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稗說에 그려진 妓生

        김준형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한국학연구 Vol.20 No.-

        이 글은 조선조 패설집에 그려진 기생 이야기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패설집에 수록된 기생 이야기는 총 17종의 패설집에서 135편이 확인된다. 1편에 그려진 대부분의 이야기는 기생을 수단으로 바라보는 형태다. 이러한 현상은 패설이라는 갈래가 지닌 특성에서 비롯된 것 일수도 있다. 즉 패설은 인간의 삶의 문제보다는 인간의 행동을 모방하여 그려내기 때문에 기생의 삶에 대해 전면적인 문제를 삼을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후기 패설집에는 부분적으로 '인간적인' 기생이 등장한다. 패설집에 이러한 이야기가 수록될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야담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궁극적으로 패설에서 기생을 수단으로 그린 것은 패실집 찬자가 기생을 인간으로 이해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은 문학 갈래가 담당해야 할 몫이 정해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조선 초기에는 기생에 대한 이야기의 중심은 패설에 놓여 있었는데, 후기로 갈수록 기생 이야기의 중심은 야담이나 세태소설로 옮겨지게 된 것이다. 후기 패설집에서 기생을 다룬 이야기가 갑자기 줄어들 수밖에 없었던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stories of Kisaeng in Paeseol-collections. Stories of Kisaeng are 135 versions in 17 kinds of Paesol-collections. Narrators in Paeseol-collections regard Kisaengs as means of laughing. These Phenomena are originated from features of the genre of Paeseol. The Paeseol imitates behaviors of human beings. So editors of Paeseol-collections didn't describe the life of Kisaengs with reality. But Paeseol-collections edited at the late Choseon dynasty seldomly portrayed Kisaengs as herselves. This kinds of stories are influenced by the genre of Yadams. Even if the editor of Paeseol-collection thought Kisaengs as human beings, the characters of Paeseol-collection didn't hers due to her positions. That is the reason why stories of Kisaengs decreased in Paeseol-collections written at the late Choseon dynasty. Most stories of Kisaengs were found in Yadams and Saetae-novels(世態小說).

      • KCI등재

        『櫟翁稗說』에 나타난 滑稽의 유형화와 미적 특징 연구

        장풍석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6 No.-

        고려 후기에 저술된 사대부 필기류인 櫟翁稗說 (前集二) 뒷부분에는 골계적 성격을 띤 18편의 글이 연속적으로 실려 있다. 본고는 이 18편의 글과 ‘滑稽’라는 미적 범주와의 역학 관계에 착안한 것으로 한·중 골계문학에 있어 그 독보적인 위상을 재조명하였다. 본고는 이 일련의 글을 이제현이 편찬 의식에 의해 ‘골계’를 다른 체재와 구별하고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로 보았다. 고려시대 골계적인 글을 저술하는 것은 宋代 시화를 비롯한 필기류가 성행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宋代와 고려시대 필기류에서는 우스운 글을 산재하게 싣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櫟翁稗說 은 그런 체재를 일신하여 사대부들이 ‘閑談’하는 수많은 소재에서 ‘골계’를 하나의 유형으로 자아낸다는 점에서 前代의 필기류와 차별성을 보인다. 미적인 측면에서 사대부의 일상적인 소재를 저변에 둔 櫟翁稗說 은 대상을 신랄하게 풍자하여 사나운 골계미를 분출하지 않았고, 오히려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이야기의 흥미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이른바 ‘부드러운 골계미’를 드러냈다. 이러한 골계미의 지향은 기본적으로 ‘破閑’의 목적에 기반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작가의 사대부 계층에 대한 지극한 관심과 자부심이 내재해 있다. 사계층을 대상으로 그들의 주변에 벌어진 흥미롭고 익살스러운 이야기를 담론하고 문학으로 가공한다는 것은 당시 문인지식인층의 일종의 심미적 취향이었다. 이러한 성향을 돋보이게 하고자 글에서 여러 敍事적 요소와 修辭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인물 중심의 기록으로서의 櫟翁稗說 은 여러 골계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하였다. 서사적인 측면에서 이 18편의 글에서 ①인물이 하는 말 ②인물의 몸짓과 행동 ③인물이 처한 상황 등을 묘사하여 인물의 골계성과 이야기의 골계미를 빚어내고 있다. 다른 한편, 言語遊戱와 같은 간단한 언어적 장치 외에 문장의 멋을 살리도록 한시의 삽입은 중요한 수사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The latter part of Yeogong Paeseol, a collection of Scholar-Officials士大夫’ writings written in the late Goryeo Dynasty, contains 18 humorous texts. This paper focuses o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18 texts and the aesthetic category of ‘Humor’ and re-examines its unique status in Korean and Chinese humor literature. This study views this series of texts as the result of Yi Je-hyeon李齊賢’s writing consciousness of classifying ‘humor’ into one typ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types. The writing of humorous texts during the Goryeo Dynasty took place in an atmosphere where the ‘note works筆記類’, including poetry criticism詩話, was prevalent during the Song Dynasty. However, it was common to include humorous texts scattered throughout the writings of the Song Dynasty and Goryeo Dynasty. Yeogong Paeseol is different from the style of the previous period in that it renews that system and creates ‘humor’ as a type from the numerous materials that Scholar-Officials ‘discuss閑談’. On the one han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Yeogong Paeseol, which is based on the daily subject matter of the Scholar-Officials, did not show ‘Wild Humorous Aesthetics’ by harshly satirizing the subject, but rather emphasized the so-called ‘Gentle Humorous Aesthetics’ by highlighting the interest of the story that could cause laughter. This is basically based on the purpose of ‘discuss’, but behind it is the author’s interest in and pride in the Scholar-Officials class. Discussing interesting and humorous stories that happened around them and processing them into literature was a kind of aesthetic preference of Scholar-Officials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to highlight this aesthetic preference, various narrative elements and rhetorical techniques were utilized in the writing. Yeogong Paeseol, as a character-centered record, embodied several humorous characters. In terms of narrative, these 18 texts describe what the character says and the character’s gestures and actions, as well as the situation the character is in. Besides, in addition to simple linguistic devices such as ‘word play言語遊戱’, the insertion of Chinese poetry漢詩 to enhance the style of sentences acts as an important rhetorical technique.

      • KCI등재

        조선후기 현실과 야담

        임완혁(Lm, Wan-hyuk) 대동한문학회 2011 大東漢文學 Vol.35 No.-

        야담 또는 한문단편의 형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구연화와 기록화는 큰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는 그 구체적인 실상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기록화의 실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조선후기에 나타난 서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서사 기록물의 향유자 및 기록자의 실질적인 상을 살펴봄으로써 기록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17세기 이후의 서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문자 그대로 남녀노소 모두에게서 넘쳐난다. 어린 아녀자에서부터 팔순의 여인, 학문을 연마하는 젊은 선비에서부터 한가하게 지내는 노인까지 서사물을 향유하였던 바, 야담 또는 한문단편의 발전은 이런 서사의 시대라는 토양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야담의 향유층은 通儒를 지향하는 사대부 계층이다. 이들은 젊은 시절에는 博覽의 방편으로, 노년에는 破閑의 도구로, 일상에서는 역사 이야기 또는 사료의 보충자료로 패설을 접하였다. 때문에 야담, 패설의 창작과 향유는, 물론 구연화의 과정도 중요하지만, 사대부들의 독서 행위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야담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들은 대부분 박학을 추구한 선비였다. 이 선비들에게 나타나는 藏書家, 讀書癖, 通儒의 지향 등의 면모는 야담의 향유와 기록 양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코드이다. 조선전기나 후기나, 야담과 筆記에 대한 사대부들의 관점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조선후기의 서사적 환경 - 서사에 대한 관심의 고조, 중국에서 쏟아져 들어온 서사물의 독서와 그에 따른 서사적 욕구의 상승, 세계의 현상을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는 개방적 의식의 고양, 역동적 사회관계의 변화와 그에 따른 다양한 인간형의 등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조선전기의 필기와 구별되는 질적 변화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Hanmundanpun or yadam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of a fragment of the larger meanings of recorded pixels oral narrated action. In previous studies, its lack of concrete had the discussion about the reality is thought. This pa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documentation indicated in the late Joseon epic of the documentary description about the social interest and historian was to examine the practical phase. Since the 17th century, the interest in narrative, literally from all ages can be found. From young girls to the old ladies, a study from the leisure to cultivate the young scholar to spend up to seniors who enjoy paeseol bar, yadam or hanmun short narrative of the foundation will be made at the age of the soil. Enjoyment of yadam, nobleman level is nobility level-oriented. These are people who had read for extensive knowledge their youth, and the elderly, they read to spending time, everyday story of the history, the tangent of the feed supplement was to be paeseol. That’s why Yadam and paeseol are creation and enjoyment of the act of reading is closely linked. Most people who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yadam and the pursuit of erudition were scholars. A book collector, the reading habit, TongYU, etc, enjoy yadam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written characters is the code. Yadam writing or reading about and writing a very different perspective is suspected. However, the late Joseon’s narrative environment-an epic for all social interest sof the heightened, China’s flood came an epic water reading and the subsequent narrative needs and levels rise, the world’s phenomena broadly seeking to understand the conscious cat, the dynamic of social relations due to a variety of changes and humanoid appearance of the handwriting and the Korea Electric is a distinct qualitative change will have been achieved. Joseon yadamjip in best summarizes the above “ChungYadam” fully reflect the social realities of the late Joseon who had a case will.

      • KCI등재후보

        가족의 의미망을 통해 본 야담

        Kim Joon hyeong(金埈亨)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이 글은 가족 이야기를 통해 야담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씌어졌다. 야담집에는 현대 의미의 가족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족은 당시 이데올로기의 한 방편으로만 존재했다. 실제 야담집에서 가족의 의미를 담은 용어는 가인(家人)인데, 이 말은 크게 두 형태로 쓰였다. 그 하나는 한 집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이며, 다른 하나는 친족의 개념이 강한 가문이다. 야담집에 쓰인 가족은 이 두 가지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둘은 이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당시 사회에서 가구와 가문은 서로 떨어져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야담집에서 가족으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애정보다 가문의 번성을 위한 조건이 더 중시된다. 따라서 가족으로 편입되기 위해서는 가문을 빛내야 하는데, 그 양상의 중심은 과거에 급제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야담에서 애정은 부정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야담집에서 애정 이야기 역시 애정 이야기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거 등을 통한 현달에 의해서만 비로소 가문에 복귀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은 패설과 일정한 차이가 있다. 패설은 정을 긍정하기 때문에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현실을 부정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반면 야담은 현실을 긍정하는 측면에서 이야기를 전개하기 때문에 현실성이 강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This essay aims to research characters of Yadam by stories concerning family in Yadam books. There is no family, family just like the same meaning in present days in Yadam books. But there is the word, family member(家人). It has two meaning. The first, it means family members in a house, the second it means the family which includes blood relatives. There is no other meaning except these conceptions about family In Yadam books. The family member who separated from the original family has to pass the highest level state examination for reunion with his family. This mean that the social state is more important than the love. This character of Yadam book is different from the Paeseol. The love is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state. The story in Paeseol books affirms the false situation but that of Yadam books deny the fictional world. That is the main reason why the story in Yadam books lays stress on the social state.

      • 패설집 나타난 소수자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

        김준형(Kim, Joon-Hyeong) 한국어문교육학회 2013 어문학교육 Vol.47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패설집에 수록된 마이너리티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을 살폈다. 조선후기 패설집에는 소수자의 얼굴이 다수 등장하는데, 그 모습은 크게 세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사회적 약자의 중세 이데올로기를 공고하게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보는 견해다. 이 견해는 지배층의 시각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강하다. 둘째, 소수자의 문제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되었다고 고발하는 견해다. 셋째, 고발조차 할 수 없는 자들은 감성을 극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현상 등은 감성의 유로에서 만들어진 문학적 형상화라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stories of Minority in Paeseolollections. Seoul changed into a commercial city from the 17th century. There were a lot of urban problems because of individual desires and the class had the financial power emerged as a newly ruling class. Paeseol-collections contents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Ideological emphasis. The second type is Political criticism. The third type is Overflow of emotions. Minority as well as a more harmonious growth between human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the final goal of this thesis.

      • KCI등재

        실재한 사건, 다른 기록 - 『태평한화골계전』을 중심으로 -

        김준형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이 글은 문명전환의 기운이 흥성하던 여말선초 잡록의 등장 배경과 그 과정에 나타난 글쓰기의 변화, 그리고 변화된 글쓰기가 지닌 의미를 살피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 텍스트로 『태평한화골계전』을 선정하였다. 조선 초기 문인들은 이제현의 『역옹패설』을 잡록의 전범으로 삼았다. 『역옹패설』은 파한을 표면에 내세웠지만, 그 이면에서는 역사성을 지향한다. 이는 문인과 역사가가 구분되지 않았던 동아시아 서사학의 전통이기도 하다. 선초 서거정이 이 책을 본받아 저술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실제 『태평한화골계전』에 수록된 작품을 보면 역사적 글쓰기와 문학적 글쓰기 사이에 간극이 크지 않다. 『태평한화골계전』을 통해 역사를 보완한다는 작가의 책무가 작동한 까닭이다. 그러니 『태평한화골계전』에 대한 접근 방식을 ‘정통 대 비정통’ ‘공식 대 비공식’의 문제로 맞춰야지, 이를 온전한 허구적 글쓰기로 치부하는 것은 잘못이다. 『태평한화골계전』에 실린 이야기는 다른 잡록에도 중복된다. 그것은 실재한 사건을 다른 경로로 접한 탓이지, 잡록 상호 간 직접적인 영향 관계에 놓인 것은 아니다. 그런지라 실재한 사건을 해석하여 평가를 할 때에도 사례에 따라 다른 평가가 마련되기도 한다. 이 역시 역사를 해석하는 사가의 입장이 반영된 결과다. 여말선초 문명전환의 시대에 문인들이 잡록을 즐겨 편찬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그 하나는 일상에 대한 관심이고, 다른 하나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이 그러하다. 인간의 운명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에서 자신의 실천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낙관론에 따른 결과라 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background of appearing on the end of Goryeo and early Joseon when the spirit of civilization transition was high along with the change of writing and implication of the changed writing as appeared in the process. For resolving the issue, <Taepeonghanwhagolgejeon> is selected as the main text. The intellectuals in initial time of Joseon had Lee Je-hyun’s <Yeokong Paeseol> as the model of Japrok. <Yeokong Paeseol> was set out for killing time, but it strives for historic value on its inner side. This is the tradition of the East Asian Study on lyrics that was not classified by literary men and historians. This is why Seo Geo-jeong quoted this book. In fact, <Taepeonghanwhagolgejeon> did not have significant gap between the historic writing and literary writing.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author to supplement the history through <Taepeonghanwhagolgejeon> was great. However, <Taepeonghanwhagolgejeon> should be approached as the issue of ‘legitimacy versus non-legitimacy’ and it is wrong to consider as a fiction. The story quoted on <Tae> is overlapped in other Japroks. However, the matters actually occurred were recorded in different routes that each author renders different assessment. This also has to be considered as reflecting the position of historians that interpreted the history. At the end of Goryeo and early Joseon, namely, the era of civilization transition, the reasons to write this Japrok is largely outlined in two ways. One is the interests in the ordinary matter and the other is the practice in the ordinary life. This is the result following the optimism that the destiny of human may be possible only under its own practice in the space where we live in.

      • KCI등재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곽현서,김민영,전지용,정은혜,김주엽,현소담,정진우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3

        Recently, the demand for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vehicles, such as an electric kickboard, is increasing explosively because of its high portability and usability. However,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personal mobility vehicles has also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To address the issues regarding the driver’s safety,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hat can monitor context information around personal mobility vehicles using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nd smartphone captured videos. In the proposed framework, a smartphone is attached to a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a front or rear view is recorded to detect an approaching object that may affect the driver's safety. Through the detection results using YOLOv5 model, we report the preliminary results and validate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패설의 흐름과 李明善의『이야기』

        金埈亨(Kim Joon-hyeong)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stream of Paeseol at 20th century, and the meaning of the『Yiyagi』and the『Yongwhachongyong』written by Myungseon Lee.<BR>  Generally, the induction of laughing by descriptions of social contradictions is in fashion as the method of wri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methodkept up the late 1920"s. The method of writing in 1910"s are picturing of our social life and leaving additional remarks on it. These stories were called as "soseol"[小說] or "lieon"[俚言] in the newspapers or magazines, but in books "laughing" was set up as titles. In 1920"s the title of "soseol"[小說] or "lieon"[俚言] were changed into "sowha"[笑話] or "Jaedam"[才談]. At that times, sowha meant humor, and Jaedam was a kind of essay. In 1930"s, sowha was a sort of yellow-covered literature. And the intellectual did not published but transcribed all kinds of "sowha". for example the copy of『Gimun』by Kim, Taejun.<BR>  The『Yiyagi』and the『Yongwhachongyong』mainly followed the stream of Paeseol at 20th century, but partly changed by themselves. The later followed picturing of our social life as the method of writing, and the former shows complex characters of Paeseol in 1920"s.   이 글은 20세기초 패설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흐름에서 차지하는 이명선의『영화촌경』·『이야기』의 위상을 찾아보려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BR>  1910년대 패설은 小說 혹은 俚言이라는 말로 당시 세태에 대한 흐름을 읽어냈다. 1920년대에는 이들이 ‘笑話’로 귀착된다. 그런데 이 소화는 다시 연설조의 ‘才談’을 만들어냈다. 상업과 통속적인 형태로 흐르는 패설의 흐름은 사회 일반적이었다. 그렇지만 여전히 한켠에서는 필사의 형태로 전대의 패설을 향유하기도 했다. 그것은 과거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기 위한 활로였다.<BR>  이명선은 1930년대 ??영화촌경??과『이야기』를 쓴다. 이들은 당시 지식인이 지녔던 패설 향유의 일단을 잘 드러낸다.『영화촌경』은 당시 ‘교양’의 차원에서 쓰여진 것이지만, 그 이면에는 당시 활자본으로 향유되던 패설의 글쓰기 방식을 따른다.『이야기』는『영화촌경』과 달리 당시를 살아갔던 지식인들의 좌절을 잘 드러낸 작품이 다수 보인다. 웃음까지도 한없는 슬픔으로 이끌어야 했던 당시 지식인들의 단면이『이야기』에는 숨겨져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근대전환기 패설의 변환과 지향

        김준형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4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change of Paeseol in views of formations and contents. This is for clearing the change of Paeseol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to modern times. According to change of media, the change of formations are three kinds of phase. First, every work is more important than the whole collections. Second, the narrative, that is the story of work is more important than the plot and descriptions. Third, many unanimous readers are more important than a specific-small number of readers. The change of contents is the change from diverse analysis of work to stressing one subject. This means as follows; Paeseol became to popular amusement not a article of comfort for the intellectuals. And funny stories and witty talks could be written in these background. 19세기말 패설은 형식적으로 다른 갈래와의 교섭을 통해 장편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내용적으로는 사회에 대한 순응과 도전 양상을 드러내기도 하고, 전대에 비해 훨씬 많은 성 이야기가 만들어진다. 급변하는 사회적 풍토에서 패설 나름대로 자기 갱신을 하던 한 모습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근대전환기 사회 환경은 패설이 자기 갱신을 허락하지 않았다. 역사상 유래가 없는 변역의 시대에 패설은 외부적인 힘에 의해 강요된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신문 매체의 등장은 이전의 문학 향유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계기로 작동했다. 그에 따른 변용의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집’으로 향유되던 방식에서 개별 작품의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묘사나 구성(plot)보다는 줄거리(story)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특정 소수에서 불특정 다수로의 변환이 그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패설을 대체할 다른 어떤 장르의 탄생은 필연적이었다. 그 중 소화와 재담의 등장은 고무적이었다. 재담은 말재주를 통한 구비적 구술 방식으로, 소화는 매체에 기록되어 읽는 형태로 나타나는 방식으로 정착하였다. 재담이 공연의 형태로 등장한 것도, 소화가 신문 매체의 고정란에 정착된 것도 이러한 토대에서 마련되었다. 현재 우리가 쓰는 재담과 소화라는 명칭도 이러한 배경에 기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문명 세계에 대한 비판적 도구로 활용되었던 패설은 1910년을 전후하여 도구가 아닌 작품 그 자체로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런 양상은 문체의 변화로 이어지는데, 이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 줄거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한 방법이었다. 또한 근대전환기 패설에서는 이전과 달리 작품에 대해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 직접적인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웃음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