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사 ‘다’의 의미와 기능

        장경현 ( Jang Gyeong-hyeo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5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meanings and functions of Korean qualifier ‘da’. ‘da’ is classifiedd into two categories; quantifying expressions and non-quantifiying expressions. There are some syntactic restrictions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which distinguish adverb ‘da’ from noun ‘da’. Adverb ‘da’ usually modifies preceding elements in a sentence and is regarded to make them focus of the sentence. ‘da’ should be studied in semantic/pragmatic level in that ‘da’ fucntions as modal adverb. Especially, non-qualifying expression ‘da’ shows very peculiar semantic characteristics. Using non-qualifying ‘da’, speaker expresses unexpectedness and value judgment in their recogntion category. Moreover, ‘da’ indicates and modifies pragmatic situations. Sometimes it collocates with some modal propositions or is replaced by them. ‘da’ is used as modaliy expression in spoken language and discourse but it is not enough to define it as discourse marker.

      • KCI등재

        의무 양태 동사‘득(得)’의 변별적 기능에 관한 연구

        박재승 ( Park Jae-seumg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2 No.-

        본 논문은 ‘의무 양태 범주’의 구성원 중 하나인 ‘得’의 변별적 기능에 대한 연구이다. 논문의 제목을 그냥 ‘기능 연구’가 아닌 ‘변별적 기능’으로 명명한 이유는 ‘得’가 ‘必鬚’나 ‘應該’에 상대적으로 의무 양태 범주에서 기능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는 크게 세 개의 소주제로 구성이 되어있는 데, 첫 번째는 ‘得’가 ‘화자 지향적 양태(주관성)’ 인지 ‘규칙 지향적 양태(객관성)’인지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得’는 ‘공감 요청 표지’이며, 화자의 의견 제시가 우선 된다는 점에선 ‘주관성’을 기반으로 한 개념이지만, 의무의 생성이 화자 내부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동의를 구한다는 점에선 ‘객관성’인 측면도 존재하는 ‘하이브리드 형’ 의무 양태 동사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정확한 기능 분석을 위해선 ‘화자 기준’분석뿐만 아니라, ‘청자 기준’ 분석도 함께 진행해야만 했다. 본고는 ‘必鬚, 要, 應該’와의 일대일 내적 대조를 진행하여 ‘得’의 변별적 기능을 도출하였다. 내적 대조에서 중점을 둔 점은 ‘화자 지향적 양태’와 ‘규칙 지향적 양태’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대별되어지는 것이 아닌 ‘상대적인 기준’을 근거로 하여 정해지는 개념임을 밝혔다. 두 번째는 ‘공기 성분 분석’에 따른 ‘得’의 변별적 기능을 도출해내었다. 의무 양태 동사가 ‘可能’과 같은 ‘[+추측]어휘’와 공기가 가능하기 위해선 화자가 특정 행위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압’ 보단 ‘유보’와 같은 ‘모호한 입장’이어야만 한다. 이러한 [+추측]성분이 나타내는 모호성은 청자의 부담감을 경감시켜서, 의무의 필요성에 대하여 청자가 공감을 나타낼 수 있는 화용적인 공간을 화자가 제공해준 것이다. 또한 ‘공감 요청 표지’인 ‘得’는 ‘공손함’이라는 화용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이러한 ‘得’에 ‘필연의 인식 양태 동사’인 ‘一定, 肯定, 必定’ 등을 사용하게 되면, 청자에 대한 ‘공손함’을 유지한 상태에서 ‘必鬚’와 같은 행위 요구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동사구가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을 경우에 화자는 행위를 제어할 수 없으며, 때문에 ‘의무 양태’를 나타낼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得’를 ‘非양태적 표현’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要’와의 치환 가능 여부를 통해 ‘得’의 ‘양태적 표현’과 ‘非양태적 표현’을 검증하였고, 이 경우에 주어 인칭에 따른 양태 의미의 차이도 아울러 밝혔다. This paper describes the function analysis of the obligation modality verb ‘得(dei)’. Based on “the obligatory reference point”, we developed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得(dei)’ in each functional category. First, the obligatory reference point of ‘得(dei)’ begins with obligations within the speaker, but is completed through empathy with the audience. For this reason, 'dei' is equipped with a modal verb function that combines the speaker's subjective obligatory and politeness. Second, because the speaker 's attitude is not ‘convincing’, it collocates with the ‘guessing meaning vocabulary’. We can control the degree of compulsion through adverbs while maintaining a polite attitude. Third, ‘得(dei)’ was replaced with ‘要(yao)’, and the sentence was established as ‘modal expression’, while the sentence was not established as ‘non-modal expression’. ‘Non-modal expression’ means that the actor can not control the action and the speaker can not intervene in the proposition.

      • KCI등재

        The modality of epistemic and non-epistemic possibility in Korean: -(u)l swu iss and -(u)l ci molu

        ( M. Nam Kil Kim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6 언어사실과 관점 Vol.3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인식 양태와 비인식 양태인 동적 양태를 나타내는 -(을)지 모르다와 -(을)수 있다를 비교 연구하는것이다. 이 두 한국어 양태를 분석함에 있어 영어의 may와 can의 쓰임을 참조하였다. 논문의 첫 부분에서는 -(을)수 있다가 세개의 중심되는 의미즉, 상황적(또는 중성적) 가능성, 능력, 그리고 허락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이세 의미의 차이에 따라 시간적 참조, 상,및 사실성의 의미론적 특징이 각각 다르게 나타남을 밝혔다. 논문의 둘째 부분에서는 -(을)수 있다 와 -(을)지 모르다가 둘 다 인식 양태를 나타내지만 어떤 면에서 공통점이 있으면 또 어떤 면에서 차이점이 있는지를 밝혔다. 공통점은 7가지의 인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양태형이 상태동사와 공기함으로써 인식 양태가 분명히 나타난다. 둘째, 과거형은 두 양태형과 같이 일어날 수 없다. 셋째, 두 양태형은 부정될 수 없다. 넷째: 양태형에 일어나는 시제는 현재임으로 현재만을 나타낸다. 다섯째, 두 양태형은 종속절에서 헤쥐(hedge)로 기능한다. 여섯째, 두 양태형은 ``혹시``, ``어쩌면`` 같은 양태 부사와 공기함으로써 인식 가능성의 의미를 강화한다. 일곱째, 두 양태형은 의문문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두 인식양태형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화자에 의해 나타내는 자신감의 강도가 각각 다르다. 둘째, 어떤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할 때 그 가능성이 50/50라고 한다면 -(을)수있다가-(을)지 모르다 보다 문장으로서의 수용성이 더 높다. 셋째, -(을)수 있다는 화자의 직접 경험을 나타내는 반면 -(을)지 모르다는 화자의 간접 경험을 나타낸다. 넷째, -(을)지 모르다를 포함한 문장의 주어 자리에 일어나는 명사적 표현(nominal expression)은 특정적(specific)인 것으로 해석되지만 -(을)수 있다를 포함한 문장의 주어 자리의 명사형 표현은 비특정적 또는 총징적(generic)으로 해석된다. 끝으로 두 양태형이 헤쥐로 사용될때 -(을)지 모르다는 주로양보절에서 그리고 주절 앞에서 일어나는 반면, -(을)수 있다는 주절 뒷절에서 일어난다.

      • KCI등재

        일한,한일 소설 번역의 행위요구 모달리티 분석-의뢰, 권유, 허가, 희망 표현을 중심으로-

        이주리애 ( Ju Ri Ae L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1 No.1

        行爲要求モダリティとは話し手が行爲の實行を聞き手に求める表現のモダリティである。認識モダリティの場合は日本語のほうが韓國語に比べて婉曲な表現を使う傾向があることが議論されている。本論文では行爲要求モダリティにおける日本語と韓國語の使用の違いを分析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行爲要求モダリティのうち、聞き手に判斷の余地を與えない命令と禁止の表現を除いた依賴·勸め·許可·希望の表現は聞き手の受け止める印象に差がある。本硏究では非飜驛小說と飜驛小說に表れる行爲要求モダリティの出現の頻度を調べた結果、日本語の非飜驛小說のほうが韓日飜驛小說に比べ間接的な表現が使われる割合が高く、日韓飜驛小說でも日本語の間接的行爲要求表現が韓國語の飜驛で直接的表現として表れる傾向にあることが分かった。日本語は韓國語に比べ依賴疑問型や希望のモダリティが多く使われているため、韓日飜驛の際には韓國語式の直接的行爲要求よりは「~てくれる?·~てもらえる」などの疑問型の依賴表現や「てほしい·てもらいたい」などの希望のモダリティで飜驛する割合を高めることでさらに日本語のテキストに近い自然な日本語の文章が可能になると思われる。 Requesting, suggesting, wishing and conceding are some of the most typicalforms of expression that relate to deontic modality. With the exception ofcommanding or prohibiting expressions, where the listener is not allowed any choice,these forms of expression vary in their degree of forcibleness and freedom of choiceupon the listener. Regarding epistemic modalit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Japaneselanguage tends to have a higher inclination towards the use of euphemistic phrasesor expressions than the Korean language. And that being said regarding epistemicmodality,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in terms of deontic modalit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ranslatednovels and untranslated, original novels. Results showed that original, untranslatedJapanese novels had a higher usage rate of roundabout phrases and expressionscompared to Korean novels that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It was also observedthat roundabout deontic expressions in Japanese novels were converted into directdeontic expressions when translated into Korean. Interrogative request and wishingexpressions are frequently used in the Japanese language.

      • KCI등재

        한국어 조사 "이나"의 함축 해석에서 나타나는 척도의 유형에 관하여

        류병율 ( Byung Ryul Ryu ) 한국 현대 언어학회 2009 언어연구 Vol.25 No.3

        This paper will attempt to show that the description of the meaning of `-(i)na` which has been explained in different standards and terms without coherence employ appropriate scalar implicature. This paper regroups the meanings of `-(i)na` in Korean into five classes which previous research has referred to having several different modal meanings. For the implicature interpretation, scales formally sort out the Total order from Partial order and interpretation of various meanings of `NP-(i)na` makes uses of scales based on modality. Lee, Chung, and Nam (2000, 2002) represented `-(i)na/-to` as indicating the least lower bound in probability scale. Applying these works, this paper also makes use of deontic and volitives modality as well as epistemic one.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a implicature` meaning is represented in diverse modal context. Thus, unlike previous research based on entailment, this paper discuss to extend to scalar implicature based on modal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국어 부름말의 유형 연구

        황병순(Hwang, Byung-Sun) 한국어문학회 2017 語文學 Vol.0 No.137

        A Korean summons i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g’, combining with ‘modal expressions’ and its types are determined by ‘referring function words’. As for Korean summons,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g can be distinguish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norm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norms which determine the types of summons can be considered semantic features of Korean summons. The semantic features are therefore affe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the existence of the function word for referring, the speaker’s awareness of the person being addresse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and the involvement of a sense of belonging,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Korean summons can be divided into the eight types: ‘common noun,’ ‘kinship term,’ ‘title term,’ ‘proper noun,’ ‘semi-proper noun,’ ‘indirect referent,’ ‘request,’ and ‘attention’ according to the sematic features embedded in those summons. Types of these summons are encaptulsated in 〈Table 2〉. In modern Korean language, the summon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due to the changes of social norms which affect the construction of summons. The changing patterns are observed as follows: First, the border between an acquaintance and a stranger is blurred. The use of ‘common noun’ summons used for a conversation with strangers is replaced by the ‘kinship term’ or ‘title term’ summons. Secondly, the distinction between young and old is reduced to the disappearance of ‘semi-proper noun’ or the changing usage of ‘indirect referents’. Thirdly, the mark of hierarchy between the speakers shows variations. Finally, the frequency of using ‘attention summons’ is gradually increas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