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 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안나영,유영달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 및 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OO 광역시 소재 6개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572명이다. 이들에게 부모와의 의사소통 척도, 우울감 척도, 행복감 척도, 부정적 자동적 사고 척도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 및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분석방법 및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우울감을 예측하는 요인들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 친구관계, 모와의 의사소통, 성별이었으며, 청소년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요인들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 친구관계, 부 의사소통, 성별, 모 의사소통, 모 학력, 생활수준, 학업성적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기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행복감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기에서도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상담 및 부모교육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parents'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subjects were 572 students in the 1st and 2nd grade from 6 high schools in the Ulsan city.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through the scales by Min(1990), and Jeon & Lee(1992) respectively. The happines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ere measured through the scales by Ryu(1996), and Moon, Oh & Moon(2002)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factors predicting the adolescents' depression includ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friend relations,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x, while factors predicting the adolescents' happiness includ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friend relations, father/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ex, mother's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academic grade. Secondly, the influences of the parents' communication on the adolescents' depression was partly mediated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irdly, the influences of the parents' communication on the adolescents' happiness was partly mediated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implications for youth counseling and parents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정적 생각 바꾸기 집단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나현희,정은희 한국학습장애학회 2019 학습장애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부정적 생각 바꾸기 집단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도에 소재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학생 3명, 고등학생 1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설계를 하여 양적 변화량을 알아보고, 대상 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부정적 생각 바꾸기 집단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회기가 진행 될수록 학생들의 수업 참여 태도, 공격적인 언어 사용 빈도 감소, 돌발행동 및 문제행동의 감소, 다음 차시 수업에 대한 기대감 표현 등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지적장애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는 진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긍정적인 사고를 이끌어내는 활동의 필요성, 프로그램 운영 회기 확충 등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changing negative thoughts on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3 middle school students and 1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at a special school in J-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mount of quantitative change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students’ negative thoughts wer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results, Negative thoughts-changing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 i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the session of the program was progressed more, the students showed some changes in the attitude to class participation, reduced frequency of using aggressive language, decrease of unpredicted/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expression of expectancy in the next session. These positiv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for psychological support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stablish goals and plans for their future and to provide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ke efforts for their own career,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activities that lead to positive thinking, the limitations with suggestions of this study such as longer experimental sess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 부모 양육방식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 간 관계: 연령과 성에 따른 부모 양육방식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신현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8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life stres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t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 with regard to the child's age and gender in order to clarify the mechanism of depression vulner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345 male and femal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more life stress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appearance-related stress.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more parental overprotection and mother's affection than di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across the whole sampl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ere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life stress, and als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ther's rejection, mother's rejection, father's overprotection, and mother's overprotection. Results varied according to child's age and gender. In the cas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ale middle school children, father's rejection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rejection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negative automatic though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ife stress, father's rejection and affec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ignificantly across the whole sampl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rejection and overprotection were also significant. There were age and gender differences here, too. In the case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teraction of life stress and father's affection was significant.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teraction of life stress and mother's affect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are more affected by the same gender parent's parenting style. This study's results may provide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preventive intervention in depression by 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depression vulnerability according to age and gender.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우울증의 취약성 중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발달되는 기제를 규명하기 위해 생활 스트레스와 부모 양육방식과의 관계 및 부모 양육방식의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남여 초등학교 4학년생과 중학교 2학년생 34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연령과 성에 따라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다. 즉,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생활 스트레스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더 많이 경험하였고, 여중생은 외모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또한 중학생이 초등학생에 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과보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을 더 많이 지각하였다. 생활 스트레스, 부모 양육방식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 간 상관 분석 결과, 전체 집단의 경우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생활 스트레스 간 상관이 가장 컸고,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 아버지의 과보호 양육,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 순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연령과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남, 여 초등학생과 남자 중학생의 경우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아버지의 거부와 가장 큰 상관을 보인 반면, 여중생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거부와 가장 큰 상관을 보였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생활 스트레스와 부모 양육방식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집단의 경우, 생활 스트레스,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이 유의미한 예언변인이었다. 어머니의 거부와 과보호 양육방식은 생활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부정적 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방식의 중재효과가 확인되었다. 부모 양육방식의 중재효과 역시 성과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은 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방식의 상호작용이, 여학생은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방식의 상호작용이 부정적 사고를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이런 결과는 청소년의 경우, 부모와 자녀가 같은 성일 때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령과 성에 따라 아동, 청소년 우울증의 취약성이 발달하는 기제를 규명함으로써 우울증의 예방적 개입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있다.

      • KCI등재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김정문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6

        Finding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help improve counseling outcom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vital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utomatic thoughts (positive or negativ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including attachment toward parents and pe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290 college students.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via an inverse effect on negative automatic thought, whereas those attachments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directly through positive automatic thought. The mediating pathway of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upported by SEM.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ttachment and automatic thoughts in terms of counseling college students. Implications on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본 연구논문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부애착, 모애착, 친구애착,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동적 사고가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를 매개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충청도 소재 2개 4년제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우선, 부애착, 모애착, 친구애착에 따라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애착이 자동적 사고에 영향을 주고, 자동적 사고가 다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애착, 모애착, 친구애착,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애착 수준에 따른 차이도 유의미하였다. 즉 부애착, 모애착, 친구애착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낮고, 긍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애착이 부정적인/긍정적인 자동적 사고에 영향을 주고, 부정적인/긍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다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자동적 사고가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애착의 이해에 따른 대학생의 상담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생성 강박사고와 반응성 강박사고가부정적 자기추론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유라,현명호,신재은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togenous obsessions and responsive obsessions on negative self-inference and emotion. 72 healthy individual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the autogenous obsession group, the responsive obsess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experienced intrusive thoughts corresponding to autogenous obsessions, responsive obsessions, or neutral thoughts through an obsession rehearsing task. All groups measured emotion at pre and post period, and then performed a negative self-inference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autogenous obsessions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levels of negative self-inference compared to the two other groups. The result of measuring emotion shows the increase of negative emotion and negative self-conscious emotion significantly only in autogenous obsession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s who experienced autogenous obsessions engaged in more negative self-inference than those who presented responsive obsessions or neutral thoughts. Also,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differential intervention depending on the subtype of obsessions such as targeting distorted self-cognition and negative self-conscious emotion for those who experienced autogenous obsession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하은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8 인지행동치료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 Perfectionism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Social Anxiety. The total of 530 adolescents were given self report measures of anxiety in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situations, traumatic experience in social situations, MPS and K-CATS. The statistic analysis program(SPSS) was used for analyzing the obtained data from the research i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anxiety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raumatic experience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But thes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fectionism. Second, traumatic experience and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had an effect on social anxiety directly, and these could influence social anxiety mediating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t was developed interpersonal anxiety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ase of undergoing traumatic experience. So it i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in adolescent's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사회불안이 발생하여 심화되는 청소년기에 외상적 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직접효과,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의 비교를 통해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53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 외상경험, 부정적 사고와는 정적 상관을, 완벽주의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미치는 직․간접적 효과를 볼 때 외상경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성향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하여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외상경험이 있는 경우 부정적 사고가 대인불안을 더 심화시킨다는 결과로서 청소년기 사회불안에 미치는 부정적 사고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성향의 중요성도 확인되었다. 즉, 자기 주변의 의미 있는 타인에 의해 부과된 기준과 기대를 달성시키고자 노력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성향은 대인불안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칠 뿐 아니라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대인불안을 더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기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내용특수성 검증:내재화 장애와 외현화 장애를 변별하는가?

        하은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adolescent‘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it also tested whethe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re broadband specific features that distinguish internalizing disorders from externalizing disorders, and are narrowband specific features that distinguish depression from delinquent problems. The study sample was 1982 adolescents(916 boys and 966 girls) from junior and high school, and they complet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such as K-YSR, CES-D and LDQ.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xternalizing problems as well as internalizing problems were predicted by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linear and quadratic terms. But it showed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much more explanations on the internalizing problems. Both the internalizing only and comorbid with externalizing problem group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both the depressive only and comorbid with delinquent problem group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se showed that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re narrowband specific as well as broadband specific features in adolescent's psychological disord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열등감과 부정적 자동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

        주지영,이동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long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inferiority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1,139 sixth-grade boys and girl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Only the data of 353 sixth graders [184 boys (52.1%), 169 girls (47.9%)] whose covert narcissism scores were in top 30% were statistically analysed for this study.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ulti-mediating effects were identified through conducting a test, multiple mediation model operating in serial, proposed by Hayes (2012). Then, using SP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Hayes (2012), a bootstrapping method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overt narcissism, inferiorit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inferiority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specific, covert narcissism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inferiority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the order.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매개변인으로 열등감과 부정적 자동사고를 상정하였다.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초등학교 6학년 남녀 1,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 점수 상위 30%인 353명[남자 184명(52.1%), 여자 169명(47.9%), 총 인원 353명]만을 본 연구 자료로 이용하였다. 변인들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SPSS 18.0으로 Hayes(2012)가 제안한 순차적 중다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Hayes(2012)가 개발한 프로그램 PROCESS를 이용한 부트스트레핑(Bootstrapping)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열등감, 부정적 자동사고, 대인관계문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 (세 개의 하위요인별) 간 관계에서 열등감과 부정적 자동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성격, 사회적 기술,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수줍음의 매개효과

        정민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성격(외향성 및 신경증), 사회적 기술, 부정적 자동적 사고, 수줍음, 사회불안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542명으로 성격검사(NEO-PI), 사회기술척도, 부정적 자동적 사고 검사, 수줍음척도, 사회불안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특성인 외향성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수줍음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성격특성인 신경증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수줍음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기술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수줍음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수줍음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외향성, 신경증, 사회적 기술, 부정적 자동적 사고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향성 및 신경증적 성격특성, 사회적 기술, 부정적 자동적 사고, 수줍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shyness, social skill,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 anxiety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xamined. 542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To examine the effect, all subjects completed NEO-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Shyness Scale, Social Skill Rating System-Students Form, Negative Automatic Thought Questionnaire, and Social Avoidance and Anxiety Inven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hyness exerted as mediation variable between extrovers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Shyness exerted as mediation variable between neuroticism and social anxiety. Third, Shyness exerted as mediation variable between social skill and social anxiety. Fourth, Shyness exerted as mediation variable betwee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 anxiety. Fifth, significant relationships examined among extroversion, neuroticism, social skill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refore, in order to help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personality, social skill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hyness were considered.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방명애,김봉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0 놀이치료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influencing depressive emotions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301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6 high school student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implemen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scores of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cores of Korean-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Korean-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K-CATS), Self-Efficacy Scale(SES), gender, age,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anxiet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elf-efficacy, gender, and age had impact on the depressive emotions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scores of anxiety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high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The higher the scores of self-efficacy, the low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of female adolesc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adolescents. In addition, the older adolescents, the high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b) Two factor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depression, social anxiety-had impact on the depressive emotions of adolesc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high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c) Both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had impact on the depressive emotions of adolesc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self-efficacy, the low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자동사고의 하위유형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유형을 밝히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와 전라북도에서 편의군집 표집한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01명과 고등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456명으로 총 757명이었다. 우울척도는 조맹제와 김계희(1993)가 번안한 CES-D를 사용하였고, 불안척도는 최진숙과 조수철(1990)이 번안한 RCMAS를 사용하였다. 부정적 자동사고 척도는 오경자와 문혜신(2002)이 번안한 K-CATS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은 홍혜영(1995)이 번안한 SE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서, 부정적 자동사고, 자기효능감, 성별, 연령이 청소년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었다. 불안정서와 부정적 자동사고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정서의 척도 점수가 높았으나, 자기효능감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정서의 척도 점수는 낮았다. 여학생의 우울정서의 척도점수가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정서의 척도 점수가 높았다. 둘째, 부정적 사고의 하위 요인인 우울인지와 불안인지가 청소년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었다. 즉 우울인지와 사회적 불안인지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정서의 척도점수가 높았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일반적 효능감과 사회적 효능감 모두 청소년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었다. 즉 일반효능감과 사회적 효능감의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정서의 척도점수가 낮았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