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 · 성장 균형(WGB:Work-Growth Balance)은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가?

        탁경운(Kyung-Woon Tak),서상혁(Sang-Hyuk S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WLB:Work-Life Balance)의 한 영역인 일 · 성장 균형(WGB: Work-Growth Balance)이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 및 조직 내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이 일 · 성장 균형(WGB)과 혁신 행동 간의 관계에 간접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일 · 성장 균형(WGB)과 대인조화 그리고 창의적 노력으로 나타났고 대인조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역시 일 · 성장 균형(WGB)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 · 성장 균형(WGB)과 대인조화였다. WGB와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대인조화와 창의적 노력의 간접 효과 역시 확인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의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일 · 성장 균형(WGB)이 대인조화, 창의적 행동 및 혁신행동 간에는 시너지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다른 산업 간의 일 · 성장 균형(WGB)에 대한 연구와 일 · 성장 균형(WGB)과 혁신행동에 이르는 좀 더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일 · 가정 균형, 일 · 여가 균형에 대한 추가 연구도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GB (Work-Growth Balance), an area of WLB (Work-Life Balance) improves Interpersonal Harmony, Creative Effort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organization, and whether Interpersonal Harmony and Creative Efforts have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GB and Innovative Behavio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PROCESS Macro by Hayes (2013)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WGB, Interpersonal Harmony, and Creative Effort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and WGB were variables that influenced Interpersonal Harmony. The variables influencing Creative Effort turned out to be WGB and Interpersonal Harmony. The in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Harmony and Creative Efforts was also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GB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effect between parameters was examined through Process Macro analysis. It turned out that there is a synergy relationship between WGB, Interpersonal Harmony, Creative Efforts and Innovative Behaviors. In future, more researches on WGB among various industries as well as mediating variables are expecte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various parameters of WGB and innovation behavior, and to Balance of Work-Family and Balance of Work-Leisure.

      • 조직의 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우(Sun-Woo Kim),탁경운(Kyung-Woon Tak),서상혁(Sang-Hyuk S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5

        본 연구는 분배공정과 절차공정을 포함하는 조직의 공정성이 업무몰입과 지식공유를 통하여 조직 내 종업원들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업무몰입과 지식공유가 조직의 공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간접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Hayes, A. F.(201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절차공정과 업무몰입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고 업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절차공정과 분배공정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절차공정과 업무몰입이었다. 절차공정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는 모든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분배공정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는 지식공유만을 경유할 때에만 간접효과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 다양한 경로의 간접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조직의 공정성은 업무몰입을 통해 혁신행동에 이를 때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소기업과 중기업 그리고 대기업 군으로 나누어 조직 규모에 따른 비교분석과 영리와 비영리 조직 간의 다른 결과도 기업체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다른 산업 간의 차이분석 등 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른 결과가 예견되므로 이에 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ganizational justice, including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improv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direct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Hayes, A. F.(2018) PROCESS Macro was used.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procedural justice,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The constructs influencing work engagement were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knowledge sharing. Also, procedural justice and work engagement were constructs that affected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innovative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that did not acquire knowledge.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Macro analysis, we examined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of various paths between mediators.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justice can have the greates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In addition, small, medium and macro enterprises are divided into groups.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various other industries is expected, an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in the case of profit organization and nonprofit organization as different results are expe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조직의 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우(Sun-Woo Kim),서상혁(Sang-Hyuk S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을 포함하는 조직의 공정성이 업무몰입과 지식공유를 통하여 조직 내 종업원들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업무몰입과 지식공유가 조직의 공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간접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절차적 공정성과 업무몰입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고 업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절차적 공정성과 업무몰입이었다. 절차적 공정성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는 모든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분배적 공정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지식공유를 경유할 경우에만 간접효과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 다양한 경로의 간접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조직의 공정성은 업무몰입을 통해 혁신행동에 이를 때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을 통한 자기기입방식으로 인해 표본 통제가 미흡하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남으며, 향후 다양한 산업 간 차이분석 등 조직의 특성에 따라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ganizational justice, including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improv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direct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Hayes (2018) PROCESS Macro was used.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procedural justice,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The constructs influencing work engagement were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knowledge sharing. Also, procedural justice and work engagement were constructs that affected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t the indirect effect only in the path via knowledge sharing. 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that did not acquire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Macro analysis, we examined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of various paths between mediators.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justice can have the greates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The weakness of respondents control by SNS survey is the major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such as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various industries.

      • KCI등재

        장애여성의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주관적 건강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유리,문경주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4 공공정책연구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여성의 자살생각에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건강 의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분석하고, 장애여성의 자살예방 차원의 임상적 지원 서비스 및 정책적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의 장애여성 2,779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여부와 앓고있는 만성질병의 수는 자살생각에 직접효과와 주관적 건강의식을 통한 간접효과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요인 관련 변수중 주관적 계층의식은 주관적 건강의식에 영향을 미쳐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환경요인 관련 변수 중 친구 수 만족도는 자살생각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여가생활만족도는 자살생각에 주관적 건강의식을 통한 간접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차별인식은 자살생각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장애여성의 자살위험 예방을 위한개인적 차원과 지역사회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suicidal thoughts among disabled women and whether subjective health consciousness has a mediating effect, and to provide clinical support servic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for disabled women.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Macro technique on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Disabled Persons’ focusing on 2,779 women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suffered were found to have both a direc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subjective health awareness. Second,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personal factors,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only an indirec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by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awareness. Third,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satisfaction with the number of friends had a direc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Both indirect effects were found to exist, and cultural leisur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only an indirect effect through subjective health awareness on suicidal thoughts. Fourth, awarenes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was found to have neither a direct nor an indirec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for preventing suicide risk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포커싱적 태도와 작업 동맹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매개 효과

        주은선 ( Eunsun Joo ),조준희 ( Junhee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포커싱적 태도와 작업 동맹의 관계를 진정성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및 내용과 관련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전문 상담자 또는 상담 수련생으로 활동하는 21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포커싱 태도 척도 개정판, 한국판 진정성 척도, 작업 동맹 척도 단축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포커싱적 태도, 진정성, 작업 동맹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정성은 포커싱적 태도와 작업동맹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부트스트랩핑 분석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작업 동맹 증진을 위해 상담자의 포커싱적 태도와 진정성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모든 상담자에게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다는 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uthenticity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focusing manner and working alliance. Korean focusing manner scale-revised (KFMS-R), Korean authenticity scale (KAS), and short form of working alliance inventory (WAI-S) were administerd to 219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raine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ocusing manner, working alliance, and authenticity. Authenticity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focusing manner and working allianc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bootstrap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working alli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unselor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focusing manner and authenticit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that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to all counselor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es.

      • KCI등재

        클라이언트 요인이 컨설팅지식이전에 미치는 영향 : Bootstrapping 기법을 활용한 클라이언트 학습의 매개효과 분석

        윤영호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7

        The expert model, which has been a leading consulting model until recently, is an consulting approach to solving organizational problems by a consultant based on consulting expertise. This model is known as a consulting approach suitable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icacy and legitimacy. However, the expert model faced the criticism from clients due to several problems such as presentation of standardized problem solutions, inconsistency between organizational situation and recommendations, and inability to implement the proposed problem solutions because of absence of intebsive interaction between consultants and clients. The social learning model that emerg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this is an consulting approach that solves problems through intensive interaction such as knowledge exchange and collaboration between consultants and clients. This approach is known as a consulting approach suitable for solving complex and esoteric problems or innovativ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lient’s learning in the relation affecting the client’s factors on the 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in the social learning model perspectives.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315 people in charge of origin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FTA rules of origin consulting. The mediating effect was estimated by using the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2013), which takes 10,000 bootstrap samples and examine the 95%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 methods against regression parameters and indirect effect estima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clients’ learning was confirmed in the path of client’s participation and self-efficacy → learning → 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But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lients’ learning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the client’s pre-knowledge → learning → consulting knowledge transfer path. In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learning model that emphasizes the role of the client and intensive interaction between consultants and clients, when the client has a sense of self-efficacy and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project and collaborates with the consultant, the process that influences the 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by facilitating the clients’ learning was identified. It provides a suggestion that when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the consulting task are high, depending on the consulting field, the social learning model approach may be more useful than the traditional expert model. 그동안 주도적인 컨설팅 접근법인 전문가모델은 컨설팅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컨설턴트 주도로 조직의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이다. 이 모델은 조직의 효율성 및 정당성과 관련한 문제해결에 적합한 컨설팅접근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문가모델은 컨설턴트-클라이언트 간의 상호작용 부족으로 인해 표준화된문제해결방안의 제시, 조직상황과 권고안 간의 부적합, 및 제안된 문제해결방안의 실행불능 같은 문제점으로인해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비판에 직면했다. 이에 대한 대안모델로 등장한 사회학습모델은 컨설턴트- 클라이언트 간의 지식교환 및 공동작업 등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이다. 이접근법은 복잡하고 난해한 문제 또는 조직의 혁신문제 해결에 적합한 컨설팅 접근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복잡하고 난해한 분야로 알려진 FTA원산지컨설팅에 관하여 사회학습모델의 관점에서클라이언트의 컨설팅 투입요인이 학습을 매개하여 컨설팅 지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하려는것이다. 자료는 FTA원산지관리전담자 315명으로부터 표본자료를 수집하였다. 매개효과분석은 Hayes (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랩 샘플 10,000개를 복원추출하여 회귀모수 및간접효과(매개효과)의 95%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추정기법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클라이언트의 참여 및 자기효능감 → 학습 → 컨설팅 지식이전 경로에서는 클라이언트 학습의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사전지식 → 학습 → 컨설팅지식이전 경로에서 부트스트랩 95% 신뢰구간 추정기법에 의한 간접효과 추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사회학습모델 관점에서 클라이언트가 자기효능감을 갖고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컨설턴트와 협업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의 경험학습을 촉진함으로써컨설팅 지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모델을 확인하였다. 과제의 복잡성과 난이도가 높은 경우 컨설팅분야에따라서는 전통적인 전문가모델보다는 사회학습모델의 접근법이 보다 유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긍정적 부모양육방식, 중학생의 주의집중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양진,김재철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1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whether the positive parenting method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attention, and whether the positive parenting method influence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attention depends on ego-resilience. To this end, this we used the panel data for the from the KCYPS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ositive parenting methods were analyzed using models No. 4 and No. 7 of PROCESS macro of SPSS by inserting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on academic performance, parameters between positive parent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ego-resilience into the adjustment variables between attention and positive parenting styles. Through this, direct and mediated effects between variables were verified. Also, we could see that the lower ego-resilience, the greater the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discussions on the need to enhance ego-resilience and multi-pronged approaches were drawn by addressing not only the environmental, but also personal and emotional aspects tha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지, 긍정적 양육방식이 주의집중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지, 긍정적 양육방식이 주의집중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자아탄력성에 따라서 달라지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독립변수,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수, 주의집중을 긍정적 양육방식과 학업성취도 사이의 매개변수, 자아탄력성을 주의집중과 긍정적 양육 방식 사이의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SPSS의 PROCESS macro의 모형 4번과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변수간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가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개인적, 정서적인 부분을 다룸으로써 자아탄력성의 제고 및 다각적인 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컨설턴트의 투입요인이 컨설팅 지식이전에 미치는 영향: Bootstrapping방법에 의한 클라이언트 학습의 매개효과

        윤영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how the consulting knowledge from the consultant to the client is transferred in consulting project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315 people in charge of origin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FTA origin consulting. The mediating effect was estimated as an indirect effect using the PROCESS macro proposed by Andrew F. Hayes. In addition, 10,000 bootstrap samples were extracted to estimate a 95%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nsultant's expertise, the consultant's competency, and the consulting design and deliver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through the client's learning,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indirect effect (a1b1) was 0.281 in the path of the consultant's expertise→learning→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The indirect effect (a2b2) in the path of the consultant's competency → learning → 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was 0.320. The indirect effect (a3b3) was found to be 0.211 in the path of consulting design and delivery → learning → consulting knowledge transfer. As for the 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nsultant’s input factors, the better the knowledge transfer of consulting to the client through client’s learning occurred. This suggests that various knowledge transfer mechanisms (eg workshops, training, practice, etc.) should be introduced in consulting projects to satisfy clients' knowledge transfer needs and improve consulting satisf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에 있어서 컨설턴트로부터 클라이언트로의 컨설팅지식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이전되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표본자료는 FTA 원산지관리전담자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매개효과분석은 Andrew F. Hayes가 제안한 PROCESS macro에 의한 10,000개의 부트스트랩 샘플을 시뮬레이션하여 산출한 간접효과 추정치의 95%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컨설턴트의 전문지식, 컨설턴트의 수행역량 및 컨설팅의 설계 및 전달요인은 각각 클라이언트의 학습을 경유하여 컨설팅 지식이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턴트의 수행역량→학습→컨설팅지식이전 경로의 간접효과(a2b2)의 크기는 0.320으로 나타났다. 컨설턴트의 전문지식→학습→컨설팅지식이전 경로의 간접효과( a1b1)는 0.281로 나타났다. 컨설팅의 설계 및 전달→학습→컨설팅지식이전 경로의 간접효과(a3b3)는 0.211로 확인되었다. 3개 경로에서 간접효과의 95% 부트스트랩 신뢰구간은 모두 0을 포함하지 않아( ab≠0)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컨설팅 지식이전은 컨설턴트의 투입수준(전문지식, 컨설팅수행역량 및 컨설팅설계)이 높을수록 클라이언트의 학습을 촉진하면서 클라이언트에게로 컨설팅 지식이전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클라이언트의 지식이전 욕구충족 및 만족도 개선을 위하여 컨설팅 프로젝트에 다양한 지식이전 매커니즘(예: 워크숍, 교육훈련, 실습 및 피드백 등)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eenagers -The Intermediation Effect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Jung, Seon-Jin The International Promotion Agency of Culture Tech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8 No.3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ie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cultural rights and self-determination of teenagers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in the college entrance exam-oriented climate, and examined the effects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through a process macro applying Bias Corrected Bootstrapping in these relationships. For research purposes, 2,590 cohorts in the first year of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process macros. The result was that leisure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affect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affect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nd serve as a medium. This study confirmed that teenager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greatly affec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at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have a mediating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we c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to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teenagers, and find it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program graphs of schools and communities for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of adolesc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at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have a mediating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we c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to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teenagers, and find it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program graphs of schools and communities for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is believed to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academic and practical programs for youth leisure activities and school life relationships, and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fully enjoy and protect youth's rights to culture and self-determination of leisure activities.

      • KCI등재

        낮은 자기 통제력이 비행피해에 미치는 영향 : 기회요인과 부모 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명기 ( Myeong-gi Hong ),장현석 ( Hyun-seok Jang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2

        기존 범죄학은 범죄피해에 대한 설명에 있어 일상활동이론(Felson and Cohen, 1979) 혹은 생활양식이론(Hindelang et al., 1978)을 이론적 틀로 사용해왔다. 이러한 이론들은 범죄피해가 우연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의 행동과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수동적 대상이었던 범죄피해자를 능동적 대상으로 변화시켰으며, 범죄피해 예방에 대한 정책의 근거가 되어왔다. 그러나 위 이론들을 통한 선행연구들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접촉과 잠재적 피해자에 대한 특성에 대한 설명에 한계가 있었다. Schreck(1999)은 자기통제이론을 통해 범죄피해를 설명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자기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범죄와 관련된 위험한 행동을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가해자와 피해자는 같은 성향을 공유하기 때문에 하나의 범죄공간에서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선행연구들은 피해자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범죄피해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범죄피해에 있어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게 되는 위험성이 존재하며, 자기통제력은 인생의 초반기에만 변화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책방안도 마땅치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통제이론과 일상활동이론을 연결하여,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피해의 관계에서 기회요인의 매개효과와 부모 감독의 조절효과를 모두 고려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피해의 관계에서 기회요인과 부모 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낮은 자기통제력이 위험한 행동양식을 야기하여(기회요인) 비행피해로 이어진다는 것과 동시에 부모의 감독이 이러한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Conventional criminology has used Routine activity theory(Felson and Cohen, 1979) or Lifestyle theory(Hindelang et al., 1978) as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crime victimization. These theories argued that crime victimization occurs not by chance but by a victim’s behavior and by surrounding environment. These arguments made a crime victim, a passive subject in crime, into an active subject and became basis of crime prevention policies. However, preceding research of these theories had limitations of explaining the contact between offender and victim and characteristic of potential victim. Schreck(1999) improved these limitations by explaining crime victimization through Self-control theory. A person with low self-control has a tendency to risky behavior, which is similar with an offender, and is likely to contact with an offender in a criminal situation. Based on this, recent research focused on characteristic of victim to explain crime victimization. But, research on victim’s characteristic concerns that victim may hold responsible in his behavior in crime, and self-control only develops in early age that suitable countermeasure is rare. Therefore, this study combined Self-control theory with Routine activity theory to verify the relation of low self-control and delinquency victimization i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factor and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upervision.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Results showed that in relation to low self-control and crime victimiz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factor and parents supervision was significant. This signified that low self-control causes risky behavior(opportunity factor) which leads to crime victimization, and at the same time, parents supervision weakens the influenc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in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