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비용항공사 서비스품질과 행동의도에 있어서 브랜드인지도의 매개효과검증
이동희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6
국내 항공시장은 저비용항공사들의 성장과 이에 맞선 대형항공사의 적극적 공세와 한국에 진출하는 해외 저비용항공사들의 시장진입으로 나날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안전성과 경제성에 대한 요구뿐아니라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의 기대 변화에 맞는 마케팅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저비용항공사의 고객들의 이용의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어떤 요소에 집중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국내 6개 저비용항공사에 탑승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용경험과 서비스품질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서비스품질 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고객만족과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 서비스품질과 고객의 이용의도 간에 브랜드 인지도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통계 분석에 SPSS 23.0을 사용하였다. 항공사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측정항목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요소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브랜드인지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검정을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재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비용항공사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항공요금’, ‘비행편 스케줄’, ‘안전운항’, ‘항공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저비용항공사 승객들의 예약/발권을 하는 경로로는 ‘항공사 홈페이지 이용’ 응답이 가장 많았고, ‘여행사 홈페이지’와 같이 인터넷 및 모바일 시스템에서 주로 예약/발권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석배정방식은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자유좌석제가 아닌 지정좌석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저비용항공사 이용경험을 토대로 저비용항공사가 가장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기내의 쾌적성과 편안함’, ‘기내식음료’, ‘직원 및 승무원의 인적서비스’, ‘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처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요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4개의 요인들을 ‘기내서비스’, ‘운영시스템’, ‘부가서비스’, ‘항공기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 네 가지 서비스품질 요소 모두 고객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속성과 고객의 이용의도 간에 브랜드인지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Sobel test를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 서비스품질 속성의 모든 요인이 고객의 행동의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서비스품질 요인 중 ‘기내서비스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가장 높았고, 간접보다는 직접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운영시스템’과, ‘부가서비스’, ‘항공기요인’에 있어서는 매개변수인 브랜드인지도가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간접적으로 고객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비용 항공사들은 서비스 품질 속성에 대한 승객들의 기대를 파악하고, 서비스품질요소의 집중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고객의 이용의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저비용항 ... The domestic airline market is intensifying competition due to the growth of low-cost carriers and aggressive offensive by full service carriers and entry of overseas low-cost carriers to Korea. Expectations for safety and economy as well as the quality of service for passengers using low-cost carriers are increasing. In order to increase the growth of domestic low-cost carri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meets the expectations of customers who use low-cost carr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should be focused on in order to gain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of low-cost carri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passengers who boarded six low cost carriers in Korea. Also,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and whether brand awareness mediates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intention. SPSS 2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airlin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service quality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mediating effects were re-verified by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low cost carriers were ‘Air fare’, ‘Flight schedule’, ‘Safe flight’, ‘Cabin service’. The most frequent route to make reservations/ticketing for low cost carriers passengers was to use ‘airline homepage’ and to reservation/ ticketing mainly on internet and mobile systems like ‘travel agency homepage’. In the case of domestic low cost carriers, seat preference was high for a seat carriers that was not a free seat. In addi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low cost carriers, low cost need the most complementary items in the order of comfort and comfort on board, in-flight beverage, human service of ground staff and cabin crew, Four factors extract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ervice quality factor were named ‘cabin service’, ‘operating system’, ‘additional service’, ‘aircraft f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our service quality factors influenced customers' intention to use. As a result of the detailed analysis by Sobel test on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between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customers' intention to use, all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mediate the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cabin service factor’ had the highes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direct mediating effect than indirect. On the other hand, brand awareness, which is a parameter in ‘operating system’, ‘supplementary service’ and ‘aircraft factor’, indirectly influences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rather than direct effect. In conclusion, low-cost carriers need to understand the expectations of passengers about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to develop intensive service quality factors. In addition, low-cost carriers need to establish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brand awareness in order to attract customers' intentions.
김효중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4
국내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를 비롯한 대형항공사와 제주항공을 포함하는 저비용항공사 6 개사를 포함하여 총 8개 항공사가 운영되고 있다. 이외에도 국토교통부는 최근 플라이강원, 에어로케이, 프리미아항공 등 3개의 저비용항공사를 추가로 면허발급하면서 앞으로 늘어날 항공수요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와 같이 국내 저비용항공사가 늘어남에따라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 및 항공업계에서는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안전과 서비스수준이 저하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저비용항공사의 직원들이 제공하는 안전수준과 서비스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로써 저비용항공사 종합통제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직원들의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저비용항공사 종합통제센터에서 제공하는 종합통제서비스에 대해 직원들이 가지는 만족도는저비용항공사 직원들의 직무몰입에 대한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에 중요함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를 위해 저비용항공사 종합통제센터에서 제공하는 종합통제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각 독립변수들이 저비용항공사 직원들의 종합통제서비스만족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저비용항공사 직원의 종합통제서비스만족에 대한 상대적인 설명력을 비교해본 결과, 종합통제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반응성, 보증성, 전문성, 공감성, 조직문화 순으로 저비용항공사직원들의 종합통제서비스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ng airlines based in South Korea, two are full-service carriers (Korean Air and Asiana Airlines), and a further six are low-cost carriers. Despite this relatively large number of airlines, parts of the air travel industry have consistently called for the permitting of additional domestic carriers. Ultimately,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recently issued licenses for three new low-cost carriers: Fly Gangwon, Aero_K, and Air Premia. The increasing number of low-cost airlines have heightened concerns among flyers and industry participants regarding low-cost carrier safety and service standards. In this research, I examine low-cost carrier employees'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Control Center (OCC) services their firms provide, as a source of insight into how the safety and service standards provided by these employees may be improved. Previous research has not examined this topic despite its importance, even though employees' satisfaction with OCC service is a prerequisite for employee job engagement. I describe several major factors that may act a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low-cost carrier OCC service satisfaction, and analyze the individual contribution of these factors to OCC service satisfaction. Comparing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I find that the responsiveness, assurance, professionalism, empathy, and organizational culture reflected in OCC service have, in the order listed, the largest effects in low-cost carrier employees' satisfaction of overall OCC service.
저비용항공 진입에 따른 항공과 고속철도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임삼진,임강원,이영인,김경희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4
Most of Korea's 15 local airports, with the exception Jeju, Gimpo and Gimhae airports, have been several billion Won in the red each year. It has been reported that one of the causes of the poor financial performance is inaccurate air traffic demand predictions. Under the situation, the entry of low-cost carrier air service using turbo-prop airplanes into the domestic airlines market gets a wide range of support, which is expect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and help to activate local airports. In this study, the authors (1) suggest a high-speed transport demand model among existing airlines, Korea Train Express (KTX) and low-cost carrier air service; (2) try to make low-cost air carrier demand predictions for a route between Seoul and Daegu through a stated-preference survey; and (3), examine possible effectiveness of selected policy measures by establishing an estimation model. First, fare has a strong influence for mode choice between high-speed transport modes when considering the entry of low-cost carrier air service between Seoul and Daegu. Even low-cost carrier air service fare is set at 38,000 won, which is considerably low compared with that of KTX, in the regions where the total travel time is the same for both low-cost carrier air service and KTX,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low-cost carrier air service is 0.1, which shows little possibility of modal change between high speed transportation means. It is suggested that the fare of low-cost air service between Seoul and Daegu should be within the range of from of 38,000 to 44,000 Won; if it is higher, the demand is likely to be lower than expected. 2004년을 기준으로 전국 15개 지방공항 가운데 제주와 김포, 김해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공항 들은 해마다 수십억 원의 적자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공항들의 실패원인으로 수요예측 오류의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이에 소형 항공기를 이용해 정기서비스를 제공하는 저비용항공의 진입을 통해 소비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지방공항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사회적인 공감을 얻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기존항공과 고속철도와 저비용항공 3자 사이의 고속교통통행수단 선택모형을 제시하고 (2) SP조사를 통하여 서울-대구간 저비용항공의 이용수요를 추정하고, (3) 추정모형을 설정하여 정책수단별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서울-대구간 고속교통수단 선택에 있어서 저비용항공의 진입은 요금과 가격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저비용항공의 요금이 KTX에 비해 훨씬 저렴한 38,000원 수준으로 정해질 경우에도 총통행시간이 KTX와 시간이 동일하게 소요되는 지역의 경우 저비용항공의 선택확률은 0.1 정도로 작게 나타나 통행수단 전환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3)향후 서울-대구간 저비용항공 취항시의 요금은 38,000원~44,000원 사이에서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그 이상의 요금으로 결정될 경우 큰 수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저비용항공사 장거리 운항 추세에 따른 장거리 저비용 비즈니스 모델 적합성 연구
진성현 한국호텔관광학회 2018 호텔관광연구 Vol.20 No.4
This paper was designed to provide a long-haul business model to be selected by the nation`s low-cost carriers by analyzing it based on prior studies to the long-haul flight application of the low-cost carrier business model which is being effective at short haul. Low-cost carriers in Korea carefully push for an attempt to extend their low-cost airline business model to long-haul flights in response to the local market saturation. The study found that there are many limitations for successful business models that low-cost carriers have shown in short-haul flights. It is too early to make a decisive decision on the long-term success of the long-distance low-cost airline model, but many price-sensitive passengers are eager for this long-haul low-cost airline model. This study limits the fact that domestic low-cost carriers are in the process of long-haul flights and that there is no actual long-haul transportation. The fact that long-distance LCCs, which have increased sharply since 2000, are still early to build successful profit models such as short-haul markets has a great implication for studying long-haul low-cost business models.
장거리 노선 운항 저비용항공사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조성우(Sung-Woo Cho),서선애(Sun-Yae Se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0 전자무역연구 Vol.18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저비용항공사가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인 장거리 저비용항공사의 비즈니스 모델 개념, 특성,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새로운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논문구성/논리: 논문의 구성은 서론인 제1장에서는 한국의 저비용항공사 운영현황, 시장상황, 산업특성 등 연구배경과 연구목적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저비용항공사 개념과 저비용항공사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장거리 저비용항공사 모델의 발전과정을 제4장에서는 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제안 가능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 설명하였다. 제5장에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문의 내용을 정리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 네트워크 기반 항공사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전략과 제한된 경쟁에서 성공요인을 찾을 수 있고 앞으로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장거리 노선과 현재는 위험성이 있는 통합된 정기왕복 서비스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할 것으로 여겨진다. 상품 중점 항공사의 경우 다양한 규모의 기업, 프리미엄 관광객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며, 일등석과 비즈니스 혹은 혼합된 형태의 좌석을 제공한다. 미래의 비즈니스 모델은 높은 고정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요금 특화 항공사는 다른 형태의 항공사보다 많은 잠재적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특정시장에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려는 목표를 가진 단거리 요금 특화 항공사와의 제휴를 통해 더욱 확고한 우위를 점할 수도 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장거리 저비용항공사의 특성, 발전과정 등의 내용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포화 상태인 한국의 저비용항공사가 성장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research into new business models for long-haul flights will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corporate management for airlines that have already entered the low-cost air transport market or are looking to enter near future. Composition/Logic: Chapter 1, Introduction, present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s the definitions and business models of low cost carriers based on major prior studies. Chapter 3 summarizes the development of the long-haul low-cost airline model, and Chapter 4 provides some new business models based on the previous contents. Chapter 5 mentions the market characteristics and opportunities of long-haul low-cost carriers. In chapter 6, the research contents are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ndings: Network-based airlines are believed to be able to find success factors in their strategy and limited competition for businesses, and will develop models for long-haul routes and currently at-risk integrated round-trip services. Product-focused airlines offer services to companies of all sizes, premium tourists, and include first class, business or mixed seating. Future business models will need to be considered for ways to reduce high fixed costs. Finally, fare-specific airlines have more potential opportunities than other types of airlines, an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they may have a firmer edge over short-haul fare-specific airlines with the goal of forming a global network in a particular market. Originality/Value: This study provides a variety of case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low-cost airlines operating in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a model that will allow low-cost airlines to make a profit in South Korea.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비교-
맹연호 ( Yeon Ho Maeng ),이동명 ( Dong Myo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2 No.5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ir transport industry after 2000 made low cost carrier enter the market. The low cost carriers have expanded not only domestic but also international flight market. While existing researches focused on full service carriers` flight attendants are prolific, researches on low-cost carriers` crew is hard to find. This study compared the job stress, 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areer satisfaction between low-cost carriers` flight attendants and full service carriers` flight attendants. The 402 questionnaires, consisted of 224 in full service carrier and 178 in low-cost carriers, are utilized for analysis.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Oaxaca(1973)`s decomposi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unstability and unsystematic organization of job stress dimensions among low-costcarriers` flight attendants are higher than those of full service carriers` flight attendants. Butcollective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full service carriers` flight attendants, another dimension of job stress, is higher than that among low-cost carriers` flight attendants. Second, unsuitable rewards and unsystematic organization ar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career satisfaction among flight attendants in two, full service and low-cost, types of airlines. But collective organizational culture has mor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in fullservice carriers than that in low-cost carriers.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d Oaxaca`s decomposition of OLS reveal that -7.87% of difference in career satisfaction between low-cost and full service carriers are explained by 7dimensions of job stress. And this research shows that job unstability and unsystematic organization of job stress dimensions in low-cost carriers are very associated with career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in full service carriers.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 시장참여 효과 분석과 향후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김제철,예충열,박진서,김진후 한국교통연구원 2009 交通硏究 Vol.16 No.4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시장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 중 가장 큰 변화는 양대 항공사체제에서 벗어난 저비용항공사들의 시장 진입을 꼽을 수 있다. 2005년 한성항공의 시장 진입 이후 제주항공, 진에어, 영남에어, 에어부산, 이스타항공이 시장에 진입하여 독과점체제에서 벗어난 경쟁시장체제를 형성해 가고 있다. 또한 저비용항공사는 2006년 약 2.2%에 그쳤던 점유율이 2008년에는 약 10%로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존 항공사와의 중복된 노선 및 차별화된 영업전략의 부재, 자본구조의 취약 등으로 일부 저비용항공사는 운영을 중단하였으며, 나머지 저비용항공사 역시 시장 정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수십 년간 대형항공사 중심의 항공정책으로 저비용항공사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그동안 저비용항공사의 항공시장 참여에 따른 영향 분석을 통해 저비용항공사 성장의 문제점과 시장참여의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irline industry of Korea has many changes since 2000. There is one of the huge changes because Low Cost Carriers(LCC) come into the market out of the duopoly aviation market. After Hansung Airlines came into the market on 2005, Jeju Air, Jin Air, Yeongnam Air, Air Busan, Eastarjet also entered to the aviation market. So, these airlines make a competitive market rather than an duopoly market each other. Also, Low Cost Carriers make an outstanding growth such as the market share of 2006 was about 2.2%, but it increased up to 10% in 2008. However, some of Low Cost Carriers were discontinued their business by the same air routes operation with existing airlines, lack of differentiation strategy in sales and managerial difficulties. Through the influences and analysis of Low Cost Carriers participation in the aviation market, first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limitation in market participation, then try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to make a further development of Low Cost Carriers.
저비용항공사 전용터미널(LCCT)이 저비용항공사(LCC) 항공요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 쿠알라룸푸르 공항을 취항하는 LCC를 중심으로 -
정솔,정재한 한국교통연구원 2014 交通硏究 Vol.21 No.1
Recently,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major airports in South Korea should introduce low cost carrier terminals (LCCT)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burgeoning demand for low cost carriers (LCC)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LCCs. However, not many studies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LCCT on LC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LCCT on LCC using data from Malaysia's Kuala Lumpur International Airport.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infrastructure-related fees and basic airfares between two LCCs. One carrier uses LCCT while the other uses the Main Terminal Building (MTB). Two significant findings are discovered. First, the airfares of the airline using LCCT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arrier in the MTB for matching destination flights. It shows that the airfares remain unchanged even if LCCT is built and supplied. The finding runs contrary to the widely held belief that the construction of LCCT can greatly reduce LCC airfares. Second, the basic airfares of the airline using LCCT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carrier in the MTB for matching destination flights. However, many studies indicate that the construction of LCCT helps reduce not only infrastructure-related fees but also basic airfares. It suggests that despite the drop in infrastructure-related fees and basic airfares, airline companies do not lower the airfares thereby making a substantial profits. Airline companies seem to channel these profits into relieving their deficits and improving their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can be summarized that LCCT is necessary to secure a solid foundation for fledgling LCC companies. 최근 저비용 항공운송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발맞춰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저비용항공사 전용터미널(LCCT)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LCCT가 LCC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CCT와 메인터미널(MTB)을 함께 운영하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공항에 취항하는 LCC의 요금 비교를 통해 LCCT가 LCC 항공요금 및 항공운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동일 노선을 운항하는 LCC의 항공요금은 이용하는 터미널과 관계없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LCC에 최적화된 LCCT를 도입하면 비용이 절감되어 LCC가 낮은 항공요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존의 LCCT 도입 주장과는 상반된 결과이다. 하지만 항공요금에서 공항이용료를 뺀 항공운임은 MTB보다 LCCT를 이용하는 LCC가 높게 나타났다. 즉, LCCT를 이용하는 LCC는 MTB와의 공항이용료 차액을 항공사의 비용 또는 이윤으로 책정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LCCT는 동 터미널을 이용하는 LCC에게 MTB를 이용하는 LCC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다른 비용이 같다면, ‘높은 이윤’이 포함됨)을 포함하는 항공운임을 책정할 수 있게 하여 해당 LCC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 모바일 앱에 대한 사용성 평가 및 개선방안
윤여경,김두한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In recent years, interest in the contents of travel programs at home and abroad has increased, and interest in leisure activities that can improve life quality together. In addition, based on the growing trend of domestic low-cost airlines (LCC)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and consumption of travel due to the increase in leisure life, the government wan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mobile app UI (User Interface) to derive usabi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Currently, a total of six low-cost airlines - Air Busan, Air seoul, Eastarjet, Jeju Air, Jin Air and T’way - spare no effort to ensure their brand identity in order to survive the fierce competition to use. In particular, the mobile-promoted app offers other services and functions that are distinct from other compan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current low cost airline app UI and the usability of the content is to provide users with an UI that makes the app easier to use.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selected by six low-cost airlines in Korea to look at the airline's app UI. For research methods, reference was made to the degree thesis, publication, website, preceding study material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viation information D/B. Five HCI and New Media experts were selected for usability assessment, and five were generally selected by users in the airline's App UI to evaluat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Through this usability assessment, the Commission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cost of mobile apps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mobile apps to meet the needs of users. Starting with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research and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 low-cost carrier's mobile app UI that is consistent with consumer preferences. 최근 몇 년간 미디어를 통해 국내외 여행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함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여가생활의 증가로 여행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급증함에 국내 저비용항공 사(LCC)도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바탕으로 모바일 앱 UI(User Interface)의 현황을 파악하여 사용성 평가 및 개선방안에 대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재 에어부산,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총6개의 저비용항공사들은 치열한 이용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각각의 자사의 브랜드 정체성을 확고부동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특히 모 바일로 홍보하고 있는 앱은 타사와는 차별화된 다른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현재 각각의 저비용항공사 앱 UI와 콘텐츠의 사용성에 대해 비교분석 후 평가하여 사용자들에게 좀 더 간편하게 앱을 사용할 수 있는 UI를 제시하는 것 이 목적이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저비용항공사 6곳을 선정하여 항공사 앱 UI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항공사에 대 한 학위논문, 간행물, 웹사이트, 선행연구 자료 및 국내외 항공 정보 D/B를 참고하였다. 사용성 평가 방법으로는 HCI 및 뉴미디어 전문가 분야 5명을 선정하여, 대체적으로 사용자가 항공사 앱 UI에서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 항목을 선택하여 접 근성과 사용성에 대한 휴리스틱(Heuristic) 평가법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 기에는 모바일 앱이 부족함이 있어 원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소비자 성향에 맞는 저비용항 공사의 모바일 앱 UI의 연구와 실제적인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비용항공사 성장에 따른 항공관광 수요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제주노선을 중심으로-
김종호 ( Jong Ho Kim ),문상영 ( Sang Young Moo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4 해운물류연구 Vol.30 No.1
2005년 한성항공 취항을 시작으로 국내외 여객항공시장에서 저비용항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저비용항공사는 저렴한 요금을 기반으로 기존 항공수요를 대체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항공시장의 성장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로 인해 저비용항공사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저비용항공사가 집중적으로 취항하고 있는 제주노선의 경우 저비용항공사의 취항에 따라 공급좌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대형항공사의 제주 관광 수요를 대체하고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저비용항공사 진입이 국내 항공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 제주노선을 중심으로 TSB 방법과 AIDS 모형을 이용하여 수요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저비용 항공사의 취항은 단순히 국내 여행객의 수요 다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여행 수요 일부를 국내로 되돌리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Hansung Airline started to serve Gimpo-Jeju route in 2005 as a very first Low Cost Carrier (LCC) in Korea, domestics air transportation market has been changed because of the entrance. When LCC just entered domestic air transportation market in Korea, there are many worries such as safety, reliability, and operation. These worries have come true since there were many cancellations of air flights because poor maintenance, scheduling, and operation. Moreover, customers demand for same service to LCC with Full Service Airline (FSA) while they expect to pay low fare. Nevertheless, LCC have increased it market share in air transportation market in Korea since interests in air transportation demand for no-frills have increased. In 2013, a market share of LCC on Gimpo-Jeju route reached 59.3 percent which is the highest after its entrance in the market. LCC pursues a lower cost structure compared to FSA. LCC does not service newspapers, soda, entertainment and tries to simplify its organiz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to maximize profit by reducing total costs while they offer lower fares compared to FSA. It is expected that a growth in LCC will be continued because of increases in air transportation market and in consumers` demand for LCC. Especially, seat supply for Jeju route has been increasing since Korean LCC focus on their flights in the route and there is imbalance between seat supply and demand. Low fares may increase travel demands in two ways. One is "Substitution effect" and another one is "Creation effect." Substitution effect is a effect of LCC on demand increases by who travels Jeju instead of oversea because of low fares. Creation effect is a effect of LCC on demand increases by who travels Jeju instead of inland sightseeing because of low costs of air transportation. There are only few studies empirically analyzing this issue while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about operation strategies of LC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ffects of LCC on air transportation demands in Korea, especially in Jeju route. Two Stage Budgeting with Almost Ideal Demand System is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It is found that LCC substitutes exiting air transportation demands for FSA and create new air transportation demands for Jeju route based on lower fare than FSA. Also it is found that a market share of FSA decreases when relative fare of LCC compared to FSA decreases. A market share of FSA increases as flight frequency of FSA increases, as passenger load factor of FSA increases, as passenger load factor of LCC decreases. Entrance of LCC in the air transportation market in Korea is one of factors affecting diversification of demand for travel. The entrance affects putting back of travel demand for oversea toward to domestic tra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