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지방자치법제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에 관한 연구

        최철호(Choi, Chol-Ho)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3

        지방자치제도상의 자기통제를 지방의회의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통제, 지방자치단체의 자체감사라는 측면에서 논의를 하여 자기통제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지방자치법 제에서의 자기통제란 지방자치단체가 지방공행정 업무를 적절히 수행해 나가기 위한 원칙이나 절차를 정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행정기관이 그원칙에 기초해서 업무를 수행해 나가도록 감독, 감사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내부통제라고도 한다. 현재 지방자치법 등에서는 법정의 용어로서 자기통제라는 용어는 없고,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에서 내부통제라는 용어가 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공공감사법 의 목적 조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부 통제는 자기통제와 동일한 개념이 아니라 내부통제는 자기통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즉 자기통제는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 의결기관, 주민에 의한 통제를 포함하는 개념인데 비해서 내부통제는 자기통제 중 지방자치단체의 집행 기관 에 의한 자기통제라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독수단 내지 통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의 이념에 비추어 국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자치단체의 잘못을 스스로 시정하는 자기통제 내지 내부통제가 적당하다. 그런데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 내지 내부통제를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가 철저하지 않고 통제의 전문기관이 부족하고 인력도 전문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국가의 통제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러한 비판은 현재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의 현실에 비추어볼 때 겸허히 받아들여야 하는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에 특히 감사와 관련하여 제주특별자치도와 서울특별시에서 독립된 지위를 가지는 감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감사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으로 하여금 내부감사를 진행하고 있는 점과 서울특별시에 설치된 시민감사옴 부즈만은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에 있어서 일보 전진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자기통제 내지 내부통제가 보다 철저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제도의 정비도 중요하지만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자치의 이념에 충실하여 스스로자기통제를 통하여 자기정화를 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 요한 것은 주민이 지방자치의 주역으로서 자기통제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항상지방자치단체의 기관들을 감시하고 견제하여야 할 것이다. We discussed the role and function of self - control by discussing the self -control in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erms of the control of the local councils in the local council and the self - audit of the local self - governing bodies. “Self-control in the Local Autonomy Law” means that local governments establish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appropriately performing local government affairs, and supervise and audit all administrative bodies of local governments to carry out their duties based on the principles It is also referred to as the internal control of local governments. At present, there is no term of self-control as the term of the court in the Local Autonomy Law , etc., and the term “internal control” is defined and used in the Public Audit Act . Internal control, as defined in the purpose clause of the Public Audit Act, is not the same as self-control, but internal control is part of self-control. In other words, self - control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control by the executive agency, the decision - making body, and the residents of the local government, whereas the internal control is the self - control by the executive agency of the local government during the self - control. Because audits on local autonomous entities can be used as supervisory or control means for local autonomous entities, it is appropriat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state in light of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and to self-control or internal control to correct the mistakes of self-governing bodies . However, in criticizing the self - control or internal control of these local governments, it is said that the control of the state is needed because the self - control of the local government is not thorough, the professional agency of the control is insufficient and the workforce is not specialized. This criticism should be accepted humbly in light of the reality of the self - control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Audit Committee has been establish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Seoul Metropolitan City in relation to the audits. The fact that the specialists with expertise in auditing are conducting internal audits and the Citizens Audit Ombudsman Can be evaluated as a step forward in the self-control of local governments.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conduct self-control or internal control more thoroughl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system, but it is important that local governments are committed to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and self-controlled through self-control.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residents should always monitor and check the local authorities’ organizations so that they can thoroughly control their self - control as a leader of local autonomy.

      • KCI등재

        단체장에 대한 지방의회 통제유형의 실제: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순종,여차민 한국정책과학학회 202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local council control over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which has been overlooked until now by selecting Seoul Metropolitan City as the case and to understand how it is actually implemented. Among the total of 202 cases analyzed, 50 cases were based on laws, and 152 cases were based on ordinances. By control type, there were 112 cases of reporting, 45 cases of submission, 19 cases of consent, 14 cases of hearing, and 12 cases of approval. In terms of control nature, there were 31 cases of authoritarian control and 171 cases of non-authoritarian control. Control based on laws by the central government showed the largest increase in 2008 and 2011, and in recent years, non-authoritarian control such as hearing, reporting, and submission was more prevalent than authoritarian control such as consent and approval. Control based on ordinanc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8th Seoul Metropolitan Council, and there were many cases that defined post-control measures such as reporting and submission.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ternal control over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by the local council is becoming more active, as control based on ordinances has been increasing greater than control based on laws determin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in the case of control based on ordinances, local council can only passively and subsequently intervene within the scope of oversight regarding matters that fall under the executive agency’s exclusive authority. Active intervention prior to the exercise of such authority is not allow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ordinance-making authority. Therefore, non-authoritarian control rather than authoritarian control measures and post-control rather than pre-control measure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해 그동안 연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단체장에 대한 지방의회 통제유형을 분류해 보고 그것이 실제로 어떠한 형태와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총 202건 중 법령에 근거한 통제는 50건, 조례에 근거한 통제는 152건이었고, 통제 유형별로는 보고 112건, 제출 45건, 동의 19건, 의견청취 14건, 승인 12건이었으며, 통제 성격별로는 권력적 통제 31건, 비권력적 통제 171건 등으로 분석되었다. 중앙정부의 법령에 의한 통제는 2008년과 2011년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최근으로 올수록 동의나 승인 등 권력적 통제보다는 의견청취, 보고, 제출 등 비권력적 통제가 더 많았다. 조례에 의한 통제는 제8대 서울시의회 출범 이후 이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사후 보고 내지 제출 등 사후적 통제 수단을 규정한 사례가 많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의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국회와 중앙정부 등이 정하는 법령보다는 조례에 의한 통제가 최근으로 올수록 많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의회의 단체장에 대한 내부통제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조례에 의한 단체장 통제의 경우 지방의회는 집행기관의 고유권한에 속하는 사항의 행사에 관해 견제의 범위 내에서 소극적・사후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 뿐 사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조례제정권의 한계로 인해 권력적 통제 수단보다는 비권력적 통제가, 사전적 통제 수단보다는 사후적 통제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가 강시장-약의회형의 구조라는 모습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자치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 방안

        황문규 ( Hwang Mung Yu ) 한국경찰학회 2020 한국경찰학회보 Vol.22 No.3

        자치경찰제가 도입되면 자치경찰은 사실상 지자체장의 사병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지방공무원에 대한 지자체장의 과도한 인사권과 위계적 승진구조로 인한 지방공무원의 줄서기 현상이 자치경찰제에서도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다. 또한 국가경찰에서처럼 자치경찰도 자신의 권한을 오남용할 가능성도 있다.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요구된다. 바로 민주적 통제 장치의 문제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논문은 자치경찰의 경찰권이 국민의 경찰권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통제 장치를 살펴본다. 특히 자치경찰제도입 법률을 통한 통제, 시도 경찰위원회를 통한 통제, 자치경찰본부장에 대한 통제, 자치경찰의 경찰권 오남용 또는 정치화된 경찰활동에 대한 외부적 통제장치로서 경찰옴부즈만, 자치경찰의 수사에 대한 통제 등을 고찰한다. 다만, 자치경찰제 도입에서 분권화된 경찰의 정치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와 경계에서 자치경찰제 도입을 거부하는 것도 경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자치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는 현행 국가경찰제의 민주적 통제 방안으로서 자치경찰제를 다시 민주적으로 이중 통제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police system, there are few concerns that the local police will become a de facto soldier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 is also concern that the public officials' lineup in local government will also appear in the local police system. Also, as in the national police, local police have the potential to misuse their powers. In order to introduce the local police system, it is necessary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is why democratic control is also important in the local police system.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various democratic control devices to ensure that the local police force comes from the people. In particular, the democratic control through the police commission in provincial government and metropolitan, the police ombudsman as an external democratic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of the investigation of the police police are considered. However, we must be wary of refusing to introduce the local police system due to excessive concern that the politicization of local police will result. This is because democratic control over local police means dual democratic control.

      • KCI등재

        Optimal LQG Control for Networked Control Systems with Remote and Local Controllers

        Xiao Liang,Juanjuan Xu,Xiao Lu,Qingyuan Qi,Haixia Wang,Rong Gao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8 No.1

        We consider the finite horizon optimal LQG control problem for networked control systems with a remote controller, a local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channels with packet dropouts and transmission delays. The local controller can directly observe state signals and send them to the remote controller via a packet-dropout channel. Then the remote controller sends the received measurement signals to the local controller. Afterwards, the two controllers operate the plant through a delayed channel. The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at the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we develop an optimal estimator to show that the separation principle holds. Secondly, we derive a non- homogeneous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costate of systems in virtue of the maximum principle. Finally,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optimal control problem is derived in terms of the two coupled Riccati equations. Numerical examples are employed to illustrate the theoretical results.

      • KCI등재

        고려(高麗) 광종대(光宗代) 관촉사(灌燭寺)의 창건(創建)과 지방지배(地方支配)

        이광섭 ( Kwang Sub Lee ) 수선사학회 2014 史林 Vol.0 No.50

        This thesis consider that the ``Gwanchock Temple(灌燭寺)`` in Nonsan(論 山) was founded in attempt to extend control over local regions. ``Gwanchock Temple`` was built in the nineteenth year of King KwangJong (光宗) by the his order. It was the period of King Kwangjong when people who had been in the aristocratic class under Hubaekje(後百濟 Later Baekje) not only started to go into the Central politics through ``Gwageo (科擧 the exmanic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and ``Siwigun(侍衛軍 Military forces drafted from local regions) and increase their power, but also enlarged their controls over local regions with ``Yanggeon Operation (量田事業 Operation for Land survey and investigation for taxa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e influence of ``Beopsang Order(法相宗)`` was being increased in the religious world. The King KwangJong appointed the noble men from ``Hubaekje`` as officials to be supported, noticing local regions which had been under control of ``Hubaekje``, especially ``Nonsan``. The area of ``Nonsan`` was one of the strategic points for the Capital defense of ``Bakeje`` where the ``Hwangsanbeol Battle(黃山伐戰鬪)`` had broke out. And ``GaeTae Temple(開 泰寺)`` was build by order of the first King of ``Koryo Dynasty(高麗)``, ``Taejo(太祖)`` to prevent rebellions against his dynasty in the area. The influence of ``Beopsang Order`` was weakening at the time of foundation of ``Gwanchock Temple``. The reformation planned by the King KwangJong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Beopsang Order``. That is the reason why he wanted to support ``Beopsang Order`` and why the temple was built in Nonsan. In the meantime, Maitreya was worshiped in the area, which was the major factor that made the King choose the site for the temple. Also, ``Seokjobosal Ipsang(石造菩薩立像 Standing Statue of Buddha made of rock) located in ``Gwanchock Temple`` was considered as Statue of Maitreya because of the factor. As mentioned above, It seems resonable that the foundation of ``Gwanchock Temple`` was intended for local control by the King KwangJong. He had already extending his control by fixing the taxation and conducting ``Yanggeon Operation``, although there had not been local officials from central government yet. Building temples in local areas was thought as one of his strategy for spreading his control. He carried out ``Seunggwajedo(僧科制度 the recruiting system for appointing the head priest of a Buddhist Temple) to dispatch his men as a head of temples with which he wanted them under control. Therefore, temples were built in the regions considered important. Central government made ``Chosungdogam(造成都監)`` in charge of building temples which means central officials had a direct control in the regions. He seemed to have the control of Nonsan by appointing his men as the head priest of ``Gwanchock Temple``.

      • KCI등재

        자국법인과 국가간의 투자분쟁에 ICSID 중재를 이용하기 위한 요건

        徐哲源(Chul-Won SUH)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1

        ICSID는 체약국과 다른 체약국 투자자와의 투자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관이다. 그런데 국제투자의 상당부분은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행해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ICSID 협약은 제25조 2항 (b)의 예외를 규정하여, 국내법인과 국가사이의 투자분쟁을 ICSID 중재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고 있다. 이 예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국내법인이 “외국인의 통제”하에 있을 것과 당사자가 이 국내법인을 외국법인으로 취급한다는 “합의”를 해야 한다. 이 요건들에 대해 ICSID 협약은 아무런 정의를 하지 않고 있고, 판례들도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사안별로 적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요건들을 적용한 사례와 학자들의 견해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합의”의 요건은 비록 예외에 적용되는 요건이지만 상당히 넓게 적용되고 있다. 묵시적인 합의도 인정하고 있으며, 국내법인과 국가간의 ICSID 중재조항을 ICSID 협약 제25조 2항 (b)의 예외에 대한 묵시적 합의로 취급하는 것은 확립된 판례이다. 이외에 국내법인을 외국법인으로 취급하는 국가의 행위도 묵시적 합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외국인의 통제”라는 요건은 가능하면 당사자 합의를 존중하도록 유연하게 해석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합리적인 기준으로도 외국인의 통제가 있다고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최소한의 제한효력은 인정하고 있다. 셋째, “외국인의 통제”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공식은 없고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고 하지만, 주식의 비율과 관련하여 일정한 기준을 추출할 수 있다. 100%주식 소유는 그 자체로 “외국인의 통제” 요건을 충족하는 충분조건이다. 과반수의 주식소유는 “외국인의 통제”가 있다고 강력하게 추정할 수 있는 증거이다. 실제로 과반수의 주식을 외국인이 소유한 사건에서 외국인의 통제를 부인한 사례는 한 건도 없었다. 50% 미만의 주식소유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통제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다른 보강증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때 고려되는 것으로는 경영권의 확보, 거부권의 확보, 실제로 회사의 경영에 참가한 정도 등이 지적되고 있다. 넷째, “외국인의 통제”는 실질적인 통제가 아니라 “통제를 할 수 있는 법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의미는 현지법인과 통제권을 가진 외국인 사이에 형식적인 자회사를 설립하면 이 자회사도 외국인의 통제요건을 충족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국제투자자는 형식적인 법인을 다른 국가에 설립함으로써 그 국가와 투자유치국간의 투자협정의 보호 특히, 국내법인과 국가간의 중재를 ICSID 중재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투자를 보호받을 수 있는 수단이 넓어졌지만, 국가의 입장에서는 외국인이 통제하는 국내기업과의 투자분쟁은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ICSID 중재로 해결하도록 강요받는 가능성이 상존하게 되었다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투자계약서는 물론이고 투자협정에도 그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배제하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ICSID is designed to promote increased flow of international investment by facilitating settlement of investment disputes between a Contracting State and a investor of another Contracting State. But, foreign investors are often required by the law of host country to conduct their business through a locally organized entity. The locally entity can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ICSID jurisdiction provided in Art. 25 (1), without special exception. The exception is provided in Art. 25 (2) (b). Under this exception, in order for investment claims to be brought before ICSID tribunal, the parties must agree that “because of foreign control”, the local entity should be treated as an entity of another Contracting State. The requirements for the exception, "foreign control" and "agreement" are not defined in the ICSID Convention. This paper is to analyse cases and academic comments on the requirements. As for the "agreement", the jurisprudence has taken ICSID arbitration clause between government and the local entity as being implied agreement of Art. 25 (2) (b) exception. It also mentioned the possibility that conducts of the government to treat a local entity as a foreign one, may be considered as implied agreement of the exception. As to the requirement of "foreign control", the first to mention is that it i s adjudi cated to be broad and fl exi ble concept to entertai n the autonomy of the parties to decide ambit of foreign control. But, it sets out limits for the autonomy, under which the decision of the party may not be respected, where the entity is not under foreign control on any reasonable standard. It is said that there is no ready-made formula in deciding the issue of foreign control. A tribunal may regard any reasonable criteria, including voting rights, shareholding, or management. The analysis of the cases, however, shows that majority ownership of shares, in itself, will almost be determinative, while minority shareholding requires other supporting factors for effective control. Another important jurisprudence on foreign control is that it entertains so-called "treaty shopping" for transnational enterprises. The tribunal in Aguas del Turani v. Bolivia defined control not as actual control, but as legal capacity to control. The reasoning means that by establishing cell intermediaries, foreign investor may acquire the protection of any BIT with the host country which provides the ICSID Art. 25 (2) (b) exception. The consequence of such treaty shopping is that the host country must assume the possibility that foreign investor may bring it before ICAID tribunal. To avoid the potential, states should be careful to limit the ambit of foreign control by expressly defining foreign control.

      • KCI등재후보

        지방공기업 통제에 대한 인식분석과 효율적 개선방안

        원구환(Won Gu Hwan)(元求桓)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16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2 No.2

        Local public enterprises are organizations that integrate public and corporate interests based on public ownership. The main topic of this study is why we controls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o examine how real employee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perceive. A survey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purposes.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s, the effective control measures were sought. First, local public enterprises need control in terms of the publicness. Public control is more necessary in local corporations rather than local authority. Second, in order to efficiently to control local public enterpris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entral government s regulation rather than local government. Third, it is recommended to coordinate the exclusive value of autonomy and control. 지방공기업은 공적 소유의 기초에 근거하여 공공성과 기업성을 조화시키는 조직형태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의 핵심 논제는 왜 지방공기업을 통제해야 하며, 지방공기업 통제에 대해 실제 종사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방공기업 통제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방공기업 통제의 필요성은 공익적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며, 이러한 인식은 지방공단보다 지방공사 종사자일수록 더 강한 편이다. 즉 지방공기업이 수행하고 있는 사업이나 현행 제도 및 규정들을 공공성이라는 가치 속에서 통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지방공기업의 효과적 통제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통제보다는 행정자치부장관의 통제가 보다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지방공기업 통제는 주로 법령 개정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행정자치부가 지방의 입장에서 통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공기업의 자율성과 통제는 딜레마가 아닌 역설적 측면이 강하다. 즉 배타적 가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취사선택하여 다른 하나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조화를 이루는 과정을 역설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점이다.

      • SCOPUS

        Patches: character skinning with local deformation layer

        Lee, Jieun,Kim, Myung-Soo,Yoon, Seung-Hyun John Wiley Sons, Ltd. 2009 Computer Animation and Virtual Worlds Vol. No.

        <P>We present a layered geometric approach to the skinning of character animation. On top of a global shape deformation, B-spline surface patches are attached to various body parts for local control. The patches are directly manipulated so as to generate example local shapes at some important poses. During character animation, the B-spline control points move continuously by kinematically interpolating a set of example patches,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also move dynamically by elastic simulation. The movement of control points changes the shape of a local patch, and consequently skin vertices move according to the patch deformation, finally generating the desired local deformation.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by generating natural local details at various poses including muscular effects and elastic deformation. Moreover, dealing with only a small number of control points, the proposed method is very efficient, while generating hundreds to thousands frames per second. Copyright © 2009 John Wiley & Sons, Ltd.</P> <B>Graphic Abstract</B> <P>We present a layered geometric approach to the skinning of character animation. On top of a global shape deformation, B-spline surface patches are attached to various body parts for local control. The patches are directly manipulated so as to generate example local shapes at some important poses. During character animation, the B-spline control points move continuously by interpolating a set of example patches kinematically,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also move dynamically by elastic simulation. <img src='wiley_img/15464261-2009-20-2-3-CAV308-gra001.gif' alt='wiley_img/15464261-2009-20-2-3-CAV308-gra001'> </P>

      • SCOPUSKCI등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조기 성문암 환자의 국소 종양 제어에 관한 예후 인자

        정웅기(Woong-Ki Chung),안성자(Sung Ja Ahn),남택근(Taek Keun Nam),나병식(Byung Sik Nah),조재식(Jae-Shik Cho),임상철(Sang-Chull L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방사선 단독 치료를 받은 조기성문암 환자에서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7월부터 1995년 12월 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조기성문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범위는 30세에서 73세였으며 중앙값은 59세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가 35명(95%), 여자가 2명(5%)이었다. 조직학적 유형은 모두 편평세포암이었다. 미국 암합동위원회의 병기분류법(1997)에 따라 다시 분류한 병기는 T1a, T1b, T2가 각각 27명(73%), 3명(8%), 7명(19%)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6 MV X- ray를 이용하였다. 후두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40 cGy에서 7,020 cGy 범위였으며 중앙값은 6,600 cGy였다.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80개월이었고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을 Kaplan-Meier 법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두군간의 비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의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 37명의 5년 생존율은 89%였고 국소종양제어율은 74%였다.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로 연령, T-병기, 전연합침범, 일회조사량, 총방사선량, 방사선치료기간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단변량분석에서 치료기간이 50일 미만인 경우 5년 국소종양제어율이 93%, 50일 이상인 경우 60%로서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p=0.026). 다변량분석에서도 치료기간만이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p=0.017). 치료 후 합병증은 1명에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나타났다. 결 론 :조기성문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시 치료기간이 국소종양제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분석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 early glottic cancer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Mate ria ls and Me thods :We analysed 37 patients of histologically confirmed early glottic cancer treat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1986 and December 1995, retrospectively. Age of patients ranged from 30 to 73 years (median; 59 years). Thirty- five (95%) patients were male. Histological type was all squamous cell carcinoma. According to the staging system of 1997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37 patients were restaged as follows: T1a; 27 (73%), T1b; 3 (8%), T2; 7 (19%). Radiation therapy was done using 6 MV X- ray of linear accelerator. The range of total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glottic lesion was between 5,040 cGy and 7,020 cGy (median; 6,600 cGy). Median follow- up period was 80 months. Local control rates were calculated by Kaplan-Meier method. Generalized Wilcoxon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control rates between comparable groups.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done to find ou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esults :5 year survival rate of 37 patients was 89%. Local control rate of 37 patients was 74% in 5 years. We included age, T- stage,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fraction size, total radiation dose, treatment time of radiotherapy a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in univa 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As a result, treatment tim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ocal control rate in both univariate (p=0.026) and multivariate (p=0.017) analysis. Complication was not recorded except one patient with hypothyroidism.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overall treatment time of radi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local control rate.

      • SCOPUSKCI등재

        이하선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정웅기(Woong-Ki Chung),안성자(Sung Ja Ahn),남택근(Taek Keun Nam),정경애(Kyung-Ae Chung),나병식(Byung 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하선 악성종양에서 국소 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이하선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은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14세부터 72세까지였고 중앙값은 55세였다. 조직학적 유형별 분포는 10명이 점액표피양암종, 7명이 편평상피세포암, 4명이 포상세포암, 4명이 선양성낭종암, 1명이 선암이었다. 수술은 15명이 이하선 전절제술, 7명이 표재성 절제술, 4명이 아전절제술을 받았다. 안면신경이 절제된 경우는 5명 있었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잔존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4명, 절제연 양성이 4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광자선과 전자선속을 사용하였다. 26명 중 11명은 광자선만으로 치료하였고 전자선이 병용된 경우는 15명이었으며 전자선량은 900 cGy부터 3800 cGy (중앙값 : 1760 cGy)까지였다. 이하선종양 부위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00 cGy부터 7560 cGy (중앙값 : 6020 cGy)까지였다. 대상 환자들의 최소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국소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단 변량분석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 과 : 방사선 치료 후 국소종양의 재발은 26명 중 5명 (19%)에서 관찰되었으며 국소종양제어율은 5년에 77%였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였다. 성별, 연령 (>60세), 종양크기 (>4 cm), 수술소견상 경부림프절 침범과 신경 침범, 절제연 침범 여부 및 총방사선량 (>60 Gy)의 요인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미치는 영향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 (p=0.002), 절제연 침범 여부(p=0.011)에 따라 국소종양제어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같은 요인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종양 크기 (p=0.022)만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예후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서 종양 크기만이 의의가 있었으나 앞으로 더욱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ere treated for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from 1986 to 1995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4 to 72 years (median : 55 years). Histologically 10 patient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7 of squamous cell carcinoma, 4 of acinic cell carcinoma, 4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1 of adenocarcinoma were treated. Total parotidectomy was performd in 15 of 26 patients, superficial in 7, subtotal in 4. Facial nerve was sacrificed in 5 patients. Postoperatively 4 patients had residual disease, 4 had positive resection margin. Radiation was delivered through an ipsilateral wedged pair of photon in 11 patients. High energy electron beam was mixed with photon in 15 patients. Electron beam dose ranged from 900 cGy to 3800 cGy (median : 1760 cGy).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5000 cGy to 7560 cGy (median : 6020 cGy).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 years.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 were calculated using Kaplan-Meier method. Generalized Wilcoxon test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used to test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esults : Five (19%) of 26 patients had local recurrence. Five year local control rate was 77%. Overall five year survival rate was 70%. Sex, age, tumor size, surgical involvement of cervical lymph node, involvement of resection margin, surgical invasion of nerve, and total dose were analyzed as suggested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ate. Among them patients with tumor size less than 4 cm (p=0.002) and negative resection margin (p= 0.011) were associated with better local control rates in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only tumor size factor is associated with local control rate (p=0.022).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tumor size is important in local control of malignant tumors of parotid g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