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야자와 켄지의 동화와 법화경 -「십력의 금강석」,「목련 나무 」,「용과 시인」을 중심으로-

        박경연 ( Kyoung Yeon Par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3 No.2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종교성을 들 수있다. 켄지의 종교를 이해함으로써 그의 동화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을 통해 켄지와 법화경과의 만남에 의한 켄지의 의식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동화를 통해 본 종교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켄지의 상상력은 그의 종교적 세계관과 작품관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켄지의 법화경과의 만남이나 법화경의 실천을 작품 속 에서 볼 수 있다. 켄지의 동화 「십력의 금강석」, 「목련 나무」, 「용과 시인」을 중심으로 작품 속의 불성, 법화경, 대중 구제의 방편으로 해석하고 고찰한다. 켄지의 세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여 독자의 궁금증을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러나 인간의 감성 또한 문학과 종교의 연구라면 작가의 사고, 그의 일생을 보여주는 작품을 감상하고 더 나아가 작가의 내면에 다가설 수 있다. 작가가 가지고 있는 불성, 종교적 측면에 대하여 필자는 위의 세 작품을 통해 고찰하였다. 사람은 누구나 불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불성은 법화경과의 만남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처의 가르침인 법화경과의 만남은 대중 구제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법화경을 주요 경전으로 삼고 있는 일련종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부처가 사는 세상으로 본다. 따라서 현실 세계를 정토의 세계로 만들기 위해 경전을 통하여 대중에게 포교하고자 했다. 이러한 포교와 가르침을 켄지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하였다. 켄지는 자신의 동화가 대중 구제의 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 소개한 동화를 통하여 법화경을 일반 대중에게 전하고자 하는 켄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켄지는 작품을 통해 간접적인 포교 활동을 행하였고 또한 위의 작품은 법화경의 가르침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 이라는 점에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법화경은 다른 경전과 달리 상징적인 표현이 많은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경전이다. 이는 줄거리를 가진 문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징적 표현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독자에게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해석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법화경의 특성은 켄지의 동화의 특성과도 부합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요소가 법화경을 상징하는 공통점을 가진 동화로 선택된 위의 세 작품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관련성을 3가지로 정리해 보면 작품 중에 등장하는 법화경의 사상 속 물아일체, 자타일체의 사상이다. 그리고 「십력의 금강석」 의 금강석, 「목련 나무 」의 목련나무, 「용과 시인」으로 용이 읊은 시를 통해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불성이 존재하고 그 불성은 법화경을 통해 실현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법화경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매체가 나온다. 「십력의 금강석 」에서는 이슬, 「목련 나무」에서는 각자(覺者)의 善, 「용과 시인」에서는 붉은 구슬로 표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켄지의세 작품을 고찰하였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enji Miyazawa`s fairy tales is religiosity. With a view to having a better grasp of his fairy tales through understanding Kenji`s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brought out by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Kenji`s imagination based on his religious sensibility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influenced his view on the world and his works.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or his practice of this scripture can be examined in his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Buddhahood and ways of relieving the public in the Sutra of the Lotus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such as 『Ten Powers of the Diamond』, 『Magnolia』 and 『The Dragon and the Poet』. A study of the relevance of the Buddhahood and the Lotus of Sutra to his three works has provided enough evidence to satisfy readers` curiosity. Nevertheless, as human sensibility is also a study of literature and religion, we can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ner workings of Kenji`s mind upon examining his works that reflect his thoughts and life. This study examines thos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ddhahood and religion. Everyone has Buddhahood, which can be realized upon her encounter with the Lotus Sutra. As such, an encounter with the Lotus of Sutra, teachings of the Buddha, can be seen as a means of relieving the public. NichirenSyoshu, whose major scripture is the Lotus Sutra, sees the world we live in as the one where the Buddha also lives. It trie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o the public through this scripture. Kenji want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hrough his works. Kenji can be regarded as an author who does his best in his role of the medium of relieving the public through his fairy tales. Th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reveal Kenji`s intention of introducing the Lotus Sutra to the general public. He is indirectly doing the missionary work through his fairy tales. The above-mentioned three works ar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y symbolically express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Unlikeother many scriptures, Lotus Sutra is full of symbolic expressions and is considered to have much literary values. It ha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having a story as well as plentiful symbols. It also allows readers to imagine and enables them to arrive at their own interpreta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Lotus Sutra accord with those of Kenji`s fairy tales. Through the three works chosen on the basis of the commonalities with what the Lotus Sutra symbolize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ahood in people and the Lotus Sutra. The relatednes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is the idea of being oneself in unison with the others and the things, expounded in the Lotus Sutra, is present in these works. Second, the diamond of the 『Ten Powers of the Diamond』, the magnolia in 『The Magnolia』 and the poems the dragon recites in 『the Dragon and the Poet』signify that the Buddhahood is present everywhere and i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Lotus Sutra. Finally, there are symbols of the Lotus Sutra in these works-the dew in 『Ten Powers of the Diamond』, each line used in depicting the magnolia In 『Magnolia』, and the red bead in 『The Dragon and the Poet』. This paper examines the three works of Kenji in terms of these three connections.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조선 초기 법화사상과 불교의례

        김인묵,심일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2

        『법화경』의 사상적 내용은 일불승(一佛乘)한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정신을 바탕으로 청문(聽聞)과 수지(受持)가 기본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신라와 고려의 통일 과정에서 사상적 밑받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통일신라시대 비록 정토불교가 성행하였고, 고려시대에 선불교가 유행하였지만, 대중들로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고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경전은 『법화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한국인들의 내면에 문화적 DNA로 새겨져 있는 법화사상에 대해 굳이 언급할 필요는 적겠지만, 조선 유교사회에 들어서는 『법화경』과 법화사상에 대해 주목하는 일은 아직은 필요해 보인다. 그것은 조선사회가 20세기와 21세기 민주주의 사회에서 법화사상 나아가 한국불교가 걸어 나가야 하는 방향과도 직결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조선초기 불교의례의 존립에 대해 『법화경』과 법화사상의 맥락에서 소화하려고 하였다. 우리는 『법화경』이 지니고 있는 대승불교의 논리, 즉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혁신적인 사유에 매료되어 있다. 또한 『법화경』은 인간은 누구나 내면적인 가치를 존중받아야 하며 인격적인 차원에서 평등하다고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불교의례의 차원에서 조선초기에도 여전히 불교경전은 그러한 역할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태조와 태종대는 물론이고 세종과 문종대에도 여전히 불교의 힘에 의지하여 자신들의 선왕과 선후의 극락왕생을 빌고 있는 모습은 이 땅에 불교가 들어왔을 때의 모습을 닮아있다고 할 것이다. 조선초기 『법화경』과 법화사상이 이전 시대에서부터 전승되었다는 점과 새로운 시대적 이데올로기를 만났을 때 보여주었던 법화사상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때 조선 초기 불교의례라는 문화요소에 법화경이 어떻게 사용되고, 왕실과 사대부 및 일반 대중들에게 무엇을 의미하게 되었는지를 효용과 가치의 측면에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The ideological content of The Lotus Sutra is based on the spirit of Cheongmun [聽聞] and Suji[受持], which is based on the spirit of Ilseung[一乘]. Thus, it can be said that in Korea, it was an ideological foundation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between Silla and Goryeo. In addition, although Jeongto Buddhism was prevalent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Seonjegyo was popular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utra that were constantly loved and studied by the public can be said to be The Lotus Sutra. As such, it is not necessary to mention the idea of Buddhist painting engraved with cultural DNA inside Koreans, but it seem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he Lotus Sutra and the idea of Buddhist painting in the Joseon Confucian society. This is because Joseon society believes that it has a problem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galization ideology and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Buddhism should walk in a democratic society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In the text, the existence of Buddhist ritu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tried to be digested in the context of 『The Lotus Sutra』 and The Lotus Sutra Thought. We are fascinated by the logic of Mahayana Buddhism in The Lotus Sutra, that is, the innovative thinking that anyone can become a Buddha. In addition, The Lotus Sutra teaches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be respected for their inner values and are equal at a personal level. And in terms of Buddhist rituals, it can be seen that Buddhist scriptures still played such a role ev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Not only Taejo and Taejongdae, but also Sejong and Munjongdae still rely on the power of Buddhism to pray for the paradise of their predecessors and ancestors, resembling the appearance of Buddhism entering this la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otus Sutra and The Lotus Sutra Thought were handed down from the previous era, and the aspects of 『The Lotus Sutra』 that were shown when meeting new ideologies of the times were examined. At this time, I would like to deal with how The Lotus Sutra was used in the cultural element of Buddhist ritu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hat they meant to the royal family, the high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in terms of utility and value.

      • KCI등재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역사와 성격

        민순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Contemporary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 is defined as the name of Buddhist orders whose names include ‘Lotus’ or whose main sutra is Lotus-Sutra. I chooses Korea Buddhism (Hankuk-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Daehan- 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Il Seung Order, Korea Buddhism Bul Ip Order and Korea Buddhism Guan Eum Order. They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common history in their early times in proceeding studies. I am concerned with the history of their schisms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each order. They have the common features, especially of their early times, in that they attach importance to the idea of ‘All the people are possible to be Buddha’(一佛乘),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the statue of Buddha with his hands clasped in prayer, and the daily sincere prayer.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has been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from Japanese Lotus-Sutra Buddhism by many scholars. It may be true, but at the same tim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have consciously endeavored to overcome the Japanese influences and to excavate and cultivate the Korean traditional Lotus-Sutra belie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as many Buddhist orders and thus seems to restore the condition of Order-Buddhism of the pre-modern times. But the situation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like that may be the result of the official systems and the official laws made by the state authority. Or it may be the result of the conflict with other countries’ cultures. The important is that the old new orders should grow up in the people of this country as the new old tradition. So the probable growth of th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deserves watching. 현재 한국불교에서 ‘법화계 불교종단’이란 ‘법화’라는 이름을 종단명칭에 사용하거나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종단 일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넓은 범위에서 상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되게 동일한 연혁을 공유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던 한국불교법화종, 대한불교법화종, 일승종, 불입종, 관음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 사이의 분종의 역사와 각 종단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대체로 『법화경』의 회삼귀일 및 일불승 사상의 중시,『법화경』 제목 봉창의 강조, 합장불의 불단 안치, 기도의 생활화 경향 등을 초창기의 공통된 특징으로 지닌다. 이 중 제목 봉창의 강조에 대해서는 다분히 일본 법화계 종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종단들이 가꿔 온 전통에 대한 인식과 미래에 대한 비전들은 이들이 일본 법화종단으로부터의 영향을 어느 정도 인지하면서도 동시에 그로부터 벗어나야 된다는 깊은 자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현대 한국불교는 새로운 종파불교의 부활인 것처럼 보이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종교 내적인 원인에 의하기보다는 국가권력에 의해 추동된 제도와 법령으로부터 동인된 것일지도 모른다. 한편 현대의 새로운 종파 중 일부는 오롯이 한국의 종교문화 전통에서 자생하였다기보다 상당 부분 근대성 또는 외래문화와의 길항 관계 속에서 탄생의 당위를 얻은 것일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모멘텀에 의하여 어떤 경위로 시작되었던 간에, 그 익숙한듯 새로운 종단들이 이 땅의 민중 속에 어떻게 뿌리 내리며 성장해 가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전통을 가꾸어 가고자 하는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오래된 미래는 지켜볼 가치가 있다.

      • KCI등재

        고려 후기 法華書塔圖 조형과 사상 연구

        이승희 미술사연구회 2018 미술사연구 Vol.- No.35

        日本 교토 도지(東寺) 소장 <法華書塔圖>는 『법화경』의 경문을 써서 보탑을 형상화한 변상도로 우리나라 사경변상도 가운데 유일한 사례이다. 이 변상도는 감지바탕에 금니로 『법화경』 69,384자를 한자 한자 정성스레 써서 다층의 목조탑 형상을 만든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경은 경전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변상도와 경문을 쓴 부분으로 나뉜다. 이 <법화서탑도>는 서사한 문자로 보탑을 형상화하여 사경과 변상도의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고려의 宗室인 新安公 王佺(?∼1261)이 왕의 천수와 국태민안을 기원하며 1249년 2월에 발원하여 12월에 완성하였으며, 왕실원당인 신효사의 승려가 쓴 것이다. 12세기 예종 때 사람인 권적이 송황제로부터 하사받은 <法華書塔圖>가 모델이 되었다. 권적의 법화서탑도는 행방이 묘연했다가 백련결사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13세기 중반 출현하였다. 법화서탑은 『법화경』의 진실성을 증명하기 위해 지하에서 용출한 다보여래의 칠보대탑이다.석가여래가 이 탑 속에 들어가 다보불과 나란히 앉으므로써 『법화경』이 진실임을 증명한다. 『법화경』의 전승은 불탑을 기반으로 전해지며, 『법화경』의 사경과 독송은 법화신행자들의 주요 의식이다. 도지 <법화서탑도>는 백련결사로 촉발된 불교의식이 왕실 사찰에서도 행해졌다는 사실을 알려주며, 이후 13세기 후반~14세기까지 법화경사경과 독송이 고려사회에 확산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도지 소장 <법화서탑도>와 같은 형식의 사경변상도는 12~13세기 일본에도 전하고 있다. 이들 서탑도의 보탑형상은 다층 목조탑 형식을 모방하고 있는데, 그 조형적 원류를 절강지역의 목조다층탑에서 찾을 수 있다. 12~13세기는 절강성 영파지역을 거점으로 동아시아의 교류가 활발하였던 시기로서 <법화서탑도>가 고려와 일본에서 동시에 조성되었다는 사실은 법화경사경과 독송 의식이 일반화되었던 동아시아 불교문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The beophwa seotapdo (“Lotus Sutra character-tower picture”) housed at Tōji Temple in Kyoto,Japan, comprises the written content of the Lotus Sutra , transcribed to form the shape of a pagoda. Is is the only Korean example of this form of illustration. This work comprises the 69,384 Chinesecharacters of the Lotus Sutra , carefully rendered one by one in gilt lettering on deep blue gamji(紺紙) paper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multi-story wooden pagoda. Most sutra-based works useseparate symbolic pictorial depictions of sutra content and written transcriptions. But beophwaseotapdo combine both of these elements by transcribing characters from the sutra and arrangingthem to create the form of a pagoda. The Tōji beophwa seotapdo was commissioned by Sinangong Wang Jeon (? - 1261), a memberof the Goryeo royal family, in February 1249, as an expression of his wish for the longevity of theking and for the welfare and prosperity of the people. It was completed in December of the sameyear by monks from Sinhyosa, the royal temple. The Tōji beophwa seotapdo was based on anothersuch work received as a gift by Gwon Jeok from the Song emperor in the 12thcentury, during thereign of Goryeo king Yejong. Gwon's work went missing for a while before reappearing in themid-13thcentury as the White Lotus Society became more active. Lotus Sutra character towers depict the Treasure Pagoda of Prabhūtaratna that arises from the earthto verify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 The appearance of Shakyamuni in the pagoda alongsidePrabhūtaratna serves to verify the content of the sutra. The transmission of the Lotus Sutra is basedon pagodas, while transcribing and reciting the content of the sutra is a key ritual for believers. Thebeophwa seotapdo at Tōji Temple tells us that Buddhist rituals promoted by the White LotusSociety were also practiced in royal temples, and foretells the greater prevalence of transcribing andreciting the Lotus Sutra later on in Goryeo society, in the late 13th and early 14th centuries. 12th and 13th century Japanese examples of beophwa seotapdo , sharing the form of that at TōjiTemple, also exist. These works, too, depict the pagoda as a multi-storied wooden structure; theorigins of this form can be found in the wooden pagodas of China's Zhejiang Province. In the 12thand 13th centuries, Zhejiang, particularly the Ningbo region, was a hub of frequent exchange among East Asian countries. The fact that beophwa seotapdo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in Goryeoand Japan indicates that transcribing and reciting the Lotus Sutra were common rituals in Buddhistculture across East Asia at this time.

      • 신라 중고기 불교와 『법화경』 - 『삼국유사』 「낭지승운 보현수」조를 중심으로 -

        金福順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0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

        이 논문은 「朗智乘雲 普賢樹」(『삼국유사』 권5 「避隱」편)에 담긴 내용을 중심으로 신라 중고기 불교와 『법화경』에 관한 연구이다. 일연이 이 편명을 「낭지전」으로 하지 않고 「낭지승운 보현수」라고 한 것은 신라 하대 원성왕 대에 國師를 지낸 大德 緣會가 이곳에 머물면서 쓴 「낭지전」을 기반으로 여러 사실을 덧붙여 나름의 특징이 드러나는 제목을 붙였기 때문이다. 이 조의 내용은 신라 하대의 인식을 기반 위에 일연의 인식이 투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조의 내용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낭지사가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강경하면서 지내다가 지통을 제자로 맞고 원효와 인연이 있었던 내용이 전반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후반부에는 그가 구름을 타고 중국에 왕래하면서 국내외에 알려진 내용이 실려 있다. 그리고 말미에 「영축사기」의 낭지와 연회에 관한 간단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즉, 이 조에 담겨져 있는 신라불교의 모습은 원효와 지통이 등장한다는 점에서는 크게 다를 것이 없지만, 그들의 교학이 형성되는 시기인 사미시절에 「법화경」과 관련된 내용이 나오는 점에서는 주목받을 만하다. 이 시기는 신라 중고기와 많이 겹치므로, 이 「낭지승운 보현수」의 내용을 통해 신라 중고기 불교에 대한 한 단면을 읽을 수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먼저 낭지와 「법화경」과의 관계에 대해 천착해 보았다. 첫째로 낭지를 중국의 남조에 유학한 것으로 추정하여 보았다. 둘째로 신라 진평왕 대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법화경」 독송의 문제를, 당시 「법화경」 연구가 왕성하였던 陳과 隋와의 교통이 잦았던 것과 관련하여 해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지통과 원효의 교학기반에 관한 것이다. 지통과 원효가 낭지에게서 「법화경」을 수학한 내용이 사미 시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교학적 배경으로 삼아 보았다. 지통은 후일 의상의 문하로 옮겨가 「화엄경」 강의를 듣고 이를 2권의 「추동기」(일명, 지통문답, 지통기)로 정리하였다. 이 가운데 『법화경』과 관련있는 부분이 있어 낭지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낭지에게 있으면서 독송과 강경 형태의 수행을 하다가 의상의 문하에서 화엄관을 닦은 후 법계도인을 받은 사실을 들어, 당시 승려들이 강경과 독송으로 신이한 행적을 보이고는 있지만,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었음을 신라 중고기 불교의 한 단면으로 지적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of Silla dynasty and the Lotus Sutra on the basis of Nagjisungunbohyunsoa(朗智乘雲普賢樹) in the chapter 5(Pieun: 避隱) of 『Samkukyusa』. The reason why Ilyun, the author of 『Samkukyusa』, presented the title of this chapter as Nangjisungunbohyunsoo, not nangjijun, is due to the fact that Ilyun added many other stories to the Nangjijun written by Daeduk Yunwhye who was the Buddhist teacher of king. This chapter reflects that Ilyuns cognition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early period Joong-go of Silla. This chapter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The first part explains that Nangjisa became Jitongs student through the study of the Lotus Sutra in Youngchuk mountain and had a relationship with Wonhyo.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common talk that Nangjisa came and went to Silla and China by riding cloud. And the final part is the story about Nangji and Yunwhye. The explanation of Silla Buddhism in this chapter i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explanations in the sense that this chapter, like others, explains Wonhyo and Jitong, the famous Buddhist priests in that era.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this chapter explains many stories related to the Lotus Sutra when the priests did not become the official Buddhist priests. During they were in the status of Sami before becoming the official Buddhist priest, their Kyohak(Buddhist theory) was formed. This period is overlapped with the early period of Silla; therefore, we, through this chapter, can find a phase of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of Silla. This study is first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Nangji and the Lotus Sutra. As a result, I understood Nangji as a Buddhist priest who studied the Lotus Sutra with Hyunkwang and Yunkwang in China. I also found that the recitation of the Lotus Sutra prevailed in the era of the king, Jinpyung,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re were lots of traffics between Silla and Jin or Soo dynasty where the study of the Lotus Sutra was emphasized. Next, I explained the basis of Kyohak developed by Jitong and Wonhyo. Regarding this, I argued that the basis of their Kyohak was the Lotus Sutra, in the sense that the priests studied the Lotus Sutra when they were in the status of Sami. Jitong later attended Eusangs lecture of the Avatamska by becoming his student and wrote the two volumes of 『Choodongki』 by summarizing his understandings of the Avatamska. There are, however, some explanations about the Lotus Stura; thus, I could ascertain that Jitong was strongly influenced by Nangji. In fact, Jitong received Bupgyedoin(a kind of sealed certificate recognizing the completion of a certain study course) from Eusang after studying the Avatamska although he, as a Nangjis student, first trained himself by focusing on recitation of the Lotus Sutra and participation in Nangjis lecture of the Lotus Sutra. In this sense, I have indicated the fact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ach the stage of the full understanding of Buddhism although some priests showed the eccentric conducts through the recitation and the study of Sutra, as a character of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of Silla.

      • KCI등재

        서역에서의 법화신앙 전개

        한지연(Han, Jee-ye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대승의 신앙형태 가운데 특히 법화신앙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광범위한 지역에서 성립ㆍ발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법화신앙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법화경』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신앙형태를 말한다. 그런데 초기 불교전파 및 문화적 변용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이 곧 법화신앙일 것이다. 『법화경』내에서 묘사되어지는 상당부분이 이곳 석굴 내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신앙형태를 가늠해볼 수 있는 부분들이 존재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천산남로 상의 법화신앙을 고찰한다. 또한 지금까지 흔히 미록계 경전을 바탕으로 얘기되고 있는 도솔왕생의 문제를 『법화경』에 입각한 미록신앙과의 연관성 문제로 재해석하는 것을 시도해본다. 그리고 이 같은 초기 법화신앙이 지역과 시기 별로 어떤 변화를 가지는가에 대해 문화적 형상화에 입각해 살펴본다. 미륵보살 도상화에서 시대가 흐를수록 점차 이불병좌상이 출현하게 되고, 더불어 경변상도가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은 중국 내부로 들어오면서 나타나는 양상이므로 변화양상을 통해 신앙형태의 발전상을 보며, 이를 통해 신앙체계의 견고성을 더해 나아기는 초기 불교전파 및 당시 교류 상황을 짚어본다. 또한 전파경로 가운데 중국 내륙으로 들어오는 바로 직전 관문인 돈황 등의 지역에서 드러나는 법화신앙을 함께 다룬다. 천산남로에서 보여지는 법화신앙은 교류의 측면에서 접근되어져야만 이해되는 부분이 상당수이다. 이에 대한 비교지역을 현 감숙성 지역으로 한정하며 시기 역시 중국 역사 전개에 있어 수당시대 이전까지로 한정한다. 이로써 전파초기의 신앙형태를 법화신앙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 불교의 변용과정의 단면을 유추해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f the types of faith in Mahāyāna Buddhism, the faith in the Lotus-Sutra is as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wide area from quite early tim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here basically refers to the type of faith formul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Lotus-Sutra. During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the appropriation of culture, the faith in Lotus-Sutra appeared most frequently. As considerable parts described in the Lotus-Sutra have been discovered inside the cave and some of them provide clues to estimate the types of faith over time, the paper tries to examin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on the southern route of Silk Road. The paper will also attempt to reinterpret the issue of reincarnation in paradise, which has been discussed around Sütras about Maitreyanātha, with regard to the Maitreyanātha in Lotus Sūtra. In addition, the paper will also examine how the faith in Lotus-Sutra changed over time, by region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ver time, the image of two Buddhas sitting side by side appears gradually from the iconography of Maitreyanātha Bodhisattva and the image of seeing each other as well. As i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penetrating into China, how it changed will show us the state of development in types of faith. Through this we will investigate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state of exchange of the time. In addition, among various routes through which early Buddhism were spread, we will deal with the faith in Lotus-Sutra found in areas such as Tunhuang, a gateway to inner China. Most of the faith in Lotus-Sutra discovered in the sourthern route of the Silk Road can only be understood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We will limit the comparison to the area of Gansusheng and to the period preceding Sui and T’ang dynasty.

      • KCI등재후보

        金時習의 <楞嚴經跋> 고찰

        최귀묵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19 No.-

        In this writing I looked into <An Epilogue to The Shuramgama Sutra>(楞嚴經跋) by Si Seub Kim(金時習), which he wrote in the year of his death. <An Epilogue to The Shuramgama Sutra> is short but there are meanings in that some aspects of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can be confirmed.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subjects discussed in the body. Si Seub Kim wrote <An Epilogue to The Lotus Sutra>(法華經跋) and <An Epilogue to The Shuramgama Sutra> at Muryangsa(無量寺) where his old friend Jehee(智熙) was staying in February, 1493. Si Seub Kim said, The Shuramgama Sutra(楞嚴經) was the last sutra of the Prajna Period(般若時) and was the sutra of Expedient Teaching(權敎) and Gradual Teaching(漸敎) discussed at the stage towards The Lotus Sutra(法華經). Such opinion is that accepting five periods and eight teachings(五時八敎) and Kyehwanhae(戒環解). Also he understood that The Shuramgama Sutra makes it clear that all existences attach primary importance to the nature of Buddha, ask and answers the whereabouts of mind, and tells how to react to all kinds of obstacles during asceticism. Si Seub Kim said that though The Shuramgama Sutra describes 50 obstacles that can be raised during Zen meditation, we cannot discuss matters of Zen that 'independence of words or writing'(不立文字), 'directly pointing to the human mind'(直指人心), or 'perceiving one's true nature and attaining Buddhahood'(見性成佛) seek, since it removes the distinction of 'expediency and truth'(權實) and 'the doctrinal school and Zen school'(敎禪). It is said that this is only possible when it comes to 'the Perfect teaching'(圓敎), the time only when the stage of unite is reached, which is The Lotus Sutra. The Lotus Sutra which gives Perfect teaching is a sutra of 'doctrinal school'(敎宗) and should be looked into with a perspective of 'Zen school'(禪宗). Discussion regarding the relation of doctrinal school and Zen school has been the main of Korean Buddhism history. It is well known that before Si Seub Kim, Chinul(知訥) sought to embrace the literature of sutra or doctrinal school. It can be said that Si Seub Kim is an extension of this. Only after looking into <An Epilogue to The Shuramgama Sutra> and <The Commentary on The Lotus Strata>, I could know why Si Seub Kim tried to combine The Flower Garland Sutra(華嚴經) and The Lotus Sutra. It is because the enlightenment Zen seeks is 'sudden'(頓) and 'perfect'(圓), which are the very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Garland Sutra and The Lotus Sutra. The creativity of Si Seub Kim is realized in that he succeeded the critical mind of Chinul and combined 'the doctrinal classification'(敎判) of 'the Tiantai School'(天台宗) and the relation theory of the doctrinal school and Zen school. 이 글에서는 金時習 沒年의 저술인 <楞嚴經跋>을 살펴보았다. <능엄경발>은 짤막하지만 김시습의 불교 이해의 몇 가지 국면을 확인할 수 있는 의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김시습은 1493년 2월에 옛 친구 智熙가 머물고 있던 무량사에서 <法華經跋>과 <능엄경발>을 썼다. 김시습은 ≪楞嚴經≫이 般若時 최후의 경전으로서 ≪法華經≫으로 나아가기 위한 단계에서 說해진 權敎이자 漸敎의 경전이라고 했다. 이런 견해는 天台宗의 五時八敎說과 ≪戒環解≫를 받아들인 것이다. 또한 김시습은 ≪능엄경≫은 일체 존재는 불성을 본체로 삼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마음의 소재를 묻고 답하고, 수행(‘定’) 중에 맞닥뜨리는 갖가지 魔境에 대처하는 방법을 말해주는 내용이라고 파악했다. 김시습은 ≪능엄경≫에서 참선할 때 생길 수 있는 오십 가지 마경을 열거하고 대처 방법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고 해서 ≪능엄경≫을 펼치고 不立文字ㆍ見性成佛을 추구하는 禪을 운위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렇게 하면 權實, 敎禪의 구별을 무화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權實, 敎禪의 구분을 지양하는 원융의 경지는 圓敎인 ≪법화경≫에 이르러야 가능하다고 했다. 원교의 가르침을 주는 ≪법화경≫은 敎家의 경전이자 禪家의 관점에서도 살펴야 하는 경전이라고 보았다. 敎禪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한국 불교사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시습에 앞서 知訥이 경전이나 교가의 문헌을 포용하고자 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김시습은 그러한 전통의 연장선상에 위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능엄경발>, <蓮經別讚> 등을 살핀 결과, 김시습이 왜 ≪華嚴經≫과 ≪법화경≫을 禪과 결합시키려고 했는지 비로소 알게 되었다. 禪이 추구하는 깨달음이 頓이자 圓인 특성을 가지는데, 그것은 바로 ≪화엄경≫과 ≪법화경≫의 특성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눌의 문제의식을 계승하고, 천태종의 오시팔교설과 교선 관계론을 결합시킨 데서 김시습 불교 사상의 창조성이 발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법화경』의 갈애(tṛṣṇā) 용례에 대한 고찰

        하영수(Ha, Young Su)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7 No.-

        초기불전에서 tṛṣṇā(渴愛)는 대표적인 번뇌로 언급된다. 갈애는 심리적인 집착으로 인해 괴로움을 초래하므로 괴로움의 원인으로 설명될 뿐 아니라, 사성제에서는 集諦(duḥkkha-samudaya)로 규정되어 윤회적 생존(bhava, 有)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또한 십이연기에서는 無明(avidyā)과 더불어 윤회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초기불전에서 갈애는 전적으로 부정되고 끊어야 할 번뇌로 인식된다. 한편 이러한 갈애의 용례를 법화경에서 검토해 보면 갈애 용례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용법의 변화는 두 가지로 정리할수 있다. 첫째, 초기불교의 이래의 용례를 수용하고 있다. 이는 법화경에 사성제와 십이연기가 설해지고 있다는 것으로부터 확인 가능하다. 이때의 갈애는 명백하게 부정되어야 할 번뇌이다. 둘째, 갈애를 긍정하는 용례가 확인된다. 여래수량품 에서 중생이 붓다를 향해 일으키는 갈애는 적극 장려된다. 또한 신해품 에서는 ‘붓다(=아버지)의 갈애’라는 주목할 만한 표현이 확인된다. 이로부터 법화경에 갈애에 대해 부정과 긍정이라는 두 가지 용법이 있음을 인정된다. 동일한 경전 내에서 갈애라는 단일한 개념에 대해 부정과 긍정이라는 두 가지 입장을 취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다. 갈애라는 대표적인 번뇌가 견불과 정법의 청문이라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은 곧 법화경에서 번뇌와 보리가 다르지않음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tṛṣṇā 이외에 열망을 나타내는 용어가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가 사용된것은 의도적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붓다의 갈애라는 표현은 중생에 대한 붓다의 자비를 비유적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붓다의 상주교화라는 본경의 메시지를 드러냄에 있어서 갈애가 심리적 계기가 됨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하였다. In Early Buddhist Sutras, the Craving(tṛṣṇā, 渴愛) is referred to as a representative defilement. The Craving causes suffering owing to the psychological obsession and for this reason it is explained as a reason for the suffering. Besides, in the Four Noble Truths, the Craving is regarded as the truth of the source of suffering(duḥkkha-samudaya) that originates samsaric existence. Also i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12緣起), the Ignorance(avidyā) and the Craving are defined as a direct cause of Samsara. Therefore in Early Buddhist Sutras, the Craving is being denied and also recognized as an defilement which needs to be extinguished. Meanwhile, the usage of the Craving changes from one of Mahayana Buddhist Sutras, the Lotus Sutra. The change in the usage of the Craving could be explained in two ways. First, the usage of the Craving seems to be accepting that of the Early Buddhist understanding. The evidence could be found in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12 Nidanas appear in the Lotus Sutra. The Craving mentioned in here is an obviously denied defilement. Second, the usage of the Craving is being affirmed in the Lotus Sūtra. In the Chapter on Duration of Life of the Tathāgata, people raise their Cravings toward the Buddha and then they could meet and listen the rightful-teaching (saddharma) from the Buddha in the Nirvana state. Also in the Chapter on the Disposition,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father and son relationship appears within a noticeable expression ‘The Craving of the Buddha(father).’ From here I could recognize both negative and positive usages of the Craving in the Lotus Sutra. In the identical Sutra, the Craving which is a singular concept has taken up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s. This could be explained likewi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aving and results of seeing the Buddha and listening of the Buddha teaching, represents that the Defilement(煩惱) and the Buddhahood(菩提) have no difference in the Lotus Sutra. Even though there exists various terms designating a craving and a desire, however tṛṣṇā is used in the Lotus Sutra with a purpose. Also the expression ‘The Craving of the Buddha’, metaphorically represents the mercy of the Buddha towards people. At the same time I assume that the Craving is expressed with a psychological motivation to reveal the message of the Lotus Sutra, the eternal existence of the Buddha and its teachings.

      • KCI등재

        고려시대 법화삼매참법의 두 양상에 대한 비교 고찰 - 백련사계와 묘련사계의 법화참법을 중심으로 -

        오지연 한국불교학회 2022 韓國佛敎學 Vol.101 No.-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wo aspects of repentance based on the Saddharma Pundarika Sutra (Lotus-sutra) as practiced in Baekryeonsa Temple and Myolyeonsa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At Baekryeonsa temple during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monks did not have their own manual regarding repentance in the Lotus-Sutra. This was because they had been depending on the Tiantai Chi-i’s. In this paper, repentance as based in the Lotus-Sutra and the practice tradition in Baekryeonsa is examined through the verses of praise in the Lotus-sutra. These include chapters by Cheon-in and Cheon-check, who were the second and forth leaders of Baekryeonsa temple. At Myolyeonsa temple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a completely different manual of the repentance was compiled. This is known as Samadhi Repentance of the Loutus Sutra (妙法蓮華經三昧懺法), which was discovered in 2006 in the city of Gyeongju. The format of this manual of repentance is totally different with that of Tiantai Chi-i’s. The Lotus-Sutra was divided into 12 parts, each part being practiced one time. In each ritual, sutra chanting (誦經), contemplation (作 觀), worship (禮敬), and repentance (懺悔) are the primary elements while Zen medit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ruth was lacking. At Baekryeonsa temple, however, the original meaning of repentance of the Lotus-sutra, the harmony of chanting the sutra, and contemplated meditation had been inheri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