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방식 연구 -전략적 특성을 중심으로-

        김선정,강현자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언어와 문화 Vol.8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married woman immigrants communicate in Korean using their insufficient Korean proficiency. For this study, the colloquial discourse of five married woman immigrants from China, the Philippines and Vietnam was recorded. Nonverbal communication was observed using a face-to-face interview method. According to the discourse analysis, married woman immigrants applied various kinds of communicative strategie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ir counterparts due to their imperfect Korean proficiency. The married woman immigrants often repeat the counterpart's illocutionary actions or their own ones. Especially, the repeat of their own illocutionary actions is one which is not found in native speaker's Korean. They often use the mimic method, including gestures and voices, and request the counterpart's language help when needed. The mimic method is especially a direct imit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difficulties in the change from a direct speech into an indirect speech. Teach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s a plan to overcome some problems during communication should be conducted. The communication strategy should focus on the interactive strategy and the linguistic one to continually improve Korean proficien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married woman immigrants communicate in Korean using their insufficient Korean proficiency. For this study, the colloquial discourse of five married woman immigrants from China, the Philippines and Vietnam was recorded. Nonverbal communication was observed using a face-to-face interview method. According to the discourse analysis, married woman immigrants applied various kinds of communicative strategie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ir counterparts due to their imperfect Korean proficiency. The married woman immigrants often repeat the counterpart's illocutionary actions or their own ones. Especially, the repeat of their own illocutionary actions is one which is not found in native speaker's Korean. They often use the mimic method, including gestures and voices, and request the counterpart's language help when needed. The mimic method is especially a direct imit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difficulties in the change from a direct speech into an indirect speech. Teach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s a plan to overcome some problems during communication should be conducted. The communication strategy should focus on the interactive strategy and the linguistic one to continually improve Korean proficienc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 현황과 교육법적 과제

        박지인(Park, Ji In) 대한교육법학회 2021 敎育 法學 硏究 Vol.33 No.2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는 이주한 국가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문화・정치적 통합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지역사회참여는 지역사회에서 상호작용을 위한 다양한 모임 및 활동에 참여하거나, 자신의 삶과 관련된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활동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는 다양한 유형의 참여에 대한 논의와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의 의의와 유형을 살펴보고, 관련 법제도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참여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 현황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도권 거주 결혼이주여성 210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참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법제도에서는 사회적응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 지원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설문조사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 교육문화 프로그램에 가장 높은 참여를 보이고 정책참여에 가장 낮은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구성원으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참여에 대한 시각의 전환,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실효성 있는 정책참여 기회의 확대, 일반 시민의 다문화인식 개선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s important meaning in forming individual identity in the country they have immigrated to and having positive effect on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integration. Community participation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participation in various meetings and activities for mutual interactions in one’s local community and in activities aimed at exerting influence on policy-making process related to one s life. However,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s been limited so far in that discussions about various types of particip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have not been made.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typ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how institutional support for such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s reflected in relevant legal system. In addition, a survey on community participation was conducted with 210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empirically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support focused on social adaptation education is mainly reflected in relevant legal system.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show the highest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provided mainly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e lowest participation in policy affai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as ways to activate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change of perspective on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as members of society,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and reinforced support for vitalization of policy participation through ordinances, and reinforced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improve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ordinary citizens.

      • KCI등재

        우리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 연구

        구번일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The Korean novels that deal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increased sinc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 as subaltern in Korean novels, especially focusing on Jung In's <The place of the woman>, <Time with the other>, and Paik ga-huim's <Puy, Thuy, Whatever>. These novels reveal married immigrant women's dreams, hardship, and oppression in a Korea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ncrease rapidly in our society ar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undergoing multiple discriminations such as nationality, race, gender, mother-language et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s well as focuses on their subalternity. The notion of Subaltern is from Gayatri Chakravorty Spivak’s article, can the subaltern speak? Based on subaltern and Spivak'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our responsibil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altern cannot speak means that “the subaltern’s utterance cannot be heard to us.”Therefore, we must rethink who we are against them and where our positions are, so that our identities can consist in nomadic subjectivity. This study focusing on these perspectives can contribute to social unification by acce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our society as not the strangers but our true neighbors. 이 글은 정인의 단편소설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백가흠의 단편소설 <쁘이거나 쯔이거나>를 중심으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의 재현방식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소설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은 이방인으로서 언어의 문제, 정체성 구성, 한국 가족 안에서의 자리 찾기, 상징적이거나 실제적인 죽음의 메시지 등, 여러 문제들에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우리 사회에서도 소설에서도 단일하고 전형적인 재현체계 안에 갇혀 있을 뿐 이들의 다양한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특별히 스피박의 하위주체 연구를 통해 이 작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의 복합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이 매우 적절하기 때문이다. 스피박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고 한 맥락을 살피면서, ‘하위주체의 말없음/말할 수 없음’에서 하위주체의 말을 ‘듣지 않음/들을 수 없음’의 층위로의 이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더불어 하위주체 연구는 ‘그들’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우리/의 위치’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하는지의 질문이어야 한다. ‘하위주체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우리가 하위주체라 규정하는 이들과 함께 살고 있는 ‘우리’는 누구인가. 이런 질문은 우리가 여전히 ‘이방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이들이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고, 하위주체에게 목소리를 돌려준다거나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행위에 선행해야 하는 것임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이주와 이산의 주체들에 대한 논의에서 흔히 거론되는 ‘유목적 주체’는 이동하는 ‘그들’이 아니라 ‘정주민’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생활 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결혼 동기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선주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8 디아스포라 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종교적 동기에 의한 결혼을 한 일본인 결혼이주여성과 자유연애 결혼을 한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이 가족생활에서 겪는 갈등의 차이를 현상학적 접근방법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을 결혼 동기별로 나누어 이들이 겪는 한국의 가족생활 갈등을 비교함으로써 그들이 겪은 경험의 ‘의미’ 속에 내재된 ‘본질’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 연구 문제를 위해 수도권 지역에서 가족갈등을 빚고 있는 종교적 동기에 의한 결혼을 한 참여자 5명과, 자유연애 결혼을 한 참여자 5명을 의도적 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만 6개월간 비구조화된 방식, 반개방형 방식으로 23회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Colaizzi의 분석방법으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은 첫째, 결혼 초기에 시댁에서의 자리매김을 하는 과정의 차이가 있었고 둘째, 원가족 지지기반의 차이가 한국에서의 정착의지, 산후조리, 가족행사 참여 마음가짐 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결혼할 때부터 차이가 난 한국에 대한 관심과 경제력은 한국어 구사 능력과 한국 음식 적응 나아가 시댁의 경제적 지출에 대한 갈등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종교생활 여부는 가부장적 문화 수용과 일본인 자부심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onflicts between Japanes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arried by religious motives and Japanes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arried after free dating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this study, five participants who married by religious motive and five who married after free dating were selected by intentionally sampling method and snowball sampling method in a 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23 in-depth interviews in an unstructured and semi-open manner for six months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Colaizzi’s method. First,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positioning in the family in the early marriage. Second, the difference in family-of-origin support bases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settle in Korea, postpartum care, and attitude to participate in family events. Third, the interests of Korea and economic abiliti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time of marriage, showed the difference of conflict between Korean ability and Korean food adaptation and economic expenditure of in - laws. Fourth, religious life was influential in patriarchal culture acceptance and Japanese self–esteem.

      • KCI등재

        학문후속세대,신진연구자들의 한국어문학 및 문화 연구의 동향과 방향 : 우리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 연구

        구번일 ( Bun Il Ku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이 글은 정인의 단편소설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백가흠의 단편소설 <쁘이거나 쯔이거나>를 중심으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의 재현방식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소설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은 이방인으로서 언어의 문제, 정체성 구성, 한국 가족 안에서의 자리 찾기, 상징적이거나 실제적인 죽음의 메시지 등, 여러문제들에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우리 사회에서도 소설에서도 단일하고 전형적인 재현체계 안에 갇혀 있을 뿐 이들의 다양한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특별히 스피박의 하위주체 연구를 통해 이 작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의 복합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이 매우 적절하기 때문이다. 스피박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고 한 맥락을 살피면서, ‘하위주체의 말없음/말할 수 없음’에서 하위주체의 말을 ‘듣지 않음/들을 수 없음’의 층위로의 이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더불어 하위주체 연구는 ‘그들’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우리/의 위치’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하는지의 질문이어야 한다. ‘하위주체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우리가 하위주체라 규정하는 이들과 함께 살고 있는 ‘우리’는 누구인가. 이런 질문은 우리가 여전히 ‘이방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이들이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고, 하위주체에게 목소리를 돌려준다거나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행위에 선행해야 하는 것임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이주와 이산의 주체들에 대한 논의에서 흔히 거론되는 ‘유목적 주체’는 이동하는 ‘그들’이 아니라 ‘정주민’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Korean novels that deal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increased sinc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 as subaltern in Korean novels, especially focusing on Jung In``s <The place of the woman>, <Time with the other>, and Paik ga-huim``s <Puy, Thuy, Whatever>. These novels reveal married immigrant women``s dreams, hardship, and oppression in a Korea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ncrease rapidly in our society ar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undergoing multiple discriminations such as nationality, race, gender, mother-language et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s well as focuses on their subalternity. The notion of Subaltern is from Gayatri Chakravorty Spivak’s article, can the subaltern speak? Based on subaltern and Spivak``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our responsibil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altern cannot speak means that “the subaltern’s utterance cannot be heard to us.” Therefore, we must rethink who we are against them and where our positions are, so that our identities can consist in nomadic subjectivity. This study focusing on these perspectives can contribute to social unification by acce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our society as not the strangers but our true neighbor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상남도 창녕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황인옥 ( In Ok Hw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창녕군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128명이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한국어 사용능력, 가족관계, 생활에서의 차별로 나타났다. 4개 하위변수별 영향변인을 살펴보면, 의사소통상 적응의 경우 한국 거주기간, 한국어 사용능력, 생활에서의 차별, 사회적 교류(한국인, 이민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 적응의 경우 한국어 사용능력, 생활에서의 차별, 한국인과의 교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적응의 경우 한국어 사용능력, 가족관계, 생활에서의 차별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심리정서적 적응의 경우 한국어 사용능력, 가족관계, 생활에서의 차별, 이민자와의 교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수준별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시 및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차별을 예방하고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교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suggest proposals for policies to improve social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search subjects are 128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living in Changnyeong-Gu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found to be the ability to use the Korean languag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discrimination in living. Looking at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four sub-variables, the factors including residence period in Korea, ability to use Korean, discrimination in living, and social interactions(Koreans, immigrants)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adaptation of communication. The factors including ability to use Korean, discrimination in living, and interactions with Koreans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adaptation of human relationships. The factors including ability to use Korean,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discrimination in living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acculturation. And the factors including ability to use Korean, relationship with family, discrimination in living, and interactions with immigrants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daptation. The suggestions of polic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carried out by level. Second, various programs for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of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carried out and strengthened. Third,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prevented and social awareness should be improved continuously. Fourth, social interac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need to be strengthened.

      • KCI등재

        이주여성 정책 제언을 위한 일본의 이주여성 관련 다문화공생정책 연구

        임미영,박나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8

        Japan declared its entry into a multi cultural society in the 1980s, about 20 years before Korea, and has been implementing the so-called Multi Cultural Commensalism policy. Thus, it appears to be an appropriate reference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Korea's multi cultural polic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This is because, even among multi cultural related groups, married immigrant women and female immigrant workers are at a social disadvantag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Japan's Multi Cultural Commensalism policies related to women were characterized as local government-led policy implementation, the alien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resulted from relatively high interest in female immigrant workers, the absence of a basic law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ourse supporting married immigrant women. However, the enactment of Domestic Violence Law and an increase in availability for the Survival Japanese education including ‘Easy Japanese' and the protection policies for the aged immigrant women seemed to have greater progress in the long term. Privy to this analysis, in order to have an efficient plan and enactment of Korea's future policy regarding immigrant women,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infus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more flexibility by local governments, the need to build a larger shar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long with ensuring government's commitment to female immigrant workers and the activation of immigrants voluntary council.

      • KCI등재

        결혼이민 여성의 한국어 학습과 언어사회화

        강나영 ( Na Young Ka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9 韓國文化人類學 Vol.42 No.1

        본 연구는 결혼이민 여성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학습과 언어사회화를 연구 주제로 하여 연구대상 여성들이 한국어의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배우고 의사소통하는지에 대하여 살피고, 이를 통해 결혼이민 여성이 한국 문화에 적응하는 한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어 화자는 지시적 기능은 동일하지만 사회적 기능이 다른 호칭어와 존댓말을 한국언어문화의 규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즉 한국이라는 언어공동체의 화자와 청자로서의 적절한 사용 규칙에 대한 문화적 지식을 습득하여야 한다. 그리고 호칭어와 존댓말은 외국인 언어 학습자의 입장에서도 학습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며, 동시에 학습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외국인 부인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그중에서도 호칭어와 존댓말 학습 및 사용에 대한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결혼이민 여성의 한국어 호칭어, 존댓말 학습 및 사용의 양상에 대한 관련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호칭어, 존댓말 사용의 상이한 의사소통 능력을 가능케 한 연구대상 여성들의 언어사회화 과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결혼이민 여성들의 가족관계 및 결혼이민 여성 관계의 호칭어, 존댓말의 사용 양상에 대하여 기술하고(제2장), 둘째 연구대상 여성들의 호칭어, 존댓말 학습 및 사용에서 보이는 주요 특징들에 대해 살피고(제3장), 셋째 연구대상 여성들이 의사소통 능력에서 보이는 변이의 양상과 다양한 언어사회화 과정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제4장). 이상의 연구 질문의 결과를 통해 언어의 학습은 언어적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문화적 지식의 습득에 의해서도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언어적 지식과 문화적 지식의 적절한 습득을 위해서는 가정이라는 한정된 언어생활에 머무르지 않고 가정 외부사회에서 적극적이고 다양한 언어사회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acquisition of Korean communicative competence by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hrough description of the terms of address and honorifics us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rough explanation of the process of their language socialization to acquire Korean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illustrates how the women are culturally assimilated into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Korean communicative competence of subjects by describing the terms of address and honorifics used when speaking to kin, and when speaking to othe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communicated actively with relatives and women of their own nationalities but only few of the subjects were active outside of their family. There was a tendency to have minimal contact with Koreans outside of their family and the tendency seemed more pronounced for those who have spent a shorter time in Korea. The married immigrant women used different communicative strategies based on social identities, which change according to situation and participants. They made effort to use language that is sociolinguistically appropriate when speaking to Korean family members and used honorifics even when they are not necessary. Thus, they overgeneralized the use of honorifics. On the other hand, in communicating with women of their own nationalities, they transferred the sociolinguistic rules of their mother tongue to communicate in Korean.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the background or the process of language socialization, which impacted the variations in Korean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ed on the use of Korean outside of their home, this study situates the process of language socialization in a background beyond the family, where married immigrant women practice the use of various terms of addresses and honorifics. In conclusion, it has been determined through this study that learning terms of address and honorifics is very importan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relocated to agricultural regions of Korea. Furthermore, the immigrants were able to acquire higher competence by being actively involved in activitie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ir famil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show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not only daughter-in-laws, wives, and mothers but also members of Korean society who are able to play their role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공적제도에 미치는 영향

        이소영 ( Soyoung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형성정도와 공적제도의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6부의 표본을 활용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신뢰, 네트워크, 참여, 호혜성, 규범)과 공적제도(출입국관리법, 결혼중개업법, 국적법, 다문화가족지원법,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사회통합 프로그램, 다문화가족지원조례)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중 신뢰가 가장 높고, 참여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공적제도 중 다문화가족지원조례 만족도가 가장 높고 결혼중개업법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출신국별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 호혜성, 참여, 규범은 차이를 보였고, 연령별 네트워크, 참여, 규범은 차이를 보였다. 직업유무별, 결혼과정별, 체류자격별 참여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중 신뢰, 네트워크, 참여, 규범은 공적제도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규범과 참여가 높을수록 국적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 활성화는 주체적ㆍ자발적으로 사회문제에 참여하고 협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이 개선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주민의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ㆍ수용하는 태도가 향상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capital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rmed in Korean society to grasp the satisfaction with related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6 to March, 2016. Here, total 216 sampl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immigrants on public institutions. This research focuses on social capital and public institutions as the main factors for the realization of identity politics of married women immigrants.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etermined as trust, network, participation, reciprocity and the norm of social capital and dependent variables are considered as immigration law, marriage brokerage law,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law, foreigners’ treatment law,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for th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with its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rust, network, participation, and norms of social capital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higher level of the norms and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f nationality. Activation of social capital by married women immigran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and integrate to participate in social problems. It is hoped that the awareness of community residents, and the attitude of recognizing and accepting various diversity of migrants including women married immigrants will be improv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대상 교육용 한자성어 목록 선정 방안

        이춘양,조지형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국내 체류 결혼이주여성 중 10년 이상 장기 정착비율이 증가하고(48%) 5년 미만의 단기 정착비율은 감소(16%) 하는 오늘, 결혼이주여성 중심 한국어 교육 및 연구는 여전히 초기 입국자에게만 집중돼 있다. 체류 기간별 맞춤형 한국어 교육 및 교재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본 연구는 초기 입국자가 아닌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녀양육기, 자녀교육기 및 가족역량강화기에 해당하는 결혼이주여성 중심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성어의 활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및 교재 개발에 적합한 한자성어 목록 선정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한자성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의 언어학습·정보획득 측면, 인간관계·생활태도 측면, 문화이해·사회적응 측면, 자녀 양육·학습지도 등 측면에 큰 도움을 줄 수가 있어, 결혼이주여성 중심 한국어 교육에서 지도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이와 더불어 결혼이주여성 중심 한국어 교육 및 교재 개발에 적합한 한자성어 130개를 4단계 과정을 걸쳐 교육용 목록을 선정 및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향후 결혼이주여성 중심 한국어 교육연구 및 교재 개발에 활용되는 참고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South Korea nowadays,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proportion of long-term residents living in Korea for more than 10 years is increasing continuously(48%), while the proportion of short-term residents who are under 5 years is decreasing(16%).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in the Marriage and Immigration Women's Center are still focused on the initial immigrants. Therefore, we should classify married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stay time in Korea, so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more diversified. This study focuses on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proficiency and chooses a catalogue of Chinese characters idio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educational value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dioms in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Chinese characters idiom education can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information acquis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attitudes, cultural understanding and social adaptation, child rearing and learning guidance. This is the important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needs to be guid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this, 130 Chinese characters idio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centered on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selected and catalogue edited in four stage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and textbook developmen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