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슈퍼) 거울 뉴런과 악의 전염성 1:쿳시의 『야만인을 기다리며』에 나타난 야만인 히스테리의 전염성

        백진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22 현대영미소설 Vol.29 No.3

        This study starts with exploring whether super mirror neurons, which very few scholars have started researching recently, can take on a vaccine-like role to prevent contact with the demon within ourselves. A “super mirror neuron” is another function and variation of mirror neuron evolved to “control and modulate” the imitation and empathizing activities of “mirror neuron.” Mirror and super mirror neurons operate as an integrated mechanism to promote or inhibit empathy and imitation, and they further allow us to be infected by evil or develop immunity to it. Understanding this mechanism to activate it in a beneficial direction may becom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avoid coming in contact with the demon. This paper employs the integrated neurological mechanism of mirror and super mirror neurons as a working principle to trace the evil deeds of imperialism and the discourse justifying them, particularly the manner of being infected with fanatical mass delusion and fear called “barbarian hysteria” in J. M. Coetzee's Waiting for the Barbarians. The magistrate, who is the protagonist and narrator in this work, forms an antibody for the virus of the society's harmful notions and evil deeds. Through his narrative of purification, this novel presents the most effective operational method of the (super) mirror neuron system, that is, the optimal vaccine for protecting a community, which adjusts or manages the ignition button of good and evil. In this sense, Waiting for the Barbarians can be assessed as proving the significance of neuroethics in Coetzee's literary work.

      • KCI등재

        뇌파분석을 통한 증강현실 기반 거울운동이 거울신경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현주,송근산,임현승,태기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9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rror exercise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on the mirror neurons activity identified by electroencephalography (EEG). Ten adults in their 20s were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respectively: traditional exercise without a mirror (TE), mirror exercise (ME), augmented reality based mirror exercise (ARE). Results were analyzed by relative SMR and Mu power log ratio of EEG and interpreted as the the activity of mirror neurons. In the ARE condition, the degree of EEG arousal by relative SMR and mirror neuron activity by Mu power log ratio were higher than those in TE and ME conditions significantly(p<0.001).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irror exercise using AR is more effective than the mirror exercise using the conventional mirror for activating the mirror neuron, and the finding may be useful methods for rehabilitative therapy.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거울 운동이 뇌파를 통해 확인되는 각성과 거울신경세포의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다음의 세 가지의 조건에 모두 참여하도록 하였다: 거울 없이 하는 운동(TE: traditional exercise without a mirror), 거울을 이용한 운동(ME: mirror exercise), 증강현실 앱을 이용한 운동(ARE: augemented reality based mirror exercise). 세 가지 운동 결과는 뇌파의 상대 SMR파를 통해 각성도와 뮤 파워 로그비로 분석하여 거울신경세포 활성도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 SMR로 해석되는 뇌파의 각성 정도와 뮤 파워 로그비로 해석되는 거울신경세포의 활성도가 TE와 ME 조건에서보다 ARE 조건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따라서, 기존의 거울을 이용한 운동보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거울운동이 거울신경세포를 활성화 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며 재활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거울 뉴런의 읽기 과정 이해에 대한 시사

        김도남 ( Kim Do Na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이 논의는 거울 뉴런 이론으로 독자의 읽기 과정에 대한 탐구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거울 뉴런 이론은 뇌 과학 연구의 한 분야로, 행동을 하는 사람의 뉴런과 그 행동을 보는 사람의 뉴런 활성화가 동일하게 일어남을 설명한다. 사람은 거울 뉴런이 타인의 뇌 활성화를 반영하여 줌으로써 모방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 과정에도 거울 뉴런이 관여하는 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거울 뉴런은 뇌의 일부분으로 사람이 타인의 행동을 인식하면 타인의 행동을 일으키는 활성화된 뉴런과 같은 활성화를 한다. 이 거울 뉴런의 모방 활성화로 사람은 타인의 행동 의도, 행동 목표, 행동 내용, 행동에 수반되는 감정을 이해한다. 읽기를 거울 뉴런의 관점에서 보면, 독자는 거울 뉴런이 필자나 텍스트 속의 화자, 텍스트 속의 인물, 다른 독자의 뉴런 활성화를 모방함으로써 텍스트를 이해한다. 인물이 중심이 된 텍스트는 인물을 모방하는 거울 뉴런의 활성화로 이해를 하고, 지식이나 논리가 중심인 텍스트는 다른 독자의 읽기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이해를 한다. 이 거울 뉴런 이론이 독자의 텍스트 이해 과정 이해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런 작용에 기초하여 읽기가 일어난다. 둘째, 읽기 학습은 뉴런의 모방작용에 의지한다. 셋째, 공유된 다양체를 바탕으로 텍스트 이해가 이루어진다. 넷째, 상호주관성에 의하여 독자는 의미를 구성한다. 다섯째, 읽기는 신체가 관여하여 이루어진다. 읽기에 대한 이해는 읽기 교육의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 읽기를 한 가지 관점에서 보기보다는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서 교육에 접근할 때 효율성 높은 교육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mirror neurons theory for the explanation of reader`s reading behavior. Mirror neurons reflects the behavior of others Just like mirror, so it is called imitation. There is also an aspect of mirror neurons involved i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Mirror neurons are part of the brain. When a person recognizes another person`s behavior, the mirror neuron is activated like an activated neuron that causes another person`s behavior.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understands other people`s behavior intentions, behavior goals, behavioral content, and feelings associated with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a mirror neuron, a reader`s mirror neuron understands text by imitating the author, the speaker in the text, the person in the text, and the neuron activation of the other reader. Mirror neuron theory suggests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behavior as follows. First, reading occurs based on neuronal action. Second, reading learning relies on the imitation of neurons. Third, text understanding is achieved based on shared multiplicite. Fourth, the reader constitutes meaning by mutual subjectivity. Fifth, reading takes place through the involvement of the body. Understanding of reader`s reading behavior enhances the success of reading education. the variety of research for reading,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n effective reading education.

      • 뇌과학의 ‘거울뉴런’이 주는 ‘심정’의 특징 고찰

        이준 통일사상학회 2023 통일사상연구 Vol.24 No.-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심정’은 영성의 핵심이다. 본 논문은 기존 통일사상의 심정에 대한 정의를 “가족처럼 느끼며 한없이 사랑함으로써 창조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억제하기 힘든 정적인 충동”으로 고찰했다. 또한, 심정의 특징을 ‘창조이상에 대한 목적성’, ‘상대와 맺어지는 관계성’, ‘심정권 형성의 공동체성’으로 정리했다. 뇌과학에서의 ‘거울뉴런’은 인간의 ‘모방능력’, ‘공감능력’, ‘공동체형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심정의 특징을 이해하는 과학적 근거가 된다. 거울뉴런은 심정의 특징에 다음과 3가지 의미를 준다. 첫째, 거울뉴런의 ‘모방 능력’은 심정의 ‘창조이상에 대한 목적성’을 의미한다. 둘째, 거울뉴런의 ‘공감능력’은 ‘상대의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능력으로 심정의 ‘상대와 맺어지는 관계성’을 의미한다. 셋째, 거울뉴런의 ‘공동체형성능력’은 심정의 ‘심정권 형성의 공동체성’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거울뉴런’은 심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인류가 하나님의 창조목적인 ‘하나님 아래 인류한가족’의 이상세계로 나아가는 데 과학적 근거가 된다. In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 ‘Heart’ is the core of spirituality, and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ing Unification Thought‘s definition as “an irrepressible static impulse to fulfill the purpose of creation by feeling like a family and loving without limits.” It also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Heart as ‘purposefulness toward the ideal of creation,’ ‘relationality with others,’ and ‘community of forming the realm of the Heart.’ In brain science, ‘mirror neurons’ are the scientific basis for understanding the Heart. Mirror neurons affect human imitation ability, sympathy ability, and community-forming ability. Mirror neurons give three meanings to the components of the Heart. First, the imitation ability of ‘mirror neurons’ means the ‘the purpose for the ideal of creation’ of the Heart. Second, the empathy ability of ‘mirror neurons’ is the ability to feel the ‘emotions of the other person’, which means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erson’ of the Heart. Third, the community formation ability of ‘mirror neurons’ means the ‘community of forming the realm of the Heart’. Accordingly, ‘mirror neur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Heart and its components, and serve as a scientific basis for humankind to move toward ‘One Family under God’ in the Heart community.

      • 거울 뉴런과 토마스 아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유경동(Kyoung-Dong Yoo)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2

        뇌 과학의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행위는 뇌의 두정엽과 전두엽에 분포된 거울 뉴런의 생리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고, 이 뉴런의 작용을 통하여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는 사회적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거울 뉴런의 특성은 뇌의 신경 메커니즘을 주목하게 하며, 학습과 관련된 인간의 사회적 환경의 구성에 관심을 가지게 한다. 본 논문은 거울 뉴런과 연관된 인간의 모방 능력에 대한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마스 아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에 나오는 신앙적 모방의 원리에 적용하여 간학문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거울 뉴런을 통한 사회적 학습의 과정과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기 위한 내적 원리들을 비교하여 보면, 뇌 과학과 신학의 양자 사이에 학문적 통섭을 통하여 각자의 장점과 한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토마스 아켐피스가 비록 뇌 과학의 거울 뉴런의 모방과 같은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의 신앙의 내적 원리를 과학적 원리와 연관하여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가능성과 그 목표를 분명히 하는 것 또한 기독교 윤리학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필자가 거울 뉴런의 ‘모방’ 기능과 토마스 아켐피스의 모방(Imitation)의 원리를 비교 검토하여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원리를 발견하였다. 거울 뉴런의 모방 기능은 대체로 여섯 가지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그것은 (1) 외부 감각, (2) 관찰, (3) 거울 시스템의 뉴런 영역의 기능, (4) 하전두회와 하두정엽의 활성화, (5) 모방학습, (6) 사회적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적응 및 새로운 시도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 본다. 한편, 토나스 아켐피스에게 영적 모방원리는 (1) 외적 감각 기능의 통제, (2) 내면적 모방의 원리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3) 십자가, (4) 성자들의 삶 모방, (5) 겸손, (6) 부활을 대망하는 신앙의 완전, 즉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믿음이다. 거울 뉴런의 모방학습은 인간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여 주었다. 비록 뇌 과학에서 밝히는 목적 지향적 에뮬레이션이 무엇인지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인간은 거울 뉴런의 메커니즘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서 목표 표상을 설정하고 행동을 수정하며, 그리고 사회적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토마스 아켐피스의 모방 이론을 보면, 자연주의 진화론적 모방의 한계는 처음서부터 인간의 죄성과 욕망이 걸림돌이다.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십자가의 종교적 표상 세계를 통하여 인간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며, 그 목표는 신앙의 완전이다. 그 완전은 단지 내적 표상의 종교성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실천의 삶을 통하여 성취된다. According to brain science research, human actions are related to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ttached to the mirror neurons distributed in the brain’s parietal lobe and the frontal lobe. Social learning, in which a person imitates others, is accomplished by the function of this neuron. Such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neurons draw our attention to the nerve mechanisms of the brain and towards the composition of the human social contexts related to learning. This paper will examine the function of human’s ability to imitate others with regard to the mirror neurons and apply it to the principles of the spiritual imitation that appears in the Imitation of Christ by as an interdisciplinary effort. Comparing the internal principles to become the disciple of Christ and the process of social learning through the mirror neurons will be significant in that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brain science and theology could be examined through scholarly conciliation. It is significant because objective examination of the internal principles of faith in connection with the scientific principles and clarifying the possibility and the aim of the human moral conduct are also essential from a Christian ethics standpoint. The author intends to unfold the paper’s argument in three aspects to compare and review the ‘imitation’ function of the mirror neurons and the imitation principles of Thomas a Kempis. First, a general overview of the principles of the mirror neurons explained in the brain science will be given, and its significance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will be examined. Second, the principle of theological imitation proposed by Thomas a Kempis will be analyzed, and its importance will be stressed. Lastly, the task of Christian theology will be reviewed from the interdisciplinary viewpoint by comparing the imitation principles of the mirror neurons and Thomas a Kempis.

      • 미러뉴런시스템과 뇌졸중 재활

        김식현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09 PNF and Movement Vol.7 No.4

        Purpose: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mirror neuron system with reference to its functional diversity in stroke rehabilitation.. Method:This review outlines scientific findings regarding different neurophysiological properties in mirror neurons, and discusses their involvement in process of stroke rehabilitation. Result & Conclusions:Mirror neurons were first discovered in macaque monkey. These neurons, like most neurons in F5 areas in premotor cortex, fired when an individual performs an action, as well as when he/she observes a similar action done by another individual, although originally fired only during action execution. Mirror neurons form a network for motor planning and initiating of motor action. Thus, in stroke rehabilitation based on the mirror neuron-action observation, motor imagery, observation with intent to imitate and imitation-may help activate mirror neuron system for improved outcome of physical therapy. These studies provide a scientific theoretical basis and discuss for the use of mirror neuron system as a complement to clinical physical therapy in stroke rehabilitation. .

      • KCI우수등재

        거울뉴런(mirror neurons)의 이해 및 탐색: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관계 및 교육학적 의미

        김경년(Kim, Kyung Ny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대한 이론 체계를 조망하여 상징적 상호작용의 작동 기제를 거울뉴런이 어떻게 그 근거를 제공하는지 고찰하고 또한 거울뉴론의 의미를 분석하여 교육학적 적용과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연구의 초점을 학교의 실제 생활에 위치시키며 학교에서 일어나는 명시적 혹은 묵시적 상호작용과 실천에 대한 이해 제고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Mead 이론에서는 어떻게 정신, 자아, 사회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출현하고 유지되는지에 대한 경험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거울뉴론은 Mead 이론에 대한 작동기제를 제시하며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두 이론의 의미와 행동 이해, 상상적 시연과 체화된 시뮬레이션, 자아 발달에서 타자 역할, 사회와 거울뉴론의 선후관계를 상호연관시키고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뇌 과학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거울뉴론 연구를 교육학 연구자의 관점에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Mead 이론에서 제시하지 않은 거울뉴런의 지각-행동 체계에 의한 전의식적 과정을 통해 우리가 타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을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한 이해 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지각-행동 체계와 전의식적 관점에서 주요한 교육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목표, 인식체계, 맥락체계, 교수-학습활동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거울뉴론 연구의 학문적 유행에도 불구하고 교육학적 의미에 대해서 국내외에서 드물게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울뉴론 이론의 교육학적 의미와 활용 가능성 탐구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Mead s symbolic interaction theory (STI), to examine how mirror neurons provide the basis for the working mechanism of symbolic interaction, and to explore pedagogical applications and utilization potential by analyzing the meaning of mirror neurons. STI placed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real life of schools and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explicit and implicit interactions and practices occurring in them. However, in Mead s theory, there is no empirical basis for how the mind, self, and society emerge and are maintained based on social interaction. The mirror neuron theory implicates the working mechanism for Mead’s theory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STI. This study revealed the validity of the two theories by correlating an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action understanding, imaginary rehearsal and embodied simulation, the role of others in ego development, and the antecedents of society and mirror neurons. In this process, mirror neuron research conducted by brain scientists is presented in an easier-to-understand manner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ical researchers. Above all,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hange in the way we understand how we learn behavior by observing the behavior of others through the preconscious process of perception-action coupling of mirror neurons, which was not suggested in Mead’s theory. Major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hese perceptual-behavioral systems and preconscious perspectives, and they were explor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gnitive systems, context system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 거울뉴런(mirror neurons)의 존재, 상징적 상호작용론과의 관계 및 교육학적 의미

        김경년(Kim, Kyung-Ny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2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연구의 초점을 학교의 실제생활에 위치시키며 학교에서 일어나는 명시적 혹은 묵시적 상호작용과 실천에 대한 이해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여러 관점을 종합하여 이론적 관점을 제시한 Mead는 정신, 자아, 사회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어떻게 출현하고 유지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특히 정신과 자아에 대한 Mead의 관점은 현대 뇌 과학연구의 거울뉴론의 작용에 해당하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거울뉴런은 인간의 마음 특히 공감을 이해하는 원천으로 여겨지고 행동경제학의 근거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거울뉴론 이론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두 관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어떻게 거울뉴런이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대한 신경학적 이해를 제시하는지 제시하였다. Mead가 제시한 의미, 상상적 시연 등이 거울뉴런에서 행동 이해와 체화된 시뮬레이션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거울뉴런의 교육학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Symbolic interaction theory placed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real life of schools and contributed a lot to improving understanding of explicit or implicit interactions and practices occurring in schools. Mead, who presented a theoretical perspective by synthesizing various viewpoints of symbolic interactionism, showed how the mind, self, and society emerged and maintained based on social interaction. In particular, Mead s perspective on the mind and the self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mirror neurons in modern brain science research. Mirror neuron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they are considered a source of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especially empathy, and provide a basis for behavioral economics. Based on Mead s analysis of symbolic interaction theory and mirror neuron theory, this study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and suggests how mirror neurons present a neur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posed by symbolic interaction theory. It was explained how the meanings and imaginary demonstrations suggested by Mead are related to behavior understanding and embodied simulations in mirror neurons. Final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mirror neur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서(恕), 반서(反恕), 그리고 거울 뉴런(mirror neuron)

        이향준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0

        이 글은 공자가 제시한 서(恕)를 인지과학이 발견한 거울 뉴런과 연관시켜 이해하려고 한다. 거울 뉴런이 도덕의 기초라는 환원주의적 주장의 타당성 여부를 서와 반서(反恕)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할 것이다. 공감의 신경생물학적 기초로서 거울 뉴런의 역할과 기능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서와 반서의 행위 양식을 동일한 생물학적 기초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거울 뉴런을 도덕의 기초로 간주하려는 환원주의적 시도는 실패할 것이다. 도덕 자체가 단순한 인과관계로 환원되지 않는 복잡한 요소들로 구성된 인간적인 삶의 양상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intends to explicate Confucius’s idea of ‘consideration’ in relation to a theory of ‘mirror neuron’ in cognitive science. I shall discuss whether the mirror neuron is a basis of ethical emotions centering the concepts of the consideration and the reverse-consideration. Although we might accept the function of the mirror neuron as the biological basis of sympathy, we can still infer behavior patterns of the consideration and the reverse-consideration from the same biological basis. Accordingly, the reductive attempt to regard the mirror neuron as the foundation of morality would fail. This is not because the mirror neuron is inappropriate as the basis of morality, but because the morality itself is one of the complicated aspects of a human life, which cannot be reduced to a simple cause-effect relation.

      • KCI등재

        거울 뉴런과 문학 1: 쿳시의 『야만인을 기다리며』에 나타난 자의식적 서사의 신경 윤리학

        백진 ( Jin Paik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8 현대영미소설 Vol.25 No.2

        This essay attempts to determine neuro-ethical implications of the self-conscious narrative in J. M. Coetzee’s Waiting for the Barbarians, on the basis of research on “mirror neurons.” Results show that the activation of mirror neurons in the human brain enables us to read others’ actions and intentions, thereby helping us to develop a “theory of minds” of others. In particular, V. S. Ramachandran has speculated that these “mind-reading” neurons could provide the basis and the rudiments for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With regard to neuroethics, this concept of the two (“turning inward” and “turning outward”) aspects of the self implies that we have a neural mechanism that makes empathic concern for others very natural. From the socio-cognitive neuroscience perspective, the self can also be understood as resulting from “interactive social processes that are memorised and constantly evaluated” (Kollek 79), whereas identity can be considered to be consisting of “a self-narrative that integrates one’s past events into a coherent story” (Polkinghorne 107). In this sense, the self-conscious narrative of Waiting for the Barbarians can be interpreted a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magistrate, who is the narrator of this novel, and thus sympathizing with others and developing the ethical relationships with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