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셸 투르니에 Michel Tournier 작품에 나타난 사진 연구

        황선애(HWANG, Sun Ae) 프랑스학회 2013 프랑스학연구 Vol.64 No.-

        Le thème de la photographie est omniprésent dans les oeuvrs de Michel Tournier qui s’intéresse à la photographie. Nous essayons de chercher les caractères de la photographie afin de mettre en évidence le rapport particulier qu’entretient la photographie avec les personnages de Tournier. La photographie est un signe indiciel car elle indique la relation de connexion réel entre l’objet et son image photographique par le biais de la lumière. Son caractère est une émanation du référence et un certificat de présence. La théorie de la photographie chez Michel Tournier se voit mélanger avec un réseau de mythes déjà connus comme l’Ogre, la Méduse. Dans l’imagination mythologique, les personnages photographes ou photographiés appartiennent au caractère de prédateur ou de proie. L’acte photographique évoque un régistre de prédation, d’avalage qui fait allusion à l’horreur de la mort réelle et permet de révéler l’idée de la mort et du temps. Mais la photographie qui semblent grader les traces d’un passé peut faire l’instant arrêté en l’éternité. Selon Michel Tournier, il existe deux écoles de photographie. Celle du ‘pris sur le vif’ cherche l’image surprenante, l’autre cow-ant qui dérive d’Edward Weston à celle du pris sur la mort ou l’immobile. Les photographes de Tournier appartiennent à l’école de l’immobile qui vise non l'instant, mais l’éternité. Ils essaient de réaliser leurs rêves des créations et acquérir l’éternité à travers des photographies qu’ils créent. Ainsi Michel Tournier utilise la photographie pour se mettre en question le problème de la vie et la mort et représenter la rêve des artistes qui veut aboutir à créer une véritable création.

      • KCI등재

        투르니에 소설의 탈민족화와 보편성

        김계영(Kim, Kye-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5

        Novel as a genr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alistic State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modern sense, the form and syntax of the genre tend to escape the linguistic, cultural and ideological binding force of nationalism. Modern novels have a constructive structure that dynamic systems of playfulness produce meanings. The concept of text now replaces the concept of literary work; a text is not the only something the author created, but it is thought to be something that absorbs and transforms other existing texts and becomes a composite of quotes from various cultural environments - a dialogue with other texts. Based on this contextuality of texts, Michel Tournier, a representative writer of contemporary French novels, with his rewriting of mythology transforms ‘old mythology’ considered to be barren in producing new meaning into ‘new mythology’ still meaningful at present. Using Daniel Defoe's Robinson Cruesoe as hypertext in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Michel Tournier regards Robinson Cruesoe as an ‘old mythology’ that reflects a Western faith in the priority of reason and civilization, and he tries to make a ‘new mythology’ with which he criticizes against the old one. Michel Tournier perceives ‘Friday’, a slavery under the colonialistic social structure in Robison Crusoe, as a protagonist, while he treats Robinson's work as something with exploring the meaning of labor and of conquering the natural world and transforms it into universal theme that transcends the race and the nationality, contemplating the meaning of life and solitude which leads Crusoe to serious observations of the meaning of ‘others.’ Furthermore, Michel Tournier in this new mythology shows the mythic world that the finite human condition is overcome and the meaning of immortality is perceived in time forever continuing in a circle. Michel Tournier ‘rewriting’ begin with copying and repeating Defoe's work. But the mythology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is reborn in the process of ‘value inversion’ while he is reevaluate ‘old mythology’ from the modern perspective. ‘New mythology’ reborn through rewriting is the one that reflects the writer's desire to make marginal characters overcome their ‘marginality’ in their pursuit of identity and to illuminate their efforts to achieve universality and immortality, as well as to make the rewriting of Ronbisn Crusoe, not just a rewriting of ‘old mythology’ but a prototype of rewriting beyond it. 19세기 근대 민족국가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기여를 한 소설장르는 현대에 이르러 소설의 형식과 어법 자체가 민족 언어, 민족국가의 문화적, 이념적 구속력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현대 소설은 무엇보다 먼저 언어의 동적 놀이체계가 의미를 생산해내는 구조물이다. 텍스트의 개념이 작품의 개념을 대치하게 되는데, 텍스트는 저자가 창조한 유일무이한 그 무엇이 아니라 다른 텍스트들의 흡수이자 변형이며, 다양한 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져온 인용의 복합체, 이를테면 다른 텍스트들과의 대화로 여겨진다. 현대프랑스 소설을 대표하는 작가 미셸 투르니에의 신화다시쓰기는 이런 상호텍스트성에 입각해서 더 이상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없게 된 ‘과거의 신화’를 현대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새로운 신화’로 탈바꿈시킨다. 18세기 영국의 작가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를 밑텍스트로 하여 쓰여 진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서구인들의 이성과 문명의 우월성에 대한 오래된 믿음을 나타내는 ‘로빈슨 신화’를 과거의 신화로 간주하고, 그것에 대해 비판과 반성을 가함으로써 새로운 ‘로빈슨 신화’를 다시 만들려고 한다. 『로빈슨 크루소』에서 일개 식민지 노예의 지위에 있던 프라이데이’를 주인공의 반열에 올려놓고, 노동과 자연 정복의 의미를 탐구하는 로빈슨의 작업을 삶과 고독의 의미, 그리고 타인의 의미에 관한 진지한 성찰, 즉 인종과 민족의 개념을 초월한 인류 공통의 보편적인 문제로 바꾸어 놓는다. 더 나아가 유한성이라는 인간의 조건을 극복하고 영원회귀의 시간 속에서 불멸성을 획득하는 신화적 세계를 보여준다. 투르니에의 ‘다시쓰기’는 디포의 글에 대한 베끼기 또는 반복에서 출발하지만 『방드르디』에 나타난 새로운 신화는 과거의 신화를 현재적 시각에서 재평가하는 ‘가치의 전도과정에서 다시 태어난다. ‘다시쓰기’를 통해 탄생한 ‘새로운 신화’는 중심적 문화와 문명에서 벗어난 주변적 위치에 있는 인물들이 새로운 자기 정체성의 추구를 통해 그것을 극복하면서 보편성과 불멸성을 추구하는 과정을 조명하는 작업인 동시에, ‘과거의 신화’에 대한 ‘다시쓰기’를 넘어서 새로운 ‘다시쓰기’의 출전이자 원형이 되게 하려는 작가적 욕망의 형상화일 것이다.

      • KCI등재

        코기토의 시간: 미셸 투르니에의 초기 타인 이론과 코기토 분석에 관한 연구

        경혜영 서양근대철학회 2023 근대철학 Vol.22 No.-

        본 논문은 미셸 투르니에의 초기 철학 논문 “L’impersonnalisme(비인격주의)”(1946) 에 관한 연구이다. Espace지 창간호에 실린 투르니에의 이 1946년 논문을 살펴보면, 투르니에가 이후 문학작품 활동을 통해 계속 다루고 발전시키는 타인 개념에 관한 그의 철학적 입장을 매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투르니에는 주체와 의식의 동일성에 기반한 철학으로부터 출발하여 데카르트적 코기토의 문제들을 면밀히 파헤치며, 자신의 독특한 타인 이론을 구축한다. 본 연구는 투르니에가 46년 논문을 통해 밝히는 관념론의 문제들과 코기토의 인식론을 따라 코기토가 실존을 시간화하는 방식과 오류의 사출을 통한 세계의 합리적 조화로의 회귀라는 결론에 이르기까지 투르니에 논문의 전체 내용을 일별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는다. 또한 투르니에의 결론인 ‘오류’의 문제에 대하여, 투르니에의 영향을 깊이 받은 들뢰즈가 이를 비판하면서 ‘어리석음’의 물음을 제기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Michel Tournier’s early philosophical paper “L’impersonnalisme” (1946). Exploring Tournier’s 1946 paper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of Espace, we can clearly see his philosophical position on the concept of other(s) and Other, which Tournier continued to develop through his subsequent literary works. In his paper, Tournier starts from all philosophies based on the identity between subject and consciousness, deeply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the Cartesian Cogito, and builds his own unique theory of others. This study follows the problems of idealism and the epistemology of the Cogito that Tournier reveals through his 1946 article,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gito temporalizes existence and returns to the rational harmony of the world through the ‘ejaculation of errors’.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is study is to get a glimpse of the entire content of Tournier’s article. And we also would examine the reason why Deleuze, who was deeply influenced by Tournier, criticizes the issue of ‘error’, which is Tournier’s conclusion, and raises the question of ‘foolishness(bêtise)’.

      • KCI등재

        미셸 투르니에의 인간상 안 포스트모더니즘 특성

        황선경 ( Hwang Sun-ky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2 프랑스어문교육 Vol.78 No.-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는 거대 서사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다수의 진리가 혼재하는 이른바, 가치들의 다신교 시대라 일컬을 수 있다. 가치의 다원화에 대응하여, 주체 역시 파편화하거나 분열한다. 요컨대 인식론적 불확실성으로 말미암아 존재론적 불안정성을 경험하는 시대가 바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이다. 미셸 투르니에는 푸코부터 라캉, 데리다, 리오타르, 보드리야르, 들뢰즈와 가타리에 이르기까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제시한 인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공유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인간을 주체의 불안정성과 총체적 이해 불가능, 비통일성 차원에서 진단한다. 미셸 투르니에의 글쓰기는 주체성의 자율성과 일체화된 동질적 정체성에 대한 환상을 제거하고 주체성의 다원성에 대한 인식을 추구하며, 정상과 광기와 같은 엄격한 범주들을 뛰어넘어 인간을 새롭게 정의한다. 결론적으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인간관과 일맥상통하면서, 주체의 해체 문제를 예리하게 파헤친미셸 투르니에의 텍스트를 선각적 포스트모더니스트 작가의 탁월한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Notre étude a pour objectif d'éclairer des caractérisques du postmodernisme dans l'homme de Michel Tournier. En nous appuyant sur les travaux philosophiques de postmodernistes, nous analysons le sujet fragmenté et le schizo-sujet dans l'homme de Michel Tournier. L'homme réalisé par l'auteur ne peut pas être considéré comme un sujet cohérent, mais il devait être considéré comme un sujet systématiquement dissocié. Face à la crise engendrée par la coupure épistémologique, l'homme postmoderne connaît une terrible instabilité existentielle. Partageant avec les nouvelles perspectives de postmodernistes, l'auteur essaie de comprendre l'homme postmoderne. En conclusion, nous pouvons qualifier les textes de Michel Tournier comme des chefs-d'oeuvre du postmodernisme, car partageant avec l'idée d'un homme propre aux postmodernistes, l'auteur analyse le sujet dissocié, dispersé et schizophrène de façon remarquable et il réussit à approfondir la compréhension de l'homme du temps postmoderne.

      • KCI등재

        미셸 투르니에의 콩트 시학: 장르의 반투명성(translucidité)을 중심으로

        권서원 ( Kwon Seowon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4 프랑스문화연구 Vol.60 No.1

        콩트는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진 친숙한 문학 장르이다. 그러나 콩트에 대한 이해는 시대의 흐름과 작가의 미학에 따라 달라지며, 확고하게 정해진 형태를 찾아볼 수 없는 이러한 모호한 정체성은 콩트를 오히려 모든 형태로의 변화에 열려있는 변화무쌍한 장르로 만든다. 따라서 미셸 투르니에의 콩트에 관한 본 연구는 그의 말과 글, 문학 여정을 따라가며 작가가 구상하는 콩트의 세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작가 스스로가 이 장르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는 콩트를 ‘누벨의 야만적인 불투명과 우화의 수정 같은 투명함의 중간’에 위치시키며, 이를 ‘반투명한 하나의 배경’으로 소개한다. 이에 우리는 콩트와 유사한 이 두 장르와의 비교를 통해 투르니에의 콩트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철학에서 문학으로의 이행을 위해 신화를 적극 활용했던 투르니에가 점차 작품에서 신화의 비중을 줄이고 그 자리를 콩트로 대체한 사실에 주목하여 콩트의 위상 변화와 작가의 소명에 따른 글쓰기 이상향을 탐색한다. 완벽한 작품이란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도 읽을 수 있는 작품이라 주장하는 투르니에에게 다양한 독자를 확보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그들에게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독서를 보장하는 데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반투명한 장르, 모호한 정체성과 더불어 전하는 메시지마저 모호한 콩트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독자의 상상력에 따라 다양한 층위의 독서와 다채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작가에게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장르, ‘최상의 장르’임을 확인할 수 있다. Le conte est un genre littéraire qui s’inscrit dans une longue histoire. De son origine à nos jours, le terme a pourtant changé de sens selon les époques mais également selon l’esthétique des auteurs. Son caractère à la fois instable et imprécis en fait donc un genre ouvert à d’infinies métamorphoses, c’est-à-dire un genre protéiforme. Notre étude commence ainsi avec l’intention de clarifier la conception de ce genre chez Michel Tournier. Ce dernier définit le conte comme ‘un milieu translucide’ tout en le situant ‘à mi-chemin de l’opacité brutale de la nouvelle et de la transparence cristalline de la fable’. Nous examinons alors ce genre par ses deux formes voisines afin de découvrir son ultime destination. Nous nous penchons ensuite sur la dimension mythologique très présente à travers toute l’œuvre tourniérienne. Au fur et à mesure que son écriture évolue, nous remarquons toutefois que la part du mythe se réduit progressivement pendant que celle du conte grandit. Son importance croissante s’explique par la recherche de l’écriture idéale de Tournier. Cette étude nous permet enfin de comprendre non seulement la raison pour laquelle l’auteur considère le conte comme ‘le genre suprême’, mais aussi sa poétique du genre.

      • KCI등재

        미셸 투르니에와 삼중의 다시쓰기

        권서원(Seowon KWON) 프랑스학회 2024 프랑스학연구 Vol.- No.104

        1. 들어가는 말 2. 삼중의 다시쓰기 : 세 개의 『방드르디』와 세 개의 『동방박사』 3. 파우스트 1세 : 투르니에의 다섯 번째 동방박사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미셀 투르니에는 그의 처녀작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시작으로 다양한 층위의 다시 쓰기 작품을 선보인다. 1980년 그는 성경의 동방박사 신화를 다시쓰기한 소설 『동방박사와 헤로데 대왕』을 발표한다. 그리고 정확히 3년 뒤, 작가는 새로운 동방박사 이야기, 『환상 여행』을 출판하는데, 이 작품은 앞서 나온 소설의 축소판이자 어린이를 위한 버전이다. 그러나 작가는 두 차례의 다시쓰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1989년 그는 단편집 『사랑의 야찬』에 수록된 콩트, 「동방박사 파우스트」에서 또 한 편의 동방박사 이야기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동방박사 파우스트」를 중심으로 투르니에만의 독특한 글쓰기 형태인 삼중의 다사쓰기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방드르디』 삼부작에서 『동방박사』 삼부작에 이르는 연구 과정을 통해 작가의 삼중의 다시쓰기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도식과 특징을 파악한다. 아울러,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투르니에가 「동방박사 파우스트」를 왜 그리고 어떻게 다시 쓰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로부터 우리는 작가가 다시쓰기를 통해 기존의 이야기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고 이를 부활시킬 뿐만 아니라, 반복을 통해 정신적 의미, 나아가 신성성을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이야기를 신화의 차원으로 승화시키고자 하였음음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셸 투르니에의마왕 Le Roi des Aulnes 에 나타난 나치와 나치즘 : 나치 정치인, 히틀러 청소년단, 홀로코스트를 중심으로

        황선경(HWANG Sun-Kyung)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6 프랑스문화연구 Vol.33 No.-

        S’appuyant sur la sociocritique, nous travaillons sur le nazi et le nazisme à travers les politiciens, la Jeunesse hitlérienne et l’holocauste dans Le Roi des Aulnes de Michel Tournier. Notre objectif est d’analyser les empreintes de l’Histoire qui se manifestent dans le roman, tantô̂t de manière explicite, tantô̂t implicite, tantô̂t oblique. Afin de saisir une essence de guerre et de nazisme, profitant une multiple dimension du roman, l’auteur réalise un naturalisme mystique dans lequel la frontière entre le réel et le irréel est effacée. Dans le roman, l’auteur représente Gö̈ring et Hitler, politiciens les plus importants du nazi de façon réaliste, mais en mê̂me temps, il les incarne de façon surréaliste comme des ogres de charmes dangereux et néfaste qui séduisent beaucoup de gens. La vie quotidienne dans la napola où des garçons, prê̂ts à mourir pour leur patrie, s’entraînent très rigoureusement pour devenir les futurs soldats robots sans merci nous dévoile comment le nazi intoxique et manipule les adolescents innocents. La scène horrible de leur mort se sert d’accuser la sauvagerie du nazi. Le témoignage d’Ephraï̈m, survivant du champ d’Auschwitz montre à quel point le nazi oppresse, persécute et finalement extermine plus de six millions de juifs de manière cruelle et farouche. Michel Tournier dénonce non seulement son crime contre la humanité, commis tous ensemble par le gouvernement, l’armée et le peuple ordinaire, il analyse mais aussi son charme nuisible et le mécanisme psychique du peuple allemand séduit. En conclusion, nous pouvons qualifier Le Roi des Aulnes comme un roman humaniste rayonnant qui nous propose une solution pour le guérison de blessure, la paix et la fraternité.

      • KCI등재

        미셸 투르니에의 『마왕Le Roi des Aulnes』에 나타난 나치와 나치즘: 나치 정치인, 히틀러 청소년단, 홀로코스트를 중심으로

        황선경 ( Hwang Sun-kyung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6 프랑스문화연구 Vol.33 No.-

        S`appuyant sur la sociocritique, nous travaillons sur le nazi et le nazisme a travers les politiciens, la Jeunesse hitlerienne et l`holocauste dans Le Roi des Aulnes de Michel Tournier. Notre objectif est d`analyser les empreintes de l`Histoire qui se manifestent dans le roman, tantot de maniere explicite, tantot implicite, tantot oblique. Afin de saisir une essence de guerre et de nazisme, profitant une multiple dimension du roman, l`auteur realise un naturalisme mystique dans lequel la frontiere entre le reel et le irreel est effacee. Dans le roman, l`auteur represente Goring et Hitler, politiciens les plus importants du nazi de facon realiste, mais en meme temps, il les incarne de facon surrealiste comme des ogres de charmes dangereux et nefaste qui seduisent beaucoup de gens. La vie quotidienne dans la napola ou des garcons, prets a mourir pour leur patrie, s`entrainent tres rigoureusement pour devenir les futurs soldats robots sans merci nous devoile comment le nazi intoxique et manipule les adolescents innocents. La scene horrible de leur mort se sert d`accuser la sauvagerie du nazi. Le temoignage d`Ephraim, survivant du champ d`Auschwitz montre a quel point le nazi oppresse, persecute et finalement extermine plus de six millions de juifs de maniere cruelle et farouche. Michel Tournier denonce non seulement son crime contre la humanite, commis tous ensemble par le gouvernement, l`armee et le peuple ordinaire, il analyse mais aussi son charme nuisible et le mecanisme psychique du peuple allemand seduit. En conclusion, nous pouvons qualifier Le Roi des Aulnes comme un roman humaniste rayonnant qui nous propose une solution pour le guerison de blessure, la paix et la fraternite.

      • KCI등재

        대립과 전도 -미셸 투르니에 Michel Tournier『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연구

        황선애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2 프랑스어문교육 Vol.41 No.-

        Dans Vendredi ou les Limbes Pacifique de Michel Tournier, le thème de l'opposition et de l'inversion est constamment présent. Nous essayons de rechercher le sens de ce thème qui est lié à la métamorphose de Robinson sous la conduite de Vendredi. Avant l'explosion, la coexistence de Robinson et Vendredi est figurée à plusieurs reprises par l'affrontement des deux hommes. Toutes valeurs liées à Vendredi opposent celles du puritain Robinson. La vie sauvage s'oppose aux valeurs de la civilisation, le jeu au travail. Vendredi qui a un aspect destructeur menace toute l'organisation de Robinson en y introduisant un véritable explosif. A partir de l'explosion, toutes les valeurs sont retournées et inversées sur l'île. Vendredi qui a la grâce du danseur et celle du rieur comme Dionysos est l'initiateur,Robinson qui accède à la légèreté et à l'innocence comme Zarathoustra est l'initié. L'inversion du bas en haut, du lourd en léger devient le signe d'une transmutation profonde de l'esprit de Robinson. Robinson établit avec Vendredi un rapport de fraternité et rêve de lui comme d'un véritable jumeau comme Dioscures. Enfin il accède à la perfection divine de l'androgyne mythique et découvre le secret de l'éternel retour, le temps cyclique. La quête d'un homme nouveau par Robinson rapproche de la recherche de l'homme supérieur dans Ainsi parlait Zarathoustra de Nietzsche. Ainsi Michel Tournier veut réintégrer le surhumain dans l'humain reproduisant l'inversion des valeurs liées à la création d'un homme nouveau.

      • KCI등재

        미셸 투르니에의 작품에 나타난 소녀와 입문 - 「아망딘과 두 정원」을 중심으로

        권서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4 외국문학연구 Vol.0 No.95

        미셸 투르니에는 그의 첫 소설에서부터 입문이라는 주제에 몰두한다. 실제로 장르에 상관없이 그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주인공의 입문 여행을 다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작중인물이 집이나 고향 같은 친근하고 일상적인 곳을 떠나 낯선 땅, 미지의 장소에 도달하고, 이어 죽음에 비할 법한 온갖 시련을 딛고 마침내 새로운 존재로 다시 태어나는 일련의 과정, 즉 한 세계에서 또 다른 세계로의 이행, 모험의 끝에서 마주하는 근본적인 변신의 이미지는 모두 입문 의식을 연상시킨다. 그렇다면 과연 작가는 왜 이토록 입문이라는 행위에 큰 관심을 가지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가가 직접 “입문 이야기”라고 이름 붙인 콩트, 「아망딘과 두 정원」을 중심으로 투르니에가 이 주제를 문학 작품에 적용하는 방식과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입문의 일반적인 정의에서부터 출발하여 투르니에는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정의하는지 살펴본다. 이어 「아망딘과 두 정원」에 나타난 주인공의 여정을 시몬 비에른이 제안한 세 가지 입문 단계, 즉 준비, 저승으로의 여행, 새로운 탄생이라는 도식에 따라 읽고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투르니에가 평생에 걸쳐 고집스레 입문에 대해 말하는 이유와 더불어, 반면 독자는 왜 작가가 들려주는 입문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From his first novel, Michel Tournier has been interested in initiation. In fact, the hero's journey of initiation is the most recurring theme in almost all his books. In Tournier's work, the characters undergo a break with the restful, familiar world, and face a series of ordeals that correspond to the symbolic death. At the end of their adventure, they experience a new birth. In short, the author writes his work while faithfully following the initiatory pattern. In this study, devoted to the tale "Amandine ou les deux jardins", we retrace the path followed by the heroine and analyze her journey according to the three initiatory degrees : preparation, journey into the afterlife and new birth. This reading will enable us to decipher her mysterious journey and clarify the hidden meaning of her mystical qu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