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남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정서수용태도의 매개효과

        김미라,강지현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e aim of this stusy is to investigate whether maternal attitudes toward preschoolers'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We conducted the following survey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and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1.5-5 (K-CBCL 1.5-5), on 261 mothers with 3 to 5 year-olds attending one of 4 kindergartens and 3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either Seoul, Gyeonggi-do, or Changwon-si in Gyeongsangnam-do.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rom our analysis: First, the main effects of gender for research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main effects of age for maternal attitudes toward preschoolers; expressiveness were significant. So, controlled response was observed in more 5-year-olds than 3-year-olds. Second, the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s a significant relation on the mother's attitude towards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all preschoolers and the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has a significant relation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only for boys. Third, the mother's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xpressiveness functioned full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er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functioned partiall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er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nly for boy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가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와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4개의 유치원과 3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6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 척도, 유아 행동평가척도(K-CBCL 1.5-5)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변인의 성별에 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만 3세 유아보다 만 5세 유아에게 더욱 통제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 유아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남아의 문제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여아의 문제행동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는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남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내재화 문제행동에서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유아의 정서 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와의 관계

        송영혜,김은경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유아의 정서적 능력은 또래 유능성,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유아기의 사회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6세 유아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통해 자신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사에게는 유아의 정서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동기에 과잉보호 또는 거부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은 적게 사용하고 회피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가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는 낮았다. 또한, 어머니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거부당한 경험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통제적인 반응태도와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통제적인 반응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와 상관이 있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인식능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부모로부터 과잉보호 받았던 경험과 상관이 높은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는 아동기에 거부당한 경험과 상관이 높았다. 요약하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상관이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은 자녀의 정서능력과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머니에게 바람직한 정서조절양식 및 수용적인 정서반응태도를 교육해야하고,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s were 137 preschoolers`(65boys, 72girls, aged 5-6) mothers and teachers. Emotional ability was measured by their teacher.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by mother. The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used much more active-regulation way, thei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better. Second, the more permissive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bette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 the more overprotected and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lower level of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The more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more compulsive attitude toward child`s expressiveness Forth, mother`s attitude toward thei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had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ermissive attitude towards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should be developed, counselling o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hould be done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implicated father`s role in parenting.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반응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강현지 ( Hyun Jee Kang ),임정하 ( Jungha Lim ) 대한가정학회 2015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3 No.3

        This study examines child emotional intelligence in relation to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A sample of 352 children and moth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ther’s 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were evaluated by child-report,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assessed by mother-report.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wo-way analysis of variance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of boys showed more oversensitive-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than mothers of girls. Mothers of 6th-graders showed more emotion-minimizing-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s than mothers of 5th-graders. Second, girls showed a higher level of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than boys. Girls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than boys. The 5th-graders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 expression than 6th-graders; however, 6th graders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 perception than 5th-graders. Third, more emotion-coaching-reaction and less oversensitive-reaction by mothers predicted a better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A mother’s appropriate emotional socialization behaviors associated with chil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김현주,백지숙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3

        This study aimed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finding out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The subjects were 445(184 male, 230 female)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rules while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rules. Second,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teacher relationship and between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However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had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etween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school rules. Third,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had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four 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근래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은 학교 내에서 교사 및 또래 친구와의 관계가 적절하지 못하며, 주의산만, 학업성적 부진, 부적절한 분노 표현, 우울증 등의 문제를 겪으며,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스마트폰 중독 등 다양한 형태의 학교 부적응 양상을 보인다(김수진, 2014; 박상진, 2019; 이종화, 2013). 이러한 학교 부적응 문제는 이후 청소년 비행과도 연결될 가능성이 크며 청소년 비행 문제는 사회문제로 직결될 수 있기에 청소년기로 이행이 시작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문제는 아동의 전인적인 성장을 위해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과제로 볼 수 있다(최수인, 2015). 특히 대인관계가 부모 관계를 넘어 다양한 사회적 관계로 확장되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에게 학교생활적응은 미래에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문제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는 학생들의 개인 외적(가족, 부모, 교사, 또래 등) 변인과 개인 내적(학업동기, 자아탄력성, 자아 존중감, 자기조절 능력 등) 변인들이 있다(김모선, 2018; 양재민, 2018; 정진수, 2013). 본 연구에서는 개인 외적 변인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개인 내적 변인인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 이들 변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하는가를 살펴봄으로서 학교 및 아동 상담 현장에서 학교부적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과 그 부모를 돕기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의 방향 및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송서정(Song Seo-Jung),유연옥(Yu Younoak)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0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trategies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360 children in 4, 5, 6 years old, their mothers and teachers of two kindergartens in Dal-seogu in Daegu. AEQ(King & Emmons, 1990) was used for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combination of ECR(Shiels & Cicchetti, 1995) was used for children’s strategies of emotion regulation and SCBE(La Freniere & Dumas, 1995) was used for social competence. For the analysis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pplied.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trategies of emotion regulation. Both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negative emotional competence had negative correlation and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justed strategies of emotion regulation. Secondly, it was showed that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relation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other’s ambivalence ove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lmness, sociality, cooperation, self-control held in a subordinate position and had no correlation with integration. Thus, we can recognize that not only children’s age and gender but also moth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children’s strategies of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정윤경,박보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4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retrospecte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developmental correlate of their off-spring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ese ends, 547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aries including EEQ, AEQ, and retrospected SEFQ of their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ly correlated to their retrospection of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hen they retrospect that their mother's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 was high, their positive and intimate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 and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When they report that their mother' expression is low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they were also low i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nd most high in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요인으로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서 표현성, 정서표현양가성과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 정도는 자녀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관련을 맺음이 드러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표현이 높을수록 자녀의 친밀 정서와 긍정적 정서의 표현 수준은 높고 정서표현양가성은 낮았다.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 표현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정서 표현 수준은 낮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고된 어머니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표현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구별된 네 군집(긍정상-부정하, 긍정상-부정중간, 긍정하-부정하, 긍정하-부정상) 간의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긍정이 높은 두 집단의 자녀들이 긍정이 낮은 두 집단보다 낮은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긍정적, 친밀 정서 표현을 나타냈다.

      • KCI등재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정은미 ( Jung Eun Mi ),김소향 ( Kim So Hy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2 3-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To collect the data, mother``s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measurement tool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test, one-way ANOVA,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gender of the children``s was shown to affect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self-monitoring and self-control, which is the period total of the girl children``s self-regulation than appeared to remain high. Second, the mother``s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shown to affect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influenced by the order of mother``s negative expression, mother``s positive expression, mother``s cognitive empathy. From the finding, it can be suggested that mother``s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predict children``s self-regulation.

      • KCI등재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과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의 관계 연구

        김지숙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유아어머니와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6세의 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0쌍으로 총 60명이었다.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장애유아의 정서표현은 담임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결과] 첫째, 장애유아어머니는 부정적 표현보다 긍정적 표현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아의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표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나, 부정적 정서가 중요하고, 자녀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정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유아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하여 비지지적 반응보다 지지적 반응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넷째, 장애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서는 지지적 반응 중 정서중심반응과 감정표현격려반응이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 있음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자녀의 정서표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유아어머니에게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their mothers' the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s were relat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ir young disabled children. [Method] There were a total of 60 children, 30 pairs of mothers, and 3 to 6-year-ol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mothers, an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by the teach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d positive express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egative express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erms of negative emotions,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negative emotions but they recognized that negative emotions were important, and they recognized negative emotions as emotions that their children naturally experience. Also,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 supportive response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on-supportive responses. Thir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Fourth, in the supportive responses of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emotion-centered response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encouragement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hat can guide the use of suitable coping methods for deal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한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오지현 ( Oh Ji-hyun ),홍혜미 ( Hong Hye-mi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실행기능을 매개로 하여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만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의 모델 4, 1, 7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관계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 유아의 실행기능 간 관계에서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실행기능 수준이 높아지고 정서조절능력 또한 향상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간접효과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적극적인 놀이참여가 유아의 실행기능과 정서조절능력과 연관성이 높은 환경적 요인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xpressiveness,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ing and the mother’s play participation on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411 mothers of children aged from 4-5 years. Data were analyzed using models 4, 1, and 7 of the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 of the mother’s attitude toward the child’s expressiveness with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was that this was indeed mediated by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ing. Additionally, the mother’s play particip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xpressiveness and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ing. Further, the mother’s play participation according to level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ther's play participation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ing and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이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반응과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신주혜,정윤경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2

        본 연구는 자녀의 정서발달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기저하는 어머니의 정서에 대한 신념을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3∼6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정서발달관련 신념(PBACE: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s Questionnaire),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반응(CCNES), 아동의 정서조절(ERC)을 포함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정서발달에 대한 신념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반응,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부정정서 가치와 긍정정서 가치, 중립적 가치, 정서유동성 및 발달가능성, 부모지도 신념은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지지적 반응과 높은 정적 관련성을 보인 반면 정서위험, 조롱, 사생활, 조작 신념은 비지지적 반응과 높은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지지적 반응은 자녀의 적응적 정서조절과 정적 관련성을, 비지지적 반응은 자녀의 불안정 조절과 정적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부정정서 가치와 긍정정서 가치, 정서유동성 및 발달가능성, 부모지도 신념은 자녀의 적응적 정서조절과 정적 관련성을, 정서위험, 조롱, 사생활, 조작 신념은 자녀의 불안정 조절과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모형분석 결과에서는 긍정정서가치, 정서위험, 부모지도, 경멸 신념은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정서조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통제, 정서유동성, 사생활, 조작 신념은 직접적으로 아동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mothers’ emotion-related belief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For this purpose, mothers who had a child who was 3~6 years old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emotion development-related beliefs, the mother's coping strategies for children'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and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We found that 12 emotion-related beliefs influenced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which were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behaviors. “Negative emotions are valuable”,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emotion fluidity” and “parents should guid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mothers’ supportive responses and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In contrast, “contempt”, “manipulation” and “the danger of emo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non-supportive responses and children’s emotion-negativity. Also, “mothers’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and “mothers’ non-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In addition,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the danger of emotion”, “parents should guide”, and “contempt” indirectly accounted for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which were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behaviors. “Control”, “emotion fluidity”, “privacy”, and “manipulation” directly accounted for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