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정선호,서동기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1

        The goals of this article are to (1) describ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2) provide conceptual overview of how to examine each type of integration between mediation and moderation, including analytical strategy and interpretation of numerical results; (3) demonstrate how to analyze each using real data sets. The authors focus on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because it remain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ssessing mediation and moderation in behavioral research. We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mitigate confusion over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d thus can enhance the frequency of tests of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in the literature. 행동과학 연구자들은 흔히 회귀모형을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를 통해 질적으로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최근에는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역할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 이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시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자들이 이 통합모형의 개념적 구분과 분석절차의 적용에 있어 적지 않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연구모형과 통계모형 측면에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이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 회귀분석 접근법은 이 통합모형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단계적 분석방법을 따르므로 이론개발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본문에서 먼저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개념적 구분과 방법론적 배경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Baron과 Kenny(1986)가 처음으로 소개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James와 Brett(1984)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다회귀모형에 바탕을 두어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둘을 단일분석모형으로 통합한 Muller, Judd와 Yzerbyt(2005)의 회귀분석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이 접근법에 의해 각각의 분석전략과 검증방법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논의된 연구방법에 따라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PROCESS(Hayes, 2012)를 통해 보여준다. 저자들은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들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통합모형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도를 높이고 이론개발 단계에서 회귀분석 접근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경험연구를 수행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그들이 이 논문을 기초로 경로분석 접근법(조건화 과정 모형)으로 연구방법의 폭을 넓혀나가기를 희망해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신뢰수준이 경제적 규제 강도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와 시장신뢰의 차이

        문창웅 ( Moon Changwoong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5 No.2

        본고는 World Value Survey(WVS)와 Europe Value Survey(EVS)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부신뢰, 시장신뢰, 상호작용항(정부신뢰*시장신뢰)이 경제적 규제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에서는 패널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신뢰는 부동산 관련 규제 강도에서 그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시장신뢰는 전반적인 규제 강도, 사업 시작 시 규제 강도, 신용시장 규제 강도, 기업의 조세순응 비용 등에서 경제적 규제 강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상호작용항의 경우 사업 시작 시 규제 강도에서 음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음의 조절효과는 정부신뢰가 높고 시장신뢰가 낮으면 규제 강도가 올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를 통해 다차원적 신뢰가 동일한 규제 상황에도 서로 다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government trust, market trust and interaction terms (government trust*market trust) on economic regulatory strength by using World Value Survey(WVS) and European Value Survey(EVS). In the analysis, I use the mediation effect regression analysis with a panel fixed effect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government trust increases the strength of real estate-related regulations, and market trust plays a role in lowering economic regulations in the strength of overall regulation, business entry regulation, and credit market regulation, and the cost of coporate tax compliance. Also, there is negative interaction term between government and market trust in the strength of business entry regulation. Negative mediation effect means that higher regulatory strength if government trust is high but market trust is low. The results show that multi-dimensional trust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regulatory strength.

      • KCI등재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4

        Recently, the number of studies examining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has been increasing with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Both types of effects hold much potential for furthering our understanding of complicated 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also identifying variables that counselors may need to focus their attention in counseling practice. However, there is confusion over the meaning of and differences between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 re to (a) conceptually differentiate between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and (b) describe how to test each type of effect. The author focuses on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detect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In particular, the author introduces Ping's (1996) two-step approach to analyzing moderator eff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udies involving continuous moderators. 최근 들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들이 상담심리학 분야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는 상담심리학자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다양한 심리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변인들 간에 존재하는 복잡한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담실제에서 보다 초점을 두고 개입해야 할 변인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여전히 혼란스러워 하고 있는 듯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 분석 절차를 기술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는 다중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소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서 자료를 분석할 때 많이 사용하는 문항꾸러미와 부트스트래핑 절차에 관해서도 기술하였다.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소개하였는데, 특히 예측변인과 조절변인이 모두 연속변인일 경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할 때 많이 사용되는 Ping(1996)의 2단계 접근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체육 분야의 인과관계 연구에서 매개변인의 효과 검증

        이기봉 ( Gee Bong Lee ),김영숙 ( Young Sook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분야의 인과관계 연구에서 매개변인과 매개효과의 의미를 설명하고,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것이다. 매개변인은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가 검증되어 왔다. 회귀분석은 비교적 적은 표본수에서 얻어진 자료에 적용할 수 있지만, 측정의 오차를 설명하지 못하고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을 통해 종속변인을 설명하는 간접효과의 표준오차를 제공하지 않아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복잡하다. 반면, 자료가 정규성 등의 가정만 만족한다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개효과 검증 방법으로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모두 소개하였고, 실제 연구에서 사용된 스포츠심리학 분야의 자료를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에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thods and procedure of examining mediation effect. A mediating variable is a variable which mediates the 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Regression model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ating variable in social science. However, the regression model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take account the measurement error and does not provide the standard error for the indirect effect of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let us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methods and procedure of applying regression model and SEM in examining mediation effect are described and compared in this paper along with examples.

      • KCI등재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변화몰입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 분석

        김대원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1

        Supposing that Authentic Leadership (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PC) may affect positively follow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COC),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on employe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incorpora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explore it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on the employe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using a sample of 175 public workers in Korean government organization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after establish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was verified by Cronbach’s α. Measures of the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and th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s’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Additionally, medi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Consequently,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positiv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public employe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but also the positive medit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of government employees. 최근 민간조직을 중심으로 조직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조직에 대한 구성원들의 변화몰입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면서 이의 예측변인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연구들은 대부분 민간조직을 대상으로 변화몰입의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있지만 관료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심리적 주인의식(psychological ownership)을 자극할 수 있는 오센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과 같은 심리지향적 영향변인들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조직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조직운영의 실질적 주체인 관료들 스스로 외부의 지시나 통제와는 상관없이 조직변화에 대한 긍정심리를 자극하여 조직변화몰입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가정하에 조직변화몰입의 영향변인으로 오센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을 선정하여 이들 변인들간 구조적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분석 결과, 오센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은 관료들의 조직변화 몰입의 중요한 영향변인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긍정심리자본은 오센틱 리더십과 변화몰입간 관계에서 매개역할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의 성과지향적 가치관에 매몰되어 관리통제의 대상으로 전락한 관료들의 심리적 주인의식을 고취하여 조직변화에 대한 자기 주도적 참여를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센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점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사회복지공무원의 문화성향과 직무만족의 관계: 성과보상에 대한 공정성 인식의 매개효과 검증

        한승주 ( Seungjoo Han ),주재현 ( Jaehyun Joo ),임지혜 ( Ji-hye L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개인에게 내재된 문화성향이 자신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조직으로부터 받는 성과보상의 공정성이 매개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문화성향은 집단성과 격자성으로 구성하였고, 성과보상은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으로 나누어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매개회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공무원의 집단성 성향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그러한 관계에서 성과보상의 공정성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회공동체와 소속 조직에 강한 연대감을 보이는 공무원이 조직의 성과보상의 과정과 결과가 보다 공정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을 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격자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성과보상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논의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한 성과보상제도의 마련이 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중요하다는 주장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le of perceived justice on performance-based rewa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in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perceived justice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measured by two theoretical dimensions- group dimension and grid dimension. Mediating regression model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justice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dimens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group dimension on job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perceived justice. However, the grid dimension did not statistically affect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mean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with strong social solidarity perceive their organizational procedure and distribution of reward as more fair. Also, these findings support the argumentation of previous researches that fairness of performance-based reward can be a key element to increase public official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전문계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취업 후 현재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검증

        정승철,천영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13년에 실시한 고졸자취업진로조사(HSGES) 자료를 사용하였다. 응답자 중에서 조사시점 당시에 일자리가 있는 전문계고 졸업자를 분석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추출된 고교생의 재학 중 취업지원과 진로지도가 현재 다니고 있는 일자리에서 본인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관계 가운데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편, 총 2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진로성숙도는 총 5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는데, 계획성, 자신지식, 진로행동 요인은 Cronbach 알파값이 모두 0.6 이상으로 나타나 모든 문항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독립성과 태도는 Cronbach 알파값이 0.6 이하로 나타나서, 각각 2개 문항씩을 제거한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진로성숙도 중에서 계획성, 독립성, 자신지식, 진로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태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재 일자리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진로성숙도인 계획성, 독립성, 자신지식, 진로행동 등은 모두 현재 일자리 만족도에 정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career planning program (employment support program, career guidance) of occupational high school and satisfaction with present job. For this purpose, HSGES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survey) data of KEI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used and our target sample was occup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ving their job at the point of the surve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lanning, independence, own knowledge, course action of career maturity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one hand, and that attitude of career maturity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another hand. Furthermore, the results also showed positive influence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planning, independence, own knowledge, course action) on satisfaction with present job. Implications for career interventions and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공동주택 세대특성이 시장체류기간에 미치는 영향

        양재영,고진수 한국도시부동산학회 2019 도시부동산연구 Vol.10 No.3

        Pre-sale performance is a micro indicator of the supply and demand of housing market. Nevertheless, research on pre-sale outcome is insufficient due to data limit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that affect the days on market(hereafter DOM), and also considers the effects of apartments characteristics on the DOM by mediation sale price. This study tries to acquire and analyze pre-sale data that are difficult to obta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As a result, the mediation effect of pre-sale price was confirmed as partial mediation effect, and the increase of pre-sale price was shown to increase the DOM in the market as a whol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is found that providing good conditions of view, sunshine and ventilation such as small area, south facing, high floor, and direct airflow and lowering the sale price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al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