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소비자의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소비요인 실태 분석

        박세영,김상만,김희걸,이상현,허용봉,강종원,이종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5

        한국과 중국은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육류 소비 패턴이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이 육류를 구매함에 있어 구매요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나타난다면 그 요인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7년 8월 28일부터 9월 11일까지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한국과 중국 길림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 설문조사에서 339부, 중국 설문조사에서 305부를 회수하여 총 64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한․중 양국 소비자의 육류 구매요인 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MANOVA분석을 이용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Ordered Probit분석을 통해 각 육류 소비요인과 국가, 나이, 성별 등의 변수 간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얼마인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한국과 중국 길림성의 육류 소비요인은 마블링 요인에서만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타 요인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rdered Probit분석 결과 마블링을 제외한 모든 육류요인은 양국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응답자의 경우 육류 구매 시 중국 길림성의 응답자보다 맛, 품질, 판매가격, 판매장소, 안전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중국 길림성의 응답자의 경우 한국의 응답자보다 브랜드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meat consumption has been showing a rapid change in both two countrie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a meat consumption related questionnaire has been conducted to both Chinese(Jilin Province) and Korean consumers from August 28th to September 11th, 2017.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MANOVA analysis. T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and variables such as nation, age, and gender by Ordered Probi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bling as a meat purchasing factor between Jilin province and Korea, and other fact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dered Probit analysis result, all meat purchasing factors except marbling were found to be different by countries. Korean thinks that taste, quality, selling price, place of sale and safety are more important than Jilin province's consumers in China when purchasing meat, and Jilin province's respondents think brand is more important than Korean consumers.

      • KCI등재

        여자 청소년들의 무용유형에 대한 태도: 시대간 비교

        임정희 ( Lim Jeong-hee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는 의미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 여학생들의 순수무용에 대한 태도를 구명하고 이들의 태도는 1998년에 조사된 결과와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본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17개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방법에 의해 선정된 928명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의미분석척도의 형용사 군은 Osgood, Suci, Tannenbaum (1957)로부터 요인별로 높은 부하량을 나타낸 14쌍의 형용사를 허경자(1998)가 ‘일반여학생의 무용유형에 대한 태도’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이다. 산출된 신뢰도계수(Cronbach's α)는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를 대상으로 했을 때 각각 .789, .816, .777로 나타났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일차적으로 다변량분석(MANOVA)방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MANOVA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경우 세 개 요인 각각에 대해 2요인 혼합모형 ANOVA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원 MANOVA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무용유형별 세 가지 태도요인간에는 Hotelling의 T<sup>2</sup>=238.59, p<.001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결과 첫째, 세 가지 무용유형에 대한 ‘가치평가’와 무용의 ‘활동성’, ‘활력성’에 대해 여학생들은 차별적으로 지각하고 있다. 여학생들은 한국무용의 가치를 가장 높게 평가(M=5.5)하고 있으며, 현대무용은 가장 활동적(M=5.1)이고 활력적(M=5.0)이라고 지각하고 있다. 둘째, 여학생들의 무용에 대한 태도 즉, ‘무용에 대한 가치평가, 무용의 활동성과 활력성‘에 대한 지각은 지난 20년 동안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different type of dance perceived by the female youth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ir attitudes between 1998 and 2017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928 female youths selected by convenient samples from 17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ttitude toward dance was measured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such as evaluation, activity, and potency, developed by Osgood, Suci, Tannenbaum (1957). 14 adjective bipolar items selected on the basis of validity stud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dance. Cronbach alpha was calculated and resultant values of .789, .816, and .777 for three dimensions. MANOVA and 2-factors mixed ANOVA were used and alpha level was set at .05. Significant attitude differences across three dance types such as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were revealed within the female youths, Hotelling's T<sup>2</sup>=238.59, p<.001. Female youths in general showed a high positive attitude toward 'evaluation factor' (M=5.5) for Korean dance and 'activity factor' (M=5.1) and 'potency factor' (M=5.1) for Modern dance, whereas relatively a low attitude toward three factors for Ballet with the lower than 4.9 of mean. The attitude toward dance of female youths, more specifically for all other attitude dimensions except potency for Ballet (p=.17, d=0.06), has positively changed during last 20 years.

      • KCI등재

        정부 R&D의 사업효과성 비교 연구

        한정숙,안성용,김학균 한국혁신학회 2017 한국혁신학회지 Vol.12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differences of government R&D program in the perspectives of inputs, activities and outputs, which are executed in the region. MANOVA method is applied to prove the differences of among the program groups divided by ownerships and characteristics. Gyeonggido-owned program acquired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nation-owned program in the perspective of inputs. in addition, any significant difference is not found between R&D and R&D support programs in the all perspectives: input, activites and outputs. The empirical results imply to policy-makers that regional innovation actors has proper level of operational excellence to manage the government R&D program. 본 연구는 지역에서 수행된 정부 연구개발 사업에 있어 계획, 관리, 성과 측면의 차이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년도에 경기도에서 실행된 국가 연구개발 사업과 경기도 자체 연구개발 사업의 평가결과에 대해 MANOVA를 시행하였다. 차이분석을 위한 사업군은 사업 기획 주체와 사업 성격에 따라 설정하였다. 먼저, 사업 기획 주체에 따른 비교를 위해서는 경기도 기획 사업군과 국가 기획 사업군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계획 측면에서는 지자체 기획 사업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업 성격에 따른 비교를 위해서는 R&D 사업군과 R&D 지원 사업군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계획, 관리, 성과의 전 영역에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는 지역에서 기획한 연구개발 사업은 국가가 기획하고 지역에서 실행하는 연구개발 사업보다 계획 측면에서 지역 여건에 대한 부합도 높고, 관리와 성과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으로부터 지역 혁신 주체가 정부 R&D 사업을 효과적 추진하기 위한 기획 역량과 운영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국가별 의료관광 정부 공식 웹사이트 비교 분석

        진기남(Ki-Nam Jin),이은주(Eun-J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의료관광 정부 공식 웹사이트와 경쟁국인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의료관광 정부 공식 웹사이트의 컨텐츠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의료관광 잠재고객의 웹사이트 이용 평가를 분석하였다. 이용자 평가에는 크게 웹사이트 주관적 인식 평가와 접근성 평가로 나누어진다. 주관적 인식 평가는 만족도와 충성도로 측정하였고, 접근성 평가는 주어진 제시어를 찾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분석에는 총77 케이스가 포함되었고, 세 국가의 비교분석을 위해 M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말레이시아 의료관광 정부 공식 웹사이트가 접근성과 주관적 평가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두 평가 모두 국가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fficial medical tourism websites in several countries. We compared the websites of three countries using the 4 criteria(e.g.,contents, convenience, design, interactivity). The evaluation of accessibility and subjective perception were conducted by websites users. Total 77 ca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MANOVA was used. According to the MANOVA analysis, The Malaysia website received the highest mark in accessibility and subjective perception. Each of the evalu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untries.

      • KCI등재

        학습자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생애핵심역량 차이 분석

        강명희,김은희,유영란,김보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4

        국가경쟁력의 근간이 되는 우수 인재양성의 중추기관인 대학은 대학생의 생애핵심역량을 최대한 배양하기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혁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생애핵심역량을 탐색하고(지식구성, 정보수집, 문제해결, 자기가치관, 책무실천, 사회화), 이를 학습자특성(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비교하여 대학교육에서의 시사점을 확인하고 혁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 소재 K 대학 진로관련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20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애핵심역량을 조사하고, 학습자특성에 따른 생애핵심역량의 차이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문제해결과 책무실천 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에 따라서는 사회계열 학생이 인문계열 학생에 비해 문제해결 역량이 높게 나타났고, 공학계열 학생이 인문계열이나 자연계열 학생에 비해 책무 실천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 간의 생애핵심역량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교육 혁신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기반 교수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s the level of the life core competenc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life core competencies by gender, school year, and major fields. For this study, 209 undergraduate students answered the survey in Ko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problem-solving and responsibility-practice ability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the gender and major of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by school years of students. That is, the level of problem-solving and responsibility-practice ability of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s, the problem-solving ability’s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showed higher than art and humanity, or natural sciences, and the responsibility-practice ability’s level of social science students showed higher than art and humanity, or natural scien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current level of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e life core competencies and provides guidance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competency based university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무용수들의 무대공연에 미치는 불안요인

        이연희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5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nxiety levels felt by dancers in stage performance situations and between dance majors and performance experiences by using the "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 (SPAS: Jang & Lee, 2021). The face-to-face method and the non-face-to-face method through the Google survey were combined to collect data. The 593, excluding misfit responses out of 610 dance majors responde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Rasch rating scale model. The SPAS consisted of 15 items and three factor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EEF),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 – Self related (IEF-SR), and – Leader related (IEF-LR). The items consisted of a four-point scale, and a high score indicated that the level of anxiety affected by the stage performance is high.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α) coefficient for 15 items was found to be .88. One factor repeated measure ANOVA was applied to tes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nxiety levels by the sources (items of SPAS) of the anxiety and the anxiety levels by three factors. 3×3x3 (dance major×number of performance×anxiety factor) 3 factor mixed model MANOVA was applied to test, "Are there differences in stage performance anxiety factors depending on the dance majors and performance experiences of the dancers ?"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SPSS/PC+’s Descriptive, Repeated measure ANOVA, and MANOVA.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that first, the anxiety level of dancers occurring in stage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anxiety source (item) and the anxiety factor. The anxiety sources affected by dancers are a fear of injury, a loss of emotional control, a lack of confidence in movement, and the anxiety factor affected by dancers is IEF rather than EEF. Second, dancers in stage performance are relatively affected by IEF-SR rather than EEF, regardless of the dance majors and performance experiences. Third, ballet dancers out of dance majors are most affected by the anxiety felt in stage performances. The anxiety level felt by modern dance and Korean dance majors is relatively low. Fourth,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nxiety level felt by dancer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experiences in the stage performance.

      • KCI등재

        이원목적분류와 성취기준에 근거한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 분석

        김석우(Sukwoo Kim),김성숙(Sungsook Kim),장재혁(Chang JaeHyuck),이승배(Seungbae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이원목적분류와 성취기준에 근거한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중등교사들이 평가를 함에 있어서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나이스(NEIS) 상 의 이원목적분류표와 성취기준을 평가에 활용하고 있는 정도를 분석하고 평가전문성의 영역별(투입, 변환, 결과, 환류) 차이를 학교급별, 교과별, 문항별로 파악하여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을 분석 하기 위하여 MANOVA과 T-test를 사용하였고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중등학교 교사 340명(중학교 163명, 고등학교 177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 지수는 평균이 3.65점으로 5점 척도에서 상위 27%에 해당한다. 둘째, 중등교사들의 영역별 평가전문성 지수는 평가변환, 평가투입, 평 가결과, 마지막으로 평가환류 순서로 점차 낮아진다. 학교 급별로 보면 중학교는 평가투입, 평가변환, 평가결과, 그리고 평가환류 순서로 전문성 지수가 낮아지고, 고등학교는 평 가변환, 평가투입, 평가결과, 그리고 평가환류 순서로 낮아진다. 셋째, 교과별로는 수학, 사회, 국어, 영어, 과학 순서로 전문성 지수가 낮아지나 가장 높은 수학을 제외하고는 교과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따라서 평가결과와 평가환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책 적 처방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istically analyze secondary school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ty in writing test and to examine the degre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utilize the Bloom’s taxonomy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this, MANOVA and T test was utilized as analytic devices. This research targeted 340 secondary school teachers(163 middle school teachers, 177 high school teachers) specialized in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cator of the teachers ’ evaluation professionality is an average of 3.65 on a 1-5 scale. Second, the domain indicator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ty is highest in the input, second lowest in the result and lowest in the evaluation feedback, while that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ty is highest in the process and second highest in the input. Third, the indicator of the mathematics teachers is highest and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five departments: Korean, mathematics, English, social studies, and sciences, but the rest i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Therefore the actions of the result and the feedback should be taken above all on the policy level.

      • KCI등재

        한국 중소수출기업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과 성과에 관한 연구

        高景淳(Ko, Kyung Sun) 한국통상정보학회 2002 통상정보연구 Vol.4 No.1

        한국 중소수출기업의 인터넷을 이용한 수출마케팅 전략과 성과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우선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연구모형의 개발 및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이렇게 설정된 연구가설은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과 MANOVA에 의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검정되었다. 그 결과, 주로 세일즈와 광고에 적용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계층의 고전적인 AIDA 모델을 준용한 수출성과와 인터넷 수출마케팅전략 변수간에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AIDA의 효과계층 중 최종 수출계약성과에 비하여 그 이전 단계인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 이 논문의 주요한 의의라고 여겨진다. 이라한 결과는 한국의 중소수출기업이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 전략을 짜는데 있어서 의미있는 시사점과 유의사항을 제공하고 있으며, 차후 연구자를 위한 하나의 준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tilization of the Korean small export firms for export marketing and it’s performance, first,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have been made on a theoretical basis. This research hypothesis has been examined through gathering survey data and a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MANOVA. The conclusion, as well as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is that, in most case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connec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export performances and Internet-utilized export marketing strategies, which are both based on the classical AIDA model of effective hierarchy of communication for sales and advertising. This conclusion brings forth a substantial topic as well as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mall export firms when putting together a marketing strategy using the Internet. It is also hoped that this will come as a reference for other researchers henceforth. However, there is an issue of lack of representativeness when considering that the samples were chosen on the basis of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other issue may be that a portion of the subjects were not related to actual trade, but were, in fact, Web masters who operated e-trade systems. Furthermore, there are also numerous problems of missing data, and 6 out of the 8 main hypotheses possessed the issue of fitness level with the data.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both the representative and fitness levels of the data of further research for this topic, future respondents will have to have special trade knowledge, as well as technical knowledge of e-trade. However, unless the Internet begins to greatly contribute to export marketing of corporations, this type of enterprising spirit by corporations in gathering suitable respondents will not surface. Although not used in examining the hypotheses of this particular thes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and circumstantial variables, which were added to the upcoming survey, and export performances will soon be analyzed and announced in order to atone for some of the standards this thesis fell short of.

      • KCI등재

        실 주행 자료를 이용한 도로유형·시간대별 연료소모량 차이 검증 및 배출계수 보정 지표 분석

        이규진,최기주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5

        The reliability of air quality evaluation results for green transportation could be improved by applying correct emission factor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estimated emission factors that focused on vehicles in laboratory experi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emission factors according to road types and time using real driving data. The real driving data was collected using a Portable Activity Monitoring System (PAMS) according to road types and time, which it compared and analyzed fuel consumption from collected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fuel consumption on national highway is 17.33% higher than the fuel consumption on expressway. In addition, the average fuel consumption of peak time is 4.7% higher than that of non-peak time for 22.5km/h. The difference in fuel consumption for road types and time is verified using ANOCOVA and MANOVA. As a resul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 that fuel consumption differs according to road types and time, even if the travel speed is the same - has proved valid. It also suggests correction factor of emission factors by using the difference in fuel consumption.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emissions from mobile pollution sources. 현재 교통수요모형 기반의 자동차 배출량 추정 모형에서 교통 활동도 자료는 세부적으로 고려되는 반면, 배출계수는 평균적인 값만 반영되고 있기 때문에 배출량 산정 결과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도로유형 및 주행시간대와 무관하게 동일한 배출계수가 적용되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유형과 주행시간대별 연료소모량 차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기반으로 각 유형별 배출계수의 보정 지표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동식 차량활동도 모니터링 장비 (Portable Activity Monitoring System: PAMS)’를 이용해 도로유형․주행시간대별 실 주행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 유형별 연료소모량을 추정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주행속도가 22.5km/h 일 경우, 도로 유형별 주행차량의 가감속도 변화 등의 차이에 따라 국도에서의 연료소모량(95g/km)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81g/km)보다 약 17.3%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첨두시간대의 평균 연료소모량(86.73g/km)은 비첨두시간대(82.84g/km)보다 약 4.7%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유형별 연료소모량의 차이는 공변량 분석 (ANOCOVA)과 다변량 분산분석 (MANOVA)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주행속도가 동일할지라도, 도로유형과 주행시간대에 따라 연료소모량의 차이가 있다” 는 본 연구가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료소모량의 차이를 활용하여 각 유형별 배출계수 보정 지표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차량 중심의 배출계수 연구에서 벗어나, 도로․교통 조건에 따른 배출계수 특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교통부문의 배출량 추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Social Justice : Cognition on Libertarian Perspective

        Haeng-Bum Kim 한국제도∙경제학회 2021 제도와 경제 Vol.15 No.1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시장경제의 승리 선언에 좀 더 겸비했어야 했다. 마르크스가 말한 공산주의 혼령이 사라진 자리에 지금 ‘사회정의’라는 외장의 새 혼령이 나타나 모든 사회 경제 정책을 주관하며 마땅히 지켜야 할 경계를 넘어 사적 자유와 재산까지 침해하고 있다. 그럼에도 사회정의는 으레 정부에 의한 분배를 수반하는 것이라는 그릇된 믿음이 만연하고 있다. 정의가 분배주의적 가치 규범과만 결합하는 것은 아니 다.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유주의 철학의 정의론을 발굴하기 위해, 하이에크와 노직의 문헌을 통해 정의에 관한 명제들을 광범위하게 도출했다.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적 정의론 내용은 존재론, 인식론, 도덕론, 사회의 인격화, 분배기준으로서의 ‘응당 받을 몫’(Desert), 격세유전(Atavism)의 6개 명제로 요약했다. 노직의 이론들로부터 취득의 정의, 이전의 정의, 부정의의 교정, 소유의 한계, 선천적 자질의 인정이란 6 명제로 요약했다. 종속변수인 하이에크와 노직의 정의론 인식은 각각 이 6명제 수준들 로 발현된다. 나아가, 한국 지식인 집단을 A(자유주의 관련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 B(자유주의와 무관한 일반 교수들), C(자유주의 성향의 교수들) 세 집단에 자유 주의 정의론이 어떻게 인지되는가를 ‘다변량 분산분석’ 기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사항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하이에크나 노직에 관한 오스트리아학파의 직관적․질적 타당성은 계량적 분석을 통해 보강될 수 있다. 둘째, 하이에크나 노직의 정의론 인식은 세 집단의 성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셋째, 자유주의적 교수들(C)은 학생(A) 및 일반 교수(B)에 비해 하이에크 및 노직의 정의론 의 인지도가 가장 높다. 넷째, 자유주의적 교수들은, 학생 및 일반 교수와는 달리, 노직에 비해 하이에크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의견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 다섯째, 하이에크뿐 아니라 노직을 다 감안한 세 집단의 전반적 인지도 순서는 B≤A<C 패턴 을 보인다. 즉, 자유주의 수업 경험이 있는 학생은 더 오래 더 많이 배우고도 자유주의 와 무관한 성향의 교수들보다 자유주의적 정의론을 더 잘 수용한다. 여섯째, 하이에크 와 노직 전체를 비교하면, 하이에크보다 노직의 정의론에 대한 인지도가 더 높고 이는 세 집단에 공통된 현상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약으로 일반화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표본 수가 더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다변량 분산분석이 전제한 종속변수의 등분산 가정이 완전 히 충족되지 못했는데 이는 자유주의 교수들이 소수의 동질적 집단의 구성원이기 때문 에 다양한 분포에서 추출된 다른 집단과 분산이 다르기 때문이었다. 분석상의 보완조 치를 가했지만, 추후 이 점을 더 보완할 필요가 있다. 결론 해석에 겸손해야 한다는 제약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는 분명해 보인다. 진정한 의미의 ‘사회정의’가 존재한다면, 어느 정치체제가 자신의 정치적 이해로 규정한 특정 상태가 바로 그것과 동일한 것이 될 수는 없음을 자유주의적 사회정의론은 시사한다. 이제는 자유 속박의 도그마로 자리 잡은 분배중심의 사회정의로부터 벗어나 대안적 정의론도 탐색할 때이다. 자유주 의적 정의론은 그 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분배주의에 빠진 ‘사회정의’ 가 아니라 ‘정의로운 정의’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Francis Fukuyama needed to be more modest. A new spectre with cloak of ‘Social Justice’ came back and now rules over every socio-economic policies. Distribution by government is being identified with Social Justice. This paper extracts the Libertarian justice theories andstudies on notions of intellectuals on Libertarian justice arguments of Friedrich A. Hayek and Robert Nozick. Hayek’s justice arguments were categorized into 6 premises: Ontology, Epistemology, Personification, Desert Norm, Atavism. Nozick’s justice arguments as 6 premises: Just Acquisition, Just Transfer, Rectification of Injustice, Limitation of Holding, Minimal State, Natural Asset. Cognitions of those justice were measured among 3 groups: A(Students with some exposures to Libertarian classes), B(Ordinary, non-libertarian professors), C(Libertarian_professors). By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their cognition on Libertarian justice were tested. First, existing intui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n Hayek and Nozick can be tested, supplemented and reinforced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Libertarian justice cognition is disproportionately revealed according to 3 groups. Third, Libertarian_professors show the highest cognition than Students and Ordinary_professors. Fourth, they have relatively more various views on Hayek than on Nozick. Fifth, among A, B and C groups, there are robust pattern of degree of cognition on Libertarian justice: B≤A<C. Sixth, for all groups Nozick’s justice premises are more perceived than Hayek’s. This research has some caveats. First, sample sizes need to be enlarged. Second, MANOVA’s ideal assumption of homogeneity of variances of dependent variables were not fully satisfied. Third, justice arguments from Hayek and Nozick may not be sufficient, leaving room for validity problem of scales. Finally, one thing seems to loom clear. Libertarian justice theory suggests that if anything like justice in true meaning exists, never it would be one which a political entity arbitrarily impose as justice for their political consideration. It is time to turn from dogmatic distributionist’s justice to other ones like libertarian notion of justice. What’s most important is not ‘Social Justice’, but ‘Just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