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정안국론』에 나타나는 니치렌의 사상적 특징 -『수호국가론』과의 연관성을 통해-

        김수아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이 논문은 『입정안국론』에 나타나는 니치렌의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안국론은 정법을 구현하여 안국을 건립하는 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하는 논서이다. 기존연구들은 안국론의 핵심을 파사현정과 종교와 국가와의 관계라고 규정한다. 그러나 니치렌이 호넨의 정토교비판인 파사에 집중하여, 현정인 안국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연구자들의 제기한 문제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두 가지 사실을 밝히게 되었다. 첫째는 니치렌은 『수호국가론』에서 밝힌 천태법화사상 입장에서 길장의 파사즉현정의 방법론을 적용시키고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니치렌의 파사즉현정의 적용은 석존의 사바즉적광토라는 정토관을 회복하기 위함이자 방법과 방법인 모두를 단절할 것을 주장하는 호국사상을 천명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니치렌의 사상적 특징은 파사즉현정이라는 인식전환으로『법화경』에서 제시한 사바즉적광토가 진정한 정토라는 사바복권을 제시하는 것이 특징이라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Nichiren (1222-82)’s ideological features in the Risshō ankokuron. Nichiren wrote this treatise on bringing peace to nation by establishing the True Dharma. Previous researchers indicated that the main ideas of this treatise are the argument of refuting the false and disclosing the corr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nation. However, some of them criticized that it seems that in this treatise Nichiren failed to show the concept of peace to nation explicitly. It is because he focused on criticising Hōnen(1133-1212)’s Senchaku hongan nembutsushū. Thus, in this paper, as for examining closely the questions of previous researchers, it turned out two facts. First, Nichiren applied Jizang(549-623)’s the argument of refuting the false and disclosing the correct to this treatise from the standpoint of the doctrine of T’iandai Buddhism established in the Shugo kokkuron. Second, the aim of Nichiren’s application was not only to recover the pure land on the Sahā world presented in the Lotus Sutra by Śākyamuni Buddha but also to declare a patriotic thought by correcting the untrue dharma and those who practice the untrue dharma. Therefore, it is clarified that Nechiren’s ideological feature is figured out that the recovering Sahā Pure Land presented in the Lotus Sutra from a paradigm shift of the argument of refuting the false and disclosing the correct.

      • KCI등재

        근대 일본불교의 군국주의 -니치렌주의(日蓮主義)를 중심으로-

        원영상 ( Won Yong-sa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본 논문은 중세 일본불교의 조사들 가운데 가장 독특한 니치렌(日蓮)의 가르침을 근대적으로 해석한 니치렌주의(日蓮主義)와 군국주의의 관계 연구이다. 봉건제가 해체되고, 전제국가의 형태를 띤 근대 일본은 전통과 서구화의 갈등, 획일적 자본주의화 등으로 사회적 혼란에 처해 있었다.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국가체제 속에서 국체론(國體論)을 통해 군민일치(君民一致), 애국주의, 외국종교의 배격 등 국수(國粹)적이고 배타적인 국민성이 형성되어 간다. 특히 일본이 부국강병 정책에 기반하여 승리한 청일 및 러일전쟁으로 국가주의가 절정에 달할 때, 다나카 치가쿠(田中智學)와 혼다 닛쇼(本多日生)의 니치렌주의는 각광을 받는다. 니치렌주의와 군국주의는 두 가지 큰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는 일본주의이다. 신의 자손인 천황을 중심으로 일본이 세계의 중심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제국주의다. 다나카는 천황가의 조상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와 석가모니, 전륜성왕과 천황이 같은 뿌리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일본은 세계를 영적으로 통일할 사명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의 언설과 그가 조직한 국주회(国柱会)는 사회사상가, 군인, 정치가들에게 크게 영향을 주었다. 심지어 1940년대에 이시하라 칸지(石原莞爾)와 같은 군인은 최후의 전쟁을 통해 일본을 중심으로 세계가 통일되고, 현인신인 천황이 세계의 천황이 되어야 한다고까지 주장한다. 이러한 니치렌주의는 크게 두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제정일치를 의미하는 법국명합(法国冥合)의 파행이며, 천황숭배에 입각한 민족주의의 한계다. 불법을 통해 중생의 고통을 제거해야 한다는 니치렌의 가르침을 부정한 것이다. 다음은 악한 자의 마음을 바르게 가르쳐 인도하는 절복(折伏)을 전쟁과 같은 비인도적 방식에 적용한 것이다. 불교의 불살생의 가르침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다. 종교가 자발적으로 국가의 지배를 받을 때, 이처럼 비참한 결과가 발생한다. 오늘날 니치렌주의가 다시 주목되어야 할 이유는 국가와의 관계에서 종교가 어떻게 중도를 지킬 것인가 하는 문제 때문이다. 특히 니치렌 계통의 종교가 정치에 참여하는 현실을 놓고 볼 때, 과거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반성이 필요하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ilitarism and Nichirensyugi that modernly interprets the lesson of Nichiren who is the most unique in great masters of medieval Japanese Buddhism. After the feudalism was broken down, the modern Japan in the form of autocracy was facing the period of social chaos like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zation, and capitalization. In the national system with the pinnacle of Japanese emperor, the nationalistic and exclusive national character is formed such as the military and civilian unity, patriotism, and rejection of foreign religions through Kokutairon. Especially, when the nationalism reaches the climax by Japan’s victory i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based on its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the Nichirensyugi by Tanak Chigaku and Honda Nisshyō gets the limelight. The Nichirensyugi and militarism show the two major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Japan-centrism. Focusing on the Japanese emperor who is a descendant of God, Japan should become the central nation of the world in the imperialism. According to Tanak, the Japanese emperor has the same root with Amaterasu Ōmikami who is the ancestral god of the emperor’s family, Buddha, and Chakravartin, and Japan has a mission to spiritually unify the world. His statements and Kokutyūkai that he organized had huge influences on social thinkers, soldiers, and politicians. And even in the 1940s, the soldiers like Ishihra Kanji argue that the world should be unified focusing on Japan through the final war, and the Japanese emperor who is the emperor god should become the emperor of the world. This Nichirensyugi has largely two limitations. First, it is the lameness of Hōkokumyōgō meaning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and the limitation of nationalism based on the emperor worship. It denies Nichiren’s lesson in which the pains of mankind should be removed through Buddhism. Next, the Shakubuku that correctly teaches and leads the heart of wicked persons, is applied to the inhumane method like war. It completely denies the Buddhist lesson of no destruction of life. Such a miserable result could happen like this when a religion is voluntarily controlled by a state, Today, the Nichirensyugi should be reviewed once again because it is the matter of how a religion take the middle course in the relation with state.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ality in which the Nichiren-like religion participates in politics, there should be realistic analysis and introspection on the past.

      • KCI등재

        The Lotus Sutra’s One Vehicle and Rissho Kosei-kai’s Understanding of Interfaith Relations: The Ambivalence of Religious Inclusivism and Prospects for Embracing Religious Pluralism for the 21st Century

        Dominick Scarangello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4 불교학 리뷰 Vol.35 No.-

        This presentation will explore the Lotus Sutra-based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religions that underpins the Japanese Buddhist religious group Rissho Kosei-kai’s approach to interfaith cooperation and dialogue. I will examine how Rissho Kosei-kai creatively reinterpreted prewar Nichirenism’s stance toward the diversity of religions to support an inclusivist embrace of other religions and enter dialogue with them. However, I determine that those innovations have an ambiguous contemporary legacy, as aspects of Rissho Kosei-kai’s inclusivist notion of the “oneness” of religions cannot transcend reductive inclusivism to provide a coherent account of religious pluralism.In the conclusion of this presentation, I will reflect on the potential for establishing a prac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eligious pluralism for Rissho Kosei-kai and consider the prospects for embracing a thoroughgoing pluralism from the standpoint of the Lotus Sutra tradition.

      • 일본불교 ‘의례’문화를 둘러싼 연구동향 - ‘장의(葬儀)’문화를 중심으로 -

        제점숙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around Japanese Buddhist ‘ritual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e of ‘burial rituals’ and investigated the research status and trend of each denomination of Japanese Buddhism. Most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have investigated the religious forces based on the religious body’s own research institu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sessed problems appearing here and conducted continuous studies to find a solution. The recent interest is the issues related to burial rituals. In the social atmosphere in Japan, “Japanese Buddhist burial rituals are not needed” now, low-cost and simplified funerals are required. In such a situation, what would be the role of Japanese Buddhism?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on Jodo Shinshu Hongwanji-ha and Nichiren-shu representative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to shed new light on the role of today’s Japanese Buddhism. 이 연구는 일본불교 ‘의례’를 둘러싼 일본에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글이다. 그중에서도 ‘장의(葬儀)’문화에 중점을 두고 일본불교의 연구현황 및 동향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일본불교 각 종파는 교단 내 자체 연구소를 기반하여 장기간에 걸쳐 종교 세력 현황을 조사해 왔으며,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위해 꾸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 관심사는 초고령화, 저출산, 인구감소로 인한‘장의(葬儀)’ 문제이다. 더이상 ‘일본불교의 장의가 필요 없다’는 일본 사회 분위기속에 일본인들은 생략하거나, 저비용, 간소화 장례식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속에 과연 일본불교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일본불교의 대표적 종파인 정토진종본원사파(淨土眞宗本願寺派), 일련종(日蓮宗)의 연구현황을 소개하여 오늘날일본불교의 과제를 전망해보았다.

      • KCI등재

        日蓮宗 祖師像에 대한 考察

        지미령(Ji, Mi-ryong)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8 No.-

        일련종 승려였던 닛신 상인은 일련종으로부터 파문을 당한 후, 1436년 교토에서 혼포지를 개산했다. 이후 혼포지를 중심으로 전국 각지의 포교활동을 전개했다. 닛신의 포교활동은 일련종의 포교활동과 비교해 보다 적극적이고 타종교에 대한 배타성이 강했다. 본고에서는 논하고자 하는 혼포지 소장 닛신 상인상은 닛신의 가장 오래된 초상화로써 카노파의 시조 카노 마사노부가 그렸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마사노부의 일련의 작품들과는 공통성을 찾기 어렵다. 닛신 상인상은 얼굴묘사에 있어 한화풍(漢畵風)으로, 신체는 야마토에(大和繪)적 묘사를 하고 있는데, 이는 본래 한화가(漢畵家)였던 마사노부가 어떤 식으로 야마토적 표현기법을 병용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도상학적(圖像學的)으로 일련종(日蓮宗) 계열의 초상화임에도 불구하고 일련종 초상화 형식을 따르지 않으며 오히려 선종이나 정토종 초상화에 근접한 도상을 취하고 있다. 필자는 닛신상인상이 가지는 도상학적 특징을, 마사노부가 법화종 신도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막부와 선승의 주문을 받아 생활한 에시(繪師)였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화가(漢畵家)였던 마사노부의 작품은 대부분 막부와 선승의 기호에 맞춘 것으로 혼포지 소장 닛신 상인상이 선종계열 초상화에 가까운 도상적 특징을 갖는 연유 역시 마사노부가 주로 막부와 선종계열의 초상화를 제작했다는 데서 찾고자 했다. 마사노부가 닛신 상인상 제작에 있어 가장 중요시 한 점은, 선승의 초상화에서 가중 중요한 요소인 “정신을 취한다”를 일련종 초상화에 대입해 닛신의 정신을 표현하고자 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외양의 모습 속에서 정신이 잘 드러났을 때 비로써 닮았다고 말하는 중세 초상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사실성과 닮음이라는 문제를 마사노부 식으로 접근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한화풍의 구체적 얼굴 묘사, 야마토에적인 신체묘사 및 찬(贊)이 닛신을 향한 존중과 내면적 이상 표현으로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마사노부는 사실과 닮음을 따로 떨어져서 생각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통하는 것이며 닛신 상인상을 통해 일련종 고승의 정신을 취하고자 한 것이다. When Nisshin who had been a Nichiren monk was excommunicated from Nichiren Buddhism, he founded the Honpou-ji Temple in Kyoto in 1436. After that, he was active in propagating over the country with a head Temple in Honpou-ji. His propagation was more positive and exclusive compared to the Nichiren Buddhism’s. The picture of Nisshin in Honpou-ji Temple, which is discussed in this thesis, is considered to be the oldest portrait of Nisshin and it has been said that it was painted by Kano Masanobu, the founder of the Kano school; however, it didn’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his other works. By examining the face in the picture of Nisshin following the originally a Chinese-style, and its body in Yamato’s style, we can see how Masanobu, originally a Chinese-style painter, combined his original painting style with Yamato’s. Also, even though this was kind of a Nichiren Buddhism portrait from an iconographic point of view, it didn’t follow that form in the style and rather had iconography similar to the Sukkavati portrait. Here is what we have to focus on. This is that even though he followed hokke-shu, he was a painter whose paintings were completed at the order of Shogunate and Zen monk. In other words, even if Masanobu was originally a Chinese-style painter, most of his works were to their taste, and that is the reason why the picture of Nisshin in Honpouji Temple has a similar iconography to the Zen portrait. The picture of Nisshin shows that Masanobu put his idea ‘to embody the spiri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rait in the Zen portrait, into painting the portrait and tried to embody the spirit of Nisshin. Only when the spirit was well expressed in the picture, could it be said that the picture had the ‘reality and resemblanc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edieval portraits. It is inferred that Masanobu followed this style. This means that specific description of the face in originally Chinesestyle, a body description and legend in Yamato-e’s painting style can be related to respect for Nisshin and the expression of internal ideal after all. Masanobu thought that reality and resemblance could not be considered separately but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he intended to embody the Nichiren monk’s spirit through the picture of Nisshin.

      • KCI등재

        身延山と東アジア仏教の至宝

        기무라 추이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7 불교학 리뷰 Vol.22 No.-

        On Mount Minobu is located Kuonji Temple, and from ancient times this area was known to believers as a sacred place, referred to as “The Mountain of the Founder of the Nichiren School.” The Minobu Archive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Kuonji Temple, and in this collection are many Buddhist scriptures, apocrypha and other treasures of Buddhist literature. These are widely used not only by researchers of the Nichiren School of Buddhism, but also by many researchers of East Asian Buddhism in general. The works are introduced in the three-volume “Index of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and the “Index of Art and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However, in the present situation researchers in far places can only find the tiny amount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se indexes that is open to the public, and must actually come to Mount Minobu if they wish to use the works in the Minobu Archive for their research. In this paper, entitled The Great Treasures of East Asian Buddhism and Minobusan, I will first simply discuss the life of Saint Nichiren, the founder of Nichiren Buddhism, as it is deeply related to the first period of the chronicles of the Minobu Archive. Next I will discuss the theory behind the collection of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and the purpose and methods of collection. Afterwards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the Minobu Archive into 6 periods, discussing the state of the collection in each period. Following this I will discuss the modern investigations of the Minobu Archive that led to the creation of the“Index of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and finally I will write about the works that are preserved separately from the Minobu Archive, discussing the state of preservation and the value of the other important writ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explained above, I sincerely hope that this paper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Buddhist research and can provide a chance for new discovery. 미노부산에는 일연종 총본산인 미노부산 구온지(久遠寺)가 있고, 옛부터 조산(祖山)이라고 일컬어져 일연 신봉자의 신앙을 모으는 영지로서, 그 존재는 흔들림 없다. 이 미노부산 구온지 관할 아래 있는 것이 미노부문고(身延文庫)로서, 그 문고 안에는 수 많은 불전・외전・그 외 집기 등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일연종 종학자뿐 아니라 많은 동아시아 연구자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소장물 등에 대해서는 <<미노부문고 소장 문서・회화 목록>>이나 <<미노부문고 전적 목록>>전 3권 등으로, 주로 전적류에 대해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서지정보가 기재되어 있을 뿐으로서, 새로 발견된 문헌이 조금공개되어 있다 해도 극히 일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이 되는 개별 전적에 대해 상세히 알기 위해서는 실제로 미노부산에 가서 확인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이번 강연에서는 ‘미노부산과 동아시아불교의 보물’이라는 제목으로, 먼저 일연종 종조인 일연의 생애에 대해 서술한다. 이것은 나중에 서술할 ‘미노부 문고의 연혁’ 중 최초기에 관한 사항이므로 간단하게나마 언급한다. 다음으로 미노부문고의 전적 수집 이념과 관련하여 일연이 행한 전적 수집 양상과 그 목적에 대해 서술한다. 그후미노부 문고의 역사와 전적 수집 상황에 대해, 그 기간을 6기로 나누어 각 기간의 전적 수집 상황에 대해 고찰한다. 이어서 현대에 미노부문고 내 전적 조사와 그 성과로 들 수 있는 <<미노부문고전적목록>>의 작성에 대해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미노부문고 외에 소장되어 있는 미노부문고에 대해, 그 소장 상황과 그 외의 귀중한 전적에 대해 서술한다. 본고는 상기한 내용의 고찰에 의해, 이후 동아시아불교 연구의 발전과 나아가 새로운 발견의 가능성을 기대하는 것이다.

      • KCI등재

        身延山と東アジア仏教の至宝

        木村中一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7 불교학 리뷰 Vol.22 No.-

        미노부산에는 일연종 총본산인 미노부산 구온지(久遠寺)가 있고, 옛부터 조산(祖山)이라고 일컬어져 일연 신봉자의 신앙을 모으는 영지로서, 그 존재는 흔들림 없다. 이 미노부산 구온지 관할 아래 있는 것이 미노부문고(身延文庫)로서, 그 문고 안에는 수 많은 불전・외전・그 외 집기 등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일연종 종학자뿐 아니라 많은 동아시아 연구자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소장물 등에 대해서는 <<미노부문고 소장 문서・회화 목록>>이나 <<미노부문고 전적 목록>>전 3권 등으로, 주로 전적류에 대해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서지정보가 기재되어 있을 뿐으로서, 새로 발견된 문헌이 조금공개되어 있다 해도 극히 일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조사대상이 되는 개별 전적에 대해 상세히 알기 위해서는 실제로 미노부산에 가서 확인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이번 강연에서는 ‘미노부산과 동아시아불교의 보물’이라는 제목으로, 먼저 일연종 종조인 일연의 생애에 대해 서술한다. 이것은 나중에 서술할 ‘미노부 문고의 연혁’ 중 최초기에 관한 사항이므로 간단하게나마 언급한다. 다음으로 미노부문고의 전적 수집 이념과 관련하여 일연이 행한 전적 수집 양상과 그 목적에 대해 서술한다. 그후미노부 문고의 역사와 전적 수집 상황에 대해, 그 기간을 6기로 나누어 각 기간의 전적 수집 상황에 대해 고찰한다. 이어서 현대에 미노부문고 내 전적 조사와 그 성과로 들 수 있는 <<미노부문고전적목록>>의 작성에 대해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미노부문고 외에 소장되어 있는 미노부문고에 대해, 그 소장 상황과 그 외의 귀중한 전적에 대해 서술한다. 본고는 상기한 내용의 고찰에 의해, 이후 동아시아불교 연구의 발전과 나아가 새로운 발견의 가능성을 기대하는 것이다. On Mount Minobu is located Kuonji Temple, and from ancient times this area was known to believers as a sacred place, referred to as “The Mountain of the Founder of the Nichiren School.” The Minobu Archive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Kuonji Temple, and in this collection are many Buddhist scriptures, apocrypha and other treasures of Buddhist literature. These are widely used not only by researchers of the Nichiren School of Buddhism, but also by many researchers of East Asian Buddhism in general. The works are introduced in the three-volume “Index of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and the “Index of Art and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However, in the present situation researchers in far places can only find the tiny amount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se indexes that is open to the public, and must actually come to Mount Minobu if they wish to use the works in the Minobu Archive for their research. In this paper, entitled The Great Treasures of East Asian Buddhism and Minobusan, I will first simply discuss the life of Saint Nichiren, the founder of Nichiren Buddhism, as it is deeply related to the first period of the chronicles of the Minobu Archive. Next I will discuss the theory behind the collection of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and the purpose and methods of collection. Afterwards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the Minobu Archive into 6 periods, discussing the state of the collection in each period. Following this I will discuss the modern investigations of the Minobu Archive that led to the creation of the“Index of Writing in the Minobu Archive,” and finally I will write about the works that are preserved separately from the Minobu Archive, discussing the state of preservation and the value of the other important writ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explained above, I sincerely hope that this paper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Buddhist research and can provide a chance for new discovery.

      • KCI등재

        일본중세 신불교 조사들의 신행관 - 도겐(道元)·신란(親鸞)·니치렌(日蓮)을 중심으로 -

        원영상 ( Won Yong-s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4

        중세 일본불교의 조사들은 불교계가 유착했던 고대의 왕권국가의 몰락과 말법사상의 유포로 인해 쇠퇴해 가는 불법을 다시금 세우기 위해 각자의 신앙과 깨달음에 의거해 신불교를 세웠다. 이 가운데 도겐(道元)·신란(親鸞)·니치렌(日蓮)이야말로 신불교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조사들이다. 일불(一佛) 즉 일체불(一切佛)이며, 일법(一法) 즉 일체법(一切法)이고, 일승(一僧) 즉 일체승(一切僧)의 정신을 잘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들의 신행관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이 조사들의 교상판석을 살펴보자면, 도겐의 경우, 지관타좌(只管打坐), 본증묘수(本證妙修), 수증일여(修證一如)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가르침을 확립하고 있다. 신란의 경우, 칭명염불과 더불어 신심의 정토사상을 확립했다. 니치렌의 경우, 오중삼단(五重三段)과 오중상대(五重相對), 오의(五義)의 교판이 핵심이다. 신행관에 있어 먼저 일본선을 창안한 도겐은 그 이름이 보여주듯 신(信)을 도의 가장 근원에 두고 있으며, 천태본각사상의 영향으로 수행과 깨달음의 불이(不二)관계를 통해 철저한 행의 불교를 확립했다. 신란 또한 『교행신증』에서 보듯이 가르침, 실행, 믿음, 증명이 일관된 신앙관을 확립했으며, 악인정기사상(惡人正機思想)을 통해 누구든 구제의 가능성이 있음을 설파하여 말법시대에 불법의 진정한 의미를 구현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니치렌은 말법시대에 『법화경』에 의거, 정법의 근원인 석가모니불을 믿으며, 자행(自行)과 타화(他化)의 가르침을 자신의 수난을 통해 깊게 확립했다. 이러한 조사들의 신행은 먼저 대승정신의 구현을 보여준다. 또한 발심-출가-구도-깨달음-구제활동의 신행의 행로를 통해 구생(求生)과 구세(救世)를 구현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시기관(時機觀)의 재구성을 통해 불법에 대한 믿음과 실천의 문제를 시대적으로 구체화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참여불교(Engaged Buddhism)의 전형을 이미 구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ounders of sects in medieval times in Japan established New-Buddhism based on their belief and realization to restore teachings of Buddha that declined due to fall of the ancient royal nations allied with Buddhism in distribution of eschatology of Buddhism. Among them, Dogen·Shinran·Nichiren are founders that bes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ew-Buddhism. Because they well display the spirit such as Ilbul(一佛) is Ilchebul(一切佛), Ilbeob(一法) is Ilchebeob(一切法), and Ilseung(一僧) is Ilcheseung(一切僧).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viewpoints on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by the founders of sects. Firstly, when investigating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 by the founders of sects, Dogen established the basic teachings based on Jigwantaza(只管打坐), Bonjeungmyosu(本證妙修), and Sujeungilyeo(修證一如). Sinran established the Pure Land thought of belief along with chanting Amitabha. And the core of Nichiren thoughts is composed of the teachings of Ojungsamdan(五重三段), Ojungsangdae(五重相對), and Oui(五義). Dogen, who created Japanese zen(禪) firstly in the viewpoints on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as his name, put belief on the fundament of Tao(道, truth), and established Buddhism of thorough act through Buli(不二) relation between cultivation and realiz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heontaebongak idea(天台本覺思想). Shinran, also, established a consistent faith view verified with teaching, act, and belief, as in Gyohaengsinjeung(敎行信證), and intended to realize the true meaning of teachings of Buddha during eschatological era of Buddhism by preaching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in anyone through Aginjeonggi idea(惡人正機思想). Lastly, Nichiren believed in Sakyamuni, the essence of Jeongbeob(正法), based on Saddharma Pundarika Sutra(法 華經) during eschatological era of Buddhism, and deeply established teaching of Jahaeng(自行) and Tahwa(他化) through his hardship. The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of such founders firstly displays the realization of spirit of Mahayana Buddhism. Also, another point is realization of Gusaeng(求生) and Guse(救世) through the belief and practice asceticism through resolution(發心), becoming a Buddhist priest(出家), seeking the truth(求道), realization(깨달음), salvation(救濟) activity. Also, actualization of the matter of belief and practice to teachings of Buddha through reconstitution of Sigigwan(時機觀) during that period. Such point already showed a model of engaged Buddhism required by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감성사전 정보가 결합된 특징통합벡터를 활용한 감성분석

        김호승(Ho-Seung Kim),이지형(Jee-Hyong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0 No.6

        기존의 감성분석은 사전 학습된 정보를 이용하는 것보다 단어, 문장 또는 문맥을 인공신경망 모델에서 학습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성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학습된 정보와 인공신경망을 같이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성사전을 선택하였다. 먼저 사전 구축되어 있는 감성사전이 갖고 있는 단어들의 기본 감성극성과 감성사전으로 학습된 모델을 통한 문장의 일반적인 감성극성, 인공신경망을 통한 문맥의 감성극성을 추출한다. 이렇게 얻어진 단어, 문장 감성극성과 문맥 감성극성을 결합하여 특징통합벡터를 만드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감성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문장이 가지고 있는 감성극성을 분류하는 실험을 하였고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Previous sentiment analysis attempts to analyze sentiment by learning words, sentences or contexts from model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rather than using pre-trained information. In this paper, sentiment dictionary is selected as a method to use pre-trained information and neural networks together. It extracts both the word, sentence sentiment polarity based on the sentiment dictionary and context sentiment polarity through the neural networks. We suggest to create a mixed feature vector by combining word, sentence and context sentiment polarity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it shows excellent performance through an experiment to classify the sentiment polarity of sentences by using it in the sentiment analysis model.

      • KCI등재후보

        특집 : 한(韓),중(中),일(日)의 동아시아 불교 근대화와의 만남 ; 한일 양국의 근대불교와 신흥종교의 성립에 관한 비교연구 -법화경신앙을 중심으로-

        정용식 ( Young Sik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6 No.-

        한일 양국의 불교계 신흥교단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법화계 종단이다. 그 이유는 법화경 자체가 가지는 末法의식·당사자의식의 고취·佛에의 친근감 고양 등의 매력 때문이기도 하다. 일본 창가학회의 법화경 이해는 天台智의 등의 전통적 해석을 배격하고, 오직 니치렌(日蓮)의 해석만을 존중함으로서 타종에 대한 극단적인 배타성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석가모니를 迹佛로서 격하시키고 니치렌을 本佛로서 모시고 있다. 반면에, 한국 대한불교 영산법화종은 창가학회의 주장을 비판하면서 법화경 본래의 취지를 추구하고, 석가모니불을 본불로 모시고 있다. 또한, 창가학회와는 달리 本門迹門一如·敎相觀心一如 등의 융합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창가학회와 대한불교 영산법화종은 많은 차이점을 지니면서도, 自國이 법화경 전파의 발상지라는 민족의식을 보이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There are many Lotus-sutra school in new-religious group of modern Korea and Japan. Perhaps, that is due to charm of Lotus-sutra. In Soga-gakai(創價學會), they exclude Tientai Zhiyi(天台智의)`s explanation and only respect Nichiren(日蓮)`s explanation about Lotus-sutra. Furthermore, they deify Nichiren as Buddha. But in Yeongsan Beophwa school(靈山法華宗), they criticize the doctrine of Soga-gakai and deify Sakyamuni as Buddha. And they suggest that mental contemplation(觀心) is same to doctrine(敎相)(敎相觀心一如). As above, Soga-gakai and Yeongsan Beophwa school have a lot of difference, but they all have national-consciousness that Lotus-sutra should spreads in his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