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과 메노나이트 평화운동 -아나뱁티스트 한국교회사 서술을 위한 서론적 고찰-

        정성한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9 No.-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MCC)는 1951년에서 1971년까지 한국에서 구제와 교육 사역을 해 왔다.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는 1920년 조직된 이후 전 세계의 분쟁지역 사람들을 구제하기 시작하였고,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구제사역을 펼쳐왔다. 그들이 하는 일은 농업, 물공급, 집 짓기, 보건, 직업 창조, 평화 세우기, 교육 등이다. 이런 활동과 함께 그들은 전 세계의 수많은 다양한 기구들을 파트너로 삼아 지원하고 있다. 그들은 ‘메시야의 평화 선교’ 정책에 기초하여, 인간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인 모든 차원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는 한국전쟁 중인 1951년부터 한국과 관계를 시작했다. 휴전 직후인 1953년 7월에는 한국대표부를 대구에 설립하고 경산에 농장을 개발하여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한국 활동 가운데 대표적인 것 네 가지는, 물자구제 사업, 직업학교, 가족/어린이 지원 프로그램, 전쟁 과부들을 위한 재봉기술 교육 등이다.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의 사역은 제자도에 기초하여 공동체 안에 평화를 세우는 일이었다. 이 사역의 구체적인 모습이 개인과 가정과 마을과 한 국가에 대한 구제와 개발이고, 구제와 개발이 지향하는 바는 평화인 것이다. 이 구제사역은 곧 평화를 주고 나누고 세우는 사역이었다. 구제사역과 평화사역은 서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개념이다. 한국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는 인간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 모든 욕구를 포괄하는 선교인 ‘메시야의 평화 선교’에 근거해서 한국전쟁 시기 한국에서 그들의 평화사역을 시작하였다. 진정한 평화는 ‘일용할 양식’과 ‘공동체’가 그 기초이다. 그들은 신앙교육은 하되 교파교육은 시키지 않았다. 그들은 교회를 설립하려는 사람들을 지원했다. 그러나 메노나이트 교회를 세우지 않았다. 그들은 자신들보다 앞서 들어온 한국의 교회들을 존중했고, 한국교회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들을 묵묵히 감당해 주었다. 그들은 한국교회를 섬겨 준 것이다. Mennonite Central Committee (MCC) have been a relief and education work in Korea, from 1951 to 1971. Mennonite Central Committee began to remedy the conflict areas of the world since they organized in 1920, has spread to various forms of relief work in various areas. The work they do agriculture, water supply, house building, health, job creation, build peace, and education. With these activities, they are supported by partner numerous diverse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They are based on a “Messianic Peace Mission” policy, and brought attention to the religious all levels. human and political, economic, social etc. Mennonite Central Committee began a relationship with Korea being Korea war since 1951. Shortly after the armistice in July 1953 has established representative offices in Daegu, South Korea, and went on to develop full-fledged activities in the Kyungsan farm. Representative will work with four of Korea, material relief, vocational school, support programs for family/children, sewing skills training for war widows. Mennonite Central Committee is a work of the ministry was to build peace in the community on the basis of discipleship. This specific form is the relief and development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villages and the country’s ministry, relief and development oriented bars that will peace. The mercy ministry was to be built, give and share peace. Relief work and peace work is a concept that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rue peace is the ‘daily bread’ and ‘community’ is its foundation. Religious education, but they did not denominational education. They support people who want to establish a church, but did not stand the Mennonite church. They have respect for the church before entering Korea than they. They had served Korean churches.

      • KCI등재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 전통

        이상규 한국교회사학회 2016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4 No.-

        이 글은 ‘역사적 평화교회’로 불리는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 전통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에 주목하였다. 첫째, 16세기 종 교개혁과 재세례파의 형성과정을 논구하고 이런 과정에서 메노나이트 교 회의 생성과 그 신학에 주목하였다. 둘째,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 전 통을 파악하기 위해 메노나이트교회의 시원이 되는 메노 사이먼스(Menno Simons, 1496-1561)의 생애와 저술을 통해 그의 평화주의 사상의 연원을 추적하였고, 그것이 성경과 초기 기독교의 가르침에 근거하였음을 제시하 였다. 특히 메노 사이먼스는 ‘그리스도를 본받음’(imitatio Christi)를 ‘비폭 력 평화’에 찾았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이런 평화주의가 재세례파의 첫 신 앙고백서인 슐라이트하임 신앙고백서에서 표명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 신앙고백서의 가르침이 그 이후 어떻게 계승되어 왔던가를 지적하였다. 넷째, 이런 전통을 계승하는 메노나이트 교회의 양심에 근거한 병역거부 에 대해 기술하였다. 양심적 병역거부는 비폭력 평화주의의 단순한 적용이 라는 점을 지적하고, 양심에 의한 병역거부는 초기 기독교에서부터 있어왔 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 이후 정당정쟁론의 대두, 16세기 아나뱁티스트들 을 통한 탈 콘스탄틴주의와 병역거부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 16세기 이후 메노나이트교회에 의한 평화주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가를 지적함으로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 전통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메노나이트교회가 ‘제자도’로 고양해 왔던 비폭력(non-violence), 반전운동 (anti war movement),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화해(reconciliation), 앙갚지 않음(un-retaliation) 등과 같 은 고상한 가치들은 남북한의 군사적 대결과 위협 하에 있는 오늘의 한국 에 교훈과 자극을 주고 있음을 지적하고,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는 근 본적으로 ‘그리스도를 본받는’ 삶의 방식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As a historical and theological study of the pacifistic tradition of the Mennonite church, a ‘historic peace church,’ the writer examined the following four themes in due order. First, an attempt was made to describe the Reformation of the 16th century and rise of Anabaptism in Europe,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formation of the Mennonite church and its theology in a certain area under special circumstance. Secondly, in order to set forth the origin of the pacifistic tradition of the Mennonite church, the life and work of Menno Simons(1496-1561) was discussed, and suggested that nonviolence and peace idea was originated from the teaching of the New Testament and examples of the early church tradition. In this part the writer pointed our that Menno Simons understood ‘Imitatio Christi’ as ‘peace’ or ‘pacifism.’ Thirdly, the writer suggested that pacifistic teaching was manifested in the Schleitheim Confession, the first confession of the Anabaptists, and examined how the teaching had been inherited to next generations. Fourthly, in the light of pacifistic tradition,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which calls forth strong emotional reactions from both advocates and opponents, was discussed, and described as a simply positive response to nonviolence peace idea of the New Testament and teaching of Jesus. A break with the early church tradition, Just war theory in the medieval churches and historic peace churches understanding of military service are also discussed. Especially in this paper, teachings of the Mennonite church on non-violence, anti war movement,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reconciliation, and un-retaliation has been source of lesson and encouragement among Koreans and Korean Christians who confronted with the militarized North Korea.

      • KCI등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이후 평화구축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FBO의 역할: 메노나이트 평화운동을 중심으로

        위인규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4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ies conducted by the Mennonite Central Committee (MCC) after the Korean War. In the light of this, the paper proposes the role that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as a faith-based organization (FBO), can play in the peacebuilding process after the end of the Russo-Ukrainian War.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FFWPU should concentrate on its peacebuilding role rather than its missionary calling. Second, FFWPU should adopt a role that focuses on the recovery of both the individual and the family by focusing on relief projects at the family level. Third, FFWPU should play an educational role to empower victims with the capacity to get back on their feet. Finally, it should play an exemplary role by providing people with the full benefits of its services irrespective of race or religion. FFWPU should undertake the following projects to fulfill such roles: relief projects to restore family communities centered on children and widows, education projects to assist war victims in overcoming their trauma and living in hope, peace projects for the promotion of harmony between religions, as well as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political leaders. 본 연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이후 평화구축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FBO의 역할을 제안하기 위해 한국전쟁 이후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CC)가 펼친 활동을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FBO는 먼저, 선교가 목적이 아닌 평화구축을 위한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 둘째, 가정 단위의 구제사업을 중심적으로 펼쳐 개인뿐 아니라 가정의 회복을 위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셋째, 자립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넷째, 초인종·초종교적 차원에서 모든 사람에게 제한 없이 혜택이 갈 수 있는 모델적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어린이와 미망인을 중심으로 한 가족공동체 회복을 위한 구제사업, 전쟁의 후유증을 이겨내고 희망의 삶으로 이끌 수 있는 교육사업, 종단 간 화해와 화합, 그리고 정치지도자들의 대화와 협력을 위한 평화사업 등에 집중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재세례파 종교개혁의 성서해석적 함의 -메노 시몬스를 중심으로

        박종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0 신학과 사회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biblical interpretation's characteristics of the Anabaptist, which was called the radical Reformation in the 16th-century Reformation movements, based on Menno Simons, one of the greatest leaders of the movement.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Menno's biblical interpretation with that of Luther-centered magisterial Reformation in order to reveal characteristics and positions of Menno's anabaptist interpretation.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study on Menno and Mennonites has actively developed in the Mennonite circle in the 20th century,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of the methodology of biblical interpretation is relatively poor. As a long tradition of Protestant history, it is easy to simply ignore the Mennonites as biblicists with the poor theological basis or to underestimate them as unrealistic idealist groups, considering them as similar groups as the early violent enthusiasts. However, this study, which focuses on Menno'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ims to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on Protestant Reformation by examining the peculiarity and consistency of Menno'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본 연구의 목적은 16세기 종교개혁운동에서 급진파 종교개혁운동으로 명명되는 재세례파의 성서해석학의 특징을 그 운동의 가장 위대한 지도자 중의 한 명이었던 메노 시몬스(Menno Simons)를 중심으로 해명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메노의 재세례파 성서해석의 특징과 위상을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 루터를 중심한 관헌적 종교개혁의 성서해석과의 비교를 시도한다. 메노 및 메노파에 대한 연구가 20세기 들어 메노나이트 진영에서 활발하게 전개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성서해석학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했다 할 수 있다. 프로테스탄트 역사의 오랜 관습대로 메노파들을 신학적 근거가 희박한 성서주의자로 간단히 매도해버리거나 그들을 초기 급진파 열광주의자들과 유사한 무리로 간주한 나머지 비현실적인 이상주의 집단 정로로 평가절하하기 십상이다. 그러나 메노의 성서해석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본 연구는 메노의 성서해석의 특유성과 일관성을 검토함으로써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 KCI등재

        외국신종교의 한국사회 이식과정과 그 의미(5) 재세례파 형성 및 한국 유입 과정과 신종교적 의의

        조응태 ( Eung Tae J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Anabaptist started trying to establish a pure Gospel community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Jesus Christ based on the New Testament. They rejected ideology of state church, infant baptism, violence and war, large church, hierarchy of priest, etc. But through long history Anabaptist has been understood as a nonbiblical religious and dangerous community. Now luckily they are understood as a new and fresh religious community. Futhermore they are attracting public attention, as a model of new religious denomination in multi- religious pluralism era. It will show a way which religion should follow in the future society. In Korea, Mennonite Central Committee helped Korea to overcome critical era, during the 6.25 Korean national war. They wanted to follow the way of Jesus Christ, and established small home church, vocational school for women and orphan, reconcile seminar, democratic community system, etc. Korean Anabaptist is growing in Seoul and Chooncheon. Now it tries to help other country all around world in the name of International Work Camp. Such a movement is being called as a new peace movement by modern religious groups. It can devote exportation of Korean culture in the midst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ge, and change the negative thought against religion to positive situation.

      • KCI등재

        최근 북미의 아나뱁티스트 연구 동향: 교회론을 중심으로

        전인성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search history of Anabaptists in North America in the twentieth-Century, and especially the research trends focusing on ecclesiology. The study of Anabaptism in North America reached a new phase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Century. With the advent of Harold S. Bender, a group of scholars known as the Bender School appeared. As a result, they assert that the theology and faith of Anabaptists, who have suffered from many misunderstandings, are not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instream Reformers. In addition, with this growing interest in the Anabaptists in the past few decades, essential works of the Anabaptist study have been published.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Anabaptism has naturally led to an interest in the ecclesiology of sixteenth-century Anabaptism because the agenda of Anabaptists is always linked to the practice of their ecclesiology. Perhaps the most critical and comprehensive publication on the subject is by Franklin Hamlin Littell,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attempted. Finally, I suggest for improving future studies that the research of twentieth-Century Anabaptists has focused on only several figures and theology and that most study of ecclesiology has also been focused on the study of the discipline, suggesting the need for research on more diverse figures and subjects.

      • KCI등재

        렘브란트의 그룹초상화와 시민적 야망 I- 부부초상을 중심으로

        이한순 미술사학연구회 2006 美術史學報 Vol.- No.26

        Rembrandt's Group Portraits and Burgher Ambition I : two pair portraits *攀*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KRF-2004-003-G00006)攀攀 본 논문은 렘브란트의 그룹 초상화를 두 점의 부부초상 작품을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하나는 1633년에 제작된 <조선업자 레이크선 부부초상>이고 다른 하나는 1641년 작인 <메노파 설교자 안슬로 부부의 초상>이다. 두 작품에서는 모두 부부가 한 실내 공간 안에 등장하면서 분명한 몸자세와 제스처를 통해 상호소통의 순간이 포착되고 있으며, 인테리어나 의상 등으로써 가정의 일상이라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다. 이렇듯 서술적 맥락에서 일상의 한 짧은 순간을 전례 없이 강조한 점은 1630년대 초의 암스테르담 초상화에서 매우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 본 글에서는 두 초상 주문자의 메시지를 문화인류학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인물들의 몸자세나 움직임 그리고 복식과 인테리어 배경을 실마리로 해서 두 작품에 드러나는 가족의 직업관과 부부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렘브란트는 단일 화면으로 제작한 두 부부초상화에서 다양한 배우자관과 가장의 직업관을 복합적이고 정교하게 직조해 냈다. 국가적 차원의 사업으로 성공한 레이크선 부부의 경우는 전통적인 부부의 위계질서를 바탕으로 깔면서도, 호방하게 남편의 일에 관여하는 부인의 모습을 통해 당시 진보적인 부부 개념을 전달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안슬로 부부의 경우는 역시 매우 번창하는 상인임에도 불구하고 직업에 대한 암시는 배제한 채 종교적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으며, 두 부부의 종교 성향에 걸맞게 보수적인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초상화를 통해 세상에 보여주고자 하는 부부의 이미지는 우선적으로 직업의 성격이나 종교에 좌우된다는 기본 특징을 렘브란트에게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작품은 공통점도 지닌다. 두 가족 모두 매우 부유한 가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으로 부를 과시하려는 시도는 보이지 않는 것이다. 가령 서재라는 공간이나 모피 안감, 양탄자 같은 세부 요소들에서 기본적으로 부유함이 전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모티프들은 전체적으로 점잖고 검소한 그림 분위기와 연결되면서 오히려 권위, 전통, 학식 등의 명예로운 개념들과 절제라는 덕목을 재현하는 데 더 깊게 관여한다. 바로 이러한 시민적 가치관이 암스테르담의 상류 계층을 당시 헤이그의 궁정 귀족과 구별하게 하는 본질적 요소인 것이다.

      • KCI등재

        렘브란트의 메노파 교도들

        손수연(SOHN SOO YUN) 서양미술사학회 2014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0 No.-

        This paper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mbrandt and the Mennonit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has explored the Mennonit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Rembrandt’s work. In the 1630s and 1640s, Rembrandt was commissioned by Mennonite patrons and surrounded by Mennonite contacts and influences. In particular, the Mennonite art dealer Hendrick Uylenburgh, a cousin of Rembrandt"s wife, Saskia, played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Rembrandt and the Mennonites. Above all, the iconological nuances of Rembrandt’s portraits, and his choice of themes, suggest that Rembrandt had a sound understanding of Mennonite doctrinal and social ideals. Rembrandt’s portraits of Waterlander celebrities and Biblical subjects reflect Mennonite ideals and beliefs. Moreover, his drawings and etchings depicting martyrs could be seen as concerning the Mennonite executions of 1535. In terms of mood and composition, those images are in accordance with illustrations in Mennonite martyrologies published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Rembrandt’s Mennonite portraits and The Sampling Officials of the Drapers’ Guild (1662) have distinct significance in any discu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nonites. These works show the group’s prosperity and assimilation into Dutch society. The minority position of not having equal, political or religious rights made the Mennonites try to achieve equality at least in the economic domain. Through Rembrandt’s works concerning the Mennonites of the time, we can see the dual aspects of Waterlander Mennonit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On the one hand, Waterlanders sought advancement and assimilation into wealthy elite society, and on the other hand, they identified themselves as martyrs by publishing several martyrologies. The Mennonites’ doubleconsciousness of being both martyrs and middle-class people is strongly reflected in Rembrandt’s works.

      • KCI등재

        존 하워드 요더(John H. Yoder)의 국가·법사상

        申致宰(Shin, Chee-Jae) 중앙법학회 2016 中央法學 Vol.18 No.1

        Yoder puts the basis of his national and law ethical thoughts on the Bible, and he is traditionally influenced by the historic Peace Church and especially by the Mennonites. He materialized his peace theor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Jesus saying not to murder but to love your neighbors. If the theory of fair war goes against the teachings of Jesus, he calls for reappraisal on the theory of peace at any price which is founded on the Bible. In terms of national thoughts, he mainly discusses power and the government. He opposes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the government grounded on the Romans Chapter 13, and he argue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obey and resist due to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is good or evil, but it is required to comply with the government whatsoever since the malicious form of government exists as stated by the Book of Revelation. Regarding the comprehension of war and peace, Yoder shows a pessimistic attitude about a virtuous and fair war. He points out that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the fair war theory itself is unbiblical and there are many problems on the subjects like a fundamental concept, morality, legitimacy, and etc. Especially, even the efficiency asserted by the theory is losing its authenticity owing to a nuclear threat and an aspect of modern wars. In peace ethics, Yoder first talks about an alternative society which is a community of disciplines, so called a church, created by Jesus Christ The first framework of Yoder’s peace ethics is nonviolence and nonresistance. Although a practical way to defy lied ahead of Jesus Christ, he rejected it and gave it up. The second is reconciling peace. Here, non-violent resistance is not a concept conflicting with non-resistance. The third is absolute obedient ethics going for obeisance instead of efficiency based on the life of Jesus The ending of Yoder’s peace theory is that Christians with an apocalyptic ambition should choose obeisance over efficiency by faith as well. The Yoder’s peace theory once again raises concerns toward the general peace thought by mentioning necessities to achieve peace through following the life of Jesus in place of pursuing a rational way of human beings. Since the future is in God’s hands, Christians should achieve non-violent, non-resistant, reconciling, and obedient peace with faith, which is already shown in the life of Jesus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