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보안강화의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각된 혜택과 위험을 중심으로

        박경아,이대용,구철모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4 No.3

        The reason location based service is drawing attention recently is because smart phones are being supplied increasingly. Smart phone, basically equipped with GPS that can identify location informa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contents and services suitable for the user by identifying user location accurately. Offering such diverse advantages, location based services are increasingly used. In addition, for use of location based services, releas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data is essentially required.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data, in addition to IT companies, general companies also are conducting various profitable businesses and sales activities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personal location data, comprehending high value of use among personal information, are drawing high attentions. Increase in demand of personal information is raising th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infringements of personal location data also are increasing in frequency and degree. Therefore, infring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minimized through user's action and efforts to reinforce security along with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ct on the Prot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ivac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s on the intention to strengthen location information security and continuously use location information for users who received location-based services (LBS) in mobile environments with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of benefits and risk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regarded situation-based provision, the benefit which users perceived while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and the risk related to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a risk which occurs while using serv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vestigated the perceived values of the two variables. It also examined whether there were efforts to reduce risks related to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alues of location-based services, which consumers perceived through the intention to strengthen security. Furthermore, it presented a study model which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s and intention of strengthening security on the continuous use of location-based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hundred ten users who had received location-based services via their smartphones to verify study hypotheses. Three hundred four questionnaires except problematic ones were collecte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a statistical method and a logical basis was presented. An empirical analysis was made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ith SPSS 12.0 and SmartPLS 2.0 to verify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y model.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users who had received location-based servic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erceived value of their benefits, but risk related to location information did not have an effect on consumers' perceived values. Even though users perceived the risk related to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while using services, it was viewed that users' perceived value had nothing to do with the use of location-based services. However, it was shown that users significantly responded to the intention of strengthening security in relation to location information risks and tended to use services continuously, strengthening positive efforts for security when their perceived values were high.

      • 위치 기반 관광 정보 서비스 기술 동향

        이우식(Woosik Lee),김남기(Woosik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3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3 No.5

        최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과 위치 기반 서비스의 급증은 위치 기반 관광 정보 서비스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위치 기반 관광 정보 서비스는 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한 형태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컨테츠를 웹 또는 앱 형태로 제공해 주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서비스는 Push와 Pull 형태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Wi-Fi, Cell-ID, GPS, NFS와 같은 측위 기술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 받는다. 이런 정보를 사용자는 아이폰, 겔럭시 폰, 아이패드, 겔럭시 노트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스토리텔링, 증강현실, 위키피디아, QR코드와 같은 서비스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기반 관광 정보 서비스에 대한 개념과 기술 동향을 살펴보며, 앞으로 위치 기반 관광 정보서비스가 나아가야 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Nowaday, location based tourism information service is important over time because of providing smartphone fastly and increasing location based service. Location based tourism information service is a type of LBS (Location Based Services) that supply various contents on web or app. This service received content service based on push and pull technologies and location service based on diverse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ies such as wi-fi, cell-id, gps, and nfs. Consumers easily go through these services on smart devices such as iphone, galaxy phone, ipad, and palaxy tab using storytelling, augmented reality, wikipedia, and qr-code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show a concept about location based tourism information service and technology trends. Lastly, we present a way of advanced location based tourism information service in the future.

      • KCI등재

        물류서비스 가치혁신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 카의 활용요인

        천홍말(Cheon Hong Mal)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인간과 기계의 통합을 핵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주요수단이 될 스마트 카의 활용이슈를 위치기반 물류상황통제, 운전자 편의지원, 지능형 자율주행, 실시간 예측배송의 4개 변수로 구분하고 이들 변수와 물류서비스 가치혁신기대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물류서비스 수용성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스마트 카 활용이슈 변수가 물류서비스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도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위치기반 물류상황통제, 운전자 편의지원, 지능형 자율주행, 실시간 예측배송 등 4개의 스마트 카 활용이슈 변수는 모두 물류서비스 가치혁신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치기반 물류상황통제, 운전자 편의지원 등 2개의 스마트 카 활용이슈 변수는 물류서비스 수용성과 상호작용하여 물류서비스 가치혁신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위치기반 물류상황통제, 운전자 편의지원, 실시간 예측배송 등 3개의 스마트 카 활용이슈 변수는 물류서비스 수용성과의 관계에서 직접인 효과가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볼 때,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현 시점에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물류서비스 가치혁신을 위하여 스마트 카를 활용할 경우 위치기반 물류상황통제, 운전자 편의지원, 지능형 자율주행, 실시간 예측배송측면에서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된다. 둘째, 고객만족도 개선측면에서 스마트 카를 활용하여 물류서비스 가치혁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위치기반 물류상황통제, 운전자 편의지원측면에서 스마트 카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소비자들의 기대충족을 위해서는 스마트 카를 활용한 위치기반 물류상황통제나 실시간 예측배송과 같은 새로운 물류서비스 편의성의 혁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ivides the utilization issues of smart cars, which are the main mean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integration of human and machine, into four variables: location based logistics situation control, driver convenience support, intelligent autonomous driving and real-time anticipatory shipp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logistics service value innovation expectation. In addition, we confirmed the interaction effect of logistics service acceptance in the process. We also analyzed the effect of smart car utilization issue variables on logistics service accep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jor results. First, it is confirmed that all four smart car utilization issue variables such as location - based logistics situation control, driver convenience support, intelligent autonomous driving, and real - time forecast deliver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ogistics service value innovation expectation. Second, the two smart car utilization issue variables, such as location - based logistics situation control and driver convenience support, interact with logistics service acceptance an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gistics service value innovation expectation. Third, the direct effect of the three smart car utilization issue variables such as location based logistics status control, driver convenience support, and real - time anticipatory shipping was directly related to logistics service acceptance.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t the present time in rela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smart car is used for the innovation of logistics service valu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utilize in terms of location - based logistics situation control, driver convenience support, intelligent autonomous driving and real - time anticipatory shipping.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value of logistics services by utilizing smart cars in terms of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seek ways to utilize smart cars in terms of location-based logistics control and driver convenience. Finally, to satisfy consumers’ expectations, it is necessary to innovate the convenience of new logistics services such as location-based logistics control using smart cars and real-time anticipatory shipping.

      • KCI등재

        공간지리정보로서의 위치기반서비스 활용의 헌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상경(Sangkyung Lee) 미국헌법학회 2016 美國憲法硏究 Vol.27 No.1

        최근 들어 휴대전화를 활용한 위치추적서비스의 이용 및 SNS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 활용 등으로 말미암아 원치 않는 개인의 사생활이 노출되고 개인정보가 누출되는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산업의 진작을 위하여 국가는 이러한 서비스제공에 관하여 국가의 통제를 전제로 허용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사생활 보호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위치기반서비스를 분석하여 사생활 침해의 문제, 규제방안 등에 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치기반서비스의 국가적 활용은 주로 범죄수사나 화재·재난시의 긴급구조목적 등의 활용을 말하는데 이러한 경우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모두 주거의 압수·수색과 사전영장주의 요건 충족의 문제가 헌법적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쟁점을 비교법적인 차원에서 검토하기 위해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의 태도를 분석한다. 특히 2012년 1월 23일 미국 연방대법원은 United States v. Jones 사건에서 차량에 대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장기간차량의 움직임을 “감시”하는 행위는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4조가 규정하는 영장을 필요로 하는 수색에 해당한다고 판결하였기 때문에 동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되 비교·분석적 검토를 위해 United States v. Knotts, Katz v. United States 등 관련 판례들을 함께 간략히 고찰하였다.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비교·분석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대법관들의 입장을 정리하였다. 민간영역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 활용을 진작시키고 관련 산업을 육성·장려하기 위하여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시행하고 있는바 동법이 매우 포괄적으로 위치정보를 규정하고 이에 대한 보호와 이용을 동시에 규율하는 등 규범체계 자체가 내재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공간지리정보를 활용한 여러 위치기반서비스가 공·사적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특히 위성위치확인장치 등 첨단 기기사용을 통한 경찰 수사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하루 빨리 그러한 장치를 활용하는 서비스의 허용 범위를 정하고 나아가 매년 증가하는 사생활의 자유에 대한 침해를 줄이고 개인정보보호에 만전을 기하면서도 위치기반서비스의 활용을 장려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도 적절한 법적 기준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the infringement on the right to privacy when the information service users utilize the cell-phone location based service and SNS location positioning service, and so forth. In order to promote location-based service industries, the government should take good care of both the control over the service providers and the protection of the users with respect to the service providers’ utilizing the private information. When the government utilizes the location based information to investigate crimes, there can be the issue of the “search warranty” under the 4the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lso, since this issue can be discussed similarly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16 and 17 too,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US Supreme Court decisions and US legal system would be of good us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xamines United States v. Jones case handed down by the U.S. Supreme Court in 2012, compared to United States v. Knotts, and Katz v. United States. In order to analyze the Supreme Court’s stanc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xamination of the opinions by Justice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support the civil sector’s utilization of the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s, this article suggests the advices regarding the revision of the current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tection and Utility Law in Korea.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reduce the infringement on the right to privacy regarding especially private information whe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s or GPS in public sector, as well as try to encourage the industries to utilize the privat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in private sector. For the purpose,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he proper constitutional standards and policies are to be needed to address the subtle and hard problems of balancing the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public purposes and private interests harmoniously when the government and industries’s utilizing the location based private information.

      • KCI등재

        Location Trigger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Context-Awareness based Location services

        Yon-Sik Lee(이연식),Min-Seok Jang(장민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0

        본 논문은 지능형 위치추적을 위한 위치트리거와 이동에이전트 시스템 기술을 적용하여, 상황인식 기반 위치서비스를 위한 위치트리거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또한, 트리거 및 조치 서비스 프로토콜 구현과 능동규칙 탑재 이동에이전트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 시스템이 상황인식 기반 위치서비스의 특성에 따른 시스템 최적화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응용들에 대한 확장성과 유효성이 있음을 검증한다. 제안 시스템은 전력 사용자의 소비 패턴 및 행위 변화에 대한 시스템의 능동적 특성을 통한 자원 활용의 최적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예비 연구로써, 객체 위치 기반의 지능적 경고와 조치를 통한 환경 및 자원 활용 최적화와 다양한 위치서비스 응용 시스템 구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Recent research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on systems that want to optimize resource utilization by analyzing the intended behavior and pattern of behavior of objects (users, consumers). A service system that applies information about an object"s location or behavior must include a location trigger processing system for tracking an object"s real-time loc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design problem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ontext-awareness based location trigger system, and present system models based on analysis detail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location trigger for intelligent location tracking techniques about moving situations of objects, and suggests a mobile agent system with active rules that can perform monitoring and appropriate actions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and location context information, and uses them to design and implement the location trigger system for context-awareness based location services. The proposed system is verified by implementing location trigger processing scenarios and trigger service and action service protocols. In addition, through experiments on mobile agents with active rules, it is suggested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optimiz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system by using rules appropriate to the service characteristics and that it is scalable and effective for location-based service systems.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ptimization system for utilizing resources (equipment, power, manpower, etc.) through the active characteristics of systems such as real-time remote autonomous control and exception handling over consumption patterns and behavior changes of power users.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in system configurations that induce optimization of resource utilization through intelligent warning and action based on location of objects, an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location service systems.

      • KCI등재

        위치기반 서비스(LBS)를 활용한 모바일 마케팅 분석 - 국내 위치기반 SNS(LBSNS) 앱을 중심으로 -

        한지숙 ( Han Ji-sook ),이운형 ( Lee Woon-h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기술의 진화와 소비자의 변화로 인해,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기술이 점차 접목되는 현상을 많이 접할 수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LBS)는 스마트폰의 핵심 플랫폼으로서 사용자에게 높은 가치를 전달하고 있으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게임 등 다른 킬러앱(App)과 연계하여 니즈(needs)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결합된 위치기반 SNS(LBSNS)에 주목하여 대표적인 LBSNS인 포스퀘어와 국내 아임IN, 씨온을 중심으로 서비스내용과 특징 및 마케팅 플랫폼과 마케팅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경우 아임IN의 마케팅 플랫폼 `아임IN Biz`는 ABC 마트, 파리바게뜨, LG bestshop, 종로구청과 비즈파트너를 맺고 있으며, 씨온은 `씨온샵(SeeOn Shop)`을 운영하며 미스터도넛, 버거헌터, 오뎅사께 등 유명 프랜차이즈 매장과 제휴를 맺으며 지속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었다. 또한, 씨온은 국내최초로 카페베네와 위치기반 모바일 마케팅을 진행하였고, 할리스, 버거킹, 미스터피자, 베니건스 등 위치기반 모바일 마케팅을 통해 체크인(Check-in)이 증가하며 브랜드와 매장 홍보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위치기반 SNS는 사용자에게 높은 가치를 전달하고 소셜네트워크와 재미요소인 엔터테인먼트에 이르는 전범위에서 니즈(needs)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지니며 마케팅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change of consumers, we have encountered combination customer services with technologies. Location Based Service(LBS) currently conveys a high level of values to users as a core platform of smartphone,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meeting their needs by interconnecting with other killer App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 augmented reality, games, etc. Paying attention to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LBSNS) combining location-based service with social network service, this study analyzed service contents and features as well as marketing platform and marketing examples, focusing on Foursqure, I`MIN, and SeeOn which are the exemplary LBSNS of Korea. The result showed that in Korea `I`MIN Biz`, which is a marketing platform of I`MIN, has affiliations with ABC Mart, Paris Baguette, LG bestshop and Jongro-gu Office and SeeOn Shop has been continuously promoting marketing through affiliations with famous franchise stores, such as Mister Donut, Burger Hunter, Oden Sake. In addition, SeeOn promoted location-based mobile marketing, together with Caffeben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heck-in through location-based mobile marketing with Hollys Coffee, Burgerking, Mr.Pizza, Bennigans, etc, which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promoting its brand and store. As such, this study found that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LBSNS) has a capability to convey a high level of values to users and satisfy their needs in all scopes ranging from social network to entertainment, and has marketing effect.

      • KCI등재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위한 향상된 위치획득 알고리즘

        송진우(JinWoo Song),안병익(Byung-Ik Ahn),이광조(Kwang-Jo Lee),한정석(JungSuk Han),양성봉(Sung-Bong Ya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7 No.1

        최근 무선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응용의 확산으로 인하여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형태는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국내외 시장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의 기본적인 정보인 위치정보는 이동체 데이터로 관리되며, 현재까지 다양한 방법의 이동체 데이터 관리방법이 제시되고있다. 위치기반 서비스 중 특정지역에 진입하거나 벗어날 경우에 자동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경보 서비스는 현재 주요한 위치기반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동성을 가지는 수많은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해야 하며 이는 심각한 시스템 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이동체를 위한 위치획득방법은 모바일 사용자들이 동적이고 불규칙적인 이동속도 및 이동패턴을 보일 때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용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이동체의 이동패턴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위치정보 획득회수를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는 효율적인 이동체 획득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의 이동체 획득방법들과의 성능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동체 획득방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Location-based services have been expanded rapidly in local and overseas market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and increasing applications of wireless internet.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made to manage efficient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A basic location-based alert service provides alerting messages automatically when either entering or leaving a specific loc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location-based services. Location-based alert services require a location polling method to acquire current locations for a large number of moving objects. However, a simple periodical location polling method causes severe system overload because a system should keep upd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s ceaselessly. Most location polling algorithms for location-based alerting services are not suitable for mobile users with dynamic and unsteady moving patter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location polling algorithm for location-based alerting services to reduce the amount of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refore, to decrease the system load. Various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other algorithms.

      • KCI등재

        위치기반서비스 특성이 매장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인화 서비스 조절효과 중심으로 -

        이승준,김영준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8 마케팅관리연구 Vol.23 No.2

        Location-based services(LBS) refer to systems and servic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which comprehensively apply IT technologies to devices such as smartphones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or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se services provide improved productivity and the convenience of living by using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Inrecent years, LBS have increasingly been diversified. For example, these are applied to business transactions through the combination of location and user information. Meanwhile,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as a leading mobile device is bringing about a number of changes to our lives, and companies are also taking a new approach to their customer service. In particular, companies that have traditionally operated offline stores such as distributors are implementi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using omni-channels. Among them, LBS on smartphones are perceived as a highly useful means to approach customers. Therefore, it has become an important, urgent task for companies to have customers visit their stores by using the LBS that have been design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BS on customers’attitude toward using LBS and their intention to use them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ables for personalized services. In doing so, the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to corporate workers in charge of improving the TAM and implementing LB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BS, mobility and contextual off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s’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regarding LBS. In particular, the levels of personalized service had moderating effects on customers’perceived usefulness. Second, customers’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regarding LB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ttitude toward using them. Third, customers’attitude toward using LB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intention to visit stores. 위치기반서비스란 GPS를 활용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바이스에 IT 기술을 종합적으로 적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시스템 및 서비스를 말하는데 여기서 수집된 위치정보를 활용해 다양한 분야의 편의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상거래분야에 응용되어 위치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결합하는 등 서비스가 더욱 더 다양화되고 있다. 한편 모바일로 대표되는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으며 기업들의 서비스도 변화된 시장 환경에 맞추어 고객 접근 방식이 옴니채널1)로 설명되는 새로운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유통 등 전통적인 오프라인 기반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은 옴니채널을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스마트폰 내 위치기반서비스는 고객에게 접근하기에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에게 고객 특성에 맞게 설계된 위치기반서비스로 매장을 방문하게 하여 매출을 증대 시키는 것이 중요한 당면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기초로 하여 위치기반서비스 기능적 특성이 서비스 이용태도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개인화 서비스 변수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기술수용모델을 보완하고 위치기반서비스를 추진하는 기업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치기반서비스의 이동성과 상황적 제공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개인화 서비스 수준은 인지된 유용성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이용 용이성은 이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이용태도는 이용의도, 즉 매장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개인 맞춤형 매장 추천 및 길 안내 시스템

        김정준,문진용,이용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equipments an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LBS: location based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by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people and things in the age of individuals being accelerated, people and things and people using the Internet Intelligent service that connects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rnet and the Internet (IoT: Internet of Things) servic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and the Internet service of the product are mixed and the user enters the inside of the building, utilizing the user information (sex, by age, etc.) registered in the smart device, personalization customized store information. We propose a system that analyzes the route of travel to the shop where the user has chosen and provides navigation guidance. The Personalized Shop Recommend and Navigation System are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provide recommended route guidance service to find a group of highly relevant stores by us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e expect this system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market not only by enhancing the shopping efficiency of customers but also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by providing customer-centered services rather than enterprises.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가속화 되는 개인화 시대에 사람이나 사물 등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인터넷을 사용하여 사람과 사물 간의 정보 소통을 연결하는 지능형 서비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와 사물인터넷서비스를 혼합하여 이용자가 건물 내부에 들어오면, 스마트기기에 등록된 이용자 정보(성별, 연령별 등)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화 맞춤형 매장정보를 안내하고, 이용자가 선택한 매장까지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네비게이션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 한다. 맞춤형 매장 추천 및 길 안내 시스템은 협업 필터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사용자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성이 높은 매장들의 집합을 찾아 추천하고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기업보다는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 줌으로써 고객의 쇼핑 효율성을 제고시킬 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위치기반 서비스에 따른 개인정보보안 취약점의 사례분석

        최희식,조양현,김정숙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4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3

        Recently, spread of large amount Smartphones made users to download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s, which provided by application developers. These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s are convenient tool for users. Location-based service use technology to find location of user and provide information of user’s location. Leakage of information of user’s location and expose of privacy life raised new controversy. In this thesis, it will analyze relations of increase of Smartphone market, usage of Location-based service and severity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lso, it will analyze examples of user’s case of damage which caused by leakage personal information and find solutions to reduce damage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 research, it will find cases of damage that cause by Location-based service. Also it will analyze and research cases of damage and present with graph and chart. In conclusion, to reduce and prevent from damage which caused by leakage personal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hat users and application developers to realize danger of private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lso, user’s personal information must deal with cautiously and application developers have to research and develop the application with powerful sec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