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무엘상 16:14-23의 사례와 음악치료에 대한 개혁주의적 고찰

        하재송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1 성경과신학 Vol.98 No.-

        Various opinions have been presented on the power and influence of music from ancient Greek times to the present day. Such opinions mostly admit that music has a certain power and affects humans. Music therapy is a discipline that has developed from such an awareness of the power and influence of music. In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the example of King Saul, which is recorded in 1 Samuel 16:14-23 in the Old Testament, is mentioned as a practical example. Can we really acknowledge Saul’s case as an example of music therapy? In the light of the five essential elements of music therapy, including treatment plan, client, music therapist, musical activities, and the promotion of health, Saul’s case can be consid- ered as an example of music therapy. However, when we examine the bib- lical record related to Saul’s disease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and Reformed theology, Saul’s case reveals the following facts about music therapy. First, music therapy is accomplished by the work of sovereign God rather than the power or influence of music. Second, music therapy is a means to reveal God’s intention. Third, there is a limit to music therapy. Fourth, music therapy cannot be a fundamental treatment method for human diseases. I hope that the follow-up study on biblical music therapy willbe actively conducted by referring to these facts shown in Saul’s case. 음악의 힘과 영향에 대해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로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견 해가 제시되었다. 그러한 견해들은 음악이 어떤 힘을 갖고 있으며 인간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대부분 인정한다. 음악치료는 음악의 힘과 영향에 대한 그러한 인식에서 발전한 학문 분야이다. 그런데, 음악치료의 발전과정 속에 서 실제적인 한 사례로서 언급되는 것이 구약성경 사무엘상 16:14-23에 기록 되어 있는 사울 왕의 예이다. 그렇다면, 과연 사울의 사례를 음악치료의 한 사례로 볼 수 있는가? 음악치료에서 말하는 치료 계획, 치료 대상자, 음악치 료사, 음악활동, 건강증진의결과등다섯가지의필수적인요소들에비추 어보면, 사울의사례를음악치료의한사례로볼수는있다. 그러나사울의 질병과 관련된 성경 기록을 성경신학적,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 을 때, 사울의 사례는 음악치료에 대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드러내 준다. 첫째, 음악치료는 음악의 힘이나 영향보다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役事)로 이루어진다. 둘째, 음악치료는 하나님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수단 이다. 셋째, 음악치료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음악치료는 인간의 질병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없다. 사울의 사례가 보여주는 이러한 사실들을 참고하여 성경적 음악치료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학생을 위한 국악치료 실태 연구-음악교사 설문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은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Music teachers of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are responsible for several grades, and only one music teacher carries out class activities, considering the various disabilities, needs, and levels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t the same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uch a learning site, music therapy activities involving Korean music lesson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related to music therapy activities during Korean music classes and promote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based on experiences of Korean music therapy and non-musical changes in musical therapy. For this,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xamine the status of Korean music therapy was made and distributed to 12 music teachers at school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and 12 teachers were respo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hav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makes Korean music therapy possible. After examining places for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vailability of school owned musical instruments, music teachers‘ performance abilities, a ratio of students with the visual impairment and students with the visual impairment and addition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visually impaired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and needed extra learning support. Secondly, musical experiences in Korean music therapy are highly related to social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aspects. The types of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are divided into recreation, improvisation, creation, appreciation, and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y are most effective in the social area of body, cognition, health, society and language. Thirdly, non-musical changes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can be grounded in psychology.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change situation of students music thr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with respect to eac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by medical, behavioral, psycho-dynamic and humanistic aspect. Fourthly,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the emotional cultiva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emotional area is overwhelmingly dominant in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students. Emotional empathy is needed to show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depressed emotions and sociability.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 and status of Korean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Korean music therapy, non-musical changes, and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It offers a chance to investigate the role of music teachers at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chools and to consider the exchange of teachers’ opinions to vitalize Korean music therapy.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t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high-quality follow-up research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that works on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at the twelve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in Korea.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는 여러 학년을 담당하고 있고, 교사 1명이 시각장애학생들의 다양한 장애상태, 요구, 수준 등을 동시에 고려하며 수업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학습현장을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국악 수업이 개입된 음악치료 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 목적은 시각장애학교에서 국악 수업 시간에 국악치료 활동과 관련된 학교 실태를 파악하여 국악치료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악치료 상황을 점검 가능토록 설문 문항을 제작하여 전국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 12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12명에게 회수 받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교는 국악치료 활동이 가능한 여건과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국악치료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 학교 소유 국악기 사용 유무, 음악교사 악기 연주 능력 상황, 시각장애학생과 시각중복장애학생 구성 비율 집계 결과 절반 이상의 학생이 시각중복장애학생임을 나타내며 이들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국악치료에서 음악 경험은 발달 측면 중 사회성과 관련이 높다. 국악치료 경험 유형은 재창조, 즉흥, 창작, 감상, 통합 활동으로 나누어 구성되고, 신체․인지․건강․사회․언어 영역 중 사회 영역에 가장 많은 효과를 본다고 한다. 셋째, 국악치료를 통해 음악 외적으로 변화된 점은 심리학에 근거를 둘 수 있다. 국악치료를 통한 학생들의 음악 외적인 변화 상태를 의학적․행동주의적․정신 역동적, 인본주의적 측면으로 각 심리학적 특징과 관련하여 학생 변화 상황을 알 수 있다. 넷째, 국악치료 활동은 시각장애학생의 정서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학생에게 가장 이바지할 수 있는 부분은 정서적 영역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학생의 우울한 정서와 사회성 부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보이도록 정서 교감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학교 국악치료 여건과 실태, 국악치료 경험 및 음악 외적 변화, 국악치료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각장애학교 음악 교사 역할을 알아보고, 교사 의견을 통해 국악치료 활성화를 위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국악치료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국내 12개 시각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설문을 유도하여 국악치료 활성화를 위한 양질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Parents’ Perceptions of the Music Therapy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in the United Arab Emirates

        강이락,Bamakhramah, Khadejah Ahmed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1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8 No.1

        Given that music is not part of the national/regular curriculum and how music therapy is a new endeavor in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of the music therapy given to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UA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3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harjah, UAE. The survey consisted of 43 question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rapy sessions that the participants’ children received and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s music therapy.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report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music therapy provided to their children. In terms of their participation in music therapy sessions, 33.3% of parents co-participated in music therapy sessions with their children, and 45.5% of parents observed their children’s sessions. Parents who had direct participation in music therapy session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their children’s music therapy (p<.05) and perceived greater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ren as a result of the therapy (p<.05). Parents perceived their children as being able to positively respond to music, leading to positive changes in behavior. Despite these benefits,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e need for formal opportunities for family members to learn about the applications and outcomes of music therap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s the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throughout the UAE and point to the need for future studies as music therapy expands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음악대학생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과 진로 선택 관련 연구

        안소윤,김은주 한국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생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진로선택과의 관련성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음악대학과 전문대학 총 62개교에 재학 중인 음악 대학생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t-검정, 교차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 용하여 SPSS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는, 첫째, 총 460명의 응답자 중 음악치 료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다고 한 응답자는 95%(437명)였고, 음악치료를 알게 된 경로는 지인 을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26.7%(117명)로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대학생들은 음악치료사 직업에 대해서 Likert 5점 척도에 평균 3.72점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음악치료사는 보람된 일을 하는 직업이고, 클라이언트를 생각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병 원이나 기관에서 인정받는 전문직이라는 인식은 낮았다. 셋째, 음악대학생의 음악치료 이해 및 효과에 대한 인식, 음악치료사 직업에 대한 인식 간의 관련성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유의미 하게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 진로 선택 의향과 관련해서 91.1%의 음악대학생들이 음악전공 과 음악치료 전공은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음악치료대학원 진학 의향에 대해서는 42.2%가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하였다. ‘잘 모르겠다.’ 라고 응답한 이유는 ‘다른 진 로의 방향과 고민이 되어서’가 51.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23.3%는 ‘음악 치료에 대해 잘 몰라서’를 이유로 응답했다. 결론적으로 음악대학생들의 음악관련 분야 직업 중 하나인 음악치료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 여 재능있고 사명감 있는 미래의 음악치료사의 저변 확대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sic majors perceive the practice of music therapy, examining their potential interest in music therapy as a care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0 students enrolled across 62 colleges of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cross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5% of the respondents had heard about music therapy and 26.7% of them answered that they had learned about music therapy through acquaintances. Second, it was shown that music majors perceived music therapy positively as a career at an average score of 3.58 on the Likert 5-point scale. The data showed that they viewed music therapy as a rewarding job, especially in the attentive care of its clientele. However, they also noted that social awareness of music therapy was low. Third, it was found that for music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perception of music therapy’s effectiveness, and perception of music therapy as a career all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91.1% of music college students’ recognized that a major in music and a major in music therapy had a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42.2% responded with, “ I do not know,” whether go into music therapy.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51.9% were in situations where they were undecided about their future career, followed by 23.3% of respondents expressing a lack of knowledge about music therapy in general. In conclusion, more evidence-based research, education opportunity and publicity could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for music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 public.

      • KCI등재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의 연구 동향 분석: 2000∼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박에스더,이지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2000년에서 2021년도에 발행된 국내 학술지의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의 연구 동향을 노인 대상 노래중심음악치료 중재와 관련된 국내 학술지의 연구 정보, 연구 참여자의 특성, 음악 치료의 중재 관련 특성과 노래 관련 특성으로 분류하여분석하였다. 방법 1차 선별 단계에서 2000년 1월에서 2021년 9월에 발행된 논문 156편을 선별하였다. 그 중, 학술지와 학위논문으로 중복으로 검색된 논문 6편을 제외하였다. 논문별로 연구 참여자를 꼼꼼히 확인하여 노인 대상 연구가 아닌 논문 40편을 추출하였으며, 노래중심 음악치료 중재가 아닌 논문 86편을 추가로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등재지 혹은 등재후보지가 아닌 국내 학술지 논문 3편을추가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21편의 논문이 분석에 투입되었다. 결과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 문헌 중 양적 연구가 20편(95.24%), 질적 연구가 1편(4.76%)이었으며, 연구 참여자의 특성과관련된 분류는 장애 대상 논문이 12편(57.14%), 비장애 대상 논문이 8편(38.10%), 장애에 대한 정보가 보고되지 않은 논문이 1편(4.76%)이었다. 연구의 중재 관련 특성과 관련하여 음악치료만을 사용한 연구가 15편(71.43%), 음악치료 외의 기타 치료나 활동을 결합한 연구가 6편으로(28.57%) 나타났다.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의 중재 장소는 병원이 5건(27.74%), 요양원이 4건(17.37%)으로 가장 많았다. 음악치료사가 직접 치료 세션을 중재한 연구는 14편(66.67%)이었고, 음악치료사 외 개인이 중재한논문이 2편(9.52%), 중재자에 대한 보고가 나타나지 않는 논문이 5편(23.81%)이었다. 음악치료사가 중재한 연구는 대부분 회기별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과 치료적 논거가 있었다. 반대로 회기별 프로그램이나 치료적 논거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연구물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향 파악에서 사용된 노래의 장르는 총 10개로 분석하여 제시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파악된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 연구 동향 분석이 추후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 연구의 방향성과임상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of research information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song-centered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of music therapy, and song-related characteristic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21. Methods The literature selected for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Among the 156 papers found in the first screening stage, 6 duplicated papers were excluded. After checking th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 40 papers that were not studies on the elderly were extracted, and 86 papers in which singing was not a major music therapy intervention factor were removed. Finally, a total of 21 papers were put into the analysis, excluding three papers in domestic journals that were not registered papers. Results As a result, there were 20 quantitative studies (95.24%) and 1 qualitative study (4.76%) among the literature on song-centered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As for the classification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12 papers (57.14%) were for the disabled group, 8 papers (38.10%) were for the non-disabled group and 1 Others(4.76%). Regarding the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15 studies (71.43%) used only music therapy and there were 6 studies (28.57%) that combined other treatments or activities other than music therapy. In addition, the place of intervention of singing-centered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was the most frequent, with 5 cases(27.74%) in hospitals and 4 cases(17.37%) in nursing homes. There were 14 studies in which music therapists directly mediated therapy sessions(66.67%) and two theses (9.52%) were mediated by individuals other than music therapists. Besides, there were 5 papers (23.81%) that did not report on the moderator. Most of the studies implemented by music therapists had descriptions and therapeutic rationales for session-by-session music therapy programs. On the other hand, some studies lacked information on session programs or therapeutic rationales. Finally, a total of 10 genres of songs used in research trend identification were presented. Conclusions It is hoped that the tendency of song-centered music therapy research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song-centered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clinical field.

      • KCI등재

        델파이 방법을 통한 국내 재활음악치료 발전방안 연구

        박환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19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in Korea and to explore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rehabilitative music therapy using the Delphi method. To this end, 3 rounds of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in a panel of 11 experts with at least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habilitation experts in other fields perceived music therapy as an unfamiliar therapy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Second, regarding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rehabilitative music therapy, for showing professionalism as a form of rehabilitation therapy,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expanding research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rehabilitative music therapy. Third, regarding the individual competence of therapist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regular attendance in education and seminars on rehabilitation. Fourth, for music therapy societies and associat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improving the publicity of rehabilitative music therapy and expanding rehabilitation-related courses in music therapy curricula. Fifth, for the clinical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constructing a unique therapeutic domain for rehabilitative music therapy. Finally, for administrative system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converting to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music therapy.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s for promoting the use of music therapy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to help improve the status of rehabilitative music therapy.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통하여 국내 재활분야에서 음악치료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재활음악치료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활분야 음악치료 임상경력 3년 이상의 전문가 11명을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 분야 재활전문가들은 음악치료를 재활분야에서 생소한 치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활음악치료 발전방안 중 재활치료로서 전문성을 가지는 부분에서는 재활음악치료 효과 입증을 위한 연구를 확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사 개인역량에 있어서는 정기적인 재활분야 교육및 세미나에 참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 학회 및 협회 차원에서는재활음악치료에 대한 홍보 실시와 음악치료 교육과정의 재활관련 과목이 확대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상환경 측면에서는 재활음악치료만의 고유 치료영역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정제도에 있어서는 음악치료가 국가공인자격으로 전환되는 것이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재활분야에서 음악치료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재활음악치료 입지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성경기반 음악치료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음악치료사와 목회자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손영우,김영란,박혜영 한국기독교학회 202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 기반 음악치료에 대한 목회자와 음악치료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회 안에서 음악치료의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대학원에 재학 중인 치료사와 졸업한 전문 치료사 그리고B 노회 목회자와 D 신학대학원, C 신학대학원 강도사 및 전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성경 기반 음악치료의 구성요소와 형태, 방향성으로 구성된 총 41문항이며 직접 방문과 온라인 설문조사 구글 플랫폼, 이메일을 통해 배포하였다. 총 135부가 배포 및 회수되었으며, 이 중 결측 자료를 포함하는 7부를 제외하고 128부를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 집단과 목회자 집단의 성경 기반 음악치료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강조점, 차이점, 기독교인 치료사 기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성경 기반 음악치료 형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가치관과 음악의 역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경 기반 음악치료 방향성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 음악 전달 방식과 핵심적인 학문, 교회 내 담당 기관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성경 기반 음악치료 필요조건에 관한인식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성경 말씀 항목과 기도 항목에서 두 집단의 평균 차이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목회자와 음악치료사 간 인식 차이는 성경 기반 음악치료의 임상적 고유성과 전문성확보를 위해 보다 심도있는 탐구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성경 기반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향후 성경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music therapy in the church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pastors and music therapists about Bible-based music therapy.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rapists in graduate music therapy programs, graduated therapists, and pastors from Presbytery B, Seminary D, and Seminary C, as well as licentiates and evangelists. The survey consisted of 41 questions about the components, forms, and directions of Bible-based music therapy and was distributed through direct visits, online surveys on Google platform, and via e-mail. A total of 135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returned, of which 128 were analyzed, excluding 7 with missing data.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hasis, differences, and christian therapist criteria between both groups by investigating components of the Bible-based music therapy. Second, there wer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lues and the role of music between the groups by examining types of the Bible-based music therapy. Third, there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ic delivery, core discipline, and organization in charge within the church by exploring direction of the Bible-based music therapy. Fourth, there wer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cripture and pray,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in requirements for Bible-based music therapy. These awareness differences between pastors and music therapists imply that it is needed the profound exploration for clinical uniqueness and specialization of Bible-based music therap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Bible-based music therapy and provided further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programs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Bible-based music therapy.

      • KCI등재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국내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인식 및 실행 현황 조사연구

        최아란,황은영 한국교육치료학회 2019 교육치료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tatus of music therapists’ perception of community music therapy practices in general. It surveyed a sample of 208 music therapists with graduate degrees (i.e., Master’s or Doctorate) earned in Korea with respect to their understanding, expectations and needs for community music therapy in an attempt to comprehend the current status of their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community music therapy. The survey methodology was developed and supplemented with reference to both a study by Cha Ji Young (2017) and a study by Curtis (2015) who analyzed the perception of North American music therapists on community music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cognition on community music therapy, there are more music therapists who have heard or known about community music therapy than those not, and it turned out varying factors such as their clinical experience as well as a type of workplace have a substantial correlation to their awareness, resulting in a difference to the outcomes. Besides, there are more music therapists who replied that they have never practiced community music therapy compared to those who have; the institution that allowed for such practice was primarily a welfare center, with their target patients consisting mainly of children and the youth, using ensemble as their principal execution form for the trea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depending on personal implementation experiences, understanding in community music therapy greatly differs. Third, as to the expectation for community music therapy,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implementation experiences, but there appears to be no such gap when it comes to the need for community music therapy. In conclusion, I believe this study offers fundamental and valuable insights into some of the challenges faced by music therapists today and how to better improve the underlying framework of music therapy practice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음악치료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인식 및 실행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석사 학위 이상 음악치료사 208명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음악치료에 대한 인지도 및 실행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커뮤니티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도, 기대도,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차지영(2017)과 북미 음악치료사의 커뮤니티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한 Curtis(2015)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 후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인지도와 관련하여 커뮤니티 음악치료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음악치료사가 그렇지 않은 음악치료사보다 더 많았으며,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인지도와 음악치료사의 임상 경력, 근무 기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티 음악치료를 실행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음악치료사보다 그렇지 않은 치료사가 더 많았으며, 주 실행 기관은 복지관, 대상은 일반 아동청소년, 실행 형태는 합주가 많았다. 둘째,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이해도에 있어 실행 경험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티 음악치료 기대도에 있어 실행 경험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필요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음악치료 분야의 영역을 확장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국악을 활용한 음악치료 연구 중 음양오행(陰陽五行)관련 연구 성과 검토

        조연진 국립국악원 2011 국악원논문집 Vol.24 No.-

        Oriental medicine has used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to explain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hanges in the human bod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uthors of seven theses and dissertations have aplied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o music therapy. Many music therapy research projects have been published in the literature on neuroscience, psychology, geriatric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used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authors of these studies, unfortunately, are rarely music therapist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therapy and music therapists. In addition, clinical trials of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herapy programs are needed. The analysis of research studies should yield some insight for future directions in the research and a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n the basi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The analysis of studies focused on the background of researchers, study type, research outcome, and composition of music therap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researchers do not have degrees in music therapy. In addition, most of the studies that have been done were theoretical, not practical. It was found that listening to music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music therapy, and that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and selection for music were not accurate. Finally, research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in music therapy studies have used music as a treatment for symptoms of mental illness or the five viscera. In conclusion, in order for music therapy to be accepted, experimental research must prove its validity. It is important to have diverse music therapy method, a precise standard of selection for music is necessary and it has to be more informed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raditional instruments.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까지 발표된 국악을 소재로 한 음악치료 연구 중 음양오행(陰陽五行)을 적용한 연구 성과들을 살펴본 논문이다. 음양오행은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생리적, 병리적 변화를 인식하고 설명하는데 이용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내용 검토와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이 음양오행의 이론과 국악을 음악치료에 어떻게 활용했는지 알아본 후 각 연구들에 대한 비평과 제안을 함께 전개하였다. 음악치료 연구들은 신경과학, 심리, 노인, 장애 아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연구되었다. 그러나 연구 소재에 있어서 음양오행과 국악을 사용하여 연구가 이루어진 경우는 지극히 적은 편이다. 이 연구를 위해 조사된 분석대상 논문들의 연구자들도 대부분 음악치료 전공자들은 아니다. 본고에서 음양오행이론을 국악과 접목시켜 임상과 연구에 적용한 예를 음악 치료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일은 향후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국악을 이용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연구과제이다. 따라서 연구 내용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음양오행이론에 사용된 국악 소재를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활용방안과 연구에 대한 미래의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선정된 자료들은 연구자의 배경, 연구형태, 연구내용과 음악치료 구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의 배경은 음악치료 배경보다는 음악교육이나 대체의학과 같이 음악치료 외의 배경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형태는 가능성에 대한 이론제시 연구가 많았다. 음악 치료 방법에 있어서는 대부분 음악 감상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음악분류나 선곡에 대한 기준이 정확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음양오행이론을 음악치료의 근거로 삼은 연구자들은 병증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음악을 사용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특징들을 볼 때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점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먼저, 치료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실험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음악적인 면에서는 음악 감상에 편중된 음악치료 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음악치료 활동을 연구하고 음악선택과 분류에 있어 정확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악을 포함하여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이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국악기에 대한 정보와 지식도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음악치료에 대한 정신과 의사들의 인식 조사 : 질적 연구

        이드보라,정영인 부산대학교 병원 암연구소 2008 부산대병원학술지 Vol.- No.24

        음악치료에 대한 정신과 의사들의 인식을 Strauss와 Corbin의 근거 이론에 입각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후,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음악치료의 정체성 1) 정신과 의사들은 매체를 통해서 음악치료를 접해본 적은 있으나, 음악치료의 목적, 방법, 효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고 있지 못했다. 2) 정신과 의사들은 음악치료를 일종의 보조 치료 정도로 여기고 있었다. 3) 정신과 의사들은 음악치료 방법을 일종의 음악감상을 이용한 처방적 기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4) 정신과 의사들은 음악치료를 일종의 예술적 행위로 여기고 있었다. 2. 음악치료의 효과 1) 정신과 의사들이 생각하는 음악치료의 효과 중 가장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음악을 통한 환자들의 정서적 변화였다. 2) 정신과 의사들은 음악치료 과정에서 환자들이 표현하는 감정을 관찰함으로써 환자들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4) 음악치료의 방법 중 songwriting은 정신과 치료진과 환자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3. 현 체제상의 어려움 1) 음악치료사들의 전문성 부족으로 말미암아 정신과 의사들과 음악치료사 간에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2) 정신과 의사들은 음악치료가 정신과 환자에 대한 치료 효과를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3) 정신과 의사들은 병원들의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음악치료사를 채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The autho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psychiatrists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sychiatrists regarding music therap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dentity of music therapy: Psychiatrists don't understand the exact concept of music therapy with it being a kind of artistic action. They regard music therapy as a supplementary treatment. 2.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Psychiatrists think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effect of music therapy should be the positive change in emotion. They also think that music therapy can be helpful to make a diagnosis of patient's emotional state. 3. Difficulties in current situation: There has been obstacles to the activation of music therapy. Music therapist'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regarding mental illness may result in difficult communication with psychiatrist. In addition, evidence-based music therapy is required in order to get rid of the psychiatrist's resistance to music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