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미치는 효과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시각형 대 언어형의 인지양식에 따라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며, 메타인지를 메타인지지식과 메타인지조절로 구분하여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83명의 학부생들의 인지양식은 시각형 학습자가 63명, 언어형 학습자가 2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언어형 학습자들이 시각형 학습자들보다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논증의 하위 영역별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 문제해결 성취도와 논증에서 메타인지지식 상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상위집단의 비교 및 메타인지지식 하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하위집단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에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한 해석은 메타인지 자체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나누어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이 무의미했을 것이라는 점이며, 또 하나의 해석은 처음부터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구분하여 비교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셋째,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구조 문제와 논증뿐만 아니라 논증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visualizers vs. verbalizers) and metacognition (knowledge of metacognition vs. regulation of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en students individually tried to solve ill-structured problems. Each subject was asked to complet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test after he or she completed both questionnaires that identify his or her cognitive style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Eighty-thre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visualizers twenty as verbaliz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s follows: First, verbalizers had higher score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s indicates that verbalizers performed better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However, no effects of cognitive styles were found on the sub-elements of argumentation. Second, no effects of both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were found o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ere are two possible explanations. One explanation is that because metacognition did not a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and verify them. The other explanation is that from the first,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in comparing the scores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rd, th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ich indicates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 KCI등재

        Applying Metacognition in Interpreter Education

        Heo, Eunjin 미래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 Vol.26 No.1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interpreting and offers some suggestions for metacognitive teach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Metacognition refers to a higher order of thinking that allows individuals to be aware of and manage their process of learning and performance. With empirical evidence, ample research considers this concept a key in successful learning and performance and showed metacognitive knowledge and skills can be enhanced by intervention. Interpreting is a highly complex-cognitive ope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rpreting skills require students self-regulatory learning. Moreover, both student and professional interpreters need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stress involved in the interpreting operation and the occupation and build career management skills.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cognition, metacognitive thinking and regulation are essential skills for student interpreters to develop to become a competent interpreter. This paper suggests interpreter education programs incorporate metacognitive instruction into their curriculum as a key component of student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인지 점검 모형 기반 상위인지 교육 방안-학습 보조도구로서 한국어 학습일지를 활용하여-

        손혜진,김민경 이중언어학회 2014 이중언어학 Vol.55 No.-

        This study suggests a new approach to a teaching method of metacognition based on a cognitive monitoring model from Flavell(1979). Metacognition takes a core role in terms of making more efficient learning and its role can be more emphasized in the second/foreign language learning situation due to cognitive burden. So far, most of studi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reated ‘metacognition’ as a subcategory of learning strategies. However, metacognitive strategies are not exactly the same notion with metacognition. Metacognitive strategies are the list of actions which occurs when people activate their metacognition to monitor their cognitive working. Thu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way of activating metacognition based on the Flavell(1979)’s theory.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a teaching method for metacognition. In order to develop learners’ metacognition and support their learning, the study uses learning journal as a supplementary tool, which can be an effective way to teach metacognition. And it also discusses about how to design the Korean learning journal in terms of supporting learners and activating their metacognition.

      • KCI등재

        유아주도적 질문과 교사주도적 질문이 유아의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손은주,박영태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3

        본 연구는 유아주도적 질문과 교사주도적 질문이 유아의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주도적 질문과 교사주도적 질문이 유아의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둘째, 유아주도적 질문과 교사주도적 질문이 유아의 영역특정 초인지에서 예언과 평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위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 5세 남아 39명, 여아 36명 모두 75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동화를 이용한 유아주도적 질문 프로그램과 동화를 이용한 교사주도적 질문 프로그램을 실험도구로 하고, 초인지 검사를 측정도구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유아주도적 질문집단, 교사주도적 질문집단, 통제집단의 차이에 관계없이 영역독립 초인지나 영역특정 초인지의 변화에 차이가 없다. 그러나 동화를 읽기 전에는 영역독립 초인지와 영역특정 초인지 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동화를 읽고 난 후에는 유아주도적 질문집단, 교사주도적 질문집단, 통제집단의 차이에 관계없이 영역독립 초인지 보다 영역특정 초인지가 더 높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유아주도적 질문집단과 교사주도적 질문집단, 통제집단 간에 영역특정 초인지 중 예언능력과 평가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s and teacher-directed questions on metacognition of young children,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s the effect of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s and teacher-directed questions on metacognition of young children?Second, What's the effect of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s and teacher-directed questions on prediction and evaluation in the field special metacognition?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s, 5-year-old 39 boys and 36 girls, all 75 children were tested and experimental tools were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 program and teacher-directed question using stories. Measuring tools were metacognition test. The main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Regardless of young children-directed group, teacher-directed group or the control group, young children have no difference in the field independent metacognition or in the field special metacognition. Before reading the stories, there wasn't much difference in the field independent metacognition or in the field special metacognition, after reading, regardless of young children-directed group, teacher-directed group or the control group, the field special metacognition has more improved than the field independent meta cognition. Second, the field special metacognition had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rediction and evaluation among young children-directed question group, teacher-directed question group, control group.

      • KCI등재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상위인지 분석

        윤금준 ( Yoon Keun-jo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4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상위인지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상위인지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예비 검사를 거쳐 본 검사 24개 문항을 확정하였으며, 본 검사는 국어교사 33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검사 문항에 대한 양호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인을 찾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례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개의 요인으로 분석되다. 요인 1(12개 문항)은 ‘평가 수행 상위인지’, 요인 2(8개 문항)는 ‘평가 결과 상위인지’로 명명되었으며, 두 요인의 전체 설명 변량은 65.525%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사의 상위인지를 분석한 결과, 평가 수행 상위인지가 평가 결과 상위인지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요인을 성별 및 경력의 차이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로 구분하였을 때 두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경력으로 구분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두 요인 모두에서 저경력 집단 1이 고경력 집단 3, 4, 5에 비해, 저경력 집단 2가 고경력 집단 3, 5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쓰기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 상위인지를 강화함에 있어, 평가 수행 상위인지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쓰기평가를 경험할 수 있는 보다 많은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riting assessment meta cognition in Korean language teachers by developing the metacognition inventory. For this, the prevision researches were reviewed and this inventory was confirmed after preliminary examination. 334 teachers of Korean language are sampled to analyze writing assessment metacognition. The finding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writing assessment metacognition consist of following two factors, ‘assessment performance metacognition’ and ‘assessment result metacognition’. Also the finding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of writing assessment metacognition in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at more experienced teachers have more higher level of writing assessment metacognit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writing assessment is main factor affecting to writing assessment metacognition.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enhance writing assessment metacognition, efforts are required to strengthen ‘assessment performance metacognition’ an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writing assessment.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신승윤 ( Seung Yoon Shin ),류성림 ( Sung Rim Ryu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 初等 數學敎育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메타인지 구성 요소별 영향력을 밝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 메타인지적 접근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영재교육원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으로 총 80명이다. 연구결과 초등수학영재 집단 안에서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의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전체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지식으로 나타났고,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 유창성과 독창성 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지식이며, 융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적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자기조정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적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메타인지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 does metacognition has with creative math problem-solving ability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econd, how does each component of metacognition (i.e. metacognitive knowledge, metacognitive regulation, metacognitive experiences) influences the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80 fif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For assessment tools, the study used the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the Metacognition Test. Analyses of collected data involved descriptive statistics, computation of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Statistics 20.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reat deal of variability between individuals was found in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even within the group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eco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Thir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component of metacognition, it was found that metacognitive knowledge is the metacognitive component that relatively has the greatest effect on overall math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ourth, results indicated that metacognitive knowledge has the greatest effect on fluency and originality among subelements of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hile metacognitive regulation has the greatest effect on flexibility. It was found that metacognitive experiences relatively has little effect on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finding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etacognitive approach in math gifted curricula and programs for cultivat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math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메타인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태승,이동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1 청소년상담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areer Metacognition Scale tailored for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construct of career metacognition was derived, and then an initial pool of instrument items were created. The content validity and clarity of the initial items was assessed twice by a total of 10 experts.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ose expert reviewers, 56 items were selected, and an online survey with these 56 items was conducted with400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With this data se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was verified. This process resulted in the Career Metacognition Scale comprised of a total of 20 items of 4 factors. With this finalized scale, another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by checking the fitness index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gher-order factor analysi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es confirmed the public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showing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cognitive scal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 of career metacognition for career performance was derived, and a scale was developed. Second, an appropriate factor structure of career metacognition was derived and empirically verified. Third, the field of career research was expanded to metacognition. Through this, the scope of personal resources to be used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has been expan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areer-related metacognition is utilized in career counseling, which has remained at a declarativ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valuating the level of career meta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for solving career problems and developing career counseling programs as well as career problem solving programs using career metacogn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메타인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진로메타인지의 구성개념을 도출하고 예비문항을 제작하여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총 2회에 걸쳐 10명에게 검증하였다, 이후 56문항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1차로 전국 4년제 대학생 400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 결과를 토대로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를 검증하여 4개 요인의 총 20문항을 최종 척도로 개발하였다. 이후 타당화를 위하여 2차로 전국 4년제 대학생 400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설문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요인분석, 고차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를 확인하여 구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관분석을 통하여 메타인지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정적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여 공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고, 진로사고(CTI)와는 부적관계임을 확인하여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진로메타인지 구성개념을 도출하고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진로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메타인지 척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 수행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문항이 개발되었다. 넷째, 진로메타인지의 적절한 요인구조를 도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다섯째, 진로 연구 영역을 메타인지까지 확장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 교육 및 진로 상담에서 활용할 개인자원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진로 상담영역에서 선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던 진로와 관련된 메타인지를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진로문제 해결을 위한 대학생의 진로메타인지 수준을 평가하고, 진로메타인지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 진로문제해결 프로그램등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실내 자유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분석

        유한나 ( Yoo Han Na ),엄정애 ( Ohm Jung 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는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행동 양상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사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38명이었으며,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C.Ind.Le(Cambridgeshire Independent Learning)코딩 체제’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영상 촬영을 병행하며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수집한 자료는 INTERACT8 컴퓨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아의 말과 행동을 초단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놀이 시간 중 약 73%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 가장 많이 보인 메타인지 행동은 메타인지 조절이었다. 이중에서 실행 통제와 모니터링 행동을 하는 시간의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두 행동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들이 두 번째로 많이 보인 메타인지 행동은 감정·동기 조절로, 이 중 감정·동기 모니터링을 나타내는 비중이 높았다. 가장 적게 나타낸 행동은 메타인지 지식이었으며, 이 중 전략지식의 비중이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유아들에게도 메타인지 능력이 존재하며,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에 하는 말과 행동 속에서 메타인지의 증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유아들이 놀이 중에 나타내는 메타인지를 행동의 빈도 및 시간과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유아의 인지적 능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young children’s metacognitive behavior manifested during indoor free play. Participants were 38 young children in the 3-5 age range who attended a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The children’s metacognition demonstrated during play was measured using the Cambridgeshire Independent Learning (C.Ind.Le) Coding Scheme, which was specifically adapt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videotaping and observing children’s play; children’s speech and behavior were analyzed by units of seconds using INTERACT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ren engaged in metacognitive behavior approximately in 73% of playtime.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metacognitive behavior in the children was metacognitive regulation. In terms of subtypes of metacognitive regulation, children engaged in executive control and monitoring for over 50% of time, and the two types of behavior tended to occur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Following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was the second most frequent metacognitive behavior. Concerning its subtypes, the frequency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monitoring was higher than that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control. The least frequent type of metacognitive behavior was metacognitive knowledge. Among its subtypes, the knowledge of strategies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followed by knowledge of persons, and then knowledge of task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tacognitive skills clearly exist in children, and children’s speech and behavior during play frequently show the evidence of metacognition. The primary merit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ed up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gnitive skills by demonstrating metacognition manifested during children’s play, using frequencies, duration, and cases of behavior.

      • KCI등재

        상이한 인지양식이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김선연 ( Sun Yun Kim ),조규락 ( Kyoo Lak Ch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양식이 문제해결이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자의 메타인지 역시 문제해결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면, 학습자의 인지양식이 메타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상이한 인지양식 유형에 따라서 메타인지가 차이가 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의존형 학습자와 장독립형 학습자(인지통제)간에 메타인지 능력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언어형 학습자보다 시각형 학습자(정보 수집)가 메타인지 능력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총체형 학습자와 순차형 학습자(정보조직)간에 메타인지 능력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메타인지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상이한 인지양식 분류기준 중에서 정보수집에 따른 인지양식 분류기준 만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정보수집에 따른 인지양식에서만 유의미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는 사실은 시각형 학습자가 메타인지적 사고를 보다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왜냐하면 시각자료는 보다 많은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시각지능이론은 이와 같은 결과의 해석에 유용한 해석적 틀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o see if there is difference of metacognition by various cognitive styles. The study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learners` cognitive style could affect metacognition as long as their cognitive style affects problem solving and their metacognition affects problem solving.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which were 358 college students taking a course of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field-dependent learners and the field-independent learners in metacognition.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erialists and holists in metacognition. These two results might show that learners can use metacognition regardless of field-independent vs.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as well as serialist vs holist cognitive style. More research is needed to articul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ognitive styles and metacognition. Third, visualizers had higher than verbalizers in metacognition.Fourth, only information gathering cognitive style (visualizer vs. verbalizer) was found as a predictable variable in matacognition. These results mean that visualizers could have better metacognitive ability than verbalizers. Various studies on visual abstraction and human visual intelligence show that visual materials such as visual organizers, thumnails, diagrams, etc.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much information swiftly. The theory of human visual intelligence that recently emerged offers important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metacognition and visualizer vs. verbalizer cognitive style.

      • KCI등재

        창의적 사고와 연계된 영적 지도자의 메타인지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고희석,김근호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rive a metacognitive thinking process based on metacognition theory as a method for creative thinking. Metacognition is a function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cognition, also known as ‘cognition of cognition’, and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creative thinking. In particular,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of metacognition is a creative thinking process for problem solving. This study carries out a narrative analysis by interviewing spiritual leaders of Christianity,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Buddhism, and Dohak(道學, Taoism) in order to find out metacognition and metacognitive thinking process related to creative thinking process in the life of self-reflection as a critical thinking found in spiritual leaders. As a result, metacognition was found in their performance of the spiritual leaders by reinterpreting their self-reflection process as a metacognition’s factor. In addition, as a common element found in the life of spiritual leaders, the five steps of metacognitive thinking process: conceptual understanding, self-observation, self- understanding, self-breakup, and self-reconstruction were presented. This process is a metacognitive belief in which spiritual leaders have continued to self-reflection for performing, and it can be applied as a methodology for creative thinking.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를 위한 방법론으로 메타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메타인지적 사고 과정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인지에 대한 인지’로 알려진 메타인지는 인지를 모니터링하고 조절하는 기능으로써 창의적 사고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특히 메타인지의 비판적 사고 과정은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사고 과정이다. 본 연구는 영적 지도자에게 발견되는 비판적 사고로서 성찰의 삶에서 창의적 사고 과정과 연계된 메타인지와 메타인지적 사고 과정을 찾아내기 위해 기독교, 마음챙김 명상, 불교, 도학 관련 영적 지도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여 내러티브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로 영적 지도자의 수행을 위한 성찰 과정을 메타인지 요소로 재해석함으로써 그들의 수행에서 메타인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영적 지도자들의 삶에서 발견되는 공통 요소로서 ‘개념이해-자기관찰-자기앎-자기해체-자기재구성’의 5단계인 메타인지적 사고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은 영적 지도자들이 수행을 위해 성찰을 지속해온 메타인지적 신념으로, 이는 창의적 사고를 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