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Woman in White: The Portrait of a Victorian Artist

        ( Son Younghee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6 근대 영미소설 Vol.23 No.2

        In The Woman in White, Walter Hartright’s precarious class and gender status provides an impetus to restructure Victorian class hierarchy and art patronage. Hartright exploits the emergence of urban working class citizens for his professional success and embraces a new mode of mass production of art for them. While the mass production of art opens up the consumption of art for working class patrons, the standard of art is affected by the dangers of mediocrity and vulgarity. Despite his active agency to restructure the Victorian class hierarchy and art patronage system, Hartright is constrained by his allegiance to Victorian ideology and creates his gender identity as a middle class artist through the exclusion of talented women. His demarcation between the public sphere of art and literature, and the private sphere of home-making forces Laura to stop drawing, and Marian to change from an intelligent writer into a child-rearing Virgin Mary figure. Hartright’s ownership of Limmeridge heralds a new modern era, in which professional bourgeois artists diligently producing art commodities for working class patrons have replaced traditional artists serving aristocratic patrons. The hegemony of bourgeois artists with a middle class work ethic is symbolized by the replacement of Raphael’s static image of Madonna and Child with the dynamic image of little Hartright.

      • KCI등재후보

        행복교육론의 함정

        김정래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aper has tried to examine the various defects that happiness education raises in the educational situations. First of all, these defects have arisen from the concept ‘happiness-seeking’, fallen into the same mistake as the one ‘pleasure-seeking’. Unlike the strictly ethical examination, the common sense meanings of happiness highly contribute to the wrong notions for us to make misjudgement. One of them is to regard happiness as an important educational aim. But the concept of happiness cannot be an aim of education whatever stated. This results not only in the detrimental mistakes such as misunderstanding of the right to happiness as the constitutional right but in falling into its own trap such as miscellanea obsessed, mediocrity, short-sighted prudence, and so on. And the paper has also tackled some senses of French Utopian socialism originated from Rousseau I assume and critically viewed some municipal ordinance of the pupils’ rights in the Republic of Korea. Against these the paper has to more closely re-examine the concept ‘happiness’ which particularly leads us to fall into happiness-seeking. 현재 교육계에서 일고 있는 행복교육론의 난점과 그로 인한 함정을 살펴보기 위한 본 연구는 다음 논점을 다루고 있다. 첫째, 행복교육론이 그릇된 주장으로 함몰된 것은 행복의 의미가 어떻게 왜곡되어 있는가. 둘째, 교육의 왜곡된 형태인 행복교육을 야기하는 행복지상주의의 양태인 적당주의에 결과로 드러난 워라밸, 소확행(小確幸), 유토리(ゆとり)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셋째, 행복교육을 왜곡하는 행복지상주의를 형성하는 사상적 뿌리를 살펴본다. 넷째, 행복교육의 실행근거로서 헌법적 가치인 행복추구권의 법리적 문제와 함께 우리나라 학생인권조례에 담긴 행복교육의 문제를 분석해 보도록 한다. 행복교육이 지니는 함정을 빠지지 않기 위하여 행복 개념의 세심한 해석을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배부른 돼지’가 추구하는 ‘돼지 행복’에 안주함을 막을 수 있는 최소한 전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유학(儒學)의 관점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 중용(中庸)

        김정래 ( Kim Jeong-nae ) 한국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 Vol.77 No.-

        The paper concerns on the meaning of the mean in the Nicomachean Ethics by Aristoteles which may mislead us to the mediocre senses. These misunderstandings are to be examined under the six Confucian notions of it. First of all, the notion of the middle state has been settled for the arguments. The secularity and mediocrity cannot be considered as the valid sense of the Mean from the argument in the paper. Particularly the Aristotelian sense of Mean is seen and has been fallen into the intellectualist tone, whereas the Confucian is seen as focused on the phronesis tone. Above all,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ordinary sense and uses of the Mean derived from the East and the West with which we cannot mislead ourselves any more.

      • KCI등재

        1950년대 김수영 시의 ‘위대성’ 추구에서 드러난 관점 변화 연구

        류순태(Ryu, Sun-tae)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6

        이 글은 1950년대 김수영의 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위대성’ 추구와 그 과정에서 드러난 변화를 R. W. 에머슨의 사상과 관련지어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대성’ 추구는 김수영의 시와 에머슨 사상 사이의 동질성과 차이성을 함께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매개라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김수영의 시에서 위대성의 추구는 범용과의 싸움을 통해 위인적 위대성을 추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김수영의 그런 태도는 에머슨이 말한 ‘위인’에 기대는 바가 컸다. 한편, 1950년대 후반에 이르면 김수영의 시에서 위대성은 탈도시적 전원적 삶을 통해 추구되었다. 이는 에머슨이 ‘자연’의 힘을 ‘개성’을 포용해 내 자유를 진정으로 구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세계로 바라보았던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렇지만 김수영의 그런 위대성 추구는 전원적 삶에서의 ‘사랑’과 ‘고절’에 대한 반문 때문에 탐색적인 것에 머물고 말았다. 김수영은 전원적 삶에서 범용한 면모와 허위를 주목하게 되었던 것인바, 그의 그런 주목은 1950년대 말에는 자신이 ‘사령’과 같은 존재가 되어 버린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으로 표명되었다. 김수영은 고절적 삶에서 ‘영’을 통해 ‘자유’를 추구할 수 있다는 에머슨의 사유에 대해 직접적이고도 근본적인 반문을 던졌던 것이다. 1950년대 김수영 시에서의 위대성 추구는 범용에서 벗어나는 일에 대한 관심, ‘사랑’에 대한 회의 등으로 귀결되었다. 그것은 에머슨이 말했던 ‘자연’과 ‘사랑’을 충분히 이해한 가운데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자유’와 ‘사랑’의 관계에 대한 물음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런 점에서, 1950년대 김수영 시의 위대성 추구에서 드러난 관점의 변화는 김수영이 번역으로 접한 에머슨의 사상을 스스로 체화해 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 of perspective on ‘greatness’ in Kim Soo-young’s poetry of 1950’s, based on the rea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poetry and R. W. Emerson’s thought. I can say that the pursuiting of ‘greatness’ was a demonstrable media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im Soo-young’s Poetry and R. W. Emerson’s thought. Kim Soo-young pursuited ‘greatness’ in regular succession, by dint of great men, the power of nature. And the change of perspective on ‘greatness’ was result in the concern of overcoming of mediocrity and the skepticism of love in the rural life that had standed for the retort on R. W. Emerson’s thought. and it means that Kim Soo-young had called the way of realizing the right to freedom into various question in his poetry of 1950’s.

      • KCI등재

        월남작가 안수길의 "만주" 기억과 재현

        이해영 ( Haiying Li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5 No.-

        지금까지 안수길의 만주 관련 문학 연구는 주로 그의 만주시기 작품과『북간도』에 집중되어있으며 해방 후, 월남하여 쓴 만주 재현 작품에 대한 연구는『북간도』외에는 소략하게 이루어졌다. 본고는 안수길의 해방이후의 작품을 그의 삶과 작가정신 그리고 한국의 역사적, 민족사적 전개와의 연관 속에서 총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월남직후, 즉 해방공간의 ‘끝머리’에서 안수길의 작품에 나타난 ‘만주’는, 낯선 ‘조국’ 남한 땅에 뿌리 내리기 위해 잊어야할 과거의 공간이자 부정해야할 과거 행적들이 있는 공간이다.『북간도』에서 만주는 전재민들의 뿌리가 있는 곳이자 민족주의자들에 의한 민족독립운동의 공간이다. 만주가 민족주의자들에 의한 민족독립운동의 공간이라는 인식은 그러나『북간도』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그 이전의 작품들에서 그러한 징후가 나타났으며, 1920년대 중반 이후, 민족주의자들에 의한 만주에서의 독립운동의 좌절과 실패는『북간도』가 그 이후의 30년대와 40년대를 소략하게 서술하게 된 주된 원인이다. 1960년대 중후반에 이르면 안수길의 ‘만주’ 기억과 재현은 드디어 역사에 대한 반성과 현실에 대한 성찰적 자세에 도달하게 된다.『북간도』 창작 후기인 1965년에 씌어진「효수」는 만주국에서 피해자이면서도 가해자이기도 했던 조선인의 위치에 대해 솔직하게 인정하고 반성하고 있으며 안수길의 ‘만주 인식’이 처음으로 도달한 가장 진실하고 참된 역사적 반성의 자리이다.『북간도』 완성 1년 전인 1966년, 씌어진「꿰매 입은 양복바지」와 완성 후 1969년, 씌어진「나자 머자니크」에서 ‘만주’는 현실을 성찰하기 위한 창과 거울로 작동하고 있다. Until now, the researches about An Soo-gil``s literature mainly focused on his masterpiece Bukgando and his works during the Manchuria time. As for other works which were written as a kind of reproduction of Manchuria after liberation when he crossed from North to South Korea, there are still few researches on them. This paper generally discussed about An Soo-gil``s works after liberation by connecting it with his life, spirit, Korean history develop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In An Soo-gil``s works after his crossing from North to South Korea, Manchuria became a place that should be forgotten by the refugees in order to settle down in South Korea-the new ``motherland`` and to deny the past behavior. Compared with it, Manchuria in Bukgando was the place where the refugees`` root was and the place where Nationalists held the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This kind of cognition to Manchuria did not first started from Bukgando but from other works before it. Because of nationalists`` frustration and failure in Manchuria Independent Movement after mid 1920s, Bukgando didn``t narrate much about the situation during 1930s and 1940s. In Decapitated, the book after Bukgando An Soo-gil recognized that Koreans in Manchuria were both victims and assailants and did introspection. An Soo-gil``s cognition of Manchuria was first pushed to the truest position by the introspection on history. In Stitched Pants and Naza Mozanic, the books also after Bukgando, ``Manchuria`` was used as a window or mirror though which the truth could be found.

      • KCI등재

        ‘잠재적 청년실업자’들의 방황과 계급적 실천

        정수남(Sunam Joung),김정환(Jung Hwan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3 No.-

        본 논문은 중간계급 가정에서 자란 (잠재적)청년실업자를 중심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방황의 성격과 그에 대응하기 위한 계급적 실천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최근까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청년세대의 문제를 세대론적 차원을 넘어 계급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분석해야 함을 주장했다. 둘째, 연구대상자 청년들은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후기자본주의체제에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함으로써 대학진학 이후 현재까지 소모적인 방황기간을 오랫동안 거쳐 왔고 뚜렷한 삶의 목적과 직업관을 갖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가족의 계급적 자원을 기반으로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처해오면서 생계문제를 피해갈 수 있었다. 셋째로 이러한 생애과정을 거치면서 이들은 평범하게 살아가는 삶을 삶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데, 그 이면에는 미래전망이 불투명한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한 깊은 냉소주의가 깊게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필자들은 청년세대는 자신의 계급적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불안에 대처하고 살아간다는 점에서 세대문제는 계급적 차원과의 연관 속에서 다루어져야 문제의 심연에 다가갈 수 있음을 강조했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some characters of wandering that potential youth unemployed have experienced and their class practice to cope with it. For this, first, we suggest that expanding to level of class beyond level of generation, problems of youth generation should be treated. Second, interviewee youth people didn’t cope with unstable post-capitalism appropriately and then couldn’t help undergoing the period of wandering long time after since 20’s. After all, now they have no clear objective of life and work ethic. Nevertheless they could avoid living matters by handling their anxiety and uncertainty on the base of class resource of family. Third, they try to set up goal of life as just living ordinarily. Above all, they have deeply cynicism about their own unstable lives and uncertain society without vision today. Lastly, we empathize that today problems around youth gener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relation to level of class in that they live differently for their class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박태원, 주변부의 만보객(漫步客)

        신형기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6 No.-

        In this paper I dispute on the meaning of flâneur and his expected achievements in Bak Taewon's The One Day of Writer Gubo. First, I raise a question on precedent studies that have argued this story adapted the manner of Modernology of Gon Waziro. Like as the reading explain Gubo's itinerary with Modernology should be reconsidered, the reading connect flâneur to Modernology should be reconsidered. This is the content I discussed in first chapter. I saw Gubo as a flâneur on the periphery who walked the streets of colonial city Kyungsung which bound to Tokyo, the metropolis of Empire. Gubo tried to communicate with colonial mass. And he also shows ironic gesture that contempt the mass but then talking their desires simultaneously. In chapter 2, I pointed out Gubo was hollow flâneur as much as he was sensitive, and the outcome of walking could be limited in this con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flâneur can research on social physiognomy of his city through the meeting with masses. Gubo also cast a question on colonial modernity when he described the landscape of Gold rush. The walking in colony could be realized by border transgression that jumping from colony to empire's territory(like as emporium in colony). But to Gubo Tokyo was an spectacle that keeps the beautiful memory, whereas Seoul was a place of depression that lacks everything. In my view, he could not see how the space of modernity making, and so he thought Seoul as a place far removed from Tokyo, and contrasted two city as different place. In chapter 3 and 4, I argued this was a Gubo's problem and it disturbed his walking. In spite of that if he wants to walk the streets, walk without flâneur can be an alternative plan. I think camera eye in Chyunbyunpungkyung was an technical alternative of flâneur who has not the vision of poet but could not stop boring walking. Disappearing flâneur can be a way of ironic response to modernity, but in case of Bak Taewon, he did not shows the modernistic quest on colonial modernity thereafter. 이 글에서 필자는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仇甫)씨의 일일(一日)」(1934)을 중심으로 만보객(漫步客, flâneur)의 의미와 성과에 대해 논했다. 필자는 우선 이 소설을 곤 와지로 등의 ‘모데루노로지오’(고현학)와 연결시키는 기왕의 논의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소설가 구보의 행정(行程)을 고현학에 의해 설명하는 견해가 재고되어야 하는 것처럼 만보객과 고현학을 연결시키는 경향 역시 재고되어야 한다는 것이 1 장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필자가 본 구보는 제국의 메트로폴리스 동경에 매인 식민지 도시 경성의 거리를 걸어야 하는 주변부의 만보객이었다. 일단 그는 식민지의 소비대중과 교감하려 하지만 대중을 경멸하면서 대중의 욕망을 대변하는 역설적인 제스처를 보인다는 것이 2장의 분석이다. 필자는 구보가 민감한 만큼 지나치게 비어 있는 만보객이며, 이런 상태에서 만보의 성과는 제한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만보객은 대중과의 조우를 통해 사회적 인상학(social physiognomy)을 탐구할 수 있다고 기대되었다. 구보 역시 황금광 시대의 풍경들을 그려냄으로써 식민지의 모더니티라는 것을 문제시한다. 식민지에서의 만보는 제국의 영토(식민지의 엠포리움과 같은)를 넘나드는 월경(越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구보에게 동경은 아름다운 추억을 간직한 하나의 스펙터클이었던 반면 서울은 모든 것을 결여한 우울한 곳이었다. 서울과 동경을 동떨어진 곳으로 구획한다든지 대조하는 것은 모더니티의 공간을 통찰하지 못한 결과로, 그의 만보를 제약한 요인이 되었다는 것이 3장과 4장에서 거론한 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계속 거리로 나서야 했다면 만보객이 사라진 만보를 하는 것은 하나의 선택이었다. 「천변풍경」(1936)의 카메라아이(camera eye)는 통찰된 비전을 갖지 못한 채 그렇다고 지루한 만보를 멈출 수도 없었던 그가 선택한 기술적 대안(代案)이었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다. 만보객이 스스로 사라지는 것은 모더니티에 대한 아이러니한 대응의 한 방식일 수 있었지만 적어도 박태원의 경우, 식민지 모더니티에 대한 모더니즘적 모색은 이후 진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 KCI등재

        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17세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강상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I found that a young male protagonist who is superior to a literary talent but can not succeed to the past yet, has begun to form from an Jeongi(傳奇)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eongi novel of early Chosun Dynasty made the issue of love and faithful the main theme of the novel. In particular, the love of a novel seems to be straightforward and impulsive. But even though it may be the first time, the narrative turns into a story of devotion and commitment. So it seems innocent even if it does not seem polite. The 17th century Jeongi novel still preserves these themes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trying to make a difference. The work of <Joo-Saeng-Jeon> shows that The passionate love, the firm oath, can be corroded before the power of time and destiny. In addition, <Wun-Young-Jeon> defends the feelings of love that can not be suppressed even by discipline with the value of supreme. In the so-called folk novels of the late 17th century, these forms of diverse characters are extensified and stylized in another direction. The characters such as Soyoo Yang of <Ku-Woon-Mong>, A young nobleman Yoon of <Chang-Sun-Kam-I-Rok> , Woonseong So of <So-Hyoung-Sung-Rok>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they look for their own mates and that their marital relations are also active prosperous figures. However, there is no way to match the qualities of the qualities and the virtues that will illuminate the family. <Chang-Sun-Kam-I-Rok> and <So-Hyoung-Sung-Rok> emphasize that the temperament should be suppressed for the family. The authors of folk novels demanded that women should not be jealous and the bias toward men was criticized as a cause of home-crush. However, the mutual exclusive fantasy of love that Jeon-Gi novels have shaped has not completely disappeared from literature. It emphasized the energy of love, which is both saving and killing people. At the end, we looked at how the shape of this character disappears. First, when novels are extende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male and female groups of gender and the middle and lower levels of the audience, when the writer who demonstrates his or her ability is unable to imagine or sympathize, the hero emerges. The hero form was shaped like Soyoo Yang and Woonsung So, but the hero casts off the fragility of the paperback in its essential qualities. The main characters of present novels have been written about the 19th century are those who have similar qualities to those of a literary talent, or who are mistaken for being resurrected. These novels are ordinary human stories with a vulgar body. 본고는 한국 고소설에서 남성 주인공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문재(文才)에 뛰어나지만 아직 과거로 출세하지 못한 젊은 남성 주인공 ‘재자(才子)’라는 인물 형상이 출현한 것을 조선전기의 전기소설로부터 찾았다. 문치주의가 강화된 조선전기에 이르러서야 재자가 소설의 남성 주인공으로 일반화되었다. 조선전기의 전기소설은 사랑과 신의의 문제를 소설의 주된 테마로 삼았다. 전기소설의 사랑은 직입적이고 충동적으로만 보인다. 하지만 곧 서사는 신의에 기반한 진중한 약속과 헌신의 이야기로 바뀐다. 17세기 전기소설은 이러한 테마를 한편에서는 보존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그것의 변주를 시도하고 있다. 열정적 사랑도, 굳은 맹세도 시간과 운명의 힘 앞에 부식될 수 있다는 것을 <주생전>은 보여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운영전>은 훈육으로도 억압할 수 없는 사랑의 감정을 지고의 가치로 옹호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주생전>과 <운영전>은 사랑의 가치에 대해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소설이다. 17세기 후반의 이른바 규방소설에서는 이런 다양한 재자의 형상이 또 다른 방향으로 극단화되고 정형화된다. 풍류를 좋아하고 여색을 밝히는 ‘풍류재자’는 사대부 남성층의 낭만적인 이상을 담고 있는 인물이다. <구운몽>의 양소유, <창선감의록>의 윤공자, <소현성록>의 소운성 같은 인물들은 스스로 짝을 찾고 부부관계도 능동적인 풍류재자형 인물이란 점에서 서로 닮았다. 하지만 풍류재자의 자질과 가문을 빛낼 덕성이 일치하란 법은 없다. <창선감의록>과 <소현성록>은 가문을 위해 기질을 억제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작품이다. 규방소설의 작가들은 가문을 창달시키고 일부다처의 중혼관계를 옹호하기 위해 여성들에게 질투하지 말기를 권장하며 남성들에게는 치우친 사랑을 가중화란의 원인으로 비판적으로 지목했다. 하지만 상호독점적인 사랑의 속성을 벗어난 부부관계는 유희이거나 예의의 관계, 아니면 우정적 연대일 뿐이다. 그렇다고 전기소설이 형상화했던 상호독점적인 사랑의 환타지가 문학사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야담이나 필기 등 한문단편소설을 통해 이는 지속된다. 여기서는 사람을 구원하기도 하고 파멸시키기도 하는 사랑의 힘이 강조된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재자의 형상이 어떻게 소멸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소설이 사대부 남성층이나 규방 여성층의 범위를 넘어 중하층 독자층에게까지 확산되었을 때 영웅소설의 영웅 형상이 출현한다. 영웅은 재자의 후예이지만 재자의 자질을 무력으로 바꾸어놓는다. 재자를 추락시키는 것은 세태소설도 마찬가지다. 19세기 세태소설은 재자의 형상이 유지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科場의 안과 밖

        김혈조(Kim Hyul-jo)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8 No.-

        본 논문은 과거 시험장의 풍경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실시된 과거시험은 그 종류와 횟수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科場의 풍경을 일반화하여 말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논문은 특히 無名子 尹愭(1741∼1826)가 남긴 기록을 통해서, 과장의 풍경을 살펴보았다. 과거장의 모습에 대해서 윤기만큼 많은 자료를 남긴 사람은 없다. 윤기의 눈에 포착된 과장은 국가의 인재를 선발하는 공정한 장으로서의 모습이 아니었다. 권력을 가진 자, 재력을 가진 자들이 자신의 자제를 합격시키기 위해 부정과 부패를 자행하는 타락한 현장이다. 여기에 시험을 공정하게 관리하고 채점해야 할 시관이 부정에 개입되어 있었다. 한편 당쟁의 폐해는 과거 합격자 선정에도 나타나서 집권당이 합격자를 독식하기까지 하였다. 윤기가 파악한 과장의 문란을 통해서, 우리는 18,9세기 행해진 과거는 국가의 교육 및 인재 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긍정적인 제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할 제도인 과거 시험이 재력가나 권세가의 횡포로 멋대로 운영되고 있다는 현실에서 조선조 정부는 국가로서 사회 정의를 실현하거나 합리성을 가질 최소한의 물리적 정신적인 힘조차 가지지 못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mmon sights of the gwageo exam rooms. It is not easy to generalize the gwageo exam take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the findings because there were numerous kinds and frequencies of the exam. Therefore, the paper looks at the common sights in the gwageo exam rooms through the record by Yun Ki(1741∼1826), a mediocrity. No one has left many materials on the real faces of the gwageo exam like Yun Ki. The gwageo exam room that has come to his eye was not a fair system to select talented people. It was the corrupt scene where powerful and rich people committed all kinds of corruption and illegality to pass their son. Examiners should manage the gwageo exam fairly, however, they were involved in cheating on the exam. The harmful effect of the party strife was also reflected on selecting successful candidates and a ruling party possessed them exclusively. The gwageo exam should be linked closely with national education and selection of talented people, but we know through disorder and confusion of the gwageo exam caught by Youn, Ki that the exam taken in 18th and 19th century lost its function as a positive system. The exam should be managed in a fairest way, however, it was run by the tyranny of the wealth and the power as they pleased. We can see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did not have a minimal physical and mental capacity to realize a social justice and to demonstrate ra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