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과 토의・토론 수업모형 및 지도방안 개발

        김일영(Kim, Il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토의 토론활동을 적용한 음악 수업모형과 지도방안을 개발함으로써 음악 교수 학습방법을 다양화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음악 수업은 음악적 경험을 쌓고 음악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가창 기악 창작 감상활동 중심의 교 수 학습방법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개정된 2009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감상과 생활화영역에서 이야기하고 발표하며 토의 토론하는 학습활동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수업에 토의 토론활동을 적용할 수 있는 음악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음악 논제를 제시하였으며, 초 중 고 학교급으로 나누어 신호등, 피라미드, PMI 토의 토론 방법을 활용한 음악과 토의 토론활동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음악과 토의 토론 수업모형과 지도방 안은 음악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학생들에게 음악 현상을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다각적인 관점에서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ursue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 music class by developing a discussion & debate model of instruction for a music class. A previous music class focused primarily on understanding musical experience and knowledge such as singing, performing of instruments, creating music, listening to music and etc. However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for music suggested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in a music class focus on the discussion & debate activities of listening to music and music in daily life. Thus, this study developed the model of instruction applicable to discussion & debate activities in the music class and suggested a topic for discussion. Furthermore, it developed teaching methods of discussion & debate activities for music classes by using various discussion & debate methods; signal lights, a pyramid, PMI according to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level. As a result, this study expects that this model of instruction and teaching method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music class. In addition, these models and methods will make the students critically interpret musical phenomena and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music from various viewpoints.

      • KCI등재

        SNS 기반 토론에서 SNS 도구, 창의적 토론 기법과 집단의 크기에 따른 SNS 토론 전략 탐색

        장은정 ( Eun Jung Jang ),장혜정 ( Hea Jung C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토론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SNS 토론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SNS 도구를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으로, 토론 기법을 PMI 기법과 6색 사고모자 기법으로, 집단의 크기를 소집단(3~4명)과 중집단(12~13명)으로 구분하여 토론의 참여도, 만족도 및 성취에 대한 자기평가를 분석함으로써 SNS 토론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총 6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집단 29명과 페이스북 집단 37명으로, PMI 집단 33명과 6색 사고모자 집단 33명으로, 소집단 14명과 중집단 52명으로 구분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고 Nvivo를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카카오톡 집단과 페이스북 집단, 그리고 PMI 집단과 6색 사고모자 집단 모두는 참여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만족도 및 성취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모든 집단이 3.5 이상의 만족을 보였다. 둘째, 소집단은 중집단보다 .05 수준에서 만족도가 더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SNS 토론에서 소집단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토론 전략으로는, 토론 기간은 1주일 이내로, 토론 인원은 3~4명 내외의 소그룹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정하며, 토론에 대한 세부적인 규칙을 마련한 후 토론에 참여하도록 오리엔테이션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This study was for suggestions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discussion strategies using SNS discussion learning. Kakao-Talk and Facebook were classified as experiment equipment. PMI technique and Six Thinking Hats were classified for creative thinking ability technique. There were three to four people for small groups and twelve to thirteen people for middle group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alyzi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elf-evaluation of achievement. This study was experimented on sixty-six university students who take the class of teaching professions dividing twenty-nine students for Kakao-Talk groups and thirty-seven students for Facebook groups in Seoul for a week. Also, there were variables that thirty-three students for PMI technique, thirty-three students for Six Thinking Hats and fourteen students for small group, fifty-two students for middle group to discuss for a week. T test was implemented for differences analysis between groups. Meanwhile, quality analysis was implemented about the pros and cons of the discussions through Nvivo. Consequently, firstly, between Kakao-talk and Facebook groups, and between PMI technique and Six Thinking Hats groups are no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and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y are satisfied over 3.5. Secondly, small group is more satisfied than middle group for discussion in these groups(p<.05). This result shows that small group is more suitable than another. Lastly, within a week is appropriate for the discussion period and three to four people are suited for SNS discussion. Also, it needs to make detailed regulations and to guide students before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