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자의 미학과 피식민자의 문학: 전체화하는 자본, 식민지 모더니즘의 문학주의

        최현희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5 No.-

        This paper regards Korean modernist writing during late colonial period (1937∼45)as literarist practice, which I understand as the only viable option to resist the Japanese empire’s totalitarianism. The meaning of the era in Korean history is often epitomized with the slogan of “Naisenittai” (Naesŏnilch’e, Japan and Korea in one united body), whose primary purpose was Korea’s complete integration into Japan. From Korean nationalist viewpoint, the era must be defined as the opposition between nation and empire. However, this was the era of the world war that culminated the macroscopic measures to overcom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capitalist modernization throughout the world. In this sense, the opposition of capital vs. totality becomes much more crucial than that of empire vs. nation. The mainstream Japanese ideologues believed that capitalism’s main defect was its principle of individualism, which ignored society’s essential totality, and proposed the political totalitarianism as the only viable solution. Miki Kiyoshi,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is line of thought, converted from Marxism to this sort of totalitarianism. In his opinion, capitalism became irreparably self-destructive because it ignored the reality of society’s self-evident totality and gave in to the abstract ideal of individual autonomy. Miki’s plan of revolutionary transition from this pitfall was political realism that restored the value of totality in every individuals of society. However, he ignored the fact that capitalism is essentially transcendental in the sense that it establishes itself by actualizing the image of the individual whose only concern is to pursue one’s own profit. Once this image is realized, capitalism perpetuates itself by concealing the image’sorig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theoretical character of capitalist modernization, not to actually overcome it with practical-realist strategy. In other words, capitalism’s theory of self-generation is dramatization, by which it reduces everything transcendental to itself. To resist against capitalism, therefore, one needs a theory of re-dramatization, by which one reduces itself to capital’s theory of movement. What I mean by literarism is this re-dramatization and it is what I read from Ch’oe Myŏngik’s 1937 modernist fiction, “Musŏnggyŏkcha” (Man without Character). 이 글은 일제 말기(1937∼45) 한국 모더니즘 소설로부터 문학주의적실천을 읽어내고 이를 전체주의에 대한 적극적이며 유의미한 저항으로 평가한다. 일제가 중국 침략을 본격화하면서 개막된 일제 말기는식민 당국이 식민지 조선을 본국인 일본에 강제로 동화시키는 ‘내선일체’의 시대로 규정된다. 따라서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일제 말기를 ‘제국’과 ‘민족’의 대립기로 파악하는 것은 온당해 보인다. 그러나 세계사적 차원에서 보면 이 시기는, 자본주의 근대화가 전지구적 차원에서 초래한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흐름이 전면화되면서 세계전쟁이 발발한 때였다. 이때 제국 : 민족의 대립보다 중요한 것은 자본 : 전체의 대립이다. 제국 일본의 이데올로그들은 자본주의 문제의 본질이 사회 전체의 레벨을 고려치 않는 개인주의에 있다고 보고, 정치적 전체주의가실현되면 자본주의는 저절로 초극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경향에 속하는 대표적 논자인 미키 기요시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마자 마르크스주의로부터 이러한 전체주의로 전향한다. 미키가 볼 때, 자본주의는사회 전체라는 ‘현실’을 무시한 채 개인의 자율성이라는 ‘추상’에 함몰되었기에 파탄 지경에 빠졌다. 따라서 그는 개인이라는 부분의 전체성을 회복하는 정치적 현실주의를 취하는 데서 혁명의 실마리를 잡는다. 그러나 이는 영리를 추구하는 개인이라는 가상을 실현시키며 성립하지만, 일단 현실로서 자리 잡으면 그 가상성을 은폐함으로써 영속하는, 자본주의의 초월론적 성격을 간과한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문제를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실주의가 아니라 자본주의 근대화의 철저히 이론적 성격을 드러내는 방법이 필요하다. 모든 초월적인 것을 자기 현실로 환원시키는 자본주의의 핵심 원리가 극화(劇化)라면,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자기를 자본이 운동하는 방식으로 환원시키는 방법, 즉 재(再)극화가 필요하다. 이 글은 이 재극화를 일러 문학주의로 명명하며 그 대표적 작품으로 최명익의 1937년 작 「무성격자」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전통의 현대화 담론과 민족주체성의 창조

        이상록(Lee, Sang Rok)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6

        식민지시기 ‘민족적인 것’을 둘러싼 박종홍의 철학적 사유는 일본 지성계에 대한 모방과 변용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는 교토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니시다 기타로의 ‘자각’ 개념을 통해 ‘민족적 주체’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전개할 수 있었고, 미키 기요시를 경유하여 하이데거와 조우하였다. 박종홍은 교토학파의 영향을 거쳐 ‘현대성의 위기’를 논하는 철학적 사유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하지만 포스트 식민지에서 ‘후진국민’으로서의 자의식을 갖고 있던 박종홍은 서구의 근대비판 철학을 곧이곧대로 수용할 수는 없었다. 1950년대 이후 그의 철학적 화두는 ‘근대비판’이 아니라, ‘근대성취’에 있었다. 1950년대 박종홍은 한국적 전통의 기반 위에서 서구근대의 과학기술문명을 수용할 때 ‘현대의 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사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시대의 낙오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 ‘후진국’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전통’을 강조하였는데, 그때 전통은 그저 지나간 과거 자체가 아니라 ‘후진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긍정의 자원을 찾기 위한 일종의 단서였다. 박종홍은 대한민국이라는 국민국가가 탈후진 근대화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과거의 자원을 ‘전통’에서 구했다. 그는 조선 성리학의 전통을 ‘경(敬)’과 ‘성(誠)’의 철학으로 정리하면서 자각과 성실이라는 민족적 주체의 실천윤리와 접속시켰다. 1960년대 이래 그는 ‘민족주체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산업화의 대열에 의지와 사명감을 갖고 능동적으로 나설 주체를 구성하기 위한 통치권력의 필요와 맞물려 있었다. 전후 일본의 교토학파 철학자들이 ‘새로운 국민적 주체’를 구성하기 위해 <기대되는 인간상>을 제정하였고, 불과 2년 후에 교토학파의 강한 자장 속에 있었던 박종홍이 국민주체를 양육하고자 <국민교육헌장>을 기초하였던 사실은 의미심장한 일이었다. 1970년 12월 청와대에 대통령 특별보좌관으로 들어간 박종홍은 유신헌법 성립 이후 ‘민족적 자각’을 위해서는 ‘강력한 지도자의 결단’과 ‘영도력’이 요구된다면서 유신체제 옹호의 이데올로기를 생산하였다. Park Jong-hong was one of philosophical thinking to configure ‘the National’ was made in the process of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Colonial Era. He was able to do through the ‘awareness’ concept of a representative character, Nishida Kitaro of Kyoto School deploy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national subjects’. He encountered with Heidegger through Miki Kiyoshi. Park Jong-hong had paid much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thinking ‘crisis of modernity’ that after discussing the impact of the Kyoto School. However, Chong-hong Pak had a self-conscious as a ‘backward people’ in the post-colonial Korea as it was not able to accept western criticism of modern philosophy. His philosophical topic since the 1950s, was not a ‘modern criticism’, was the ‘modern achievements’. Park Jong-hong had argued that could lead to new idea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modernity to accommodate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of the West based on Korean traditions. He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what is out in the ‘backward countries’ status in order not to be a “Loser of the day”. He highlighted were the ‘tradition’, then it was not just the past, the tradition itself. It was a kind of clue to find the resources in the affirmative, which can overcome the ‘backwardness’. Park Jong-hong sought the resources needed to overcome the backwardness and modernization march in the tradition. He was connected to the Confucian tradi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National ethical practice of the awareness and integrity. He highlighted were the ‘national subjectivity’ since the 1960s, which was coupled with the need of rulership for configuring actively embark on industrial subjects have the will and commitment. After the WWⅡ the Kyoto School philosophers of Japan have enacted the〈Expected Japanese〉 to construct a ‘new national subject’, Park Jong-hong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Kyoto school shortly thereafter was based on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to raising ‘national subject’ in Korea. After December 1970 the President appointed a special adviser he produced an ideology advocating the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commitment of the President in 1972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ushin(Revitalizing Reforms) Constitution.

      • KCI등재

        미키 키요시(三木清)와 전향

        노병호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0 일본사상 Vol.0 No.19

        미키의 사상편력의 과정을 재검토 하는 작업은 동아협동체론의 역사적 컨텍스트에 집중되어 온 현재까지의 연구상황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하며, 앞서 언급한 정치성의 여러 동인중 ‘사상내재적’인 측면에 대한 재인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불어 파스칼로부터 마르크스주의에 경사함으로써, 마르크스주의로부터 중일전쟁 이후의 역사적 상황이라는 콘텍스트에 내던져짐으로써, 미키가 ‘사색’과 ‘행동’에 대한 해석이 전향(転向)으로 단순화되는 오류를 피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물론 전향 자체가 갖는 다측면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실마리이기도 하다.

      • KCI등재

        1930년대 비평장(場)과 휴머니즘 - 김오성의 네오휴머니즘론을 중심으로

        고봉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0 No.-

        Kim O-seong's neo-humanism theory of the 1930s started from the criticism against modern logo-centrism, rationalism and individualism. His humanism gives importance on action - oriented humanism and activism, and carries and character like a cultural and ideological alternative. However, what he pointed out as the crisis of the times was neither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nor the reality of the colonized 'chosun'. In this period of time, he was just explaining the reality of 'chosun' by the turn over of the world history, that is, in the category of the 'world.' He thought that the speculative and ideological nature of the modern philosophy restrained the active nature of the subject of human beings and brought about the result of subordinating human being the reason and rules. Therefore, analternative ideology for him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modern times was nothing but acritical deconstruction of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modern times, which was in sum 'philosophical humanism.' By doing so, he aimed to overcome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at the same time, and this was later revealed in the logic of dialectic, such as aunity of sensitivity and intellect and aunity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Kim O-seong raised a question about the logo-centrism of the modern times that focused on rationality. His solution to this question, however, was not an opposition to logo-centrism but a common sense to pursue harmony between rationality and sensitivity, and intellect and emotion. He was calling for the unity and harmony of the things that are either separated or confronted, and it was repeating the philosophy of Kiyoshi Miki, who saw history as a unity between things that are logos and pathos. On the other hand, neo-humanism of Kim O-seong comprehends 'activism' and 'behaviorism,' which were presented in the Japanese realm of ideas in the concept of humanism. His critical writings that were presented at this point of time under the theme of neo-humanism commonly shared the scheme of 'subjectivity=activeness=practice,' and emphasized the 'reconstruction of intellect.' Ultimately, his writings were presenting an ideology that the crisis of the modern times can be overcome by reconstructing the modern subjectivity that faced the crisis of 'reconstruction of intellect.' He believed that neo-humanism is a new direction to overcome the confusion of modern culture, but, unfortunately, it was closer to logic of imperialist empire, which could not be wholly applied to the reality of a colony.

      • KCI등재후보

        전전 일본의 ‘초근대주의’의 도전

        노병호(Row Byoung H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9 No.2

        본고는 미키 키요시, ‘세계사적 입장과 일본’, ‘근대의 초극론’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전전‘근대’ 및 ‘초근대’에 관한 언설을 검토함으로써, 당시의 시국에 있어서 ‘근대’ 및 ‘초근대’가 갖는 사상적인 함의를 도출하려는 시도이다. 또한 미키와 교토학파에 공통적으로 전제되고 있는 니시다 키타로의 위상을 확인해 본 후, 이러한 일련의 ‘초근대주의’의 현재에 있어서의 부활이 갖는 학문적ㆍ정치적 의의를 고찰하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미노다 무네키등의 일본주의자에 의한 미키 및 교토학파에 대한 비판, 그리고 학문적 자유의 억압을 인정할 수 있을 지라도, 미키와 교토학파를 중심으로 한‘초근대주의’의 사상이 동아시아 각국의 자립, 근대적인 주체의 각성과 책임이라는 문제로 연결되었다고 해석하기는 힘들 것 같다. 그들의 사상에서 여전히 주목해야 할 점은 ‘내셔널리즘’이 아닐까 한다. ‘근대’의 상대화를 위해 노력했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미키의 죽음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사상이 일본의 내셔널리즘이라는 틀을 벗어났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본격화되고 있는 교토학파의 복권과 부활의 움직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전전의 문제가 아닌 현재의 정치적ㆍ학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Miki Kiyoshi, ‘World History and Japan’, and ‘Kindai no Choukoku’ as ‘Modern’ and ‘Choukindaisyugi’ in prewar Japan. So to speak, I investigated an implicature of Modern and Choukindai in political situation of those days. In conclusion, I think that we have to recognize criticism to Miki & the Kyoto School, and suppression of academic freedom by Minoda Muneki, and so on. But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me tha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at Miki and the Kyoto School’s Chokindaisyugi are connected with East Asia’s independence or modern subject’s awakening and responsibility. Still, we must notice their nationalism. They did not free themselves from nationlism. In relation to these, we should keep eyes on the current trends of Chokindaisyugi’s reinstatement, including the Kyoto School. These are not only prewar matters, but also political, academic, and existential ones of today.

      • KCI등재

        "동아"를 호출하는 세 가지 경로 -중,일전쟁기 쇼와연구회의 "동아협동체"론을 중심으로-

        손애리 ( Ae Lee Soh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2 No.-

        본고는 중일전쟁기 제기된 ``동아신질서``론의 한 갈래인 쇼와연구회의 ``동아협동체``론을 검토한다. 동아협동체론이 전쟁의 교착상태를 타개하고 중국 민족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회유책``이었다는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면서도, 동아협동체론이 상정한 ``동아``라는 지역적 개념에 주목하여 동아협동체론을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 재발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아협동체를 정당화하고 실현하기 위해 당시 논자들이 전제로 삼은 ``동아``에 대한 관념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표이다. 이를 위해 당시 동아협동체론의 대표적 논객이자 학자였던 미키 키요시와 로야마 마사미치, 카다 테츠지를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논의에서 ``동아협동체``는 도달해야 할 목표로 나타나기도 했고 현실의 필연적 추세로 제시되기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동아``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경쟁적으로 제시되고 창안되었다. 동양의 전통문화, 지역적 운명공동체 의식, 경제적 협동 등이 그 사례이다. 이들 요소는 일반적으로 공유되었지만 논자에 따라서 특정요소가 더 강조되거나 간과되면서 동아협동체론의 차이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는 동아협동체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동아시아공동체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의 담론들 곧 동아시아의 문화적 정체성, (경제)협력의 범위와 수준, 공동체의 성원과 비성원의 경계 등과 관련해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the ``East Asian Cooperative Community`` proposed by the Showa Research Association during the Sino-Japanese War(1937~1941). I shall first consider the EACC as a transnational movement of regionalism transcending individual nations and countries, and then analyse its conception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pheres. Although the EACC was formed in order to co-opt chinese nationalists, it is worth considering that it was drawn up on the broad foundation of the pan-Asianism of the 1920~1930s. Concretely focusing on Miki Kiyoshi(三木淸, 1897~1945), Royama Masamichi(蠟山政道, 1895~1980)(蠟山政道, 1895~1980), Kada Tetsuji(加田哲二, 1895~1964), I reread the works of these scholars and compare one with another. In their arguments they each presented the EACC as a goal to attain or as an inevitable tendency of the times. I take note of the fact that the identity of East Asia(東亞)-such as Asian traditional cultures, regional community of destiny and economic cooperation-was invented and composed in this process. These elements were shared by all of them, but their theories differed depending on which element they gave the most weight. This work will help us understand how social scientists of those days identified East Asia or the Orient.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urrent discussions of East Asian Community, including issues of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the scope and level of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boundary of community membership.

      • KCI등재후보

        끝나지 않는 전쟁의 산하, 끝낼 수 없는 겹쳐 읽기-식민지에서 분단까지, 이병주의 독서편력과 글쓰기

        황호덕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1 사이 Vol.10 No.-

        이 글에서 나는 이병주의 소설 『관부연락선』(1968~1970)을 중심으로, 한 (후기)식민지인의 독서편력이 후기식민지 분단국가의 정치적 격동에 대한 해석과 정치적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논했다. 이를 위해 자전적 소설들과 독서편력기를 대상으로, 소설가 이병주가 제국 일본의 수도 도쿄에서의 유학 체험을 통해 습득한 쇼와 교양주의와 그 극복 과정에서 만난 책들을 목록화하고 이 목록들이 서사와 삶 안에서 갖는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많은 교양주의자들이 그러하듯이 이병주는 사건과 경험을 이미 존재하는 책들에 대조하는 방법을 통해 파악하려 했으며, 그런 의미에서 ‘세계의 독해가능성’ 안에서 사유한 전형적 독서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병주가 써야 했던 식민지에서 해방, 전쟁과 분단, 혁명과 반혁명, 전위(前衛)에서 투옥자로의 전락, 정치평론가에서 소설가로의 추방의 경험은 좀처럼 책의 질서 안에서는 포착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 경험을 지도화하기 위해 그의 책읽기와 인용은 늘어가는데, 나는 이를 ‘끝낼 수 없는 겹쳐 읽기’로 규정하였으며, 이러한 사건-책의 계속적인 대조 자체가 이병주의 독특한 창작방법론이었음을 밝혔다. 예컨대 청춘의 독서로서 차후의 실천과 전향의 논리를 이끈 미키 기요시와 고바야시 히데오, 식민지말의 학병 경험과 노예 의식을 위무한 도스토예프스키, 해방 정국에서 한국전쟁에 이르는 기간의 사상적 편력과 언론인 생활을 지배한 루쉰, 5․16군사쿠데타 직후의 투옥과 언론계 축출, 소설가로의 전신(轉身)을 이끌어 낸 사마천-이 이름들이야말로 사건과 경험의 ‘전달(불)가능성’과 세계의 ‘독해가능성’을 매개한 ‘장치’였다. 요컨대 세계를 일종의 책으로 여기기에 ‘세계책’이라는 독해가능성 안에서 사유하면서도, 책들로는 결코 수렴되지 않는 사건들로 인해 책세계 속을 헤매는 사람, 그것이 독서인의 제3유형으로서의 ‘겹쳐 읽는 사람’인 것이다. 그리고 오직 다른 책들 위에 겹쳐지는 형태로만 적혀질 수 있는 한국현대사의 사건들, 그러나 결코 완전히 겹쳐 읽을 수는 없기에 수효를 더해 가며 동원되어야 하는 책들로 인해, 이병주의 소설들은 일종의 ‘실록대하소설’로서 나타나게 되었음을 밝혔다. 책읽기와 겹쳐져 있는 책쓰기야말로 ‘전달불가능한 경험’의 전달가능성을 자기 소설의 과제로 삼았던 이병주만의 방법이었던 것이다. In this article, I discuss how Yi Pyŏng-ju’s wanderings through the world of books affected his understandings of political turbulence of the divided country and his political decision, focusing on his novel Kwanbu yŏllaksŏn (1968-1970; Busan- Shimonoseki Ferry). First, I listed the books Yi read during his studies in Tokyo which was the capital of the Imperial Japan, and focused on how these books influenced the narrative of his novels. He acquired Shōwa culturalism and conquered it by reading those books. Like many other culturalists, Yi Pyŏng-ju tried to comprehend all events and experience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ose with the case of books he read. And in that sense, Yi would be referred to as an archetypal reader who thought in the range of “the possibility of reading the world” what Hans Blumenberg called Die Lesbarkeit der Welt. Nevertheless, many events Yi had to write about, such as the liberation, the war and the division, revolution and anti- revolution, the transformation from being a radical person to imprisoner, and exile as a journalist to a novelist, were not easily captured in the world of books. As a result, his readings and citations were expanded to map those experiences. I designated his attitude as “never-ended over reading”, explaining that continuous contrasting incidents with books was Yi's original methodology of writing. To be specific, Yi read Miki Kiyoshi and Kobayasi Hideo very carefully during his youth. These authors’ books led him to his future practice and the convert. He also read Dostoevskii who consoled him, as Yi could relate to his student soldier experiences and his servile consciousness. He also depended on Lu Xun during the time ranging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as he was experiencing an ideological pilgrimage and life as a journalist. Finally, Yi read Simaqian who inspired him to become a novelist, during his imprisonment right after the 5.16 military coup and his exile from journalism. Those names were the “medium” that allowed him to find “the (im)possibility of transmission” of the experience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reading the world”. In short, I can assume that Yi followed the third pattern of readers, the “over reading man”, who thinks in the range of “world-book”, considering the world as a text, and at the same time, wanders in “book-world” due to the difficulty of actual incidents that cannot be fully understood through books. Yi, Pyŏng-ju’s novels evolved into a form of “the annals saga” because Korean modern history could be written only by piling it over the previous books. Still, it is not be enough to be fully read as an over-written one, so other books should be added again. Over- reading and over writing were the ways in which Yi chose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delivering of experiences that were impossible to deliver.

      • KCI등재

        지역질서로서 공동체 개념의 등장: 동아협동체론의 성립, 전파와 식민지 유통

        손열 ( Sohn Yul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7 東亞 硏究 Vol.36 No.1

        이 글은 1930년대 동아시아 공간에서 공동체 혹은 협동체란 개념이 담지하는 국제정치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의식을 담는 사회적 개념이 국제적 단위체를 구성하는 국제정치적 개념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 첫째, 당시 일본정계와 지성계를 풍미한 동아협동체론이 어떠한 정치적 배경에서 등장하였는지, 왜 공동체 개념이 국제정치적 개념으로 확장되었는지, 이 개념이 어떤 정치적, 외교정책적 결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는 조선에서 동아협동체 유통 과정을 분석한다. 동아협동체란 1930년 일본의 전향자의 작품으로서 역설적으로 1938년을 기점으로 전향한 조선의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수용 되었다. 이들에게 동아협동체의 수용문제는 세 가지 고려 속에서 제기되는 것이었다. 중일전쟁의 추이 및 파시즘 국가들과 동맹 등 국제정세에 대한 전망, 협동체론이 갖는 민족주의와 자본주의, 자유주의를 넘는 상당한 혁신성을 일본이 실천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판단, 그리고 동아협동체와 식민지 조선의 민족문제는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판단 등이 핵심적인 쟁점사안이었다. This work analyzes the international meaning of community in the 1930s East As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community concept from a social to an international one, this analysis explores how toa kyodotai emerged in Japan, why it became an international relations concept, and what political consequences it created as it diffused into colonial Korea. Paradoxically, the concept was devised by a Tenko (converted) in Japan and accepted by a Korean counterpart who had vehemently fight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Such diffusion was predicated on three considerations: the future of Sino-Japanese War and Tripartite Alliance, potential of Japanese community moving beyond Western liberalism, capitalism and national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a kyodotai and Chosun`s independence.

      • KCI등재

        이병주 『관부연락선』에 나타난 시모노세키와 도쿄

        권선영(Kuean, Sun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3

        이 논문은 이병주의 『관부연락선』에 나타난 관부연락선, 시모노세키와 도쿄의 의미를 실증적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했다. 이는 『관부연락선』의 올바른 독해를 돕고, 작가의 ‘기록’의 의미를 실제와 소설의 경계 넘기로 구현됨을 밝히기 위해서였다. 이병주의 『관부연락선』은 『월간중앙』에 1968년 4월부터 1970년 3월에 걸쳐 연재되었던 작품이다. 소설은 1960년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나’가 ‘E’로 부터 ‘유태림’의 소재 파악을 부탁받는 편지 수신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주된 소설의 시간적 무대는 1940년부터 50년까지이다. 표제 『관부연락선』은 주인공 유태림의 원고 표제를 그대로 썼으며, 유태림의 이 원고는 소설에서 밝히고 있듯 소설도 논설도 기록도 아닌 “편편한 자료에다 감상을 섞은 정도의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표제는 한 시대를 상징하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를 연결했던 유일한 길, ‘관부연락선’이었기에 그 무게감은 단순한 자료에다 감상을 덧붙여 놓은 것 이상의 것이다. 이병주는 대중작가로 불린다. 하지만 단순히 대중작가로만 남지 않는다. 『관부연락선』의 경우만 보더라도 조선인의 아픔으로서의 시모노세키(下関)와 교양교육의 산실로서의 도쿄(東京)가 독해되는 까닭이다. 그리고 본 고찰을 통해 시모노세키와 도쿄는 작가 이병주의 문학적 상상력의 진원지, 근대적 사상의 발원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관부연락선’은 부산과 시모노세키를 오가며 조선인에게 있어 아픈 ‘역사’를 ‘기록’한 매개체였음을 알 수 있었다. South Korea is an outstanding artist born Lee, Byungju studied at Meiji University in Japan from 1941 until September 1943, he has lived in China, Suzhou and Shanghai in 1944 to a student soldier. After returning home from the liberation in 1948 stood on the pulpit, the University and since 1955 has worked as an Gukje Sinbo joined in the media. This is evident in the fact that the electrical Lee, Byungju continued in his work. It is an expression of the Lee, Byungju literature based on the vast creativity of the artist can be perhaps a natural result. Because a considerable age as a writer, is to write a monthly average of 1000 every manuscript was able to leave the work of paperback books over 80 is considered impossible because the writing is not standing on the basis of experience. Lee" 『Kampu ferry』 was serialized in March 1970 over the year from April 1968『Monthly Central』. The novel begins receiving letters from asking recipients to grasp the location of "Yoo, Taerim" from the "I" with the letter "E" at the time estimated in the late 1960s. But in time the main stage of the novel is from the 1940s to the 1950s. The title 『Kampu ferry』 was written as the title character in Yoo, Taerim"s manuscript, only to reveal his manuscript, as in the novel, nor a novel editorial also records the " Mix the impression that the flat material." However the title of the 『Kampu ferry』, as the only road that connecte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to symbolize an era that weight is more than a place to appreciate the simple addition of data. Lee, Byungju is called a public writer. But he does not simple leave only popular writer. In the『Kampu ferry』, because this is the pain of the Koreans is understood to be Shimonoseki and Tokyo is read as the birthplace of General education. In this paper, we want to help a broader understanding and the correct reading of the 『Kampu ferry』 through the empirical study of the region, the trade name and the name of person, such as Japan, and appeared in real life he real 『Kampu ferry』 and the work.

      • KCI등재

        이호철의 「우국회사」에 나타난 우국 놀이에 대한 연구

        조현일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3

        This study examines the artistic world of Lee Ho-cheol’s novel, “Ugukhoesa (Patriot Company)” (1967), focusing on patriotism play. In Chapter 2, the generational dimension of “Ugukhoesa” was identified. “Ugukhoesa” criticizes the old generation’s reality-compromising, militaristic inner side through journalist Sohn Sang-mun, history professor Kim Wal-jin, and Jeong Hyong-un, who creates a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looked at the point that the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satirized the ‘reconstruction’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Superficially, the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is an organization that aims at a national moral movement. It satirizes the militaristic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including trainees in green uniforms, morning meeting instruction every morning, plancards saying ‘Let’s all gather in the great line of patriotism, patriotism, patriotism!’, and Jeong Hyong-un’s speeches and military songs, etc. Chapter 4 clarified that the real reason why Jeong Hyong-un created the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was to play patriotism play. Jeong Hyong-un plays to imitate Ahn Jung-geun representing the historical patriots and Ham Seok-heon representing the contemporary patriots. In the 1960s, not only the forces of the 5-16 coup, but also Ham Seok-heon, who resisted it, called for a national movement and advocated “patriotism,” a time when it was sacred. Ham Seok-heon as well as coup forces could not be free from secularization work as a form of political oppression. Lee Ho-cheol fully demonstrates the lightness and liberation of an artist who plays through “Patriot Company”. And it carries out the political work of profanating the political theology that dominated the 1960s through Jeong Hyong-un’s patriot play, or the sanctified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