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동남아 ODA 활동에 있어서 태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법제비교

        김봉철,옹지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9 東南亞硏究 Vol.28 No.3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a par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means official financing administered by states or governments. International Development Law was formulated in order to regulate intern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international and/or domestic societies, and ODA activity is an important subject to regulation by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law. South Korea has transformed from being a recipient to a donor, and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debates in the international field.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 domestic legislation of South Korea, defines the idea and purpose of the Korean ODA and regulates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the scope and procedure of policy-making in the area. However, in order to effectively realize the idea of Korean ODA, policies and related rules and regulations should be complemented. Geographically, Thailand is located in Southeast Asia, where many Korean ODA works are targeting. Moreover, Thailand is enhancing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as a party to the Korea-ASEAN FTA. Thailand is transforming from being a recipient to a donor in the ODA fields and developing its own policies and laws with the ODA activities to its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Thailand is yet to assume a leading role in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still needs efforts to make what could be a Thai ODA model. For South Korea and Thailand to gain synergy effect by cooperating in the field of ODA, a model for cooperation should be designed by comparing the ODA activities and structures of the countries. Specifically,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FTA may lead to cooperation in ODA, and both states may seek to realize harmonization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rules by developing domestic rules that reflect accumulated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es. 국제개발협력(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의 일부 분야인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란 국가나 정부가 개입하는 공식적 원조를 의미한다. ‘국제개발법’(International Development Law)은 (국제 또는 국내사회에서) 국제개발협력 활동을 규율하기 위하여 등장하였고, ODA 활동은 국제개발법의 중요한 규율대상이다. 한국은 ODA 분야에서 수혜국(Recipient)에서 공여국(Donor)으로 변화하였고, 국제사회의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국내법인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은 ODA의 기본이념과 목표를 설정하고 정부의 역할과 정책수립의 범위와 절차를 규정한다. 그러나 한국의 ODA 이념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려면 정책과 관련 규범들이 보완되어야 한다. 태국은 지리적으로 한국의 ODA 집중지역인 동남아시아에 자리하고 있으며, 한-ASEAN FTA의 당사국으로서 한국과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태국은 ODA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으며, 이웃국가들에게 다양한 ODA 활동을 진행하면서 정책과 법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태국은 아직 국제사회에서 개발협력분야를 주도하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고, 태국형 ODA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더욱 노력해야 한다. 한국과 태국이 ODA 분야에서 협력하여 상승효과를 얻으려면, 양국의 ODA 활동과 구조를 비교하며 협력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FTA를 통한 경제협력이 ODA 협력으로 연결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축적된 경험과 각자의 특성을 반영한 국내규범을 발전시켜서 국제규범과 국내규범의 조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양국의 ODA 관련 법제협력도 필요하다.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한국의 ODA 배분방향 분석

        노상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This paper examines a wide range of issues relating to korean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llocation policy between official loans and grants in term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To derive the policy, I analyzed the ODA allocation experience of 21 DAC(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members based on annual panel data over 1971 to 2005, the ODA recipients' effectiveness of official loans and grants and the economic impacts in korean ODA. Major findings are that DAC members increase the ratio of official loans when GDP lowers and total ODA rises. There are higher ratio of official loans in charge of multi-institution operating system and in case of LMICs. In addition, the official loans are more effective method in terms of export and FDI in Korea. As a result, i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of Korea, the ratio of official loans have to increase when total ODA in Korea increases. 선진국의 대외원조는 자국의 이익에 부합하고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원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한국의 ODA 배분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효과와 주요 수원국의 필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분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OECD 국가들은 1인당 GDP가 낮을수록, 총 ODA 규모가 증가할수록 유상원조 비율을 증가시켜 왔다. 그리고 공여국의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다수부처형 대외원조체계를 가진 경우일수록 유상원조 비율 높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보여주었으며, 한국 ODA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아시아 중저소득국의 경우 높은 유상원조 비율을 가지고 있었다. 또,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에 유상원조가 무상원조 보다 더 큰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한국의 국익과 수원국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유상원조의 비율을 늘려 가야 한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향후 한국의 ODA 배분방향은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성이나 효과성에 기여하고, 한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유상원조 비율을 증가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졸업기준으로써 1인당 국민소득(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GNIPC)과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HDI)에 대한 고찰

        송양훈(Yanghoon Song),최영출(Young-Chool Choi),공기서(Ki Seo Kong),이아연(Ah-Youn Lee) 한국국제협력단 2024 국제개발협력 Vol.19 No.1

        본 논문은 OECD DAC(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의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졸업 기준인 1인당 소득(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GNIPC) 및 UN의 LDC(Least Developed Countries) 졸업 기준을 고찰해 보고, UNDP IHDI(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Inequality Adjusted Human Development Index)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졸업 후보국들을 가늠해 보았다. 최신 HDI Panel 자료로 Granger 검정한 결과, ‘기대수명 → 교육년수 → 1인당 소득’의 단방향 인과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결국 1인당 소득으로 귀결되므로, 단일 ODA 졸업 기준으로써 GNIPC는 유효하나, 기준 수립 당시 중소득국-고소득국 분류가 임의적이며, 개발의 다면성 측면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IHDI와 GNIPC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한 정(+)의 관계가 있으며, 2021년 졸업 기준 GNIPC(USD 12,235, 2017 PPP$)에 대응하는 IHDI는 0.71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ODA 졸업 경로를 설정하고, 경로 방향을 기준으로 어떤 나라들의 ODA 졸업이 임박했는지 가늠해 보았다. 튀르키예 및 구소련 국가 및 태국, 중국, 페루,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의 졸업이 임박했음을 알 수 있고, 인도 및 남아공은 졸업이 요원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nlis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graduation candidate countries through a review of the current eligibility criteria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ECD DAC)-UN and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NI per Capita (GNIPC) and Inequality Adjusted Human Development Index (IHDI). Using the most recent panel data on HDI from 1990 to 2021 (as of 2024), Granger causality test is performed to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plex causality of “Life Expectancy → Years of Schooling → GNI per Capita,” which shows the efficacy of GNIPC as a single eligibility criterion. However, it suffers from ad-hocness in classifying middle- and high-income countries and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multidimensionality of development. As expected by definitions, GNIPC and IHDI are found to have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and a GNIPC of USD12,235 in 2017 PPP$ corresponds to an IHDI of 0.71 in 2021. The graduation path and its orthogonal direction indicate that Türkiye, Former USSR countries like Kazakhstan and Ukraine, Thailand, China, Peru, Brazil, and Indonesia are close to graduation, although it may take longer for India and South Africa to do so.

      • KCI등재

        국내 임업분야 공적개발원조(ODA)사업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관성 분석

        김나희,문주연,송철호,허성봉,손요환,이우균 한국산림과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linkage between the Forestry sect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in South Korea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f United Nations (UN), Suggested direction of ODA project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Forestry sector ODA project data in South Korea have collected from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statistical inquiry system developed by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s of forestry development, forestry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both fields,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carried out the most projects. The Forestry sector ODA project data in South Korea are classified technical development, capacity building,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afforestation based on their objectives and contents. SDG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ional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this study analyze linkage between ODA activity content in each classification item and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indicator. Analyzed the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indicator and SDGs target and SDGs indicator were identified. finally, SDGs goals were recognized. In conclusion,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are associated with the SDGs Goal 1 (No Poverty), Goal 2 (Zero Hunger), Goal 6 (Clean Water and Sanitation), Goal 13 (Climate Action), Goal 15 (Life on Land) and Goal 17 (Partnership for The Goals). Therefore, With the launch of the SDGs, This study analyzed the linkage among the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the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and the SDGs. it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and made proposa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부문의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과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SDGs 달성 측면에서 ODA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통계조회시스템에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림부문 ODA사업은 임업 개발 분야와 임업 정책 및 행정관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두 분야에서도 산림청과 한국국제협력단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가장 많은 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선정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의 각 사업별 목표와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산림부문 ODA사업 항목인 기술개발, 역량강화, 인프 라 구축, 조림으로 항목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항목별 ODA 활동내용과 SDGs에서 강조하는 국가별 이행평가를 위해 국내 에서 활용 가능한 산림부문 목표 및 성과지표를 포함하고 있는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 이와 연관되는 SDGs 세부목표 및 지표를 파악하였으 며, 최종적으로 SDGs 목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은 SDGs 목표 1(빈곤퇴치), 목표 2(기아해소), 목표 6(물과 위생), 목표 13(기후변화 대응), 목표 15(육상생태계), 목표 17(파트너십)과 연관되었다. 본 연구는 SDGs가 출 범함에 따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을 검토하고, 이를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과 SDGs와의 연관성을 분석하 여 국내 산림부분 ODA사업의 한계점 파악과 SDGs 이행을 위한 제언을 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수자원 개발사업 ODA의 방향

        이종호(Lee, Jong Ho)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2

        우리나라 수자원개발사업의 역사, 현황을 고찰한 후 수자원개발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갈등이 컸던 새만금 간척사업, 경인운하, 영월다목적댐(동강댐), 한탄강댐, 4대강살리기사업에 대해 갈등요소, 거버넌스, 법정소송 등을 중심으로 비교․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수자원 및 위생 분야 공적개발원조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를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와 비교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일본 등의 수자원개발사업 ODA 사례를 토대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수자원개발사업 ODA 평가방안으로 한국국제협력단(KOICA) 및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평가, OECD DAC의 동료검토, 환경영향평가를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수자원개발 ODA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수자원개발사업 ODA 시행시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자원 개발사업 ODA의 경우 OECD DAC의 개발사업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지침을 반영하고 한국의 환경영향평가법의 내용과 취지에 입각하여 특히 사회영향평가를 강화하여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함으로써 부작용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도록 한다. 셋째 주민의견이 제대로 반영되는 주민 조직이 형성되고 거버넌스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ses water resources development cases such as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Gyeongin Carnal, Youngweol Multi-purpose Dam, Hantan River Dam, and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based on conflict issues, governance and lawsuit. And it compares Korea’s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n water resources and sanitation and those of OECD DAC(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and compares the problems of Korea’s ODA on water resources and sanitation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fter considering the evaluation of KOICA and EDCF, peer review of OECD DAC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ssessment method, it suggests the improvements for ODA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first water-energy-food nexus approach with multi-purpos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seco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mphasizing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third resident participation and strengthening governance.

      • KCI등재

        농촌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 평가를 위한 고려 사항

        임형백(Hyung Baek Lim),조영국(Youngkug Joh),고순철(Soonchul Ko),임상봉(Sang Bong 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5 No.5

        이 논문은 농촌 공적개발원조 사업 중 프로젝트를 사업을 중심으로 성공과 평가를 위한 고려사항을 고찰하였다. 프로젝트의 추진절차인 사업발굴, 사업형성, 사업심사, 사업기획, 사업수행의 5단계에 따라 고찰하였다. 한국이 OECD DAC에 가입한 것은 2009년이다. 그런데 현재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약1,800여개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또 예산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는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국제개발협력의 양적성장을 질적성장이 따라가지 못한다. 한국은 국제개발협력을 실시할 때, 식민지 지배의 경험이 없다는 것을 내세운다. 그리고 원조수원국에서 원조공여국으로 전환한 유일한 국가라는 것을 자랑스럽게 제시한다. 물론 약소국에 대한 식민지 지배 경험이 없다는 것은 떳떳한 역사이고, 원조수원국과 유사한 한국의 경험은 많은 원조수원국에게 보다 다가갈 수 있다. 그러나 식민지 지배 경험이 있는 국가들이 도덕적으로는 비난을 받지만, 한국 보다 과거 피식민지였던 원조수원국을 잘 알고 있다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과거의 식민지학을 개발학이라는 이름으로 재빠르게 탈바꿈한 영국이 개발학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고 식민지 시대에 획득한 지식을 국제개발협력에 활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ODA에는 인도적 목적, 정치적 목적, 경제적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원조공여국들이 인도적 목적을 가장 앞에 내세운다. 하지만 일반적인 견해는 ODA가 제2차 세계대전(1939-1945) 이후, 마샬 플랜(Marshall Plan)을 비롯한 전후 복구사업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즉 태생적으로 ODA의 탄생 자체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 상황에서,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의 세력확장을 위한 것이었다. 또 원조수원국의 경제가 발달하고 성장하는 시장에 원조공여국이 진출하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원조공여국에 경제적 이익이 된다. 하지만 더 나아가 ODA에 대한 원조공여국 국민들의 지지를 높일 수 있고, 원조수원국의 경제규모가 커짐에 따라 더 많은 금액을 ODA에 사용할 수 있는 선순한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동시에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가 OECD DAC의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고, 이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다. Korea joined OECD DAC in 2009. However, currently, approximately 1,800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in more than 100 countries. Also, the budget is increasing rapidly. Along with Korea’s economic growth, it is natural for it to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growth cannot keep up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en conduc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 asserts that it has no experience of colonial rule. And we are proud to present that we are the only country that has transitioned from an aid recipient to an aid donor. Of course, it is an honorable history to have no experience of colonial rule over a weak country, and Korea’s experienc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aid recipient countries, can be more accessible to many aid recipient countries. It is also true that Britain, which quickly transformed the colonial studies of the past into development studies after World War II, holds the upper hand in the field of development studies and is utilizing the knowledge acqui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t was said that ODA has humanitarian, political, and economic purposes. Aid donor countries put humanitarian goals at the forefront. However, the general view is that ODA began after World War II (1939-1945), with post-war recovery projects including the Marshall Plan. In other words, the birth of ODA was originally intended to expand the power of the capitalist and communist camps in the Cold War situation after World War II. In addition, the advancement of aid donor countries into markets where the aid recipient country’s economy is developing and growing is primarily of economic benefit to the aid donor country. However, it can further increase the support of the citizens of aid donor countries for ODA, and create a benevolent structure in which more money can be used for ODA as the economic size of the aid recipient country grows.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to produce good results that meet the evaluation standards of OECD DAC and to evaluate them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In the short term, we need to develop evaluation methods for projects, accumulate sufficient experience and data, and in the long term, expand to evaluation of policies, institutions, fields, topics, and national support. Through this,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data on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olicy establishment.

      • ODA사업의 환경평가 관리방안 연구

        조공장,한상운,김보미 한국환경연구원 2011 수시연구보고서 Vol.2011 No.-

        ODA를 통해 원조를 받는 개발도상국 정부는 사업추진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사업계획 수립 시 환경평가를 형식적으로 운영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대규모 사업이 진행되면서 환경이 파괴되거나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위협받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사회에서는 ODA를 통한 사업 진행 시 환경이슈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지역주민, 국제사회는 원조기관의 환경관리 책임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따라 세계 선진원조기관은 부적절한 사업지원을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환경관리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무상원조사업으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의 위상이 증대되면서 2009년 OECD DAC에 가입하였고, 향후 지속적으로 ODA의 규모를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DAC 가입은 국제원조 규범을 마련하고 개발협력의 방향을 주도하는 핵심기구의 일원이 됨으로써 국제개발협력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리와 동시에 선진공여국으로서 책임도 뒤따른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는 환경, 여성, 무역, 빈곤 등 주요 이슈에 있어서 원조정책과 시행상 개선의 여지가 많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원조기관은 다른 선진국 및 국제기구에 비해 아직 환경평가 관리 운영이 부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ODA 정책 동향과 ODA 사업으로 인해 나타난 환경문제를 살펴보고, 외국 원조기관의 환경평가 가이드라인 및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원조기관의 역할과 책무 등을 포함한 환경평가 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수원국의 수요를 중심으로 하고, 추진과정의 투명성 확보와 설명책임을 강화하는 등 원조의 질 향상을 위한 국제사회의 여러 정책 동향과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수립·운영하고 있는 각국의 원조기관들의 환경평가 가이드라인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어 DAC 가입으로 인해 우리나라가 준수해야 하는 의무 및 권고사항, 우리나라 ODA 정책의 환경이슈, 우리나라 ODA 사업으로 인한 환경피해 사례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ODA 정책의 현황을 점검하였다. 감사원에서도 이미 사업 추진과정의 불투명성, 환경심사, 사후평가의 부실, 전문인력 및 조직 역량 부족 등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ODA 정책의 환경이슈 및 환경평가 관리의 필요성 및 시급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OECD DAC, USAID, JICA 등의 환경평가 가이드라인 및 운영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환경평가의 절차 및 역할, 환경심사 주체, 주민참여/정보공개현황, 조직 등을 살펴본 결과, DAC, USAID, JICA 등에서는 환경평가 단계별로 원조기관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었으며, 정보공개와 주민참여를 보장하고 있었다. 또한, 환경심사시 전문성과 공정성,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조직구성 및 지침을 마련하고 있었다. 제4장에서는 국제사회 공동 이념의 실천, 개발협력법의 실천, 원조의 질 향상, 원조기관의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한 환경평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가이드라인에는 대상사업, 가이드라인의 적용시기 및 절차, 평가항목,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환경심사위원회 구성, 정보공개 및 이해관계자의 참여 보장, 개발도상국의 환경평가 지원방안 등 가이드라인 운영을 위한 원조기관의 역할이 포함되어야 한다.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like dam construction & road building, have been brought lots of conflictions that related with environmental destruction or displacement. Also demand for environment management accountability is constantly getting grown. consequently, Aid agencies of World Bank,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so on real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equip a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eventing inappropriate assistance. Korea joined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in 2009 and is planning to scale up its foreign aid (to 0.25% (ODA/GNI) until 2015). Korea are called to manage environment of ODA project. But,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 assessment management is not open, and it make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ODA projects.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011) also pointed out poor management of EDCF's review and the shortage of qualified staff from a wide range of field and recommend that EDCF should review thoroughly applications on Environmental Impact and strengthens professionalism. This study is proposed to research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of ADB, OECD, USAID, focusing on role of agencies, process, method of environmental assessment management and operating principle that a recipient country have to follow. suggest environmental assessment management guideline that include role and accountability of agencies to improve ODA project's effectiveness.

      • KCI등재

        지속가능한 ODA 포트폴리오에 관한 연구

        김태진(Tae-Jin Kim),황석준(Seok-Joon Hwa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한국경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경제발전과 환경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의 포트폴리오 기준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지속가능한 ODA 포트폴리오가 되기 위해서 경제변수들이 어떠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에 대해 일반적인 투자의사결정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 모형에서는 최소지속가능 ODA 포트폴리오를 정의하고, 해당 정의에 근거하여 비교정태 분석을 시행하여 외생적으로 결정되는 이자율, 탄소배출권 가격의 증가율 등의 경제변수와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환경분야 ODA 투자 대상 수목의 탄소흡수 증가율, 사업기간과 같은 변수들간의 관계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경분야 ODA 투자의 사업기간과 이자율이 증가한다면 이자율과 탄소배출권 가격의 증가율로 구성된 외생적인 변수들의 최소지속가능을 보장하는 ODA 포트폴리오의 영역이 확대되어진다. 따라서 ODA를 제공하는 공여국은 이들 영역의 크기에 적합한 ODA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ODA 수원국의 경제발전과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ODA 정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e investigate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Portfolio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sing a theoretical approach. For this purpose, we build a model of an ODA portfolio. Particularly, this paper h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variable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enviro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paper proposes a definition and conditions for the least-sustainable ODA portfolio. We have used comparative static analysis to find a relationship of economic variables in our model. As long as the least sustainable portfolio is satisfied with, exogenous variables to investors, such as interest rates and growth rate of CERs(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pric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Particularly, endogenous variables to investors such as investment duration and absorption rate depending on selected threes can expand the sustainable region which is composed of both the interest rate and the CERs price growth rate. This research suggests how to design desirable ODA projects to support both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quality for developing countries with key economic variables and investment terms.

      • KCI등재

        한국어교육 관련 ODA 사업의 현황과 시사점

        김은경 이중언어학회 2022 이중언어학 Vol.88 No.-

        한국어교육 관련 사업은 개발도상국에 한국의 교육 모형을 전수하고 향후 개발도상국과 한국의 소통과 협력에 기여할 인재들을 양성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관련 ODA(Official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동향을 검토·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어교육 관련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체계적인 계획 수립과 시행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ODA 통합정보 포털의 ‘대한민국 ODA 지원현황―심층분석’에 공개된 ODA 사업 현황 통계자료 중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된 한국어교육 관련 사업 관련 통계자료를 추출한 후 한국어교육 관련 ODA 사업 추진의 동향을 검토·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대적으로 미미한 한국어교육 관련 ODA 사업 규모의 적정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사업의 연속성과 수원국 선정의 연속성 간의 균형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수원국의 한국어교육 여건을 고려한 사업 콘텐츠의 다각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넷째, 인적 자원 공여와 기술자원 공여, 물적 자원 공여를 병행해야 한다. 다섯째, 전략적인 수원국 선정과 사업 시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어교육 관련 ODA 사업을 발굴하고 계획하여 시행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suggest ways to share Korea education model with developing countries and foster prospective leaders who can enhanc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Korea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ODA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tistical data of ODA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etween 2010 and 2020, which are published on the Korea ODA Integrated Information Portal,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main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nalysis of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a need to 1) review the scale of the ODA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nsure that it is appropriate for the recipient countries; 2) consider the balance between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s and their continuity in the recipient country selection; 3) diversify the ODA program contents considering the status of Korean education in the recipient countries; 4) identify ways to provide human resources, technology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simultaneously; and 5) strategize the selection of recipient countr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s. These results can be the basi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ODA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ODA와 발전행정

        한동호(Han, Dong H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한국은 2009년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하여 원조공여국이 됨에 따라, 한국의 경험이 후발 발전도상국들의 행정발전에 도움이 되는 ‘원조수원국을 위한 발전행정론’을 연구해야한다. 비교발전행정론은 처음부터 ODA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시작되었는데, 발전행정론은 한국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하지만 80년대와 90년대를 거치면서 신자유주의는 세계화현상과 맞물리면서 발전행정론의 퇴조를 가속화시켰다. 한편, 세계화의 계속적인 심화는 세계화로 인한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발전이념과 발전전략을 요청한다. ODA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데, 그런 측면에서 동남아시아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그 이유는 첫째,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동남아 노동자들의 역할이 크고 이로 인한 불법체류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ODA를 통해 동남아국가의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이런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동남아국가들은 아세안과 같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지역협력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동남아국가들과의 긴밀한 협력은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남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지역보다 더 많은 이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베트남은 서구적 이론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일종의 토착적 발전행정론을 통해 상당한 성과를 이룩했다. 따라서 베트남의 경험은 한국에게 북한과의 관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세계화의 부작용을 보정하기 위한 현대발전이론에 입각한 발전행정론을 연구하는데도 공헌할 수 있다. As Korea joine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f OECD, Korea needs to study a model of development administration helping late developing countries on the basis of Korean experiences. Comparative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ODA from the beginning.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borne fruit in Korea. But, neoliberalism together with globalization, degraded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rough 1980s and 1990s. On the other hand, continuous deepening of globalization is requesting new ideology and strategy of development to alleviate side effects of globalization. To operate ODA efficiently, selection and concentration is necessary. In this point, Southeast Asian Countries are very important as following. Firstly, Southeast Asian worke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labor market and thus given rise to some problems such as illegal immigrant. If ODA induce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Southeast Asia, many problems could be mitigated. Secondly, as Southeast Asian Countries constitute ASEAN, close cooperation with the Southeast Asia will give more benefit than that of South Asia, Latin America and Africa on a medium-and long-term basis. Thirdly, Vietnam bore fruit through a kind of homegrown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stead of Western development theories. Therefore, Vietnamese experience might contribute to not only relationship with the North Korea but also developing new development theories to alleviate side effects of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