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이야기 연행의 양상과 실제(Ⅰ) - 외국인 기록물을 중심으로 -

        이민희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30

        This paper was aimed at exploring with performing patterns of storyteller in the late of Choseon Dynasty, which based on foreigner's records. There are not a few records to describe precisely the scene of fiction reading, the performance of storyteller and the Pansori's performance. However, foreigners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ppearance of reading the novel aloud and pansori singing. That's because the way of actual performance was similar. They were entertainers to be able to talk, sing and act professionally in common. Storyteller and fiction reader had a show in a similar way to the pansori performers. Professional storyteller's stories were one of sources that g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formation of pansori's original contents. One of Pansori's formation was caused to add to special song's techniques and musical elements on the original story of professional storyteller. And later pansori was made by 'play song', which meet the demands of the 18~19th centuries and a sense of audience. While the novel was read by a professional storyteller who learned the ways of recitation from memory with the form of so-called 'story songs'. The general public also enjoyed generally the recitation and reading aloud in life, which is not required in the form of special arts. Recitation of novel and story song which enjoyed easily in life were unique storytelling way to respond to demand of professionality, time and interest by readers of the day. 본고는 조선후기 이야기꾼의 이야기 연행 양상과 그 실제를 외국인 기록물을 중심으로 살피고 그 역사적 실상을 재구성한 것이다. 외국인 기록물 중에는 소설 낭독과 이야기꾼의 공연, 그리고 판소리 연행 장면을 구체적으로 포착해 낸 것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들 외국인의 기록에서 소설 낭독과 판소리 광대의 연행이 별반 다르지 않게 묘사되고 있다. 이들이 그것을 구별하지 못했거나 구분하지 않았던 이유는 실제 연행 방식 면에서 그 차이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17세기 장생의 연행으로부터 20세기 초 외국인들의 눈에 비친 판소리 광대와 전기수의 공연에서 그러한 통시적 변화상을 읽어낼 수 있다. 이들은 공히 이야기와 노래, 그리고 연기에 능한 예능인이었다. 이야기꾼 또는 소설 낭독자의 연행 방식과 판소리의 연행 방식의 유사성을 통해 상보적 이해가 가능하다. 원래 판소리의 이야기 출처 내지 사설 형성에 있어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것 중 하나가 이야기꾼의 사설이다. 그런데 후대에 판소리는 이야기 광대의 이야기에다 歌唱 기법과 음악적 요소를 가미해 이를 ‘연극 노래’로 발전시킨 것이다. 반면 소설 낭독은 음영과 송독의 방식을 능숙히 익힌 전문적 이야기꾼이 소위 ‘이야기 노래’로 키워 나간 결과라 할 수 있다. 일반인들도 낭송과 낭독을 생활 속에서 즐겼는데, 일반적으로 특별한 기예가 요구되지 않는 誦讀의 방식을 이용했다. 오늘날 소설을 읽어주는 정규헌은 일반 송독자인 데 반해, 조수삼이 언급한 ‘전기수’는 전문적 소설 낭독자이자 이야기꾼으로서 이 둘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생활 주변의 단편적인 이야기를 들려주던 재인(광대)들의 기예에서 출발해, 판소리는 당대 독자들이 흥미를 느낄만한 세련된 음악적 요소를 개발, 적용시켜 그 고유한 영역을 구축한 반면, 전기수의 소설 낭독은 음악적 요소보다 내용(의미) 전달에 초점을 두고 그 고유한 영역을 마련했다. 생활 속에서 쉽게 향유하던 歌唱과 吟詠, 誦讀은 당대 전문성과 시대성, 그리고 흥미성을 갖춘 연행자에 의해 점차 그 고유한 영역을 구축해 나갔다.

      • KCI등재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과 전망

        이문성(Lee Moon-s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은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장끼전』등 4종 9편이 확인된다. 『춘향전』 영역본의 경우, 알렌(H. N. Allen)의 작품(CHUN YANG)은 현지 일반인을 위한 독서물이고, 러트(Richard Rutt)의 작품(The Song of a Faithful Wife, Ch"un-Hyang)은 일반인을 넘어서 해외 한국학 관계자를 위한 독서물이라고 할 만하다. 『심청전』 영역본의 경우, 알렌의 작품(SIM CHUNG)과 스킬렌드(W.E. Skillend)의 작품(The Story of Shim Chung)은 경판 계열의 교훈적인 내용을 잘 드러내고 있다. 마샬 필(Marshall R. Pihl)의 작품(The Song of Shim Ch" ng)은 완판 71장본을 영역한 것으로서 판소리 예술적인 면모를 강조한다. 테일러(Charles M. Taylor)의 작품(Winning Buddha"s Smile)은 불어판을 영역한 것으로서 『심청전』의 내용과 더불어 군담소설의 흥미소를 담고 있다. 『흥부전』의 경우, 알렌의 작품(HYUNG BO AND NAHL BO)은 경판계열 이본을 축소하고 변개시킨다. 『장끼전』의 경우, 피터 리(Peter H. Lee)의 작품(The Story of a Pheasant Cock)은 ‘현대어로 재구된 『장끼전』’을 영역의 저본으로 삼는다. 피터 리의 작품은 ‘현대어로 재구된 선본(善本)’을 번역한 만큼 좋은 번역물로 평가된다.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을 위해서는 선본을 해외 번역진에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고전문학 전공자와 영문 번역자의 공동(번역)작업이 필요하다. 해외 우수한 번역진과 한국 고전문학 전공자의 공조가 가능하다면,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의 전망은 밝다고 할 만하다. Pansori’s novel is based on pansori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ince 1889, english translators focu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especially pansori’s novels. Four kinds of pansori’s novel a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english abroad. Chunhyangjeon is the love story between Chun-hyang, a daughter of a gisaeng, and Lee, Mong-ryong, the son of a local magistrate in Namwon, south Jeolla province. This is one of the best love story in Korea. Simcheongjeon is the story of Sim-cheong who helps his blind father and becomes a heroine of filial piety. At last, she becomes a queen and his blind father opens his eyes. Heungbojeon is a tale of the unsophisticated, innocent Heung-bo and his greedy elder brother Nol-bo. Heung-bo cures a poor swallow. This swallow brings a good luck gourd seed to Heung-bo. As the fully grown gourds contain a lot of treasures. Heung-bo becomes very rich. But Nol-bo breaks a leg of another swallow. It brings a bad luck seed to Nol-bo to be poor. Jangggijeon is the story of a pheasant cock which represents an obstinate male ego. This pheasant cock does not listen an advice of his wife, a pheasant hen. And then he eats a poison bean to be dead. These works have the important roles to present pansori’ novels to english readers abroad. We have to translate more pansori’s novels and the best work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or promoting not only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korean culture abroad. Korean scholars and english translators have to work together for the best work.

      • KCI등재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과 전망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P>&nbsp;&nbsp;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은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장끼전』등 4종 9편이 확인된다. 『춘향전』 영역본의 경우, 알렌(H. N. Allen)의 작품(CHUN YANG)은 현지 일반인을 위한 독서물이고, 러트(Richard Rutt)의 작품(The Song of a Faithful Wife, Ch&quot;un-Hyang)은 일반인을 넘어서 해외 한국학 관계자를 위한 독서물이라고 할 만하다.</P><P>&nbsp;&nbsp;『심청전』 영역본의 경우, 알렌의 작품(SIM CHUNG)과 스킬렌드(W.E. Skillend)의 작품(The Story of Shim Chung)은 경판 계열의 교훈적인 내용을 잘 드러내고 있다. 마샬 필(Marshall R. Pihl)의 작품(The Song of Shim Ch&quot; ng)은 완판 71장본을 영역한 것으로서 판소리 예술적인 면모를 강조한다. 테일러(Charles M. Taylor)의 작품(Winning Buddha&quot;s Smile)은 불어판을 영역한 것으로서 『심청전』의 내용과 더불어 군담소설의 흥미소를 담고 있다.</P><P>&nbsp;&nbsp;『흥부전』의 경우, 알렌의 작품(HYUNG BO AND NAHL BO)은 경판계열 이본을 축소하고 변개시킨다. 『장끼전』의 경우, 피터 리(Peter H. Lee)의 작품(The Story of a Pheasant Cock)은 ‘현대어로 재구된 『장끼전』’을 영역의 저본으로 삼는다. 피터 리의 작품은 ‘현대어로 재구된 선본(善本)’을 번역한 만큼 좋은 번역물로 평가된다.</P><P>&nbsp;&nbsp;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을 위해서는 선본을 해외 번역진에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고전문학 전공자와 영문 번역자의 공동(번역)작업이 필요하다. 해외 우수한 번역진과 한국 고전문학 전공자의 공조가 가능하다면,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의 전망은 밝다고 할 만하다.</P>

      • KCI등재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 소재 <구운몽>에 대하여

        엄태웅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이 글은 율문체가 빈번히 나타나는 <구운몽> 이본의 개괄적 특징과 더불어 작품의 원문(입력본)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자료 소개를 목적으로 하였지만, 이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은 사실 신자료라는 명칭과 어울리지 않는다. 그 문헌은 바로 고전소설 연구자들에게 매우 낯익은 전집인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9권)이기 때문이다. 익숙한 문헌에 수록되어 있었으면서도, 이 이본은 선본 계열이 아니기 때문에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이본은 신자료로 소개받을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문체적․내용적 독특함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구운몽> 이본은 여러 갈래로 다채롭게 전승되면서 여러 색다른 이본을 만들어냈다. 이 이본 또한 그러한 과정에서 산출된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형태의 율문체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율문체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장르 및 문화에서 온 것인지는 추후 상세한 고증을 통해 밝혀야 할 것이다. 다만 필사기를 통해 볼 때, 이 이본이 판소리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해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original text(input text) of the original version of <Ku-un-mong> which has a rhythm. Although it was intended to introduce new materials, in fact, this copy is included in the 9th volume of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which is a material familiar to researchers. The versions of <Ku-un-mong> has been handed down in a variety of ways to create a variety of different version. This version also appears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However, at the stage of introducing the material,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whether the rhythmic style in this text was influenced by Gasa(歌辭) or Pansori. However, the transcription weighs in the assumption that this versi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Pansori. It is included in a famous collection, but has not been introduced to date. Accordingly, an input copy of the original text was presented to be us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영문 판소리동화 그림책의 번역양상 고찰

        오윤선 ( Oh Yoon-sun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7 No.-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를 제재로 한 그림책들을 대상으로 영역(英譯)양상을 살펴보았다. 영문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을 구입하는 독자들 가운데는 한국문화를 배우기 위한 사람들이 많은데, 판소리동화가 이런 목적에 가장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흥부전> 9편, <토끼전> 2편, <심청전> 3편 등 모두 14편의 영문 판소리동화 그림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의외로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이 아닌,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까지 출판된 영문 한국설화집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았다. 게다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초래된 오류들이 현재의 출판물에도 수용되어 있었다. 번역의 단계를 보면, 먼저 판소리의 특징을 살리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소재를 활용하여 어린이 독자에게 맞는 변개의 단계를 거쳤다. 다음으로 타문화권 독자를 위해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개작을 거쳤는데, 어린이 독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타문화는 지극히 제한적이므로, 문화요소의 내용 변용이 불가피했다. 이와 같은 단계들을 거쳐 영문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을 출판하는 데는, 한국문학 전문가, 아동문학 전문가, 영어번역 전문가들의 협업이 필요하다. 이는 개인의 힘이나 일개 출판사의 힘으로는 어렵기에, 국가차원의 다양한 방면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Many customers purchase English picture books of Korean folk tale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Picture books based on pansori novels can be considered the most fitting for this purpo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nglish picture books that retell the folk tales from Heungbu-jeon, Tokki-jeon, and Shimcheong-jeon. There are a total of 14 English picture books of Korean folk tales, namely 9 Heungbu-jeon, 2 Tokki-jeon, and 3 Shimcheong-jeon books, and the influence of the English versions of Korean folktale stories published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s still present. However, images such as Shimcheong wearing a white gat(traditional Korean hat) or Shimcheong wearing a necklace and fancy clothing before falling into the waters of the Indangsoo are reflections of distorted facts in currently published picture books. Distorted Korean culture, including excessive devotion to one`s parents, also remains in currently adapted books. The repetition of words and phrases and the rhythmic writing style make pansori novels suitable for child readers. In addition, humorous expressions and structures, such as those in which items in gourds can either repay a debt or exact revenge, are suitable for fairy tales. If an adaptation suitable for fairy tales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it would lead to the publishing of an excellent English picture book of Korean folk tales.

      • KCI등재

        이와야 사자나미(巌谷小波)의 <龍宮の使者> 연구

        이진오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40 No.-

        Envoy of Yonggung<龍宮の使者> is included in the volume 64 of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世界お伽噺)』 which Iwaya Sajanami(巌谷小波) published in Japan in 1904. Sajanami published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世界お伽噺)』 by collecting various tales(說話) and novels of the world, which introduced <Envoy of Yonggung(龍宮の使者)>, as a representative novel of Joseon. This work was adapted based on the work that Iwaya Sajanami took over from Lee, injik(李人稙, 1862~1916). It has a great significance, since as Lee, injik is known as a new-style novel writer, he had actively acted in Chang-geuk(唱劇), as well as modern novel after having returned from study in Japan. Envoy of Yonggung<龍宮の使者> in this research can be said to be a work that Lee, injik left when he was studying in Japan. This way, Iwaya Sajanami included the work from Lee, injik in『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世界お伽噺)』 by trimming a little bit, which described comparing Land palace world and Water palace world based on Joseon and Japan, while saving the beauty of song lyrics, e.g. “Portrait of rabbit(토끼畵像)” part, etc. This seems to have minded the view on Joseon from the position of the 19th century's Japan and Japanese children, the reader group of this work. Envoy of Yonggun<龍宮の使者> of Iwaya Sajanami has a significance, in respect that it contained the aspect of Tokkijeon of late 19th century~early 20th century, an adapted work in Japan, which influenced modern children's literature. <龍宮の使者>는 이와야 사자나미(巌谷小波)가 일본에서 1904년 출판한 『세카이오토기바나시(世界お伽噺)』 제64편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사자나미는 세계의 각종 설화(說話)와 소설을 수집하여 『世界お伽噺』를 편찬하였는데, 조선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龍宮の使者>를 소개하였다. 이 작품은 이와야 사자나미가 이인직(李人稙, 1862~1916)에게 넘겨받은 작품을 바탕으로 개작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인직은 우리에게 신소설 작가로,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뒤 근대소설뿐 아니라, 창극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에서 다루는 <龍宮の使者>는 이인직이 유학시절 일본에 남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야 사자나미는 이렇게 이인직에게서 받은 작품을 다소 손질하여 『世界お伽噺』에 수록하였는데, “토끼화상(토끼畵像)” 대목 등 가요사설의 미감을 살리는 한편, 육지세계와 수궁세계를 조선과 일본에 대비하여 묘사하였다. 이는 19세기 말 일본인의 입장에서 조선을 바라보는 시각과 이 작품의 독자층인 일본 아동을 염두에 둔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야 사자나미의 <龍宮の使者>는 19세기 말~20세기 초 토끼전의 모습을 담고 있다는 점, 일본에서 개작된 작품이라는 점, 또한 근대 아동문학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