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집살이 노래>연구의 경향과 과제

        조지은 동남어문학회 2007 동남어문논집 Vol.24 No.-

        Trends and Problems in a study on <sijipsari norae>.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range of researching <sijipsari norae> that has been roughly regarded as belonging to epic folk song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tried to re-classify some songs that have been collectively classified as <sijipsari norae>, and analyze and take a new view on previous studies and findings about those songs.<BR>Many researchers have been continuously paying attention to <sijipsari norae>, already classified as a sub-style of epic folk song, since Cho Dong Il"s A Study on Epic Folk Songs . There have been enough discussions about researching folk song as a whole. But there have been few discussions about the trends and new directions of researching <sijipsari norae> only.<BR>Assuming that partial researchers are prerequisite for a comprehensive research, <sijipsari norae> is still less comprehensively understood. Previous studies about <sijipsari norae> have in most cases defined the work as a sub-style of epic folk song. Yet, there are stopless debates over which genre the above song belongs to. In a similar vein,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in which whether lyric or epic, all folk songs collectively classified as <sijipsari norae> were equally tre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reconsider already defined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epic folk song" and <sijipsari norae> prior to investigating current trends of researching the latter. Folk song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ub-genres, lyric, epic and didactic folk songs according to their styles and into another threes, folk songs for labor, rite and amusement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Thus "epic folk song" is a sort of genre itself. Again, <sijipsari norae> has been classified as epic folk song. B t in fact, <sijipsari norae> should be classified based on its attributes, not based on genres as classified above. In other words, <sijipsari norae> can"t be always regarded as one of epic folk songs because it is both lyric and epic. Of course, this study does not intend to re-establish existing normal theories of genre. Instead, the study points out that out of folk songs collectively titled <sijipsari norae>, some are more lyric and others are more epic, so out of the folk songs, those already classified as "epic folk song" need to be reclassified.<BR>This study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previous trends and findings of researching <sijipsari norae> <BR>Second, the researcher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the above genres of <sijipsari norae> and narrations whose motive is same as that of the folk song, determining differences among those narrations in accordance with those genres. <BR>Third,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recorded actual works of <sijipsari norae> and investigated in detail and individually those works and their informants" lives, finding women"s consciousness common in the works.

      • KCI등재

        ‘서정’의 딜레마 — 1950년대 북한 문단의 논의를 중심으로

        신지연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first important task of literature in North Korea was to clear away the remnants of bourgeois literature. The term ‘Seojeong’(the lyrical/lyricality) should have been one of those remnants, because it was contaminated by ‘bourgeois ideology’. But it has been used very frequently in the literary field of North Korea until now. This article is a study on how ‘lyricality’ as the old-fashioned remnant have conflicted with one as the new socialistic literary element, focusing to the 1950', the period in which ‘lyricality’ began to be discussed. It was at 1951 that the problem about ‘the deficiency of lyricality’ was raised by An Hamgwang. It emerged as the contentious issue in the mid 1950'. Major point was two ; one was to situate the lyrical poetry in the socialistic literature while taking it away from bourgeois literature ; the other was to apply the theory of socialist realism to the lyrical poetry, and then to construct the poetics of socialist realism. In order to do that, poets and critics debated on many kinds of literary terms including ‘lyrical type’, ‘lyrical hero’, ‘lyrical epic/poema’ as genre, and discussed the theme of nature and love. Ironically, the more the discussion continued, the clearer was the incompatibility of that double task. When they emphasized the lyricality of socialistic poetry, it became similar to the lyricality of bourgeois poetry. Confronted with this aporia, it seems that they had no choice but to repeat ‘lyricality’ compulsively. 해방과 함께 사회주의 문학의 건설을 위해 북에서 가장 시급하게 떠오른 과제는 부르주아 문학 잔재의 청산이었다. 만약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려 했다면,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에 의해 오염된 ‘서정’이라는 말 역시, 청산되어야 할 그 잔재에 포함되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문학 담론 속에서 ‘서정’이라는 말은 폐기되는 대신 오히려 남한에서보다 더 빈번히 사용되기에 이른다. 이 글은 북에서 ‘서정’ ‘서정시’가 하나의 쟁점으로 거론되기 시작하던 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물려받은 유산으로서의 ‘서정’이 새로운 시적 비전으로서의 ‘서정’과 어떻게 충돌하고 갈등하는지, 혹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방법론 속에서 어떻게 재전유되는지를 읽어보려고 했다. 1951년 무렵 제기된 ‘서정성의 빈곤’이라는 문제는, 전쟁이 끝난 후 맑스-레닌주의 미학에 근거한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되던 속에서 보다 치열한 문학적 쟁점으로 부상한다. 주요관건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서정시’를 부르주아적 낡은 세계에서 단절시켜 사회주의 문학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 또 하나는 기본적으로 서사문학을 기반으로 개진된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을 ‘서정시의 특수성’에 맞게 적용하는 것. 이와 관련해 ‘서정적 전형’의 문제가 검토되었고, ‘자연’과 ‘사랑’의 테마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또한 ‘서정’과 ‘서사’의 결합 원리와 관련된 문제, 즉 ‘서정적 주인공’ 및 ‘서정서사시’에 관한 사항도 피해 갈 수 없는 논점 중 하나였다. 그러나 지속되는 논의 속에서 드러나는 것은 역설적으로 저 이중과제의 양립불가능성이었다. 다른 장르와 독립된 ‘서정시’ 고유의 ‘서정성’을 전경화시키면 부르주아 문학의 자장 속에 빨려들어갔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틀로 ‘서정시’를 의미화하고자 하면 서사학적 개념이 서정시의 특수성을 가려버렸다. 이론적으로 ‘사회주의적 서정시’의 고유한 법칙을 정립하려 하면 할수록, 오히려 그 불가능성이 노출되는 식이었다. 이 난제 앞에서 북한의 시 담론은 ‘서정’을 강박적으로, 혹은 절박하게 반복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특집 논문 : "서정"의 딜레마 -1950년대 북한 문단의 논의를 중심으로

        신지연 ( Ji Yeon Shin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해방과 함께 사회주의 문학의 건설을 위해 북에서 가장 시급하게 떠오른 과제는 부르주아 문학 잔재의 청산이었다. 만약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려 했다면,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에 의해 오염된 ``서정``이라는 말 역시, 청산되어야 할 그 잔재에 포함되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문학 담론 속에서 ``서정``이라는 말은 폐기되는 대신 오히려 남한에서보다 더 빈번히 사용되기에 이른다. 이 글은 북에서 ``서정`` ``서정시``가 하나의 쟁점으로 거론되기 시작하던 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물려받은 유산으로서의 ``서정``이 새로운 시적 비전으로서의 ``서정``과 어떻게 충돌하고 갈등하는지, 혹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방법론 속에서 어떻게 재전유되는지를 읽어보려고 했다. 1951년 무렵 제기된 ``서정성의 빈곤``이라는 문제는, 전쟁이 끝난 후 맑스-레닌주의 미학에 근거한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되던 속에서 보다 치열한 문학적 쟁점으로 부상한다. 주요관건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서정시``를 부르주아적 낡은 세계에서 단절시켜 사회주의 문학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 또 하나는 기본적으로 서사문학을 기반으로 개진된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을 ``서정시의 특수성``에 맞게 적용하는 것. 이와 관련해 ``서정적 전형``의 문제가 검토되었고, ``자연``과 ``사랑``의 테마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또한 ``서정``과 ``서사``의 결합 원리와 관련된 문제, 즉 ``서정적 주인공`` 및 ``서정서사시``에 관한 사항도 피해 갈 수 없는 논점 중 하나였다. 그러나 지속되는 논의 속에서 드러나는 것은 역설적으로 저 이중과제의 양립불가능성이었다. 다른 장르와 독립된 ``서정시`` 고유의 ``서정성``을 전경화시키면 부르주아 문학의 자장 속에 빨려들어갔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틀로 ``서정시``를 의미화하고자 하면 서사학적 개념이 서정시의 특수성을 가려버렸다. 이론적으로 ``사회주의적 서정시``의 고유한 법칙을 정립하려 하면 할수록, 오히려 그 불가능성이 노출되는 식이었다. 이 난제 앞에서 북한의 시 담론은 ``서정``을 강박적으로, 혹은 절박하게 반복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first important task of literature in North Korea was to clear away the remnants of bourgeois literature. The term ``Seojeong``(the lyrical/lyricality) should have been one of those remnants, because it was contaminated by ``bourgeois ideology``. But it has been used very frequently in the literary field of North Korea until now. This article is a study on how ``lyricality`` as the old-fashioned remnant have conflicted with one as the new socialistic literary element, focusing to the 1950` the period in which ``lyricality`` began to be discussed. It was at 1951 that the problem about ``the deficiency of lyricality`` was raised by An Hamgwang. It emerged as the contentious issue in the mid 1950` Major point was two ; one was to situate the lyrical poetry in the socialistic literature while taking it away from bourgeois literature ; the other was to apply the theory of socialist realism to the lyrical poetry, and then to construct the poetics of socialist realism. In order to do that, poets and critics debated on many kinds of literary terms including ``lyrical type``, ``lyrical hero``, ``lyrical epic/poema`` as genre, and discussed the theme of nature and love. Ironically, the more the discussion continued, the clearer was the incompatibility of that double task. When they emphasized the lyricality of socialistic poetry, it became similar to the lyricality of bourgeois poetry. Confronted with this aporia, it seems that they had no choice but to repeat ``lyricality`` compulsively.

      • KCI등재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에 대하여 : 아르킬로코스(Archilochus)를 중심으로

        안재원(Ahn Jae-wo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3

        이 글의 목표는 서정시 세계의 탐구이다. 이를 위해서 나는 아르킬로코스의 시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먼저 서정시의 발전과 성립은 개인과 폴리스의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나는 문학 장르로서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는, 물론 그것이 다루는 내용이 개인적이지만, 이 서정시 현상 자체는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서 나는 서정시의 시대도 하나의 epoch? (시대 사조, 혹은 문예 사조)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나는 서정시 세계의 고유함과 독자성을 탐구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나는 인간의 경험과 느낌 중에 일부는 언어와 논리에 의해서 포착되지 않는 무엇이 있는데, 이를 포착하여 표현하는 것이 서정시라고 제안한다. 이와 관련해서 나는 카툴루스의 시 85번과 아나크레온의 단편 83편을 비교 분석하였다. 예들 들면, 논리적으로는 모순이지만, 인간은 실제로 사랑하고 다시 사랑하지 않는 미치고 미치지 않는 그런 내적 분열 경험을 실제로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아르킬로코스의 시에서 나타나는 ‘리듬’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고대 그리스 서정시 리듬의 경우, 그것이 느낌과 감정에 가장 근접한 것이기는 하지만, 실은 그것은 자체적으로 독립된 내부 규정을 가지고 있고, 이는 인간의 개인적 느낌과는 독립된 언어 내적으로 독립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운율이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표현 장치이기에 그렇다. 리듬과 관련해서 나는 아르킬로코스의 서정시가 주장하는 리듬은 더 이상 주관적인 겪음의 표현이 아님을 주장하였다. 그것은 사태의 움직임에서 관찰되는 반복성과 규칙성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과학적인 의미에서의 객관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의미에서 서정시는 객관적이다. 물론 서정시는 주관적인 무엇이다. 나만의 것, 나에게만 고유한 겪음과 느낌을 다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정시의 근본적인 대상은 객관적인 무엇이다. 한편으로 운율이라고 하는 언어의 음악적 성격 때문에 그렇고, 다른 한편으로 사태의 순환에 대한 통찰이기 때문에 그렇다. 결론적으로 이런 의미에서 서정시란 설득과 소통의 기제이다. 왜냐하면, 예컨대 “분노”라는 “나 만의 절연된 주관적 상태”에 갇힌 “나”를 “사태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통해서 세계로 다시 나오게 하는 무엇이다. 서정시는 주관과 객관을 이어주는 “다리”다. The aim of my essay is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Greek lyric. For this, I have tried to give some explanations of Archilochus' poem. The essay is to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the development of Greek lyric depended on the individualization of each citizen and the constitution of polis. For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ancient Greek lyric as a genus of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social and historical thing. As regards this, what to add is that the ancient Greek lyric as a genus of poem can be distinguished from epic genre, from the viewpoint of epoche, Second, what I argued that there is some peculiarity which is observed only in lyric genre. This peculiarit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passions and some sufferings which can not be expressed through everyday language and logical thinking. A significant example for this is the poem of Catull' poem, Nr.85 (Odi et amo). Based on this,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is that the proper function of lyric is to let us know and see what these kinds of subtle experience of human feelings are. Finally, I have tried to scrutinize the meaning of Archilocus' rhythm. According to my analysis, this rhythm of him is independent means from human feelings. Reasons for this suggestion are two. On the one hand, the Archilochus' rhythm does not mean a simple experience but a repetition and circularity of fortune. Thus, his rhythm is considered to be objective. On the other hand, his rhythm is the musical feature of language which functions in self regulating system and structure. Conversely, what we should not overlook is that the lyric itself is a medium with which leads us to the subjectivity because the lyric offers what is to be proper to each person. Id est, the main concern of the lyric poem is the so called "Ego" problem. Nevertheless, what is clear is that the rhythm itself is fundamentally an objective medium, because it is expressed on the one hand through poetic metrics and on the other side it does mean the regularity of fortunes. From this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is that the ancient Greek lyric is a kind of bridge which lies between th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yway, we get some conciliation from lyric poem, when we are sad or angry. In that case, the lyric offers not only some conciliation but also some insight to see through the very natures of sufferings.

      • KCI등재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 조선족 시에 나타난 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방법의 인식

        박윤우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조선족 시단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방법에 입각한 작품 창작이 일반화되는 과정은 사회주의 국가 체제 속에 편입된 소수민족의 일원으로서 시인들이 자신의 새롭게 부여받은 정체성을 탐색하고 확보해나가는 방법론적 모색의 과정과 동일한 궤 적을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문학과 예술, 그리고 출판 언론, 언어연구 등 분야들은 동화와 비동화의 모대김 속에서 민족의 얼을 지키고 민족의 정체성, 독자성을 수호해왔다.”는 술회적 자평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방법론을 둘러싼 조선족 시인들의 형식 탐구가 지닌 현실적 의의를 대변해주기에 충분하다. 이 시기 시를 창작방법의 측면에서 살피는 것은 리얼리즘의 성취라는 미학적 국면과 동시 에 시적 담론에 내재한 시인들의 현실인식과 그 대응전략을 검토하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갖 는다. 이것은 특히 이 시기 시가 이전과는 다른 뚜렷한 차이를 형성하면서 중국 조선족 시로 서의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탈식민의 과정을 겪은 바, 이들 시의 문체나 구조, 현실인식 전반에 나타나는 변화가 시인 개인의 변화보다는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전환에 의해 총체적으로 이 루어진 측면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민족문학으로서의 누적적 변모양상이라는 측면과는 다른 관점을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 시도된 대표적인 시양식인 ‘송가’와 ‘서정서사시’ 작 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이들 작품이 지닌 사실주의 창작방법상의 의미를 규명하는 동시 에, 그러한 방법적 시도에 담긴 조선족 시인들의 현실인식이 가지는 시대적 의의를 탐색하도 록 한다. 무엇보다, 이 시기에 송가와 서정서사시가 중심적인 시양식으로 채택된 것은 사회주의 문 예이론에 입각한 창작지침을 따른 결과 나타난 것으로,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당위성과 행복 한 인민 생활의 터전에 대한 낙관적 희망을 노래한다는 목적의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 이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족 시인들은 ‘조국’을 ‘중국’과 동일시함으로써 정치적 동화의 태도를 보임으로써 정체성 확보를 위한 지향을 보인다. 아울러, 송가의 형식에 의해 창작된 작품들은 화자의 과도한 노출로 중국에 대한 찬양과 당의 정책에 대한 계몽적 승인이라는 관념을 직접 드러낸 반면, 서정서사시 양식으로 쓰인 작 품들은 민족의 역사적 삶을 시적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서술자로서의 화자가 지닌 객관적 조 망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다만 서정적 주인공의 형상을 창조하는 데 있어 그 영웅적 면모만을 부각한 결과 서사의 진술에 치우친 면을 보인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66년 문화대혁명 이전까지의 전체적 흐름을 통해 볼 때 이 시기에 다양한 시양식의 탐구가 이루어진 것은 한편으로는 ‘부인’의 과정을 통해 체제로 의 편입과 정체성 확보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적 모색이라는 의미를 가진 것이지만, 다 른 측면에 보면 소수민족으로서 민족문학의 전통에 대한 자의식을 변화된 사회 환경에 적응 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하려는 노력의 소산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서정서사시 양식의 경우 역사 적 과거에 대한 기억을 통해 식민체험이 부과한 굴레로부터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삶을 영위 하고자 하는 현실인식의 지평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의 조선족 시가 모색한 사실주의적 창작방법은 양식 적 탐구를 통한 가능성을 얻는 데는 일정한 성과를 보였으나, 서정적 주인공의 형상화의 측면 이나 현실적 전형성의 획득에는 한계를 보인다. 그것은 대체된 ‘조국’에 대한 동일시와 동화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난 양가적 정체성의 혼란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측면은 이 시기의 시가 추구한 사실주의적 창작방법이 결과적으로 시문학의 진실성과 시인의 개성을 위축시킨 점이다. 정치적 범주와 민족적 범주의 혼재가 빚어낸 이러한 과도적 양상은 변화된 현실 자체에 대한 내면적 탐구를 통해 민족 정체성에 대한 심화된 인식을 동반 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문화대혁명기의 기나긴 어둠과 침체를 거쳐 개혁개방의 시대를 맞이함으로써 비로소 조선족 시의 민족문학으로서의 가치 탐색이 재개된 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조선족 시가 서정시를 통한 리얼리즘의 구축을 위한 확대된 인식을 결여한 채 전개된 점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in the strategy of socialist realism within the Chosunjok poets' creative method after constructing Chinese People's Republic showed a similar track with their identity tracing and securing process as a minor nations enrolled a socialist nation system. Therfore searching for the poems of Chosunjok in this era has a meaning of investigaion not only for aesthetic aspects of accomplishing realism but also for poets' recognition and correspondant strategy of changed social reality. In this regards, this study made to reveal the meaning of socialist realistic creative method surveing the poetic genre of ‘hymns’ and ‘lyrical ep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osunjok poets' choice of hymns and lyrical epics in this era was the result of following the creation guide based on socialist literary theory. And therefore it couldn't be free from the objective consciousness of singing the task of constructing socialist nation and the optimistic hope of happy life of people. In this process, they identified ‘mother-nation’ with ‘China’ showing the attitude of political assimilation. Second, the poems created as a form of hymn revealed the thought of praising Chinese People's Republic and accepting the policy of communist party extremely exposing speaker. Rather the poems created as a form of lyrical epic fulfilled the narrative speaker's role of objective viewing with the theme of people's historical life. But in creating the shape of lyrical subject, they showed plain statement of narrative just emphasizing his heroic feature. Third, seeing through from 1949 to 1966, various quests for poetic genres with Chosunjok poets had a meaning of system enrollment in the process of ‘negation’ and methodological search for accomplishing the desire of securing identity in one side, but also those were the result of accomodating their self-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 of national literature as a minor nations to changed social environment. In these meanings, Chosunjok poets' research on creative method of socialist realism in the constructive era of Chinese People's Republic showed a certain positive result with generic quests. But it could not obtain realistic typicality and also weakened poet's individuality and sincerity. It had a reason for confusion of dual identification derived in identifing with the alternated ‘mother-nation’ and assimilatng process.

      • KCI등재

        文과 史어제와 오늘의 교융 : 중국 영사시의 유형적 특징 연구

        고진아(Go Jin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중국 영사시는 지난 역사에 대한 개탄이나 논평으로 구성됨에 따라 현실적인 장애에 대한 우려가 없고 오히려 전문적인 역사 평가나 논평에 비해 자연스럽고 개방적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개별 시인의 사상과 감정에 기반하여 재해석되고재창조된 역사 소재의 정확도 여부에 몰두할 필요 도 없다. 시속에서의 역사는 시인이 만들어낸 독해조건에 맞춰 얼마든지 재해석되고 재창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영사시는 비록 역사를 그 중심 내용으로 하지만 식견의 표현과 자신의이상을 표현하고 지향하는 바를 말하고 감정을 노래하는데 치중했었다. 어떤 때는 역사 인물에 대한 추모와 찬미의 형식을 빌려 자신의 이상과 지향을 표현했고 어떤 때는 역사 속 인물의 불행한 조우를 동정함으로써 자신의 신세를 한탄했다. 결론적으로 영사시는 과거 역사와 시인이 가진 식견 그리고 시인으로써의 서정을 하나의 화로에 집어넣고 잘 섞어서융화시켜 낸 창조물이다. 이에 중국 영사시의 유형적 특징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1. 역사 제재를 전문적으로 읊으면서 옛 사람과 옛 사건을 직접적으로 읊어 내기도 하고, 옛 사적으로 인해 촉발된 옛 사람과 옛 사건에 대한 추모까지 포괄한다. 2. 이때 읊어진 옛 사람과 옛 사건은 시인이 조우한 사회 상황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시인은 이를 빌려 자신의 정감을 표현하고 당시의 세상을 풍자하며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3. 시인은 상황에적합한 역사를 선택적으로 언급하면서 사실에 서술에 오래 머물지 않고 현실에 대한 평가나 감정의 토로로 신속하게 옮겨가는 것을 중시한다. 4. 형상 언어에 의존한 시의 형식적 특성으로 인해 편폭은 짧고 언어 운용은 비교적 간단하지만핵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강한 상징성과 함축미를 지닌다. In this paper. research in the types of Chinese historical lyric. Chinese historical lyric have some characteristics. Chinese historical lyric topics include historical ancients, historical events, historic figure and so on. By this time ancients, historical events and historic figures posses some characteristic in common. Poet, in writing historical lyric, writes his time and feelings. Poet is strong on assessing reality by selecting compatible history. Chinese historical lyric have particular Symbolism and implications. They all focus on one scene and imagination, which leads to making a integrate and long lingering poem. The development of Chinese historical lyric Originated with Ban gu yongshi . If you look to the context of the Chinese historical lyric progress from historical presentation to historical review. The first transformation is Zuosi yongshi . It added The beauty of the rhetoric to Ban gu yongshi . The second transformation was done by Chenziang. He transitioned into historical lyric for historical poem. Since then, Use history to express what they were thinking and feeling. Chinese historical lyric, although songs around a history, but Including the rich expression of insight. Sometimes through the praise of historic figures, Chinese historical lyric express their orientation. Sometims through misfortune of historic figures, represents the deep emotion for in their lot.

      • 구비 발라드 ‘하사나기니짜(Hasanaginica)’에 대한 의미 분석

        김상헌(Kim, Sang H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8 동유럽발칸학 Vol.10 No.1

        구 유고지역의 구비문학 갈래분류에서 구비서정-서사시(narodne lirsko-epske pesme)의 범주에 포함되는 구비 발라드(narodna balada)는 비극적인 결말을 그 특징으로 하는 구비시가이다. 구비 발라드는 인간이 삶을 살아가며 느끼는 감정과 정서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정적인 시가로써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특정한 사건의 전개를 형식적인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사적인 시가로써의 특징 또한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구 유고지역에서 널리 불리는 구비 발라드 작품 ‘하사나기니짜(Hasanaginica)’를, 작품이 담고 있는 본질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여기에서 ‘작품의 본질적인 내용’이란 문학작품으로써의 외적인 의미와 더불어 그것이 담고 있는 내적인 의미를 지칭한다. 오스만 투르크군의 사령관 하산의 부인인, ‘하사나기니짜’의 비극적인 운명은 이 작품의 전체적인 주제이기도 하며, 구비 발라드라는 갈래적 특징을 결정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더불어 본고에서 주목하고 있는 ‘고부간의 갈등’, ‘남성중심주의 문화’, ‘자식에 대한 사랑’과 같은 세부적인 모티프들은 전체적인 주제에 당위성을 부여하는 또 다른 의미적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 주목하고 있는 구비 발라드 작품 ‘하사나기니짜’의 세 가지 비극적 성격의 모티프들은 구 유고지역의 구비시가 작품들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개별적 모티프들은 아니며, 오히려 세계 어느 민족들의 구비문학작품들에나 나타나는 보편성을 띄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구비문학이 개별성과 함께 보편성을 띄고 있는 문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을 새삼 반증하는 결과라고도 할 수 있겠다. An oral ballade, which belongs to the oral lyric-epic poetry in the genre classification of oral literature in the old Yugoslavian region, is marked by a tragic end. Such ballade shows the features of lyric poetry in that it includes the feelings and emotions human beings feel in their lives; those of epic poetry in that it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accident. This study analyzed mainly the intrinsic contents of the ballade Hasanaginica widely sung in the old Yugoslavian region. In the study, the intrinsic contents of the work refer to the inner meanings in the work as well as the outer meanings as a literary work. The tragic destiny of Hasanaginica, a wife of Hasan, a commander of the Turkish troops is not only a whole theme of the work, but a factor determin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oral literatur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other factors giving justification to the whole theme are minute motifs, such as “the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conflicts” and “the male-centered culture”, and “the love toward children”, which draw the attention of this study. However, not only do the three tragic motifs appear in the oral ballades of the old Yugoslavian region, but also in the oral literary works of any other nation around the world. This show once more that oral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universality as well as individuality.

      • KCI등재
      • KCI등재

        굿 음악의 지역별 특징 연구

        박정경(Park Jeonggyeong)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본고는 각 지역의 굿 음악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 진 글이다.. 이를 위해 굿 음악에 관하여 기존에 연구되었던 내용을 정리하는 것과 함께 연행주체, 음악적 요소 등의 특정을 모두 아우르고자 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별 굿 음악을 세밀하게 다.루지 않고 매우 단순화ㆍ유형화하였다.. 본고에서 전통 굿이 전승되는 8개 지역은 다.음 세 가지 성격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연행 주체에 따른 분류로, 무당 주도형과 악사 주도형으로 나누어진다. 무당 주도형은 주무 외에 조무기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신의 위용을 드러내기 위해 무당 자신도 위염과 화려함을 갖추고 굿을 연행한다. 황해도와 서울, 충칭도 제주도가 이에 속한다. 악사주도형은 굿을 주재하는 주무가 보통 l명이고 악사들이 추임새와 바라지 외에 앉은 상태에서 무가를 부르거나 서서 가무를 연행하는 등 굿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를 말한다. 경기도 납부, 전라도 동해안, 남해안 등 세습무권이 이에 속한다. 둘째는 연주형태에 따른 분류다. 선율악기가 중심이 되는 선율 중심형과 타악 중심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율중심형은 대금, 피리, 해금 등 삼현육각 반주기 수반되는 지역을 뜻하며 서울, 경기도 남부, 충청도 전라도, 남해안 등이 이에 속한다. 타악중심형은 강렬한 타악기의 음색을 강조하여 강신 행위를 돕는 황해도와 제주요 복합적이고 세련된 장단이 발달한 동해안이 이에 속한다. 셋째는 음악 구성 내용에 따른 분류로 의례형, 서사형, 서정형, 복합형 등으로 나누었다. 모든 지역의 굿 음악이 의례성 무가와 서사무가 서정무가와 삽입가요를 고루 포함하고 있지만 특히 발달해 있는 부분을 파악하여 특성화해 본 시도이다. 의례형에는 황해도와 서울, 충청도가 속한다. 무가의 종류가 비교적 많지 않고 삽입가요와 유희요가 있으나 대체로 굿 의식의 진행에 꼭 필요한 필수 무기가 중심이 된다. 서사형은 서사무가기 유독 발달해 있는 지역으로 동해안과 제주도를 꼽을 수 있다. 서정형에는 삽입가요와 유희요가 풍부한 전라도가 속한다. 그 외에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고루 발달해 있는 경우를 복합형이라 하여 경기도 남부와 남해안을 별도로 분류하였다. 이처럼 이 땅에 존재하는 굿 음악은 저마다 조금씩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닌 채 전승되고 있다. 꾸준히 지역적 특성을 보존하며 전송되는 지역도 많지만 근래에 전통이 끊어지거나 변형ㆍ축소되어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는 지역도 있다. 충청도는 이미 세습무의 전통이 사라졌고 경상도 내륙은 과거의 자료조차 구하기 힘들다. 본고에서 황해도라 분류하였으나 사실은 인천과 서해안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굿도 있다. 오랜 시간 지역적으로 분단되고 정치ㆍ사상적으로 단절되어 더 이상 과거의 모습을 캐낼 수 없게 된 북한 지역의 음악이 가까운 우리 곁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This essay has a porpose to research the local shaman music in whole of Korea. For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musical requisities, main agents of performances are mentioned and finally the simplifying and categorizing are tried. In general, Korean shaman retuals divided by three different types in musical characteristics. First, classifying by main agents of performances, second, classifying by accompaniment, and the third is classifying by contents of music. First is divided by two types again; shaman-leading types and players-leading type, Second has melody-oriented type and rythmic music-oriented type. The last is divided by four different types; ritual-oriented, epic-oriented, lyric-oriented and complex form. Shaman music in Korea have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 and they are still transmissed in different way. Some shaman rituals keep their original form and music but many other cases are now in a crisis of extinction, modifying or reduction. For example, we could not find hereditary shamans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formations of shaman rituals in inland of Gyeongsang province anymore. Shaman ritual of Hwanghae province refered in this essay is performed and transmissed in Incheon and west beach, in fact. But it has still valuable for investigation about shaman ritual of North Korea where has no more traditional religious.

      • KCI등재

        신동엽 서사시의 성취와 의의 -『금강』의 서정성을 중심으로

        이나영 ( Lee Na-yo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신동엽의 『금강』은 그의 투철한 시정신이 빚어낸 결과이다. 지금까지 『금강』은 작품에서 드러나고 있는 ‘서정성’과 관련하여 연구자들의 상반된 평가를 받아왔다. 본고는 『금강』에서 나타나고 있는 ‘서정성’의 문제에 주목하여 ‘서정성’의 발생이 시인의 시대인식(문제의식), 시인의 사상과 ‘시혼(시정신)’이 빚어낸 결과이며, 서사시의 중심에 선 ‘서정성’이야말로 신동엽 서사시의 가장 중요한 성격임을 고찰하였다. 신동엽 시론의 핵심은 자기 시대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자기희생적 의지, 즉 그의 ‘시혼’이 문학으로 현현된 것이었다. 특히 신동엽의 ‘시혼’은 동학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것이 문학으로 형상화된 것이 바로 『금강』이다. 즉 동학의 가장 핵심 사상인 ‘시천주(侍天主)’의 정신을 내재화한 신동엽의 ‘시혼’은 ‘신하늬’라는 서정적 주인공을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본고는 나아가 『금강』의 주인공 ‘신하늬’의 변화 · 발전의 양상과 또 그것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서정적 주인공 ‘신하늬’는 ‘시천주’의 깨달음을 통해 신성을 회복하여 주체성을 깨닫고(서정적 동일성 회복), 나아가 타인에 대한 연민과 공감(상호주체적 서정성으로 발전)을 바탕으로 그들을 위해 희생하고 ‘위위심(爲爲心)’을 실천하는 인물(실천적 서정성으로 발전)로 변화 · 발전하고 있다. 즉 ‘신하늬’는 전통적 서사시의 주인공과 달리 자기 시대, 즉 한국의 근대라는 시 · 공간에서 발생한 문제적 상황이 빚어낸 인물이며, 또 근대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한 대안적 인물이라고 하겠다. 또한 그는 주체적인 인간으로 변화하며 행동(실천)하는 인물이다. 끝으로 신동엽 시론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정적 자아 ‘신하늬’는 실재 역사의 주역이 아니라 이 땅에서 이름 없이 살다가 사라진 무수히 많은 민중들의 체현자이다. 즉 역사란 ‘신하늬’와 같은 범인(凡人)들이 일상에서 자기 변혁의 실천적 생활을 통해 발전해 나갈 수 있음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이것은 동학사상의 일상적 실천성과 상통하고 있다고 하겠다. 둘째 나아가 신동엽서사시는 집단과 개인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서사시 『금강』은 집단과 개인의 운명적 결속 관계로부터 매몰된 인간의 주체성을 회복하여 개별 존재의 고유성과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개인과 집단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개인과 집단을 유기적 결속체로 재정립하고 있다고 하겠다. 셋째 근대성의 침윤(浸潤)으로 인해 극단적으로 분화하여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문학’, ‘종교’, ‘철학’이 문학안에서 융화하여 일상 속에서 제 기능을 찾고 실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끝으로 신동엽 시론은 근대 서사시의 변용과 지속 가능성의 길을 찾아 그것을 작품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신동엽은 서구 문학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 문화와 역사적 특수성 아래서 자신의 시론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금강』을 창작하였다. 이러한 그의 서구 문학이론의 비판적 수용과 개성적 창작 활동을 통해 한국 근대 서사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Shindongyeop’s ‘Kumkang’ is a result made by his thorough poetical spirit. ‘Kumkang’ has received the opposite evaluations by researchers in regard of the ‘lyricism’ revealed in the work. This thesis focused on the problem of ‘lyricism’ appearing in ‘Kumkang’ and revealed the occurrence of ‘lyricism’ was a result caused by the poet’s era awareness(problem awareness), poet’s ideology and poetic spirit, and the ‘lyricism’ standing in the center of epic wa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of the Shindongyeop’s poem theory. The core of Shin’s poem theory was the self-sacrifice will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era, that is, his poetic spirit was expressed as the literature. In particular, Shin’s poetic spirit is based on Donghak idea and ‘Kumkang’ embodied it into the literature. In other words, Shin’s ‘poetic spirit’ which internalized the spirit of ‘Sicheonju’, the most fundamental idea of Donghak, is embodied literally through the lyrical main character named ‘Shinhani’. This paper more concretely examined the aspect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Shinhani’, the main character of ‘Kumkang’, and its meaning. Lyrical protagonist ‘Shinhani’ is changing and developing into a figure(developing into the practical lyricism) who realizes the subjectivity by restoring the sacr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Sicheonju(侍天主)’(restoring the lyrical identity) and sacrifices himself for them based on the pity and sympathy for others(developing into the inter-subjectivity lyricism), and carries out the ‘wiwisim(爲爲心)'. That is, 'Shinhani' is a figure created by the problematic situation which arose in the time and space called the Korean modern times, that is, self-era unlike the protagonists of the traditional epic poem, and is the alternative figure involving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modern problems by himself. Also, he is a figure who carries out as changing to the independent huma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Shindongyeop’s poem theory is as follows. First, lyrical ego Shinhani is not a leading role of the actual history but the embodiment-person of a myriad of people who disappeared while living without the name on this ground. That is, the history embodies that ordinary people like 'Shinhani' can develop through the practical life of the self-revolution in the daily life, and it corresponds to the daily practicability of Donghak idea. Second, Shindongyeop’s poem theory is significant in re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 and individual. Epic poem ‘Kumkang’ suggests an alternative for keeping a balance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 without impairing the inherency and value of individual existences by restoring the human’s subjectivity buried from the fateful unity relation between the goup and individuals, and it reestablishes the individuals and group as an organic united body in this process. Third, it is also significant in looking for a possibility that the literature, religion, and philosophy which lost their functions after being extremely divided by the permeation of modernity are harmonized in the literature to find their own function in the daily life. Finally, Shindongyeop’s poem theory finds a way of the accultur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 modern epic poem and embodies it into the work. Shindongyeop established his poem theory under the Korean culture and the historic specialty by accepting western literary theories critically, and created ‘Kumkang’ on the basis of it. It was possible to find a new possibility of the Korean modern epic poem through this critical acceptance of western literary theories by him and his individual creation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