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리빙랩 전략방향 연구: 경남지역 리빙랩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주현,강영은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4

        ‘Living Lab’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social issues, and in particular, various Living Lab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Howev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ving Lab pro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Living Lab project was analyzed throug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10 public-based living lab projects promoted in the Gyeongnam region,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future community-based living lab project was set through expert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input-process-output-result indicators of the derived Living Lab performance index frame, the ‘Citizen Recruitment’ and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private industry, academic and research actors’ scores were the highest. In addition, the performance index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process’ index was high overall, and the performance of the ‘output’and ‘outcome’ index was analyzed to be relatively low.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mmunity-based living lab strategy was presented in three directions: ‘institutional aspect’, ‘financial aspect’, and ‘content aspect’. Furthermore, governance and collaboration structures linked to local governments and local universities were also proposed to effectively carry out each sector. It is expected this study can be directly used when designing a structural framework for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community-based living lab project performance and similar living lab projects in the future. 리빙랩(Living Lab)은 도시 문제와 사회 이슈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지역사회 단위에서 다양한 리빙랩 프로젝트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추진되었던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에서 추진한 공공 기반의 10개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분석을 통해 현재 리빙랩 프로젝트 추진 실태를 분석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의 전략 방향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리빙랩 성과 지표틀의 투입-과정-산출-결과 지표 중 ‘시민 모집’과 ‘민산학연 주체자들의 구성’부문의 점수가 가장 높게 되었다. 또한 성과 지표 결과는 전반적으로 ‘과정’ 지표에 대한 평균값이 높은 편이었고, ‘산출’ 및 ‘결과’ 지표에 대한 성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전략 방향은 ‘제도적 측면’, ‘재정적 측면’, ‘콘텐츠적 측면’의 3가지 방향으로 제시되었으며, 각 부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자체, 지역대학 연계형 거버넌스 및 협업 구조 또한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구조적 틀 및 유사 리빙랩 프로젝트 설계 시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Issues & Policy Vol.- No.59

        수요주도형, 사용자 주도형 혁신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 등의 사회문제 해결이 혁신정책의 주요 목표가 되면서, 새로운 혁신 모델인 Living Lab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Living Lab은 MIT의 W. Mitchell 교수가 제시한 개념으로, 사용자 참여형 실험을 수행하는 공간에서 새로운 혁신전략을 내재한 혁신생태계로 개념이 진화하고 있다. 특히 유럽은 Living Lab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최종사용자로부터 적극적으로 획득하고자 하고 있다. European Living Lab 운동을 전개하고 2006년 19개의 Living Lab이 연대한 범유럽 Living Lab 네트워크(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 ENoLL)가 출범하여, 2011년 현재 약 300여 개의 Living Lab이 참여하고 있다. 보고서는 Living Lab에서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 개방형 혁신, 생활세계에서의 혁신, 미래를 구성해가는 실험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라는 혁신활동의 특성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Living Lab은 기술 아이디어 도출 및 개발과 제품 구현 및 시장 진입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줄이고, 사용자가 주도하는 혁신공간을 만들어 수요중심적이고 동시적인 혁신을 수행하며, 혁신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개발의 성과 창출을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핀란드의 HumanTech Living Lab과 덴마크의 Egmont Living Lab을 사례로 들어, 조이스틱을 탑재한 전동 휠체어의 개발과 같이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구체적인 브랜드 및 상품 개발까지 참여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서의 Living Lab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보고서는 Living Lab이 다음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도출했다. 1. 문제해결형 혁신을 위한 혁신 모델 2. 혁신 생태계의 새로운 모델 3. 사용자 주도형 혁신을 위한 하부구조 4. 지역 혁신의 플랫폼 5. 중소기업 지원 조직 6. 참여형 과학문화 공간

      • KCI등재

        중간지원조직의 리빙랩 현황과 플랫폼으로서의 발전 가능성 탐색

        성지은,한규영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living lab led by intermediary and explore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as living lab platform. The analyzed cases are ‘The Seoul Innovation Park Living lab’, ‘Korea Senior Living lab’ of Seongnam Senior Experience complex, and ‘Disaster Safety Living lab’.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three cases have formed a user panel to form a living lab platform, and provide living lab service to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A common feature that combines a technology platform with a 4Ps-based governance platform is identified. However, the characteristics, the meaning, and the process are different from case to case. In the future, the living lab platform needs to share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going on individually, since domestic living lab platform is in the early stage.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seek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similar projects, and to jointly promote institutional and physical infrastructures related to living labs. 본 연구는 중간지원조직 주도의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리빙랩 플랫폼으로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한다. 분석 사례는 국내에서 중간지원조직 주도로 리빙랩 플랫폼을 구축한 대표 사례인 ‘서울혁신파크 리빙랩’,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의 ‘한국시니어리빙랩’, ‘재난대응분야 리빙랩’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 세 가지 사례 모두 사용자 패널을 구축하여 리빙랩 플랫폼을 형성하고 내・외부 조직에 리빙랩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었다. 또한 기술플랫폼에 4Ps 기반의 거버넌스 플랫폼이 결합된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사례가 내포하고 있는 의의와 성격, 추진체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현재 국내의 리빙랩 플랫폼은 확산되어 가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향후 리빙랩 플랫폼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리빙랩 경험을 공유하여 공동학습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관련 유사 사업과의 연계 및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리빙랩 관련 제도적 기반 및 인프라 정비를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리빙랩을 활용한 대학의 지역사회 연계 교과목 운영사례 : 대학교 기술교육과 ‘A’ 교양수업 적용 사례 중심으로

        이승원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began with the analysis of actual cases of operating community innovation subjects as a new educational innovation platform, University Living La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To this end, the Living Lab was applied in the ‘Creative Invention and Team Problem Solving’ subject, a liberal arts class opened in the Technical Education Department of C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2 academic year. Classes were held for a total of 15 weeks, and the most important activity was a project activity for each team that discovered the local community's agenda and came up with a problem-solving method through the Planning Living Lab, which was operated for 12 weeks. The achievements of operating Living Lab subject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universit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of subject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helped improve the field orient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form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e operation of Living Lab subjects could create a new model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novation. Third, through the Living Lab, it was possible to lay the groundwork for university student-centered community innovation. The policy tasks for revitalizing living labs i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of course operation in universities. Second, living lab operation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hird,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orm and activate a community platform with the local community. Fourth, in order for Living Lab to be vitalized in university education, a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for final results is needed.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any cases of operating these subjects will be presented, and that Living Lab will become a sustainable oper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혁신 플랫폼인 대학 리빙랩(Living Lab)으로 지역사회 혁신 교과목을 운영하고, 그 실제 운영사례의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연계한 협업의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22학년도 1학기에 C대학교 기술교육과에서 개설된 교양 수업인 ‘창의발명과 팀 문제해결’ 교과목에서 리빙랩을 적용하였다. 수업은 총 15주로 진행되었으며, 가장 핵심이 되는 활동은 지역사회의 의제를 발굴하여 기획리빙랩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팀별 프로젝트 활동으로 12주간 운영하였다. 대학교육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리빙랩(Living Lab) 교과목을 운영한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과목의 운영은 대학 교육의 현장지향성 향상과 지역사회와의 협력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둘째, 리빙랩 교과목 운영은 교육 및 연구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셋째, 리빙랩을 통해 대학생 중심의 지역사회 혁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대학에서 리빙랩이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교과 운영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리빙랩 운영 교과를 확장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와의 커뮤니티 플랫폼 형성과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리빙랩이 대학교육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최종결과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향후 이러한 교과목 운영사례들이 많이 제시되어 대학교육에서 리빙랩이 지속가능한 운영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리빙랩의 핵심요소와 그 영향 - 리빙랩분석플랫폼을 활용한 고양시 리빙랩 심층사례분석

        조준혁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5

        This study analyzes the key elements and their effects of living lab for smart urban-regeneration projects and devises an analysis platform that can predict the results of living labs. In addition, this study deeply analyzes the cases of living labs in Goyang City based on the devised platform. This study proposed a ‘Living Lab Analysis Platform(LLAP)’ that is drawn by combining the key elements, project types, and expected outcomes of a living lab. The key elements of Living Lab were input elements (stakeholders, context, infrastructure), activity elements (methodology and approach, governance), task characteristics, and outcome characteristics. The task characteristic element and the outcome characteristic element were analyzed by devising a type matrix, respectively. The LLAP systematically presents the essential review elements to propel the smart urban-regeneration project in the living lab method.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determine what type of specific projects of the smart urban-regeneration living lab and to establish the necessary strategy accordingly. In-depth case analysis will help the practitioners decide the factors that need to be weighed for successful living lab projects and predict the outcome.

      • KCI등재

        리빙랩(Living Labs) 방식을 활용한 통일교육: Y 대학 ‘남북한관계론’ 수업 사례

        하상섭 기독교통일학회 2024 기독교와 통일 Vol.15 No.2

        본 연구는 기업인⋅공공기관 관계자⋅학자⋅시민 등 다양한 주체가 모여 협업을 통해 혁신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으로 주목 받고 있는 리빙랩(Living Labs) 방식을 활용한 통일교육의 과정, 효과성 및 함의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리빙랩 방식을 통해 통일⋅북한 수업을 진행한 Y 대학의 ‘남북한관계론’ 수업을 살펴보았다. Y 대학 ‘남북한관계론’ 수업은 통일 이후 발생할 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 활동을 문제점 발견 → 문제 발생의 원인 제시 → 해결책 제안 → 실험 설계 → 실험의 기대효과 제시와 같은 5단계를 통해 실시하였다. 5개 조로 나눠서 리빙랩 활동을 전개한 결과 학생들의 남북한관계론 전공지식 이해도가 상승했고 통일인식에도 의미 있는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일 및 북한 문제를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인지하게 되었으며 협업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도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높은 교육효과를 거둘 수 있는 리빙랩 방식을 활용한 통일교육이 더욱 확대되기 위해서는 통일⋅북한 문제를 다루는 사회과학 분야의 교수 등 전문가가 리빙랩에 관심을 가지는 한편 학생들에게 리빙랩 활동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rocess, effectiveness, and implica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using the living lab process, an activity in which various actors such as businessmen, public officials, scholars, and citizens have collaborated to solve problems innovativel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living lab class of inter-Korean relations at 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lass have taken living lab activities following the five steps: finding problems that may occur afte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presenting the cause of the problem → suggesting solutions → building experimental designs → presenting the expected outcomes of the experiment.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understanding of inter-Korean relations has increased and their prospects of unification have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ir living lab activities. It also found that they take the issues of inter-Korean relations more realistically than before taking a living lab class. In addition, students’ collabor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have also been improved. Experts in the social science field, where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issues belong, need to pay much attention to living labs and actively promote the effects of living lab activities to students to expand unification education further using the living lab process.

      • KCI등재

        새로운 혁신 모델로서 대학 리빙랩(Living Lab) 사례 분석

        성지은,한규영,송위진,김민수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2

        This paper aims at the case study on the Living Lab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suggests applicability and policy challenges on Living Lab of universities in Korea. In the case of foreign universities, it analyzes the background, business objectives, contents, and results of Living Lab. This study would conduct as multiple case studies which examine incidents about Living Lab of university. The research on Living Lab still remains at an early stage and does not fully related with theories. Thus, theoretical-forming studies are needed rather than theoretical-verifying one for the present. Ultimately, it tries to suggest the significance and improvements of Living Lab of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various aspects of Living Lab. Nowadays, experiments about Living Lab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have diverse implications. ①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concept for re-establishing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②It can create a new model of education and research innovation. ③Living Lab of universities can be utilized as a means of identifying problems and needs that community should resolve as promoting their participation. Finally, it can make momentum for innov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Living Lab;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share a common vision among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ies and to create a consensus on the innovation.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혁신 플랫폼인 대학 리빙랩의 특성을 논의하기 위해 국외 대학과 국내대학의 리빙랩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리빙랩에 대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고 관련 이론도 발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이론 검증적 연구보다는 이론 형성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다중 사례연구를 통해 대학 리빙랩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양상을 분석하고, 대학 리빙랩의 의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의 리빙랩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①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관계 재정립을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② 교육 및 연구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다. ③ 지역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와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이자 이들의 참여 방안을 끌어내는 방법론으로서 대학 리빙랩을 활용할 수 있다. ④ 대학 내외부 주체들 간의 공통 비전을 공유하고 전환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리빙랩 활동을 통한대학 혁신의 계기를 만들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의 리빙랩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좌현숙(Hyun-Suk Jw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4

        리빙랩에 대한 연구가 축적됨에 따라 국내 대학중심으로 수행된 리빙랩 프로그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리빙랩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리빙랩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에 다양한 맥락과 특성에서 각각 수행된 리빙랩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를 종합하는 연구방법론 중 체계적 고찰방법(Systematic Review)으로 사용하여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리빙랩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였다. 먼저, 연구대상 논문 24편에 대해 연구분야를 파악한 결과 연구분야는 사회복지, 사회혁신, 대학 인문-교양 교육, 보건의료, 환경 등으로 다양하였다. 본격적인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대학이 지역사회 기관 혹은 지자체와 협업하여 리빙랩을 운영한 사례에 대한 사례분석연구, 리빙랩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리빙랩 모형 혹은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리빙랩 활성화 방안 및 과제제안 등 크게 4분야로 나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육 혁신 모델 중 하나로 떠오르는 리빙랩을 대학교육에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As research on living labs accumulates, it is time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living lab programs and research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living labs that bring together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and to comprehensively analyze living lab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many living lab studies. As a research methodology to synthesize individual studies, we used a systematic review method to synthesize the research on living labs in universities. First, we identified the research fields of 24 studies, and found that the research fields were diverse, including social welfare, social innovatio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healthcare, and the environment. After a detailed analysis,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four main areas: case studies on how universities have operated living labs in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or local governments,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living lab program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ving lab models or programs, and how to activate living lab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oposed ways to utilize and develop living labs, which are emerging as one of the innovative models for university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산업혁신유형과 도시형 리빙랩(Urban Living)에 관한 연구

        장석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4 기업경영리뷰 Vol.15 No.1

        Recently, as globalization has accelerated and social changes have deepen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to solve social problems has been emphasized. Accordingly, various industrial innovation models, such as user-centered innovation, open innovation, and design innovation, are being presented as a means of solving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since the concept of Living Lab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14, Living Lab complements existing innovation models and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solving major social problems at the national level. Exis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models show limitations in bringing about real improvements in life and social system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living labs show the possibility of solving problems and building new social and technological systems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of users in real life. Living Lab is an open innovation model in which users directly participate within the community, and its value is recognized and its scope of use is expanding.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and differentiation between new industrial innovation models, including living labs,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of living labs were explor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three existing major industrial innovation models (user innovation, open innovation, design innovation, etc.).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period since living labs were introduced in Korea, the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community problem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sought the possibility of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living labs, and based on this, sought to develop more developed industrial innovations and improvement plans and discourses on living la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