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Developmental State and Social Policy-making Dynamics - Political Economy of the National Welfare Pension Scheme in the 1970s Korea -

        김순양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8 사회복지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ynamics of pension insurance policy-making and policy outputs under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by analysing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the national pension scheme in the early 1970s. To the aim, this article formulated the comprehensive analytical framework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oriented perspective, linking policy-making dynamics with the policy context as an external constraint and policy output as a result of policy-making. Policy context was explored in terms of three variables of politics, civil society and economy, whilst policy-making and policy network dynamics were examined by employing the following variables: i) initiators, motivation and triggering devices, ii) number of participants and key players, iii) participants' interests, iv) major conflicting parties and key differences of allegation, and v)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Policy outputs were analysed by looking into the mainly reflected interests and the change of intended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ynamics of pension insurance policy-making and policy outputs under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by analysing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the national pension scheme in the early 1970s. To the aim, this article formulated the comprehensive analytical framework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oriented perspective, linking policy-making dynamics with the policy context as an external constraint and policy output as a result of policy-making. Policy context was explored in terms of three variables of politics, civil society and economy, whilst policy-making and policy network dynamics were examined by employing the following variables: i) initiators, motivation and triggering devices, ii) number of participants and key players, iii) participants' interests, iv) major conflicting parties and key differences of allegation, and v)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Policy outputs were analysed by looking into the mainly reflected interests and the change of intended policies.

      • KCI등재

        국민연금기금 운용정책 비판과 대안을 위한 시론

        주은선(Eun Sun Joo),원종현(Chong Hyun Wo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1 한국사회정책 Vol.18 No.1

        국민연금기금은 공적노후소득보장제도인 국민연금제도의 장기적 지속성을 위해 활용되는 수단으로 다른 형태의 기금과 구분되는 고유한 성격을 가진다. 국민연금 제도의 보편적 가치는 연금가입자에게 퇴직 후 안정적인 연금급여 지급을 보장하는데 있기에, 국민연금기금의 목표는 연금기금의 수익률 제고가 아니라, 제도의 안정성을 높여 노후보장을 위한 세대간 계약이 지속되도록 뒷받침하는 것이다. 현재 운용하고 있는 자산만으로 공적연금제도를 지탱할 필요가 없음을 인식하고, 굳이 위험자산 비중을 높이면서 수익률을 추구하기 보다는 안정성과 장기 목표를 기금운용에서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금 성격과 역할에 충실한 기금운용 정책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지금과 같이 국민연금기금의 특수성을 도외시하고 수익성 추구를 핵심 목표로 하는 기금운용정책을 추구한다면 국민연금기금이 공적연금기금의 사회적 본질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운용될 우려가 있다. 이는 국민연금 기금에 더 큰 위험을 부과하여, 제도 안정성과 장기적 유동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런 이유로 최근 국민연금기금 운용정책과는 다른 방향에서 기금의 본질에 충실한 대안적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The national pension fund administration may do direction that do not coincide with the purpose of public pension fund, in case of the pension fund managed in pursuit of only profitability. As a public fund for old-age income security, the national pension fund has peculiar purpose that is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kinds of funds. Because the reason for existence of national pension system is to guarantee stable pension benefit for planholder, the target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should be to improve stability of system, which helps support the generational contract. That`s why the purpose of the public pension fund is not to raise the profit rate of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accept that the national pension system can not be preserved in that property and profits applying now in national pension. It is required the management of pension fund which emphasizes the stability and appropriate profits rather than that of pursuit of high earning rate heightening risky asset weight strongly. Therefore, It is needed to begin discussion about pension fund management policy with an alternative view,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overnment pension fund management policy since 2000`s.

      • KCI등재

        부양가족연금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가족부양지원제도와의 중복성 검토를 중심으로

        류재린 ( Jaerin Ryu ),유현경 ( Hyunkyung Yu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3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에 직면해있는 부양가족연금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부양가족연금제도를 축소한 경험이 있는 영국과 일본 사례를 분석하였고, 부양가족연금제도와 가족부양지원제도 간 중복성을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수준에서 부양가족연금제도와 자녀양육지원제도들(아동수당과 자녀장려세제)의 중복성은 그리 높지 않지만, 향후 중복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적으로는 제도 간 역할 조정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노인부양지원제도(기초연금)와 부양가족연금제도의 적용범위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65세 이상 부양가족연금 수급자의 기초연금액 수급율은 55.7%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두 제도의 급여 수준 차이로 인해 부양가족연금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어 향후 부양가족연금제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타 가족부양지원제도들의 급여수준과 적용범위 확대를 전제로 현행 부양가족연금제도의 적용범위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자녀양육지원제도에 비해 노인부양지원제도와의 중복성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기초연금 수급자부터 단계적으로 부양가족연금의 적용대상자를 축소하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esirabl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Dependents’ Pension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facing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ases of UK and Japan which have experienced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examined the overlap between Dependents’ Pension and other family support polic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childcare policy (the child allowance and the CTC) is not so high at the current level, but potential overlap is likely to intensify. Second, in terms of coverage, the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is low. But considering that recipients rate of the Basic Pension of the recipients of the Dependents’ Pension is high and the gap between the benefit levels of the two pensions is large, it seems that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should be adjust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gradually reduce the coverage of the current Dependents’ Pension when the level of benefits and coverage of other family support policies are expanded.

      • KCI등재후보

        호주의 보훈정책

        박혜란 한국보훈학회 2011 한국보훈논총 Vol.10 No.1

        The military is indispensable thing in preserving the nation, and support policy for the servicemen to adjust to society is also necessary after their military service. Inparticular, because Korea is a divided country, the military is powerful thing to suppress provocation ofa war by North Korea. So, when there are systematic and realistic policies for long-term career soldiers in rewarding for meritorious deeds, and peoples’ respect for them, military personnel to defend national security will exist during the war. Therefore, I discussed improvement of Korean support policy. First, I suggest establishment of corporation to back up employment for discharged soldiers in researching and applying the related problem, such as employment connected with living after discharge. Second, in terms of creating new jobs for discharged soldiers,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suitable jobs as a special job hiring the discharged soldiers first. In the job, there are a forest ranger, sweeper, park keeper, car jockey, guard at a public office, adriver, a policeman, and industrial complex officer managed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enterprise. Third, the government should help them decide a career such as employment and starting business through analysis of their career and counseling, and help them have the ability to adapt to society through individual training. Fourth, regard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upporting the discharged soldiers,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 such as the Ministry of Planning and Budget and the Ministry ofG 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in addition to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s well as peoples. I researched Australia’s patriots and veterans’ organization, patriots and veterans, supporting elements, medical and welfare policy for patriots and veterans, implication and I considered that welfare service provision system, or one stop service system can provide many ideas to provision system in Korean welfare service for patriots and veterans. Recently,more notable task is an active rehabilitation such as training and employment of war veteran through labor market program. This began after the war veterans returned after the Second World War emphasizing the rehabilitation to supply labor force smoothly. The trend seems to be the same tendency globally and should strengthen in setting up Korean policy for patriots and veterans. Now, all the free and democratic countries in the world aregiving veterans special treatment. Every nation without exception treats them with respect tough there is a difference of degree. Civilized countries should thank and respect veterans contributing to battle for the nation’s self-defense, and the government needs to prepare systematic and realistic policy for patriots and veterans. 국가보존에 있어 군은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고, 이들의 군복무 후, 사회에 적응할 지원정책은 필수적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현실은 휴전선이 가로놓여 있는 상태이기에, 북한의 전쟁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력한 존재가 군이다. 군에서 장기 복무한 전문인력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보훈정책마련과 이들에 대한 국민의 존경하는 마음이 있을 때, 전시상황에 국가안보를 지켜줄 장병들이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지원정책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첫째, 전역 후 생계와 직결되는 취업과 관련, 이러한 제반 문제를 연구하고 적용하는데 중심이 될 수 있는 제대군인 취업지원 전담법인 설립을 제안한다. 둘째, 제대군인을 위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산림감시원, 환경보호, 국공립원관리, 공영주차장관리, 행정관서의 경비, 운전, 청원경찰 등 국가가 관리하는 공단, 국공기업체 등의 적합 직종을 제대군인 우선고용 특수직종으로 확대해야하며, 고용이행수단 확보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제대군인의 진로를 분석, 전문카운셀링을 통하여 취업, 창업 등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고, 맞춤식 교육훈련으로 사회적응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넷째, 제대군인 지원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하여 국민뿐만 아니라 국가보훈처 및 국방부 이외에도 기획예산처와 행정자치부 등 관련 부처의 인식전환이 요망된다. 이에 호주의 보훈조직, 보훈대상자, 지원내용, 의료 및 보훈복지정책,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았고, 호주의 복지서비스 제공체계인 원스톱 서비스 체계 사례는 한국보훈복지서비스 제공체계에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최근 더욱 강조되고 있는 업무는 노동시장 프로그램을 통한 참전용사의 훈련 및 고용과 같은 적극적 재활 개념이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수많은 참전용사들이 복귀하면서 노동인력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재활이 강조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세계적으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한국보훈정책방향 설정에서도 더욱 강화되어야 할 방향으로 판단된다. 현재 세계 모든 자유민주주의 국가는 참전 군인에 대해 특별예우를 하고 있다. 모든 나라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빠짐없이 예우를 하고 있다. 문명국가라면, 자주국방의 전투행위로 기여한 참전 군인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가져야 하며, 정부는 이들의 희생에 대한 보상으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보훈정책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복지정책 개혁과 정책과제

        김용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신안보연구 Vol.- No.171

        Against the backdrop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welfare,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major welfare reforms taken since 1998 and discusses what policy challenges remain for the future. Korea saw the formation of its four major social insurance schemes complete in 1995. In the years after 1998 Korea’s welfare system has taken root in Korean society. In the process, the old public assistance has evolved into the National Basic Living Protection, and the Medical Insurance in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which, afte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efforts are still ongoing to increase coverage. The financial state of the National Pension is considered much healthier now than it was before the largescale reform in 2007.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National Pension now is much pronounced as the number of pensioners are increasing rapidly. Similar reform steps have been taken for the Civil Servants’ Pension and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However, Korea’s welfare system is still in need of reducing gaps and increasing mid-to-long term financial stability, not least in such times as these of persisted low fertility and rapid population aging. 본 연구는 복지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1998년 이후 한국의 복지제도의 중요 개혁동향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미래의 정책과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4대 사회보험제도가 도입되고 정착된 시점인 1995년 이후인 1998년 시점부터 한국복지제도는 우리나라의 환경과 여건에 맞게 토착화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공공부조제도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로 발전하였고, 의료보험은 건강보험 통합과 의약분업이후에는 취약한 보장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국민연금제도는 2007년 큰 폭의 연금개혁으로 재정불안정의 우려는 다소 해소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연금수급권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제도의 기능 및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공무원연금 등 특수직역연금에 대한 재정안정화 노력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의 복지제도는 광범한 사각지대의 해소와 함께 중장기 재정안정화 등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적인 제도개선이 정책과제로 남아 있다.

      • KCI등재

        고령사회 주거복지정책의 법적 쟁점과 개선 방안- 국민연금기금의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김영국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叢 Vol.40 No.-

        As of the end of August, 2017, Korea entered an aging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a super aging society with unprecedented speed in the world. The problems of aging that Korea will face includes job problem, poverty problem and housing welfare problem. Our future depends on how we prepare now.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lderly housing welfare problem, and confirmed that housing welfare for the elderly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lderly poverty and other medical welfare services due to the incom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mong 5 elderly housing welfare related legislative bills drawn up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Basic Law,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The Elderly Welfare Act, which are under the jurisdiction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stly regulate the contents of medical welfare promotion of the elderly and partly regulate elderly housing welfare problem. The Act on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in Housing, which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puts rules regarding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policy that can guarantee safe and convenient residential lives of the underprivileged in housing such as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and Housing Basic Law guarantees citizens' right to housing and establishes policies that contribute to people's resident stability and resident condi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objects these laws protect are comprehensive rather than limiting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However, these housing welfare policies need liaison with welfare services such as medical welf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claimed the importance of connection among related laws, and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ministries and offices concerned, an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avoid overlapped investment of government budget and to make continuous efforts for effective resource distribution when the government executes polici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lderly poverty leads to housing poverty, and the housing poverty becomes the big burden of the government budget of elderly housing welfare. The government injects a considerable portion of finance and gives basic pension to low income elderly citizens, and the amount is supposed to increase gradually.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s finance for policies like housing welfare road map is in a bad condition. The government presents plans using Urban Housing Fund, but it is not enough for stable execution of housing welfare road map, which is large scale of national project. In addition, there is limitation in the elderly housing welfare improvement policies such as public silver towns due to concentration on housing supply for the youth and newly married coup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tha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sue tentatively named ‘Housing Welfare Special Bond’ and National Pension Fund purchase the whole quantity. 2017년 8월 말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측되고 있다. 초고령사회에 우리가 직면하게 될 노인문제는 일자리 문제, 빈곤 문제, 주거복지 문제로 집약할 수 있는데, 지금부터 어떻게 준비하느냐? 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노인주거복지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고령자 소득수준·생애주기의 특성상 노인주거복지는 노인빈곤과 기타 의료복지서비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헌법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노인주거복지 관련 5개의 법안 가운데, 보건복지부 소관 법령인 저출산·고령화기본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복지법 등은 주로 노인의 의료복지증진 관련 내용을 규정하면서 노인주거복지 문제도 부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소관 법령인 주거약자지원법은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 수립과 시행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주거기본법은 국민의 주거권을 보장하고 정책 수립에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에 이바지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노인이나 장애인에 한정하지 않고 보호 대상이 포괄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주거복지정책은 기본적으로 의료 등 복지서비스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부가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관련 법령의 연계 노력, 소관 부처 간의 협력 및 협업 관계가 중요함을 주장하였고, 그러한 연장선에서 정부 예산의 중복 투자를 자제하고,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노인빈곤이 주거빈곤으로 이어지고, 주거빈곤은 정부의 노인주거복지 재정에 커다란 부담이 될 것임을 주목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서 재정의 상당부분을 투입하여 기초연금을 저소득층 고령자에게 지급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그 지급액을 증액하기로 하였다. 이로 인해 주거복지로드맵과 같은 정책의 추진에 필요한 정부의 재원은 충분한지 의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대규모 국책사업이라 할 수 있는 주거복지로드맵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새로운 재원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청년층,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공급에 정부 정책의 집중으로 공공실버타운 같은 노인주거복지 개선 정책의 추진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국토교통부가 가칭 “주거복지특별채권”을 발행하고 국민연금기금이 전량 매수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사회보험제도의 근로유인 효과 제고방안

        이병운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0 노동법논총 Vol.19 No.-

        A world became an rapid aging society and Korea has not been singled out in this problem. Our aging population might cause the population of production activity to decrease over the medium or long term. Therefore, to prevent the steep decline of the proportion of economically active people and to boost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aged. Their participation of production activities could stabilize their life and become increasingly active members of society, so it would lead to the reduction of economic and social costs like medical expense, sustenance allowance, welfare expenditure as well as to ensure a government's financial stability. Therefore, we should not allow the labor market to determine work incentives in order to increase the labor participation of the aged, who might lose their competition in the job market and have a difficulty in entering it under the present market principles. This study was the first to investigate work incentives on the present social insurance and welfare system, and then it was to provide measures to improve the work incentives of public pensions like a national pens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unemployment insurance, Workmen’s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Previous investigations were not thoroughgoing enough to link the pension system and the employment promotion system with the related legal policies, and they mainly focused on improving the provisions to promote hiring. It aimed to correlate the aging population problem with social insurance programs like national health insurance or the employment promotion policies for the aged, and then to suggest appropriate legal polic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재인 정부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

        최유석,최창용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How do Korean people recognize major welfare policies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Using a survey of 1,000 adults conducted in December 2018, this study examines what the public thinks about major issues related to welfare policies and what factors are related to variations in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welfare policies. Results show that the public recognized the roles of government in providing welfare in a positive way. The positive opinion on expanding the coverag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was the highest. Regarding the resolutions of fiscal problems of the National Pension Plan, there were substantial oppositions to reforms such as insurance premium increase, benefits cut, and increase in the age of receipt of pension benefits. Both efficiency and equality were perceived as important when government makes decision for allocating budgets. Only one-third of respondents agreed Korean government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happiness of Korean peopl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welfare policies were discussed. 국민들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복지정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에 진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복지정책과 관련된 주요 현안에 대해서 응답자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는지, 어떠한 요인이 복지정책에 관한 인식과 관련을 맺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복지 제공 역할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문재인 정부의 보건복지 주요 국정과제 중에서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대한 찬성 의견이 가장 높았다. 국민연금 재정문제 해법과 관련하여, 보험료 인상, 급여액 삭감, 수급개시 연령 상향조정 등의 개혁방안에는 반발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정부의 재정지원방식과 관련하여 효율성과 평등성을 모두 중시하였다. 응답자의 1/3 만이 정부의 국민 행복 증진 기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상이한 정치사회적 가치관과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정치성향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긴밀한 관련성을 맺었다.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복지정책의 추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