomy)’이란 외국적 요소를 갖는 법률관계에 적용될 준거법을 당사자가 스스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전통적인 국제사법의 관점은 객관적인 요소를 개입시켜 법률관계의 ‘본거(Seat; Sitz)’를 탐구하여 준거법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당사자에게 법 선택의 권한을 부여하는 당사자자치의 원칙은 오늘날 가장 보편적인 국제사법원칙의 하나로서 세계 각국이 그 입법례에서 널리 채택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채권계약 분야에서 인정되었던 당사자자치의 원칙이 최근에는 채권계약 외의 분야, 예컨대, 불법행위와 같은 법정채권법 분야나 부부재산제, 이혼, 상속 등의 국제가족법 분야에서도 이를 수용한 입법이 늘고 있다. 따라서 당사자자치원칙이 국제사법상 하나의 대원칙으로서 채권계약뿐만 아니라 그 외의 법 분야에도 확대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그 취지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은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도 그 논의의 필요성이 크다고 본다. 이들 분야에 있어서는 채권계약과 달리 제한적으로 당사자자치의 원칙을 도입하고 있지만, 보다 본질적으로 왜 당사자자치의 원칙을 인정해야하는 근거를 찾음으로서 당사자자치의 의의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객관적 연결이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의 ‘임시방편의 해결방안’이라는 종래의 소극적 근거에서 벗어나, 당사자의 이익에 적합한 법적용의 실현, 예견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의 확보라고 하는 관점에서 당사자자치의 원칙의 근거를 찾는다면, 이를 계약이라고 하는 분야로 한정하여 인정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최근 계약 외의 분야에서 당사자자치의 원칙을 도입한 입법례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대 국제사법상 당사자자치원칙의 의의와 그 인정근거에 대해 고찰하고, 현재 당사자자치의 원칙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에 대해 입법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traditional method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originates in Savigny’s doctrine. It designates out of several conflicting laws with which the category of the relevant legal relationship has the closest connection(Seat). Thus, the possibility for the parties to select a different law to govern their contractual relationship was excluded. But after the 19th century,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ntract, the party’s freedom to choose the applicable law was accept. As an conflict of laws principle, party autonomy authorizes the parties to select the applicable law.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universally accepted bedrock principle of the international law of contractual obligations. In the meantime, party autonomy continues its advance into new legal fields. Some authors have characterized party autonomy as a ‘stopgap solution’, i.e., a second best which, notwithstanding its scholarly imperfection, is preferable in light of its practical benefits. More positive grounds of party autonomy have been provided in light of its utility. The parties’ choice of law ensures legal certainty and predictability. Further, party autonomy enables parties to make risk calculations by selecting the law governing the contract in combination with a choice of court or arbitration agreement, even though in practice such is not frequently taken advantage of.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understood this way is supposed to respect the expectations of contracting partie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basis and the expansion of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in contemporary private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도 – 비판적 검토와 대안을 중심으로 –

        김해원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2

        1. Local governments shall deal with administrative matters pertaining to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manage properties, and may enact provisions relating to local autonomy,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And the organization and powers of local councils, and the election of members; election procedures for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other matters pertaining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shall be determined by Act. In this regard, Art. 47 (1) of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tipulates Party Nomination System(“A political party may nominate its member as a candidate within the limits of the fixed number to be elected in each constituency in an election”). 2. The Constitutional Court did not decide that Art. 47 (1) of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s unconstitutional. Although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cannot be said to be unconstitutional, it is not a system conducive to the realization of constitutional values. 3.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does not conform to the spirit of Local Autonomy under the Constitution, and it is also heterogeneous with the Party System under the Constitution. 4.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And in the area of Local Autonom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Residents Autonomy Association that can replace the Party and introduce Residents Autonomy Association Nomina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5. It is not rational to introduce Local Political Party as a mea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 a Local Government Elections. This is because a Party is an organization that participates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s political will, not the residents, and a Local Political Party is also a Party. (1)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자치권은 지방선거를 통해서 정당성을 확보한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에 의해 구체적으로 행사되는데, 지방선거가 지방자치단체 외부 행위자의 개입을 통해 좌우되면 지방자치권의 구체적 행사 또한 왜곡되거나 개입한 외부 행위자를 위해 복무할 가능성이 있다. 관련해서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도가 지방자치를 왜곡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국가기관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것은 아닌지가 논란이 되고 있다. (2) 헌법재판소는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도의 근거인 현행 「공직선거법」 제47조 제1항 제1문으로 인해 헌법상 지방자치제의 본질이 훼손될 우려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해당 법률조항을 위헌이라고 판단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입장은 중요한 정치적 쟁점이 민주적 정당성에 바탕을 둔 정치과정이 아니라 비선출직 법복 관료의 논리에 의존한 사법 과정으로 해소되는 것은 가능한 한 지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3) 그러나 헌법적 최소정의가 아니라 헌법적 최대정의에 주목해서 더 나은 제도를 모색하려는 차원에서 살핀다면, 지방선거에서 정당이 후보자를 추천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사적 결사체인 정당의 공천행위는 정당 내부적 자율행위로서의 성격만 갖는 것이 아니라 공적 선거제도의 한 부분이란 점에서 일정한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지방선거는 지방자치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을 선출하기 위한 제도인 점, 정당은 본질적으로 주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하기 위한 조직이 아니라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하기 위한 조직인 점, 헌법이 국민과 주민을 분별하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뚜렷하게 대립시키면서 동시에 국가사무와 자치사무의 구분을 예정하고 있는 점, 지방자치 영역에 정당이 개입하여 그 영향력을 키워가는 것은 헌법이 예정한 분별과 대립 및 구분을 흐릿하게 하고 국민이면서 동시에 주민인 정치공동체 구성원들의 심성구조를 왜곡할 우려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법률로써 지방선거에서 정당의 후보자추천을 금지하는 것을 위헌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며, 오히려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제도를 폐지하는 것은 정당의 본질적 기능을 강화하고 정당을 매개하여 초래되는 중앙정치(인)에 대한 지방정치(인)의 예속과 국민의 이익・의사에 의해 주민의 이익・의사가 왜곡되는 현상을 완화하여 지방자치 이념을 구현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4) 다만 지방자치 영역에서도 정치적 의사의 효과적인 중개나 책임정치의 실현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관들에 대한 감시・통제, 그리고 의사결정의 효율성은 중요하며 유능한 지방정치인의 양성과 교육 또한 도외시할 수 없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주민 대부분은 동시에 국민인 현실을 고려해서, 지방자치를 위한 선거제도를 설계 및 구축함에 있어서 특별히 국민과 주민 ・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 국가사무와 자치사무 각각에 대해 민감하게 분별할 수 있는 합리적인 계기 또한 의도적으로 쌓아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도를 폐지하더라도, 정당 혹은 지역정당과는 구별되는 ‘주민의 이익・의사를 위해서 주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주민의 자발적 조직으로서의 정치적 결사(주민자치결사)’ ...

      • KCI등재

        헌법상 지방정당의 역할과 보장

        정철(Chul Ju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6 世界憲法硏究 Vol.22 No.3

        한국 정당내부의 민주주의가 정착되지 못한 것은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전국정당의 영향력에 말미암은 바가 크다. 헌법은 지방자치제도를 헌법적으로 보장하고 동시에 자유민주주의의 핵심적 가치로서 복수정당제도를 보장하고 있다. 이런 헌법정신으로부터 정당제도와 지방자치제도는 상호결합되어야 한다. 전국을 조직단위로 전국정당화를 지향하고 있는 현행 정당법은 헌법의 지방자치제도와 복수정당제의 요구를 실현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전국을 조직단위로 하지 않고 또한 다수의 당원요건을 구비하지 못한 지방정당 혹은 소규모 정당 역시 헌법상의 정당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지방정당은 지방자치의 선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지방선거에서 경쟁적 구도를 실현하고 나아가 그 조직범위를 넓혀 전국정당을 지향하여야 한다. 독립성을 갖춘 지방정당을 통해 공직후보자들이 리쿠르트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정당은 지방의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역구 국회의원, 도지사, 그리고 공직의 정점인 대통령으로 이어지는 공직의 사다리를 제시하며 공직후보자들의 야망을 자극하면서 이들을 정당의 후보로 추천해야 한다. 헌법이 보장하는 지방자치와 정당의 결합을 통해 지역정치에서 정당의 역할이 강화되고 이런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확산되는 튼튼한 조직력과 세계관을 갖춘 정당이 전국정당이 되어야 우리 민주주의가 보다 더 다원적으로 국민의 이해를 대변할 수 있고 정당 내부의 민주주의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런데 현행 정당법은 정당등록의 요건으로 너무 강화된 전국적 조직을 요구하고 있어 아래로부터의 정당정치의 출발을 제약하는 것이어서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정당설립의 자유를 심히 제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정당등록과 그 취소요건의 완화가 필요하다. The centripetal characteristic of Korean Political Party system has made the democracy of party weak.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not only the local autonomy system(§117; §118), but also plural party system(§8). So it is imperative for two systems to be combined in order to guarantee the spirit of constitution. According to Korean Political Party law, political party should have at least 5 nation-wide local(province or great city) organizations each of which should has more than 1,000 party members. Local party or small party that does not achieve this requirement can not work as a political party. So Korean Political Party law has hindered the meaningful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and Plural Party System. Local party should become national party in the future which has nation-wide organizations according to Korean Political Party law, taking part in local election actively. In addition, local party establish a recruiting channel for public official all over the country. Party should recommend public office candidate in the name of party in the advent of election showing the candidate the ladder of public office. The role of local party in local politics is very important. Independence of local party is essential for the inner democracy of political party. Finally, it is necessary Korean Political Party law should be amended for the advent of local party in local politics. Strict registration requirement on party organization and party member should be abolished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의 정당개혁 담론 변화와 정당의 적응성

        박경미 ( Kyung Mee Park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3 韓國 政治 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당들이 정당개혁 요구를 어떻게 수용하였는지를 정당 적응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그동안의 정당개혁은 어떤 비전과 내용을 갖는 것이었으며 그리고 2012년 시점의 정당개혁 담론과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2012년양대 선거에서 작용하였던 정당개혁의 담론은 무엇이었으며, 이에 대한 주요 정당의 적응성에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이에 대한 답을 위하여 이 연구는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정당개혁을 중심으로 정당개혁 담론과 당내 거부세력의 존재에 따른 정당 적응성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2년 정당개혁 담론은 정책 어젠다의 구체화라는 대표의 기능에 중점을 둔 정당의 적응성과 자율성을 모두 요구하는 것이었다. 정당 변화에 저항하는 거부세력이 약화된 새누리당은 전반적 변화를 모색하는 전면개혁을 이루었던 반면, 정파 간 세력균형이 팽팽한 민주통합당은 절차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부분개혁에 그쳤다. 이는 2012년 선거국면에서 새누리당이 민주통합당에 비해 정치적 환경 변화에 높은 적응성을 보였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Korean parties accept the demands from party reforms in terms of party adaptability. How different are visions and contents of party reform around 2012 compared to those before 2012? What kinds of differences are found in party adaptability and its political consequences in Saenuri and Minjutonghap parties? This study analyzes the consequences of party adaptability with peculiarities of party reforms and intra-party power balances. The discourse of party reform demanded each party`s adaptability and autonomy to accept political changes. Seanuri party, with weak veto power, could drive party reform to displace the previous characteristics, while strong veto power led Minjutonhap party to introduce another institution on the previous ones. This shows that party adaptability of Saenuri party was higher than Minjutonghan party around the 2012 elections.

      • KCI등재후보

        미국정당공천시스템의 자율화 경향 분석

        박상철 미국헌법학회 2009 美國憲法硏究 Vol.20 No.1

        미국의 정당공천시스템은 1896년 공화당 주지사 후보지명전의 비민주성을 비판한 라폴렛(La Follette)이 주도하여 1904년 주민투표를 통해 도입된 직접예비선거제도를 기점으로 정당공천의 민주성 확보라는 획기적 변혁이 일어났고, 2000년 California Democratic Party v. Jones 사건을 계기로 정당내부사항의 자율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시도되는 변화와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1960대 이후 최고조에 달했던 정당퇴조현상이 21C에 접어들면서 정당책임정치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 미국적 상황이다. 이에 미국 정당공천시스템도 당내민주화 달성의 기반 위에서 자율성확보 경향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요컨대 미국정당공천시스템의 자율화 경항 분석은 정당의 자율성확보가 곧 정당의 민주화(당내민주주의)에 근거하여야 된다는 정당의 민주화와 자율성의 상호관계를 확정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한국민주주의의 위기가 본질적 의미에서 참여의 위기라기보다는 정당정치 및 대의정치의 위기라면 그 핵심은 정당공천시스템에서 출발하고 있으므로 정당공천에서의 민주화와 자율성 확보는 시급한 헌법적 과제이다. 구체적으로 미국정당공천시스템의 당내민주화 확보 이후 자율성 강화로의 경향은 한국 주요 대중정당의 공천시스템 변환철칙으로 삼을 만하다. The Constitutional issues in the political candidate nomination system of USA are the complementary faces of Democracy and Autonomy. The uptrend nomination system of the political party should be provided concretely in the legislation of USA, but in Korean Political Party Act it provided abstractly as "democratic process". By making comparison study of two States, the legislation of USA should be prescribed too positively, but the Korean passively. According to the political party clause (the article 8 clause 2) of the Korean Constitution, Political Party Act Art 29 and public office Election Act Art 47, the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should be performed democratically. There is dual character in the political party candidate nomination system; a private one as internal matters of the political party and a public one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rocess of the public office election. American primary election system contributes to improve an essential element of a whole election system of a State. The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of the prime minister in England and Japan is similar to American primary election system. As a result of undemocratic process of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the independent democracy will be damaged.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political parties candidate nomination system of USA including the complementary problem of Democracy and Autonomy.

      • KCI우수등재

        법률행위의 당사자 확정 - 대법원 2017. 11. 14. 선고 2014다21021, 21038 판결; 대법원 2019. 01. 17. 선고 2016다256999 판결 -

        박수곤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행위자 아닌 타인의 명의로 법률행위가 이루어진 경우에 당사자 확정의 문제가 대두되기도 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법률행위 해석의 문제로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본고에서 분석한 대법원판결들에서는 행위자가 타인의 명의로 법률행위를 하지 않은 경우에도 그 타인을 법률행위의 당사자로 확정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이며, 특히 무효행위 추인 또는 대리의 법리에 기대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 판결들이 다루고 있는 사안들에서 과연 법률행위의 해석이 필요하였는지 그리고 무효행위의 추인 또는 대리의 법리를 적용한 논리의 전개가 자연스러웠는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제3자가 법률행위에 개입한다고 하더라도 특별히 제3자의 명의를 이용하거나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법률행위를 한다는 표지가 드러나지 않는다면, 그 제3자는 법률행위로 인한 권리의 귀속 및 의무의 이행과정에서 단순히 권리를 취득하거나 의무이행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행하는 자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논리의 귀결이라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즉 본고에서 검토한 판결들이 다루는 사안에서 제3자는 당사자 중 일방의 채무이행을 대행하는 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하더라도 논리적으로는 문제가 없었다는 것이다. 다만, 이 판결들에서는 법률행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제3자가 당사자로서의 지위를 취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우리 민법상 뚜렷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무효행위의 추인 또는 대리의 법리를 차용한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법률행위가 강행법규에 반하거나 사회상규에 반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 않는 한, 사적자치의 원칙에 입각하여 법문의 규정에 얽매이지 않고 그 유효성을 인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고에서 검토한 판결들에서 다루는 사안들은 본고에서 살핀 바와 같이 기존의 ‘제3자를 위한 계약’ 법리에 기초하거나, 소위 ‘제3자의 행위에 대한 약속’ 또는 ‘제3자의 행위 담보계약’의 법리에 의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었을 것이며, 향후 제3자의 행위가 관여되어 있으나 당사자의 확정이 문제되는 사례들에서는 이러한 법리들도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When a legal act is performed in the name of someone other than the actor,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parties has emerged, and in this regard, it is generally treated as a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he legal act. However,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nalyzed in this paper, it is noteworthy that the other person is confirmed as a party to the legal act even if the actor did not perform the legal act in the other person’s name.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by relying on the legal principles of ratification of invalid acts or representation.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interpretation of legal acts was really necessary in the cases covered by these rulings and whether the development of logic applying the legal principles of ratification or representation of invalid acts was natural. Even if a third party intervenes in a legal act, if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third party’s name is specifically used or that the legal act is performed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the third party may simply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attributing rights and performing obligations resulting from the legal act. In other words, even if it had been judged that a third party was a person acting on behalf of one of the parties to fulfill the obligation in the cases covered by the rulings reviewed in this paper, there would have been no logical problem. However, in these rulings, based on the judgmen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clear basis under our civil law for a third party not directly involved in a legal act to acquire the status of a party,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legal principles of ratification of invalid acts or representation was adopted. However, as long as a legal act does not contain content that is contrary to mandatory laws or social norms, its validity may be recognized without being bound by the provisions of the law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n other words, the issues covered in the rulings reviewed in this paper could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 legal principle of ‘contract for third party’, ‘promise for the acts of a third party’ or ‘contract guaranteeing the actions of a third party’. It is hoped that these legal principles will also be applied in the future to cases where the actions of a third party are involved but the determination of the parties is problema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