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羅州 伏岩里 出土 百濟木簡의 判讀과 用途 分析 -7세기 초 백제의 지방지배와 관련하여-

        윤선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6 No.-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about 610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research this wooden tablets.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of my research. Tablet no.2 has a few vague letters, but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丁’,‘中’, ‘小’ and ‘兄’, ‘婦’, ‘妹’.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lue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Household Register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ablet no.5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the cow, and the land to cultivate of a household. Baekje Household Register was composed of that many factors. Tablet no.3, no.4, no.10, and no.12 are important. The administration-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those. The people of ‘半那’ and ‘軍那’ under the control of ‘豆肹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hose tablet.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복암리 목간은 백제의 중앙 도성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발굴된 최초의 사례이며, 목간의 묵서에도 종래의 문헌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백제의 戶파악방식, 농업경영(量田 및 단위생산량), 그리고 ‘郡-城’의 행정체계에 관한 매우 획기적인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어, 그 의의가 자못 크다. 복암리 목간에 대한 본고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암리 <목간11>에 기록된 ‘庚午年’은 610년으로 추정되며, 내용상 호구파악이나 군-성의 행정 관련 문서목간들이 대부분이어서, 복암리 목간은 7세기 초에 백제 지방관부가 작성한 목간으로 이해된다. 둘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戶籍’과 기층사회의 존재양태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2>와 <목간5>를 통해 백제 戶籍의 서식도 어느 정도 복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백제의 戶는 복합세대로 구성되었고, 세대별로 독립기술되었다. 그 각각에 中口, 小口 등 그 예하 子女가 남녀 구별 없이 나이순으로 기술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는 현존하는 西魏의 大統 13년(A.D.547) 戶籍이나 日本의 西海道戶籍(A.D.702)과 서식이 매우 유사하다. 결국 西魏 계열의 서해도호적기재양식은 7세기말 망명한 백제계 지식인들에 의해 고대일본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셋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郡-城 지방행정체계를 검토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4>의 ‘郡佐’나 <목간10>의 ‘郡得分’처럼, 복암리 목간에는 백제의 ‘군-성’ 행정과 관련된 목간이 여러 개 확인된다. 또 ‘軍那’가 기록된 荷札과‘半那人’들의 역역편성 관련 문서목간 등이 확인되고 있어, 목간이 출토된 복암리 지역, 즉 豆肹城이 7세기 초 당시 군나, 반나 등을 예하에 거느린 郡置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복암리 목간을 전후한 시기 영산강 유역 지역권력의 변화과정을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영산강 유역은 반남고분군으로 상징되듯이 전통적으로 ‘半那’가 지역권력의 정점에 있었다. 백제는 6세기 이후 영산강유역으로 세력을 뻗치면서, 반나의 기존 세력을 약화시킬 목적으로 현재 다시면 복암리 일대인 ‘豆肹’ 지역의 세력을 후원하였다. 복암리고분군은 이를 상징한다. 이후 백제의 중앙집권제 하에서 豆肹城은 郡으로써 영산강 유역의 半那, 軍那, 布賢(發羅) 등의 각 城을 관할하였다. 이러한 郡-城의 행정관계는 唐이 帶方州를 설치하였던 도독부 시절에도 지속되었다. 한편 신라는 백제를 멸망시키고 영산강 유역의 기존 권력구조를 약화시키기 위해, 백제 때 눌려 지냈던 반나 지역을 군으로 승격하고, 두힐은 현으로 강등하여 발라군의 예하로 편성하였다. 이때 두힐이 기존에 관할하던 군나도 분리하여 무안군으로 소속시켰다. 이를 통해 백제 때 두힐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유역의 지역권력구조는 신라에 의해 완벽히해체되었다.

      • KCI등재

        나주(羅州) 복암리(伏岩里) 출토 목간(木簡)연구의 쟁점과 과제

        김창석 ( Chang Seok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0 No.45

        나주 복암리 목간은 610년 무렵에 작성된 백제의 유물이다. 백제의 都城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생산되고 소비된 목간으로서 그간 집중적인 조명을 받았으므로, 지금까지 밝혀진 부분과 앞으로 해명해야 할 연구 과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목간 2는 판독에 어려움이 있으나 正丁, 婦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목간은 친족관계 호칭과 연령등급이 나오므로 백제 지방사회의 친족 구성을 살필 수 있는 획기적인 자료이다. 戶籍類를 작성하는 방식과 절차도 이를 통해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목간 1은 판독에 큰 이견이 없다. 出背者의 실체와 그들을 감독·포획한 監이 어느 관부 소속인지가 밝혀져야 한다. 목간 3은 앞면과 뒷면의 기록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를 통해서 복암리 지역의 행정체계와 인력 동원방식을 고찰할 수 있다. 某毛羅와 前巷의 위치, 낮은 관등을 먼저 쓴 이유도 밝혀져야 한다. 목간 4는 완형으로 발견된 최대의 목간이라는 점, 몇 글자의 판독에 대한 이견 때문에 용도와 내용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백제의 基準尺이 얼마였고, 이것이 지방의 문서행정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규명되어야 한다. 뒷면의 내용 파악도 미진한 상태이다. 목간 5 역시 앞·뒷면의 관련성 파악이 내용 이해에서 관건이 된다. 뒷면의 ``在``자가 분명하다면 이 목간은 豆?城 휘하의 촌락에서 인력과 축력을 동원하여 어떤 토지를 경작한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이 목간에서는 밭에서 어떤 작물을 재배했는지, 形의 면적이 어느 정도인지가 앞으로 밝혀야 할 과제이다.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in 610 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that material.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and subjects of the former researches. Even though tablet 2 has a few vague letters,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正丁" and "婦".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lues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kinship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t view on the reading of tablet 1. It should be brightened what the "出背者" are and which office "監"s controlling and supervising them are belong to. For tablet 3, the relation of front face and its back is important. The administral 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it. The location of "某毛羅" "前巷" and the reason the lower grades are, the forer they written are cleared, also.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ablet 4 which is the longest one among those discovered so far and various opinions of reading on several letters.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much long the standard scale was and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Even if there are many confusing factors in tablet 5, it can be told that this one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and a cow of the village under the control of "豆?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on the land to cultivate some crops, on the condition that character ``在`` is sure. And the subjects of this tablet are which crops were raised in this farm and how much "形" was wide in Baekje society.

      • 7세기 초 영산강(榮山江) 유역의 호구(戶口)와 농작(農作) -나주(羅州) 복암리(伏岩里) 목간(木簡)의 분석-

        김창석 ( Chang Seok Kim ) 백제학회 2011 백제학보 Vol.0 No.6

        610년 무렵에 작성된 나주 복암리 목간은 영산강 유역의 지방사회 주민을 개별인신적으로 직접 지배하던 백제 국가의 통치 방식을 보여준다. 복암리 목간군은 다양한 형식을 띠고 있으며 내용도 다채롭다. 목간 2와 5는 모두 戶口에 관한 사항을 기록했는데, 전자가 어떤 호구의 현황과 변동을 조사한 것이라면, 후자는 요役을 차출하여 사역시킨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목간 2에서는 이밖에도 ``正丁`` 이라는 연령등급을 새로 판독하고, 婦人이 中口에 속하는 여성 2명이라고 해석했다. 이는 7세기 초 영산강 유역의 백제 지방사회에서 戶가 어떻게 구성되었고, 친족관계는 어떠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접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목간 5를 통해서는 농업 경영의 여러 측면도 살필 수 있었다. 밭에서 재배된 陸稻는 논에서 재배된 水稻의 수확량을 상회하기도 했다. 분화된 벼의 품종 가운데 다수확의 육도도 있었다고 짐작된다. 지방 촌락민의 요役 노동을 이용하여 경작된 토지는 公有地로서, 그 수확물은 豆힐舍가 城의 재정을 운영하는 경비로 사용된 듯하다. 목간 3은 發羅郡주변에 있던 지역에서 여러 명의 匠人들을 통원한 내역과 그 使役의 組織을 기록했다. 어느 정도 판독이 가능한 나주 복암리 출토 목간들은 전반적으로 百濟의 지방관부가 작성하여 受發한 公文書와 帳簿類라고 파악된다. 그리고 이 글에서 분석한 목간을 통해서 백제 국가가 주민들을 個別人身 단위로 연령등급에 따라 장악했으며, 그 노동력을 수취하여 지방통치의 기반으로 삼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in 610 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that material.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and subjects of the former researches. Even though tablet 2 has a few vague letters,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正丁" and "婦".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rues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kinship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t view on the reading of tablet 1. It should be brightened what the "出背者" are and which office "監"s controlling and supervising them are belong to. For tablet 3, the relation of front face and its back is important. The administral 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it. The location of "某毛羅" "前巷" and the reason the lower grades are, the forer they written are cleared, also.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ablet 4 which is the longest one among those discovered so far and various opinions of reading on several letters.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much long the standard scale was and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Even if there are many confusing factors in tablet 5, it can be told that this one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and a cow of the village under the control of "豆힐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on the land to cultivate some crops, on the condition that character "在" is sure. And the subjects of this tablet are which crops were raised in this farm and how much "形" was wide in Baekj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