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품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속성과 명품성을 중심으로

        임중식,고인곤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4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ademically define what "luxury products” mean, and to clarify the cognitiv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attributes and “luxuriousness” in relation to the determinant of luxuriousness that eventual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is study is also written under the theory that luxuriousness leads to benefits such as functional benefit, experiential benefit, symbolic benefit, and exclusive benefit; which all provide core values to consumers and serve as effect factors that influenc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onsumers. The commonly discussed measure of the determinant of luxuriousness has often failed to adequately describe the reasons to why the consumers prefer luxury products. This study also aims to suggest a new path in how and what the consumers perceive as luxury products, and to conceptualize what luxuriousness means in the marketing perspectives on the background of a previous theory. The part of corporate attributes are divided in the following sections: corporate ability(CA) and corporate reputation(CR). The part of the determinant of luxuriousness is divided in sections of superiority, scarcity, differentiation, and tradit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theoretical concept used in such common measures as well as 282 example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attributes and luxuriousness of luxury products, and how such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s of consumers. The survey used to aid this study targeted luxury product consumers regarding “B” brand of automobiles. Using the analysi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draws a conclusion that in a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attributes and luxuriousness, corporate ability(CA) of corporate attributes affects the facts of differentiation and traditionality in a significant way, and corporate reputation(CR) of corporate attributes affects the factors of superiority and scarcity in a significant way. Additionally, the superiority and scarcity of luxuriousness positive significantly affects purchase intention, and differentiation and traditionality of luxuriousness affects purchase intention in a negative significant way. The structural concept of luxury and luxuriousnes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building a new case study, and the determinants of luxuriousness in the marketing perspective will be a practical help for checking the consumers' psychological reasons for purchase.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명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명품성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기업속성과 인지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명품성은 소비자에게 핵심가치를 제공하는 기능적 혜택, 경험적 혜택, 상징적 혜택, 배타적 혜택을 유인하며 소비자의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명품성에 기업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명품이 무엇이고, 명품성이 무엇인지를 마케팅관점에서 개념화하기 위하여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업속성은 기업역량과 기업평판으로 구분하고, 명품성 요인은 우월성, 희소성, 차별성, 전통성으로 구분하여 기업속성과 명품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총 282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제품은 명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전 조사된 B브랜드의 자동차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가설 검정결과, 기업속성과 명품성의 관계에서 기업속성 중 기업역량은 명품성의 차별성과 전통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기업평판은 우월성과 희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명품성의 우월성, 희소성은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명품성의 차별성과 전통성은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명품과 명품성의 구조적 개념은 새로운 연구모형을 구축하는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명품성의 결정요인은 소비자의 심리적 내적동기 요인을 확인하는데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프레스티지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가 인지하는 럭셔리함의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활동 연구

        김지은 ( Jieun Kim ),( Kim K Johns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3

        소비자가 특정 프레스티지 브랜드에 대해 "럭셔리하다"(럭셔리함)라고 느끼는 정도는 소비자가 프레스티지 브랜드를 구매하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볼수 있겠다. 따라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서 느끼는``럭셔리함``은 프레스티지 브랜드 매니저들이나 마케터들에게는 성공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마케터들은 브랜드의 "럭셔리함(럭셔리한 정도)"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광고나 가격정책 등 다양한 마케팅 계획을 세울 수 있겠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 브랜드매니저들이 마케팅 프로그램이 "럭셔리함" 구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마케팅 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프레스티지 브랜드 경영의 주요지표인 ``럭셔리함``이 마케팅 프로그램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마케팅 전략 수립시 좀더 기술적이고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비자행동을 이해하고자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레스티지 브랜드를 포함한 다양한 럭셔리 상품들을 구매하는 소비자층에는 럭셔리 상품에 대한 태도에 따라 두가지 소비자 그룹(elitists vs. democratics)으로 분류가 될 수 있는데, 이들의 태도에 따라 마케팅 프로그램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브랜드 매니저와 마케터들에게 타겟에 따른 더욱 효과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다행히도 럭셔리함을 측정하기 위해 5가지 구성요소(conspicuousness, quality, uniqueness, extendedself, hedonism)로 이루어진 BLI 스케일(Vigneron & Johnson, 2004)이 개발되었으며, 이후 이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2015년에 Kim과 Johnson이 위의 측정도구를 수정하였다. 수정된BLI 스케일은 본래의 BLI 스케일과 같은 수인 5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구성 요소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약간의 변동이 있다: quality, extended 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또한 이 연구를 위해 5가지 마케팅 활동으로 이루어진 마케팅 믹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스케일 (Yoo et al., 2000)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다섯 가지 마케팅 활동은 다음과 같다: 가격, 매장이미지, 유통망 밀집도, 광고지출액, 가격프로모션. 이 연구를 위해 데이터 수집은 미국에서 온라인 서베이 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총 253명의 답변으로 분석을 하였다. 5가지의 마케팅 믹스 요소(가격, 매장이미지, 유통망 밀집도, 광고지출액, 가격프로모션)가 5가지 요소로 구성된 ``럭셔리함``에 끼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MANOVA가 사용되었으며, 위의 두 가지의 럭셔리 소비자 집단이 마케팅 활동이 럭셔리함에 끼치는 영향력에 어떻게 간섭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ANOVA가 사용되었다. 결론으로, 광고지출액을 제외한 4가지의 마케팅 믹스 활동은 모두 럭셔리함에 유효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가격과 유통망 밀집도가 럭셔리함의 모든 요소들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가격과 유통망 밀집도는 럭셔리함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i.e., consumers` perceptionabout quality, extended 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모두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장이미지는 quality, extended self, hedonism, accessibility에만 영향을 끼치고 tradition에는 영향력이 없음이 밝혀졌다. 가격프로모션은 quality, extended self, accessibility, tradition에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으나, hedonism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럭셔리 상품에 대한 태도는 세가지 마케팅(가격, 유통망 밀집도, 가격프로모션) 활동 중 가격이 럭셔리함에 주는 영향력에만 간섭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럭셔리 상품에 대한 태도로 분류된 두 집단은 가격에 대한 영향력을 달리 받고 있었다. 즉 같은 가격 조건에서 럭셔리함에 대한 인지는 서로 달리 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엘리티스트 (elitist)들은 고가의 가격정책이 럭셔리함을 느끼는데매우 중요하였으나, 데모크래틱 (democratic)들은 가격이 높고 낮음에 따라 이들이 느끼는 럭셔리함의 정도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가격 정책은 달리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매스 럭셔리 소비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브랜드라면 럭셔리함을 유지하기 위해 너무 높은 마진을 책정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통망 밀집도와 가격프로모션의 차이에 대해 두 집단이 인식하는 럭셔리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아마도 가격프로모션이 잦은 경우 일반적으로 상품 질에 대한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유통망 밀집도의 경우는 실제로 프레스티지 브랜드 매장이 매우 한정적으로만 제공될 때 그 브랜드에 대해 매우 럭셔리하게 느끼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Consumers` belief about how luxurious a specific prestige brand is, influences consumer`s behaviors. To manage the perceived luxuriousness of a brand, marketers of a prestige brand may adopt a variety of marketing actions such as advertising, managing their store environment, conducting promotions, and so forth. In order to build efficient and effective marketing programs, a prestige brand company needs to know how their marketing programs contribute to consumer`s perceptions of their brand. Therefore, our first research question is: "How do the marketing programs of existing prestige brands affect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luxuriousness of the brand?" In addition, understanding consumer`s behavior is essential for marketers to make strategic and tactical decisions about specific marketing actions. Considering that there are two luxury consumer groups (i.e., the elitists vs. the democratics) who show a different attitude toward a luxury good, a question as to whether applying the same marketing strategies to shape perceptions of the luxuriousness of a brand is effective across these two consumer groups was raised. This reasoning le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do both groups respond similarly to a marketing program or does the program have to be customized for each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s, we adopted the modified BLI scale (Kim & Johnson, 2015) to measure the perceived luxuriousness of a prestige brand and a scale to measure consumer perceptions of the five marketing mix elements(i.e., price, store image, distribution intensity, advertising expenditures, and price promotions) developed by Yoo et al.(2000). The modified BLI scale has five dimensions (i.e., quality, extended-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USA to collect data. 253 responses were used in analysis. M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if perception about each marketing mix element influenced components of perceived luxuriousness (i.e., quality, extended-self, hedonism, accessibility, and tradition). And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fluence of price, distribution intensity, and price promotions on overall perceived luxuriousness would be moderated by consumers`` attitude toward luxury (i.e., elitist, democratic). As a result, four marketing mix elements (i.e., price, store image, distribution intensity, and frequency of price promotion) influenced perceived luxuriousness. Only advertising expenditur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luxuriousness. More specifically, price and distribution intensity influenced all the dimensions of perceived luxuriousness (i.e., consumers` perception about quality, extended-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In addition, the findings regarding the role of attitudes toward luxury indicated that there are at least two types of consumer groups within luxury market who view luxury brands differently. The impact of the marketing mix elements on perceived luxuriousness of a prestige brand was different for these two groups. The elitists seem to consider high price as a very important attribute of a prestige brand thus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price when evaluating the luxuriousness of a prestige brand in contrast to the democratic luxury consumer.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researchers (Dubois et al., 2005) who demonstrated there were two different attitudes toward luxury. Dubois and his colleagues (2005) showed that the elitists agreed with the idea that luxury is inevitable expensive while the democratics did not agree. However, frequent offers of price promotions eroded the degree of luxuriousness for both the elitists and the democratics. The reason why both groups may have had the same attitude toward price promotionnegative effect on perceived luxuriousness.may be because price promotions suggest unstable quality (Winter, 1991). In addition, both groups revealed a similar impact of distribution intensity on luxuriousness. They both indicated a high degree of the perceived luxuriousness with low levels of distribution intensity. This result may be because prestige brands that are generally regarded as very luxurious have very limited distribution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마케팅 믹스를 활용한 한국 중소기업의브랜드 명품성 구축에 대한 연구

        고인곤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As interest and consumption of luxury goods have become more popular, luxury goods market is growing rapidly. Consumers can acquire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material abundance by purchasing and using luxury goods. Also, from the view of corporations, luxury goods have price inelastic characteristics, so they can enjoy price premium and it is good to produce good performance. That is the reason why they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securing luxuriousness.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of brands luxuriousness in Korean SMEs. First, it examined the world market of luxury goods industry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market. Then it identified the constituents of luxuriousness by examining the prior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s, and design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s to suggest the methods of brand luxuriousness building of Korean SMEs. Luxuriousness can be defined as the attribute of product that distinguishes luxury goods from other products by consumers’ perceptions, and the factor that provides situational benefits that motivat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In this study, I identified the sub-dimensions of luxuriousness according to whether there are product related attributes and consumers' benefit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of existing studies. Product related luxuriousness are classified into superiority(functional benefit) and scarcity(experiential benefit), while non-product related luxuriousness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iation(symbolic benefit) and traditionality(exclusive benefit).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build brand luxuriousness. First, company can use product factors. High quality, excellent design, high recognized brand with strong, favorable and unique images can enhance the luxuriousness of brand. Second, company can use price factors. Consumers tend to perceive luxury goods as high-priced items, so lowering the price of product can undermine the luxuriousness of product. Third, company can use distribution factors. It is effective for making consumers to perceive the differentiation and scarcity of luxuriousness through limited distribution channel. In addition, store atmosphere suitable for luxury brands should be created. Fourth, company can use promotion factors. The more consumers are exposed to advertisements,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luxury brands are made, and consumers recognize luxuriousness higher. Price promotion negatively affects consumers’ perception of luxuriousness. Fifth, company can use corporate factors. Consumer evaluations of products are influenced not only by the product attributes but also by the corporate association and corporate image surrounding the product. Considering the existing researche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brand luxuriousness through high corporate competence and good corporate reput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ence of the enterprise, it is useful to approach multidimensionally in relation with the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In corporate reputation, the external stakeholders’ reputation is important, but the internal members’ reputation is also important. Korean SMEs will be able to build brand luxuriousness by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as above and/or mix(integrate) them according to the situation. 명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점차 대중화되면서 명품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명품을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물질적인 풍요와 함께 심리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명품은 가격 비탄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가격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고 양호한 성과를 산출하는데 유리하므로 명품성 확보방안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명품성을‘다른 제품과 차별적으로 명품을 인식하게 만드는 제품의 속성으로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중요한 동기를 부여하는 상황적 혜택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정의하고, 한국 중소기업의 브랜드 명품성 구축방안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명품산업의 세계시장과 한국시장 현황을 알아보고, 기존연구들과 관련문헌을 조사하여 명품성의 구성요소를 규명하였으며,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마케팅 믹스를 활용한 한국 중소기업의 브랜드 명품성 구축방법을 제시하였다. 명품성의 하위차원은 기존연구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품관련 속성여부와 소비자가 얻는 혜택여부에 따라 규명하였다. 제품관련 명품성은 우월성 (기능적 혜택)과 희소성(경험적 혜택)으로 구분하고, 비제품관련 명품성은 차별성 (상징적 혜택)과 전통성 (배타적 혜택)으로 구분하였다. 브랜드 명품성 구축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요인을 이용하는 것이다. 높은 품질, 우수한 디자인, 인지도가 높으면서 강력하고 호의적이며 독특한 연상의 브랜드를 통해 명품성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가격요인을 이용하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명품을 고가품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제품의 가격을 너무 낮게 책정하는 것은 명품성을 훼손할 수 있다. 셋째, 유통요인을 이용하는 것이다. 제한적인 유통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명품성의 차별성과 희소성을 지각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명품브랜드에 적합한 매장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넷째, 촉진요인을 이용하는 것이다. 소비자가 광고에 많이 노출될수록 명품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의 태도를 형성하여 명품성을 높게 지각한다. 가격촉진은 소비자의 명품성 지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기업속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는 제품속성뿐만 아니라 그 제품을 둘러싼 기업연상이나 기업이미지에 영향을 받는다. 기존연구를 참고하면 높은 기업역량, 양호한 기업평판을 통해 명품성을 제고할 수 있다. 기업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식창출능력과 연계하여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면 유용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기업평판에 있어서는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평판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내부구성원들의 평판도 중요하다.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상황에 따라 개별적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거나 혹은 믹스 (통합)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함으로써 브랜드의 명품성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명품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제품속성과 명품성을 중심으로

        임중식,고인곤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4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ademically define what "luxury products” mean, and to clarify the cognitiv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ttributes and “luxuriousness” in relation to the determinant of luxuriousness that eventual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is study is also written under the theory that luxuriousness leads to benefits such as functional benefit, experiential benefit, symbolic benefit, and exclusive benefit; which all provide core values to consumers and serve as effect factors that influenc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onsumers. The commonly discussed measure of the determinant of luxuriousness has often failed to adequately describe the reasons to why the consumers prefer luxury products. This study also aims to suggest a new path in how and what the consumers perceive as luxury products, and to conceptualize what luxuriousness means in the marketing perspectives on the background of a previous theory. The part of product attributes are divided in the following sections: the quality and design of functional cues and brands of symbolic cues, as well as prices. The part of the determinant of luxuriousness is divided in sections of superiority, scarcity, differentiation, and tradit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theoretical concept used in such common measures as well as 282 example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ttributes and luxuriousness of luxury products, and how such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s of consumers. The survey used to aid this study targeted luxury product consumers regarding “B” brand of automobiles. Using the analysi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draws a conclusion that in a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ttributes and luxuriousness, quality(which is one of the functional cues) affects the facts of superiority, differentiation in a significant way, and design affects the factors of scarcity in a significant way. And brand(one of the symbolic cues) significantly affects the factors of traditionality within the luxuriousness factors, and price appeared to affect superiority and scarcity. Additionally, the brand of product attributes significantly affects purchase intention, and superiority and scarcity of luxuriousness affects purchase intention in a significant way. The structural concept of luxury and luxuriousnes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building a new case study, and the determinants of luxuriousness in the marketing perspective will be a practical help for checking the consumers psychological reasons for purchase. 본 연구의 목적은 명품을 학문적으로 정의하고, 소비자의 명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명품성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제품속성과 인지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명품성은 소비자에게 핵심가치를 제공하는 기능적 혜택, 경험적 혜택, 상징적 혜택, 배타적 혜택을 유인하며 소비자의 심리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이다. 기존의 명품성 요인의 척도 개념으로는 소비자가 명품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명품이 무엇이고, 명품성이 무엇인지를 마케팅관점에서 개념화하기 위하여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제품속성은 기능적 단서(품질, 디자인), 상징적 단서(브랜드, 가격)로 구분하고, 명품성 요인은 우월성, 희소성, 차별성, 전통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명품의 제품속성과 명품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총 282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제품은 명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전 조사된 B자동차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을 이용한 가설 검정결과, 제품속성과 명품성의 관계에서 제품속성의 기능적 단서인 품질은 명품성의 우월성과 차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디자인은 희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속성의 상징적 단서인 브랜드는 전통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가격은 우월성과 희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품속성은 구매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명품성은 구매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명품과 명품성의 구조적 개념은 새로운 연구모형을 구축하는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마케팅 관점에서 명품성의 결정요인은 소비자의 심리적 내적동기 요인을 확인하는데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디자인에서의 고급감에 관한 의미 및 감성어휘 연구

        임영빈(Young Bin Lim),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감성의 중요성이 날로 중요한 가치와 도구로서 의미를 더해가고 있는 가운데 디자인 역시 빠르게 변화하는 첨단기술과 정보, 사회, 문화 등의 거시적 변화들을 적극적으로 디자인에 반영하고 적용해가며 소비자(사용자)와의 감성소통을 전제로 서로 관계한다. 특히 기능과 스타일이 소비자(사용자)들의 감성적 만족이나 차별화 요인으로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하게 되면서 대두된 것이 바로 디자인의 고급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이 고급화 되는 과정이나, 또는 소비자나 사용자가 디자인을 통해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감성적 경험 모두가 고급감을 이해하는 범위에 포함 된다고 보고 그 공통의 과정과 자료로서 ‘고급’에 관련된 감성 어휘 체계화를 기본으로 삼았다. ‘고급’에 관련된 어휘 개념의 명확화와 체계화를 통해 디자인과 고급스러움의 핵심 가치들을 연결하여 고급감이 새로운 디자인 가치로서 확실히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고급감’이라는 단어 자체가 ‘고급에 관련한 또는 고급을 느끼는 감성’이라는 의미를 지지고 새로이 만들어진 표현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타 연구들의 기초적 자료로서 그 의미를 지니며 앞으로 디자인에서의 고급감에 관련한 기준과 기본을 위한 것이므로 문헌 고찰을 통한 기존 연구들의 정리에 감성 디자인 부문 석사 이상의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개념 정의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쓰이는 ‘고급’에 대한 사전적 정의와 관용적 표현으로 쓰이는 관련 어휘 및 유사어 등을 문헌자료 조사를 기초로 디자인 유관 전공 석사 이상의 전문가들의 자유 토론으로 우선 선별하였으며, 특정 디자인 분야 선행 연구 논문들에서 활용 및 적용된 ‘고급감’ 관련 감성어휘들을 통합하고 중복된 어휘를 삭제 선별하여 언어 기반의 디자인에서의 고급감의 의미를 가리기 위한 가치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정립하였다. 첫째, 고급감은 ‘고급’과 ‘고급스럽다’의 국어, 영어, 연관 어휘, 유사 어휘들의 사전적 정의에 의해 개념상 고급감을 구분하거나 구별 지을 수 있는 ‘품질, 규모, 수준, 느낌, 인상, 가격, 특별함, 계층, 품위, 속도, 시대, 시간, 여유, 상태 등’ 15가지의 세부 기준을 지니고 있다. 둘째, 고급 기준에 의한 구분이나 구별 행위를 통해 디자인이 추구할 수 있는 고급감의 6가지 주요 목표 가치로서 1)물리적 우수성 2)형태적 고유성 3)가치적 희소성 4)사회적 위상성 5)환경적 시의성 6)정서적 신뢰성이 도출되었다. 셋째, 디자인 가치와 고급감의 가치를 보다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하여 목표 감성 가치 별로 필터링된 긍정적 감성 어휘들 분류하여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보다 향상된 디자인 감성 기준으로 고급감이 더욱 중요한 지표가 될수 있도록 고급의 의미와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관련 감성 어휘 약 236개를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importance of sensibility has been more emphasized as a significant value and tool, the field of design reflects and applied the rapidly-changing macroscopic transformations in the latest technology, information, society, and culture, and makes th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or users in the communication. Especially, as the functions and styles of designs have not been significant as the factor to sensible satisfaction or discrimination, the luxuriousness of design came to the fore. In this study, it is viewed that both the process of design getting luxurious and the sensible experiences that consumers or users have, feeling luxuriousness through designs are included in the appreciation of the luxuriousness; so, this study has its basis on the systemization of the vocabulary of sensibility related to the ‘luxuriousness’ as the common process and resource. Through the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 ‘luxuriousness and its systemization, this study connected the design and the core values of the luxuriousness, and made sure the luxuriousness could firm its position as a new design value. For this purpose, it fist organized the dictionary definitions, idiomatic expressions, and synonyms that are used in general, and by selecting the vocabulary of sensibility related to the ‘luxuriousness’ that has been researched and applied in the specific design field, established the standard of value to distinguish the meaning of the luxuriousness in design. The word meaning ``sense of high-class`` is a newly built expression which contains meaning of ``emotion related with high-class or emotion feeling the high-class``.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set up the basis of concept definition on ``sense of high-class`` as a basic study platform for other studies, based on the collected expert opinions of master level or higher in the realm of emotional design, top of the existing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means of setting up the criteria and the basis of ``sense of high-class`` at the design area. To do this, this study made selection of candidate words through free discussions of expert group of masters or higher on the design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vocabularies and analogous terms which can be lexically and customarily used to mean ``high-class``, and set up the value criteria which can grasp the correct word exactly meaning the sense of high-class in design area supported by language base, by selecting the right word from the pool of emotional words related with ``sense of high-class`` appeared and utilized on the preceding research papers on specific design areas. First, the luxuriousness has the standard with more than 15 categories that can distinguish the conceptual meanings of the luxuriousness that are defined by the dictionary meanings of the Korean, English, related and similar vocabularies of the ‘luxuriousness’ and ‘being luxurious.’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e 1) physical excellence, 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3) value scarcity, 4) social status, 5) environmental timeliness, and 6) emotional trust as the six main target values that design can pursue with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luxurious standard. Third, to understand the values of design and the luxuriousness more in depth, this study systemized the vocabulary of positive sensibilities filtered into each target value of sensibility.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relevant vocabulary of sensibility applicable to the meaning of the luxuriousness and design for the luxuriousness to be the more important index in the standard of the design sensibility more improved through the results stated above.

      • KCI등재

        디지털미디어 제품의 고급감 요인 도출

        박주현,최민영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첨단기술을 수반한 고품질의 디지털미디어 제품들의 고급화가 중요해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제품의 고급감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고급감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디지털미디어 제품의 고급감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디지털미디어 제품의 고급화가 중요해지고 있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온·오프라인의 자료들을 통한 데이터마이닝과 고급감과 관련한 문헌에서 정리된 고급감 요인들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우수성, 지속적 전통성, 차별화된 희소성, 참신한 시의성, 사회적 위상성의 5가지 디지털미디어의 고급감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새로운 가치로서의 고급감을 연구하여, 디지털미디어의 고급감 범위를 설정하고 제품의 고급감을 평가하거나 디자인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the era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about the luxuriousness of digital media products accompanied with cutting edge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conclusion to develop the luxuriousness factors of digital media products in order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the guideline of luxuriousness while designing the digital media product’s luxuriousness. Literature review was initia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about the importance of digital media product’s luxuriousness. A Survey was conducted to develop luxuriousness factors by utilizing data mining through on and offline data. As of the result, it defines five luxuriousness factors for luxuriousness of digital media; physical excellence, durable heritage, differential uniqueness, new trend and social prestige. This research intends for contribution on development of the design. Hence, this research presents the scoops of digital media’s luxuriousness and also could use for guideline of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product luxuriousness

      • KCI등재

        제품 고급감 요인 도출을 위한 비교연구: 활성화 확산 이론과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하진호(Jinho Ha),임영재(Youngjae Im) 대한인간공학회 202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9 No.4

        Objective: Luxuriousness means that it is an affection related to or feeling premium and prestig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product"s luxuriousness factor based on spreading activation theory. Background: Recently, the luxuriousness factor has been emphasized in the product development. Laptops are high-involvement products and highly sensitive to prices. As a result, the products with both functionality and luxuriousness are leading to the laptop market. Method: Affection vocabulary in product, visual, and interior design were primary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Next, affection vocabulary was grouped and reduc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product luxuriousness and synonym or antonym criteria. Then, the final evaluation vocabulary was selected to assess the luxuriousness of the laptop. A total of 15 participants performed the affection evaluation on mobile device. Results: Affection vocabulary belonging to a group of short-response times related to the luxuriousness of laptop included neat, functional, classy, light and slim. Convenient, superior, and delicate were chosen to be related to luxuriousness but the response time was relatively high. Meanwhile, friendly, beautiful, familiar, curved, new, harmonious, and fancy were found to be ambiguous or less relevant to judge in terms of laptop luxuriousness. Conclusion: The affection vocabulary of neat, functional, classy, light and slim was determined to be luxurious based on spreading activation theory. These were defined as function-related factors, slim-related factors, and classy design-related factors.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on the luxuriousness facto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pplic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applicability of deriving luxuriousness factors analyzing the response time to choose compared to factor analysis, which requires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and is based on subjective evaluations.

      • KCI등재

        브랜드 명품성의 차원과 척도개발

        라지은,최낙환,나광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3

        명품 소비시장의 폭발적 성장은 명품 관련 연구자와 명품 브랜드 경영자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그러나, 명품을 어떻게 정의하고 어떻게 측정할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명품의 다차원 속성을 정의하고 개념화할 수 있는 이론적, 실증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품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명품성을 구성하고 있는 다차원 속성을 밝히고자 한다. 기존연구를 통해 331개의 브랜드 명품성 측정항목을 도출하고 3번의 설문조사를 통해 7개의 구성요인(쾌락성, 배타적 과시성, 유명성, 심미성, 희소성, 내구성, 품질)과 37개의 측정항목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명품 측정 척도는 명품의 다차원적 속성을 보다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는 하나의 유용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명품의 측정척도를 확대, 개발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서, 명품 관련연구의 이론적 일관성과 학문적 전통성을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명품의 7가지 구성요인은 소비자가 생각하는 명품이 무엇인지를 보다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기대되는 한편, 이들 7개 요인을 상위차원의 개념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척도는 마케터들이 소비자들에게 명품이 어떻게 지각되고 소비되는지를 평가하는데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the luxury markets are explosively grow over recent decades, luxury researchers and luxury brand managers have paid considerable amounts of research interests. However, little research efforts has been made to investigate how to define luxuriousness and how to assess its underlying dimensions. Recognizing the research gap, this research project intends to lay a theoretical, empirical foundation to define and conceptualize multi-dimensional Luxuriousness. To meet this fundamental research purpose, scales to measure luxuriousness were developed, and then the underlying multi-dimensions of luxuriousness were identified, The 331 items developed and used in prior literature were dropped to 7 dimensions(Hedonism, Exclusive Conspicuousness, Reputation, Aesthetics, Rarity, Durability, Quality) and 37 items to measure luxuriousness in survey purification method via three times surveys. The scale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rigorous study can be utilized as a useful criteria to explore the underly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luxuriousness. Subsequently, the 7 factor solution with 37 scales which is developed by expanding and exploring past research of luxuriousness measurement scale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to exp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luxuriousness research. The underlying 7 dimensions of luxuriousness enable not only answer to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luxurious?, but to re-constitute the multi-dimensions with a concise parsimonious model. In addition, by using the survey items validated in this study, marketers can strategically evaluate their luxury goods are perceived and consumed by their consumers.

      • KCI등재

        운전자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센터페시아 설계: 고급감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김석현,임영재 대한인간공학회 2022 大韓人間工學會誌 Vol.41 No.2

        Objective: This study is defined the Center Fascia design variables in automobiles and see how each variable affects the sense of luxuriousness. Background: Since modern consumers take the functional part of purchasing products for grante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enhance the aesthetic and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products. In the automobile market as well, these were responding to the consumption trends of these users, and the increase in size and number of internal displays has had a major impact on the interior of the room. Method: Quantification theory I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design variables on the sub-item of luxuriousnes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sub-item of luxuriousness on the luxuriousnes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luxuriousness scor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design variables, and as a result of classifying luxuriousness scores according to each combination, it was classified into four levels of Best, Good, Moderate, and Worst. At this time, the Best level was classified into 4 alternatives, the Good level was classified into 13 alternatives, and Moderate and Worst levels were classified into 5 alternative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best combination, which drivers feel the highest sense of luxuriousness, was identified as a combination of small to medium level bezel size and plastic and chrom material in the horizontal display form. It can be seen that the Best level alternative is also in line with the recently released Center Fascia design trend of new cars and future concept car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design guidelines that enhance the luxuriousness of Center Fascia.

      • KCI등재

        자동차 내장재에 대한 한국인과 독일인의 재질감 비교분석: 시각적 실제감과 고급감에 대한 선호 경향을 중심으로

        박성준 대한인간공학회 2023 大韓人間工學會誌 Vol.42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eople feel luxurious when they feel like real wood in the interior materials of wood images. In addition, it is to compare whether the emotional satisfaction for a sense of reality and an impression of luxuriousness is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 or race. Background: As customer needs for automobile properties as a living space increase, interest in vehicle design considering the user's emotions is increasing. To develop interior materials that replace real woo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bout the material conditions in which users feel a sense of visual reality and an impression of luxuriousness. Method: Interior material samples of wood images were produced to investigate subjective emotional satisfaction for a sense of reality and impression of luxuriousness. By changing the embossing depth and pattern generation rate, which are used as design factors for interior material manufacturing, 9 types of samples were produced and used for emotional evaluation. To compare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Koreans and German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6 Koreans and 80 Germans. Results: In the case of Koreans, the deeper the depth of the pattern and the lighter the pattern image, the more they felt like real wood, but they did not feel the most luxurious for the sample under conditions that looked like real wood. However, in the case of Germans, only the darkness of the wood patterns affected the sense of reality, and the conditions for feeling a sense of reality and the conditions for feeling luxurious were similar. Conclusion: The interior materials that look like real wood did not feel luxurious, an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satisfaction conditions felt by Koreans and Germans were different for vehicle interior materials. To increase the level of emotional satisfaction with luxuriousness,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explore the degree of darkness and lightness of interior material patterns.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sign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with a luxurious wood image will not only increase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automobiles but also be applicable to interior design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