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승려 문집의 서문을 중심으로-

        박해당(Park Hae-da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2 泰東古典硏究 Vol.28 No.-

        조선 후기에는 많은 승려들의 문집이 간행되었는데, 이들 문집에는 대체로 당시 유학자들의 서문이 붙어있으며, 전 시대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이 서문들 가운데 상당수는 불교와 불교인에 대해 직접 언급하고 있는데, 그내용이 대체로 비슷하다. 이처럼 조선 후기 전반에 걸쳐 비슷한 견해가 두루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은 그 시대 유교인들의 보편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조선 후기 불교계의 상황을 살펴보면, 첫째 조선왕조의 시작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온 불교탄압정책이 계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었고, 둘째, 한문을 읽고 쓸 수 있는 승려들의 증가와 더불어 사대부들과 승려들의 개인적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이중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집 서문에 나타나는 유학자들의 불교와 불교인에 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를 허무적멸에 빠져 유교적인 인륜을 저버리는 가르침으로 비하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은 불교를 연구나 대화의 대상이 아니라 일방적인 비난과 배척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었다. 둘째, 승려가 개인적으로 임금에 대한 충성이나 부모에 대한 효도 같은 유교적인 덕목을 잘 실천하였을 경우, ‘겉은 불교인이지만 속은 유교인’이라는 식으로 칭찬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불교적인 가치를 부정하고 오직 유교적인 가치만을 인정하는 것이다. 나아가 더 심하게는 승려들이 불교에 몸담게된 것을 안타까워하는, 매우 불교모독적인 발언까지도 서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유학자들은 유교의 진리성과 존재성만을 인정할 뿐 다른 사상의 존재 자체를 용납하지 않는 극히 배타적인 유교절대주의의 입장에서 불교와 불교인들을 바라보고 있었다고 하겠다. 조선후기의 유학자들의 이러한 불교관은 기본적으로 맹자 이후 동중서 한유 성리학을 거치면서 점점 더 강화되어 나타난 이단배척의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렇지만 유교적인 세속권력의 탄압 아래 놓여 있던 조선불교계가 불교적인 정체성 위에 이에 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임금에 대한 충성과 같은 유교적 덕목을 앞세우는 등 국가주의적이고 유교적인 불교로 변모한 것또한 주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요컨대 조선 후기의 유학자들은 단지 정치/경제/사회적인 관점에서만 불교를 폄하하고 배척했던 것이 아니라 의식의 가장 깊은 곳에서부터 불교를 하나의 독립적인 사상전통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였으며, 그 바탕에는 모든 인간을 유교적 인간으로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당위적인 유교절대주의적 사고가 자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Large number of literary collections of Buddhist monks were published during late-Joseon period. These collections usually have a preface written by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These collection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nd evenly throughout late-Joseon period. Among those prefaces, much mention about Buddhism and Buddhists directly, having similar contents. The fact that similar opinions about Buddhism and Buddhist is uniformly recorded throughout late-Joseon period, may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general viewpoint of the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toward Buddhism and Buddhists. Circumstances of Buddhist community during late-Joseon period were double-sided with these two movements happening simultaneously. First, oppressive policies against Buddhism which were launched with the foundation of Joseon state were in progress. Second, with increasing number of Buddhist monks who could read and write classical Chinese, personal communication among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were active and widespread. Amidst such circumstances, opinions of Confucian scholars about Buddhism and Buddhist recorded in those prefaces are as following. First, they downgrade Buddhism as a teaching which negates Confucian morality, absorbed in nihil and annihilation. From this viewpoint, they thought of Buddhism as an object of one-sided criticism and expulsion, not something to be researched or talked about. Second, in the cases when the monk personally practiced Confucian virtues such as a loyalty toward the king or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they praise the monk as “outwardly Buddhist but inwardly Confucian.” This is fundamentally denying Buddhist values and approving Confucian values only. Moreover, some of the Confucian scholars speak of blasphemous comments toward Buddhism as they lament the monks to have become a part of Buddhist community. Therefore, Confucian scholars of late-Joseon period only approved of the verity and existence of Confucianism but did not tolerate the existence of another thoughts or teachings. Thus they looked upon Buddhism and Buddhists from the extremely exclusive stance of this absolute Confucianism. Viewpoint of these Confucian scholars towards Buddhism were fundamentally originated from exclusive consciousness toward heresy which was gradually reinforc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beginning from thoughts of Mencius, then passed down to Dong Zhongshu, Han Yu, culminating in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 fact that Buddhist community oppressed by secular powers could not stand against but transformed itself as nationalistic Confucian Buddhism promoting Confucian values such as a loyalty toward the king may be another element which fostered such viewpoint. In short, the Confucian scholars of late-Joseon period did not only downgrade and expel Buddhism from the aspect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but denied to approve of Buddhism as an independent tradition of thinking from their deepest level of conscience. This may be concluded that in the basis of this viewpoint there was absolute Confucian paradigm which advocate that all men should be Confucian and nothing else.

      • KCI등재
      • KCI등재

        연민 선생의 『조선문학사(朝鮮文學史)』에 나타난 역사의식

        권오영 ( Kwon Oh-young ) 연민학회 2017 연민학지 Vol.28 No.-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1917-2000)은 『조선문학사』서술에 있어 올바른 사관(史觀)을 갖고 집필을 하려고 했다. 그는 작가와 작품의 선택과 평가에 있어서도 지역성과 당파성을 벗어나 철저히 객관성을 유지하려고 했다. 연민은 『조선문학사』에서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을 소개하면서 그 행사들이 국민(國民)의 화합(和合)을 도모하였음을 중시하였다. 그는 우리나라의 역사적 전통속에서 국민의 화합과 통일(統一)의 문제를 찾고 싶어 했던 것 같다. 또한 연민은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은 모두 단군(檀君)의 후예로써 동족(同族)이라고 했다. 그는 『조선문학사』에서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해 신라가 이국(異國)의 군사를 끌어 들여 동족을 멸망시키고 강토(疆土)의 축소와 사대주의(事大主義)의 교착을 초래하는 등의 모든 명분 없는 일을 저질렀다고 보았다. 그는 삼국통일에 앞서 삼국이 일찍부터 서로 동족임을 깨달아 평화적 통일을 모색하여 연립정부(聯立政府)를 세우고 내실을 구축한 뒤에 신라가 통일을 계획하여 달성했더라면 고구려의 강토 유실과 백제의 비극적인 망국도 없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역사 이해는 연민이 자기 당대의 남북통일(南北統一)을 염원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연민은 우리 민족의 정사(正史)의 편찬을 바랐다. 그는 한 국가가 수립되면 당연히 국가 차원에서 역사가 편찬되어야 하고, 만일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민간 학자로서 안정복(安鼎福)의 『동사강목』 류의 역사서가 계속 편찬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신채호(申采浩)의 민족사관(民族史觀)을 골간으로 하되 그 고루한 부분은 버리고, 박은식(朴殷植) 등의 저술을 참고로 하여 하나의 역사서를 엮어 식민사관(植民史觀)을 이 땅에서 말끔히 추방하여야 한다고 했다. 그 자신은 비록 역사서를 저술하지 않았지만 『조선문학사』의 저술을 통해 그는 자신의 민족사관에 의거하여 식민사관을 이 땅에서 말끔히 추방하려고 했다. When Yi Kawon (1917-2000) wrote A Literary History of Choson (朝鮮文學史), he sought to incorporate a proper historical viewpoint and be completely objective in his selection of authors and their works, rejecting regional and factional prejudices. In the book, Yi emphasized how harvest ceremonies such as Puyo’s yonggo (迎 鼓) or Koguryo’s tongmaeng (東盟) promoted harmony among the Korean people, most likely in search of the issue of harmony and unification in Korea’s historical tradition. Yi also argued that the three kingdoms of Silla, Koguryo, and Paekjae were of the same race as they were all descendants of Tangun. Thus, he unfavorably viewe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under Silla through the army of a foreign nation and annihilation of their own people and deemed it responsible for the shrinking of Korea’s territory and the root of it serving more powerful countries. Yi thought that if the three kingdoms had realized earlier they were fellow members of the same people, they would have searched for a way to peacefully unify through installing a federal government and establishing internal stability. Then the loss of Koguryo’s territory and Paekjae’s tragic demise could have been avoided even if Silla planned and achieved unification. This historical view is perhaps an expression of Yi’s wish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his time. Yi desired that a proper history of Korea be written, and thought that the founding of a state required a national history as a matter of course. If that could not be done, then a history text in the vein of civilian scholar An Chongpok’s Tongsa kangmok (Compendium of Eastern History, 東史綱目) should continue to be written. Yi took the framework of Sin Chaeho’s nationalist historical view while discarding its outdated elements, and wrote a single history text in the model of Pak Ŭnsik’s work out of the belief that the colonial historical view be thoroughly purged from the country. Although he himself did not write any history texts, A Literary History of Choson was written based on his own nationalist historical view and to drive out the colonial historical viewpoint.

      • KCI등재

        만주 땅의 역사에 대한 한,중의 시각 차이

        이전(Jeon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3

        우리 한민족은 오랫동안 고구려를 우리의 선대 국가로 인식해왔다. 그런데 중국측은 ``동북공정``을 통하여 고구려가 중국의 일개 지방 소수민족정권이었다고 주장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을 분개시키고 있다. 중국이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이유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오늘날 만주 땅이 중국의 통치 영역이라는 점에 있을 것이다. 중국은 중국의 현재 영토에서 일어난 역사를 모두 중국사에 포함시키려는 시도에서 만주 땅의 역사를 중국사의 맥락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중국측의 주장 중에서 상당한 부분이 중국인의 국수주의 역사관에서 비롯된 것임에 틀림없지만, 우리는 ``과학적 역사``에 근거하여 중국측의 주장을 비판해야 한다. 섣부르게 우리 민족의 국수주의 역사관에 근거하여 중국측의 주장을 비판해서는 안 된다. 오늘날 동아시아의 국가들이 국수주의 역사관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동아시아의 협력체제 구축이라는 점에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중 양국은 국수주의 역사관을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Since Goryo was established during the early tenth century, Koreans have believed that Goguryo, which ruled almost all of the Manchurian territory, was one of the Three Kingdoms of their ancestors. This Korean perspective conflicts with the Chinese perspective that Goguryo was a Chinese local government in Manchuria and the northen parts of Korean Peninsula. Modern Chinese people wish, by the measure of Manchurian Project, that the history of China includes the histories of all the ethnic groups in Manchurian territory. Although Chinese people attempt unreasonably to regard Goguryo as an old Chinese local government, it is not from the Korean nationalistic viewpoint but from the scientific historian viewpoint that this Chinese perspective should be criticised and corrected. We should remember that the nationalistic viewpoints in East Asia may hinder the establishment of mutual cooperation and security in the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초창기 한국 시가 연구자의 연구방법론-조윤제,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를 대상으로-

        한창훈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6 고전과 해석 Vol.1 No.-

        이 논문에서는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과 그 성격을 살피고자 했다.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연구 특징이 실증주의라는 기존의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향가, 시조, 가사 등의 갈래 연구와 율격 연구 검토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초창기 국문학 연구의 대표자인 조윤제와 김태준이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실증주의적 세례를 받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형식’이나 ‘체계’에 대한 관심이 곧 방법론을 포함한 문학 연구에서의 실증주의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조윤제와 김태준은 항상 작품 자체의 귀납적 검토를 통해 이론을 세우려고 했지만, 이는 역으로 말해 항상 실제 작품을 대하면서도 그것의 기저를 설명할 수 있는 체계를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아울러 보여준다. 조윤제의 초기 시가 연구는 작품의 형식적 접근을 통해 그것의 기저가 되는 체계를 설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일종의 구조주의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이후, ‘민족주의 사관’이라 불리는 조윤제의 독특한 연구 방법론 수립에 바탕이 된다.김태준은 1935년 이전에는 소위 철저한 ‘문헌 실증주의’자로서 문학 연구를 수행했으나, 그 이후에는 유물사관에 바탕한 사회주의 문학 연구자로 변신했다는 점이다. 이는 마치, 조윤제가 시가 연구를 중심으로 했던 초기에는 ‘문헌 실증주의’적 자세를 보이다가, 국문학사 }서술을 계기로 ‘민족주의자’로 변신했다는 논리와 유사하다.결론적으로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을 전형적인 ‘실증주의’로 파악했던 기존의 통설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들은 방법론적 자각이 미약했던 초기 시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구조주의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보면, 조윤제와 김태준 문학 연구 전 과정을 단절이 아닌 연속적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has attempted to show the distinctive feature of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In summary, our discussion has developed four main points :(1) Certainly Jo Yunje. Kim Taejun, the leader of early study of Korean literature,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positivism. It seems that his interest in form or system mark him as a positivist.(2) Jo Yunje. Kim Taejun had always attempted to his own theory through a inductive study of literary works. At the same time, he had always kept a system which can explain the base of literary works in his mind.(3) Thus,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can be regarded as a structural approach to Korean literature. And it had functioned as a basis of the nationalistic view of history; the socialist viewpoint, Jo Yunje. Kim Taejun's creative methodology of study of Korean literature. (4) To conclud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mmon view regarding the distinctive feature of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as positivism. Premising it, we can see Jo Yunje's early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a continuous pro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