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 특성과 유형

        진미정 ( Chin Meejung ),김상하 ( Kim Sangha ) 대한가정학회 2018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6 No.3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migr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classifies family migration by examining who initiated the migration and who followed. Method: We analyzed the family migration using detailed stories from fifty-five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interviewed between 2005 and 2011. Results: We found that 43 out of 55 cases were family migration and the remaining 12 cases were single person migration. We also found several characteristics typical of migration. First, family migration followed the process of step migration, which indicated a serial migration in numbers. Second, migration relied heavily on informal social networks. Finally, the process of earlier migration by North Koreans was incidental and unexpected; however, unexpectedness has diminished in recent migration. Looking at who initiated the migration, the most common type was ‘mother-initiated’ cases (14 cases) followed by ‘child-initiated’ cases (10 cases). The third most common type was ‘mother-child accompanied’ cases (7 cases). The migration process was various; however the most common type was when a married woman initiated the family migration process. This is most likely because married women have the responsibility to support families in the informal economy of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ange of family migrated, the most common type was ‘nuclear-family only’ cases (22 cases) followed by ‘maternal extended family migration’ cases (12 case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the family dynam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도ㆍ농의 출신 및 선호에 따른 서울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이주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서수복 한국부동산연구원 2010 부동산연구 Vol.20 No.1

        In Korea, there is a baby boom generation which is similar to U.S or Japan. They have a bulky population system in particular period and social problems are emerging with retirement in a big scale. The retirement of baby boom generation is investigated to reduce their inhabitation level or expand their spatial migration to rural. According to th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political maneuver understanding residential migration factor for the spatial migr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residential migration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migration types after a retirement targeting for baby boom generation who is expected to have active residential migration, and suggests necessities of residential policy and implication. First, the residential migration factors are similarly analyzed with existing research in a case that hopes to live in rural area continually as those who are from rural. However, the baby boom generation is appeared to be lack of preparation after a retirement, so inhabitation insecurity should be prevented in advance through consumption plan of existing housing that the retirement generation presents and expansion supply of middle and small sized housing which is caused by downshift of them. Second, the group who prefers rural migration as an urban origin or as a rural origin is analyzed that kinship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residential migration. Preparation for a policy or amenity should be come out as soon as possible that could be satisfied with the spatial migration paying attention to connection such as family, the relatives and their hometown, and predicting a demand of rural migration. Third, 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sup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a delicate policy which is related with the residential mobility of retirement generation. This is why the residential mobility of baby boom generation will be developed as totally different aspect from now on. 우리나라에는 일본이나 미국과 비슷한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이들은 특정 시기에서 비정상적으로 비대한 인구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규모 은퇴를 맞으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는 주거수준의 하향이동이나 농촌으로의 공간적 이동을 확대시킬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와 농촌 간의 공간적 이동에 대한 주거이주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대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은퇴를 맞아 주거이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은퇴 후의 이주유형에 따라 주거이주요인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실증하고 그에 따른 주거정책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도시출신으로서 도시에 계속 살고자하는 유형에서는 주거이주요인이 기존의 연구와 비슷하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 후의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은퇴세대가 내놓은 중고주택의 소비방안과 이들의 하향이동으로 인한 중ㆍ소형 주택의 공급을 확대하여 주거불안을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 둘째, 도시출신으로서 농촌이주를 선호하는 유형이나 농촌출신으로서 농촌이주를 선호하는 유형은 모두 혈연요인이 주거이주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가족이나 친지 및 고향과 같은 연고에 관심을 갖고 농촌이주의 수요를 예측하여 공간적 이동을 충족할 수 있는 시책이나 어메니티의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은퇴세대의 주거이동과 관련한 세심한 정책추진을 위해 정부조직을 보완하여야 한다. 베이비붐 세대에서의 주거이동이 지금과는 양상이 매우 다르게 전개될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귀농·귀촌 동기 유형과 관련 변인

        마상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urban-rural migration motive types and their related variabl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s urban—rural migrants survey(2016). The urban-rural migration motive types were identified using factor analysis of 10 urban-rural migration motive survey items and the related variables were investigat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Urban-rural migration motiv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retirement and amenity mover, alternative life mover, subsistence mover, economic mover. Retirement and amenity movers are the relatively old retirement class that succeeded in the city who are searching for the health or leisure life in the quiet rural area. Alternative life movers are the relatively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who pursue rural multifunctionality and alternative life rather than economic life. Subsistence movers are the lower class who came to the rural area for the high living cost or losing a job in the city. Economic movers are the group who came to the rural area for the succession of parents’ farm or for finding new opportunities in the rural areas. In addition,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on urban-rural migrants’ motive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귀농·귀촌인 장기추적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귀농·귀촌 동기를 유형화하고, 이론적 검토 및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확인된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귀농·귀촌 동기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귀농·귀촌 동기는 은퇴·전원형, 대안가치형, 생계형, 경제형 등 네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은퇴·전원형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도시에서 성공한 은퇴자 계층이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여가 생활을 위해서, 조용한 전원 생활을 위해서 귀농·귀촌한 유형으로 귀농·귀촌 준비기간이 오래고 도시 출신이거나 농촌 출신이지만 비연고지로 귀농·귀촌한 경우가 많았다. 대안가치형은 경제적 목적과 개인적인 효용을 넘어서 농촌사회의 공익적 기능과 대안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귀농·귀촌한 유형으로 미혼의 청·장년층이 많고, 직장근로자(화이트칼라, 블루칼라) 출신이 아니고, 은퇴·전원형과 마찬가지로 준비기간이 오래고 도시 출신이거나 비연고지로 귀농·귀촌한 경우가 많았다. 생계형은 도시의 높은 생활비 때문 또는 실업이나 실직 때문에 귀농·귀촌한 유형으로 상대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고 연령대가 높고 준비기간이 짧았으며, 농촌 출신이지만 비연고지 귀농·귀촌한 경우가 많았다. 경제형은 부모의 영농기반 승계 또는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한 귀농·귀촌 유형으로, 가족동반으로 고향으로 귀농·귀촌한 경우가 많았고 주로 전 거주지로부터 귀농·귀촌한 장소가 멀지 않았다.

      • KCI등재

        위계로짓모형을 활용한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유형별 결정요인 비교분석

        우한성 한국경제지리학회 202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유형 특성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주유형별결정요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었다. 먼저 비수도권 청년층의 이주 실태 및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후 위계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이주유형별 결정요인을 각각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주유형별 특성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관찰되었고, 각각의 이주유형별 결정요인 또한 서로 다른 변수(개인 및 지역수준)들의묶음(bundle)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비수도권의 청년인력 확보 정책은 다양한 이주선택의 결정요인을 충분히 고려하고 지역적 맥락이 반영될 때 정책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types of the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vary by region and has the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each migration type. First,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migr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was conducted, and then a hierarchical logit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types separat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types vary by region, and each determinant of migration types is composed of different bundles of variables(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 the future, policies aimed at securing young workforce in non-metropolitan areas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y take into account various determinants of migration choices and reflect the regional context.

      • KCI등재

        조선족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유형과 남겨진 자녀의 우울: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영호,전경숙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al transnational migration on depression levels of left-behind children who live in Yanbian, China.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personal resource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o control the effects of transnational family types on children's social-psychological adaptation. This study analyzes data from “Survey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in China”, which was conducted by Korea University and Yanbian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November of 2014. Depressive symptoms and deviant behaviors are higher among “those whose parents both migrated and returned to China” and “those whose mother is absent” than other counterparts. In particular, the child’s depressive level was worse when both the mother moved abroad or the family reunited after the parents returned, rather than when there was an absence in long-term care due to overseas migration. Concerning individual resources, self-esteem only moderates the adverse effect of parental absence on the depressive symptoms for children whose mother migrated, whereas self-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among those whose father migrated. In particular, the depression symptoms were worse when both the mother moved abroad or the family reunited after the parents returned, rather than when there was an absence in long-term care due to overseas migration. Second, both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hich are personal resilience resourc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Among personal resilience resource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mother moved abroad” type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the “father moved abroad” type. These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arents can enhance self-esteem and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psychological adaptation of Korean children left in their home country after emigration. Afterwards, I suggested ways to provide policies and programs that would enhance the bonds between reunited families.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는 조선족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가 본국에 남겨진 자녀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이 조절하는지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내 8개 시⋅현 중/고등학생 2,7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초국가적 이주유형 중 <어머니만 해외이주> 유형과 <부모 모두 해외이주 후 재결합> 유형이 여타의 집단보다 우울 수준이 높았다. 다음으로 개인 탄력성 자원 중 자아존중감은 <어머니만 해외이주>한 유형에서, 자아효능감은 <아버지만 해외이주>한 유형에서 우울을 억제하는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가 해외이주 후 본국에 남겨진 조선족 자녀의 사회심리적응 개선을 위해 강점관점에서 자녀들의 자존감과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부모의 해외이주로 발생한 분거 가족뿐만 아니라 분거 후 본국에서 재결합한 가족에게도 유대감을 증진할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이주를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이 가능한가?: “지속가능개발 2030어젠다”를 중심으로

        박범종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2

        이주는 시대적 흐름이며, 이주는 지속가능한 개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주와 지속가능개발 간의 상관성에 대한 논의하고, ‘2030 어젠다와 연계된 이주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주와 관련된 지속가능한 개발 2030 어젠다’ 목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주는 이주송출국과 이주유입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발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주는 지속적인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동인이다. 이주는 환경요인뿐 아니라 다양한 갈등, 분쟁들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었으며, <2030 어젠다와 연계된 이주 유형>은 이주노동자, 박해, 분쟁, 인권침해 등으로 인한 이주, 난민, 밀매 및 현대노예, 환경이주의 행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유엔이 채택한 “2030년 지속가능개발 의제(2030 Agenda for 2015)”는 17개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와 169개의 ​​목표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편성의 원칙하에 이주와 관련된 목표조항까지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현상인 이주에 대한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으로 이들을 수용해 이주자의 역량을 지역발전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igration is a trend of the times, and migration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mig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type of immigration linked to the 2030 agenda' was analyzed. it also looked at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gration' goal. Migration affect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between immigrant countries and emigration countries. and Immigration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Migration is caused not only by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by various conflicts. The <2030 type of immigration linked to the agenda> was migrant workers, refugees, smugglers, modern slaves, persecution, human rights violations migrants and environmental migrants. The 2030 Agenda for 2015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includes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and 169 detailed goals. and it includes the goal clauses related to immigration under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Therefore, the universal and comprehensive approach to migration, which is a global phenomenon, will enable them to take advantage of migrant capacity in reg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천진홍(Jin Hong Chun),이성우(Seong Woo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이동 유형을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원인을 고찰하는 한편 두 가지 유형의 상호 연계성을 이동 후 관찰되는 자가소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인구주택총조사(Census)를 활용해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고 기존의 이동거리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는 한편, 이동형태에 따른 자가소유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간 이동과 지역 내 이동의 연계를 밝혀주는 Goodman의 세 가지 가설과 Roseman의 조정이동 가설은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성립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거리에 따른 이주경력 결정요인을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차가 거주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이동성향이 증가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성의 반복이동 성향이 증가하며 유배우자의 이동성향은 감소하였다. 단거리 이동의 경우 여성의 이동성향이 남성에 비해 우세했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통제된 변인 중 보다 앞선 시기에 실업률이 부(-)인 지역으로 향하던 이주가 조사시점과 가까운 시기에는 정(+)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과, 교원수 변인이 동일시기 정(+)인 지역에서 부(-)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주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은 지역 간 이동에서 여성이 더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유형별로 살펴보면 판매직과 기능직의 경우 이동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이 가장 낮았으며 전문직 종사자는 가장 높은 확률을 보였다. 제주지역으로 이주한 가구가 타지역 이주가구에 비해 자가소유확률이 낮았으며 지가가 높은 지역을 목적지로 택한 가구일수록 자가소유 경향은 낮아졌다. 이동성향이 높은 가구는 자가소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studies on residential move, there has been tendency of dichotomy where short distance moves are largely caused by housing to adjust to changes in households while long distance moves are induced by shift in labor market. However, some empirical studies have proven that residential move is so complex process that the simple dichotomy should be elaborated.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seeks to identify compounded course of residential move in Korea. In determining migration history, families with younger householders, renters, householder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smaller households show a higher probability to move. In case of mobility, women were more prone to move compared to man. Women compared to man, older age augmented the probability to own a house after migration. Families with householders following an occupation of sales and technical service showed lowest tendency to own houses while it marked the highest in the group of professionals. Higher land price of a reg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owning houses after migrat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factors in macro level as well as micro level significantly affect the move of individuals with vary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migration history.

      • KCI등재

        서술성모의 신화적 정체

        천혜숙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6 No.-

        신라 국조의 탄생에 관한 신화는 그 연원에 따라 ‘천강형’과 ‘성모형’의 두 유형으로 전승되어 왔다. 천강형에 비해 주목되지 못했던 성모형은 신라 서악의 여신 서술성모가 혁거세와 알영을 낳았다는 내용이 중심이다. 그러나 서술성모의 존재에 대해서는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성모의 ‘불부이잉’이나 ‘혁거세와 알영의 어머니 說’에 대해서는 신화학적 접근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서술성모의 신화적 정체성을 두 신화 유형간의 관계 속에서 해명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서 두 신화의 구조와 상징에 대한 비교를 시도했다. 천강형 신화는 ‘천부지모[천남지녀]’의 구조인 데 비해서, 성모형에서는 출산의 주체로서 성모가 등장하는 데다, ‘불부이잉’과 ‘모자 이주’의 구조가 중심이 되고 있다. 그런데 성모형의 ‘불부이잉’과 ‘모자 이주’는 북방계 신화들처럼 ‘모자 이주—부친 탐색—친자 확인—부계 승계[즉위]’로 충족되는 구조가 아니다. 이런 차이의 정점에 있는 존재가 여산신 서술성모이다. 서술성모는 남편없이 아이를 낳은 점, 신라로 이주한 후에도 남편을 찾지도 구하지도 않고 홀로 서악의 산신이 된 점에서 확연한 차이가 드러난다. 한편 천강형에서 ‘나정’의 상징은 ‘천강’ 못지않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나정을 계정의 이칭이라고 보면, 혁거세는 ‘계룡이 상서를 나타낸 우물’에서 출현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서술성모의 현현인 계룡이 알영정에서 알영을 출산하는 맥락과 다르지 않다. 뿐 아니라 일연은 서방의 의미를 들어, 백마의 상징까지도 서술성모와 연관 짓고 있다. 서술성모가 혁거세와 알영의 어머니라는 설은 이 문맥에서 비로소 이해가 가능하다. 서술성모는 혁거세의 나정 출현에도 관여하고, 알영의 알영정 출현에도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때 서술성모가 두 성아를 낳음은 생물학적 출산이 아니라 인식적․신화적 출산이다. 사실적 차원에서는 근친상간의 ‘남매혼’이 되는 혼란에도 불구하고 일연이 이 설을 부각한 것은 서술성모를 대모신적 존재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백마와 계룡의 통합상징으로서 서술성모의 대모신적 위상은 신라 국조신화를 ‘천강형’ 중심으로만 이해할 때는 포착하기 어렵다. 천강형의 정치적 권능에도 불구하고 성모형의 신화가 전승된 것은 신라의 여산신 신앙이 그만큼 강했음을 반증하는 사실일 것이다. 가야산신 정견모주, 운제산 성모가 된 남해왕비, 지리산 성모가 된 고려태조비, 그리고 안동 청량산의 공민왕모 산성 등의 사례들로 보면, 이렇게 왕모가 여산신으로 숭봉되는 신화 및 신앙의 패턴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There are two types in mythical tradition related to the birth of Hyukuse(혁거세), the founder of Shilla Dynasty. One is the type of ‘descending from heaven’(천강형—ⓐ type), the other is the type of ‘the Holy Mother’(성모형—ⓑ type). It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clarify mythological identity of the ‘Suhsul’ Holy Mother(서술성모), who have been not so noticed relatively. To do so, I compared the structure and symbolism of the two types. In ⓐ type, it's structural pillar is the marriage of Heavenly father[heavenly man] and Earth mother[earth woman]. In contrast, there is no Heavenly father[heavenly man], but Pregnancy and Birth by the Holy Mother without husband, in ⓑ type. The migration of the mother and son is a distinctive motif of ⓑ type. But their migration, in ⓑ type is not connected with the motif of ‘father navignation’, of ‘patriarchal succession[enthronement]’, like myths of the north countries. I think that beings of Mountain Goddess, like Susul, would provide the key to the reason why their structures are different. In other word, Susul can be considered as the Great Mother, because she not only conceived by herself without husband but also, after birth and migration, didn't get a husband, became Goddess of Suhsul mountain. Meanwhile, symbolism of ‘the advent from well’, ‘Najung’(나정) has important meaning as much as ‘descending from heaven’. Because Najung is the other name of ‘Gyejung’(계정), and there sacred dragon(계룡) showed good sign. This is not different from the birth of ‘Aryoung’(알영), who came to this world with sacred dragon's good sign in the well, ‘Aryoungjung’(알영정).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sacred dragon would be considered as an incarnation of West Mountain Goddess, Susul, in mythical symbolism of Shilla. So ‘Hyukuse’, known as being came from heaven in ⓐ type, can be united in same symbolic bundle, with ‘sacred dragon’, ‘Aryoung’, and the ‘Suhsul’ Holy Mother. In addition, Ilyeun(일연) connected even ‘white horse’(백마), which is a main symbol in ⓐ type, with the ‘Suhsul’ Holy Mother, as the reason why all the two mean west. Finally, We can understand the riddle that ‘Suhsul’ gave birth to Hyukuse and Aryoung, who were a couple as the King and Queen of Shilla dynasty. It means not biolgical birth, but mythological, symbolic birth. So the ‘Suhsul’ Holy Mother is the center symbol integrating bipolar symbols, like white horse and sacred dragon. In existing persepective oriented on ⓐ type, It is not easy to see ‘Suhsul’ as the phase of the center symbol, or as the Great Mother.

      • KCI등재

        젊은 도시민의 농촌 이주의 양상과 성격 : 전라북도 진안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양명숙(Jinyang Myong-suk) 한국지역사회학회 2008 지역사회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rocess of rural in-migration by examining the motives, everyday experiences and subjective thinking of return farmers in their rural lif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nceptual category of rural in-migration is expanded from 'return to hometown and cultivate the soil' to 'all types of rural in-migration regardless of farmwork'. Especially local government of Jinan recognizes that rural in-migrant is various human resources being supplied from urban areas. And this research finds that they attach value and meaning to rural space and rural life itself by examining the motives of rural in-migrant. In particular 'ecological one' is most important out of various values that they grant to rural area. But radical, excessive ecologism can be an impediment to form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genous inhabitants and in-migrants owing to discordance with inhabitants' conventional agriculture. The process of urbanite's rural in-migration and settlement is composed of a constant relation building with indigenous inhabitants. Urbanite in-migrants know that they have to t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community and fit them into rural life before their in-migration. It means the turn of life to 'rural type' from urban one. The rural types is a kind of social mechanism to adapt and unify migrants to rural life.

      • KCI등재

        조립식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현장 적용을 위한 수리모형실험

        김재옥,박상현,조재원,황종서,조국현,조성주,Kim, Jae-Ok,Park, Sang-Hyun,Cho, Jae-Won,Hwang , Jong-Seo,Jo , Guk-Hyun,Joh , Seong-Ju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iceharbor-type precast fishway. When overflow depth of weir is 4.0 cm in model fishway, upper part velocities appear appropriate for upstream migration of fish and the lowest overflow wall (right line) in lower part has shown velocity distribution more or less inadequate for upstream migration. Except that right line, left and middle line revealed that velocities are appropriate for upstream migration of fish.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is fishway owing to be not broad growth width of overflow velocities according to increasing discharges can correspond to variation of water level. Also We consider that various velocities in fishway were effective, because slow velocity line can guide flow for upstream migration. For low flow, the arrangement of different crest level or each overflow part (higher left, middle and lower right, or lower left, middle and higher right) was more effactive than unform crert level. Hole plays an important role as migration pass during drought and flood flow.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is fishway can cope with water depth variation by various overflow wall height change and raise the field applicability with better performance hydraulically and structur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