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민이 참여하는 도시만들기

        진영환(Young-Hwan Jin),류승한(Seung-Han Ryu),김진범(Jin-Beom Kim) 안양대학교 수도권발전연구소 2008 수도권연구 Vol.- No.5

        This study has three main objects; analyzing the cases of livable cities in Korea and bringing out their implications, finding the method of linking the reality and the system of making livable cities and finding the method of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running strategies for making livable cities. It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to help the reasonable evolution of making livable cities, by investigating participators, process,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each representative practice of Korean livable c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bring up leaders and build leadership for a successful livable city project. Second,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leaders is to establish visions based on the collaboration and agreement among the main bodies. Third, there are always possibilities of contradictions in the process where objects of each livable city project are diverse according to the main body'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more appropriate for planners to recognize and solve these conflicts for a better agreement among the bodies than to deal with them in the negative way.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is project is the citizen participation. The government should put more efforts for encouraging citizen involvement in the planning process of livable cities Fifth, the role of planners and experts are very important in the livable city project. To encourage a participatory planning, experts should become more listeners or counselors for citizen than as leaders of citizen in the field. Sixth, theoretically livable city project must be leaded by community members. However for financial suppor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project not as a leader but as a supportive body. Seventh, as shown in the Hongik University playground project, diversification and flexibility should be considered for institutionalization for each different project.

      • KCI등재

        살고 싶은 도시(Livable City) 요건 비교연구

        조성남,황은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0 No.2

        이 연구는 살고 싶은 도시의 요건에 대해 주민들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정도를 비교분석한다. 살고 싶은 도시의 요건은 개인적 안녕, 환경적 안녕, 생활세계, 거버넌스 등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6대 도시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5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동일한 커뮤니티, 동일한 도시에 살고 있는 주민이라도 성별, 학력, 주관적 계층, 연령, 동거인 및 가족주기 등 개개인이 가지는 다양한 조건과 상황에 따라 사람들이 살고 싶은 도시의 요건들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측면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도시 주민의 삶의 질은 도시 구성원 및 거주민들이 개별적 혹은 집단적 상황, 그리고 도시 주민들의 삶의 배경이 되는 물리적,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해 보면, 살고 싶다고 느끼는 주체는 다름 아닌 지역의 주민들이므로 살고 싶은 도시를 조성하는 정책을 수립, 집행하는데 있어 지역구성원의 요구, 즉 주민들이 해당 지역에서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하며, 기존의 각종 사회경제적 요건들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역시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구성원들의 특성별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삶의 요건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ditions for a livable city and the residents’ attitudes toward them. The analysis is based on 953 cases collected from a survey in six largest cities in Korea. In the survey, four dimensions of a livable city (livability) were examined: personal well-being, environmental well-being, life world, and the govern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The impo rtant conditions of a livable city vary depending on each individual’s sex, age, education, perceived social class, and family life-cycle, even though they belonged to the same city. This implies that the quality of life for urban residents depends on individual or family life-cycle and physical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of their living. Since a livable city is judged by life-cycles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city, we should consider what residents need for their cities and to what extent they are satisfied with existing socioeconomic conditions, when mak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for a livable city. Especially, we should figure out what are the major living conditions in each family life-cycle of the residents in the city and establish policies which fit their needs.

      • KCI등재

        살고 싶은 도시 요건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성별차이 연구

        조성남(Sung Nam Cho),황은정(Eun Jeong Hwang)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2

        이 연구는 살고 싶은 도시의 요건에 대해 거주민들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정도를 비교분석한다. ‘살기 좋은 도시(livable city)’ 요건의 평가 지표들은 더글라스와 죤스 연구의 ① 개인적 안녕(personal well-being), ② 환경적 안녕(environmental well-being), ③ 생활세계 (life world), ④ 거버넌스(governance)의 4개 영역을 기초로, 적합한 평가항목을 보완하여 개발하였고, 특히 본 연구는 4개 차원별 성별차이에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의 자료는 서울을 비롯한 6개 대도시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되었고, 95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개인적 안녕의 영역인 사회적 지원 인프라와 기초생활 인프라의 순으로 중요도를 높게 평가했고, 환경적 안녕 영역 가운데는 공공시설 인프라를 중시한 순이었다. 성별에 따른 살고 싶은 도시 요건의 중요도 차이는 사회적 지원 인프라와 거버넌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이 모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사회적 지원 인프라에는 교육여건, 치안 및 안전, 의료, 사회복지 시스템 등의 요건들이 포함되며, 여성의 경우 그 중요도가 남성에 비해 약간 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소음 없는 환경’, ‘생활환경시스템’ 등의 환경적 안녕과 도로교통시스템도 중요시 여겼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살고 싶은 도시를 조성하는 정책을 수립, 집행하는 데 있어 다양한 주민들의 요구와 거주 지역에서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하며, 특히 도시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삶의 요건들의 성별 차이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residents’ attitudes on what they consider are the important factors for a "livable city". Having modified Douglass and Jones" measurements, four dimensions of a livable city (livability) and measurements were developed: 1) personal well-being, 2) environmental well-being, 3) life world, and 4) the governance. The analysis especially also focused on the sex differences within each dimension.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953 cases in six largest cities including Seoul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infrastructures and then supporting infrastructures for basic living standards were marked highest among the factors for the individual"s well being. From the environmental well being view point, a public facilities infrastructure was found to be most important. The data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ing infrastructures and govern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women and men, which includ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safety and security, medical and social welfare systems, although it is to note that women respondents scored higher than men. Men also considered "noiseless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system" and others which are under the environment category and city transportation system as other important factors. The residents" needs and their views of what a livable city should contain, and especially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of the current diverse social economic factors, may have an implication for the city as it develops and implements policies. In particular, the sex differences of what women and men consider to be important for their life within the context of the city they are living i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논문 :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의 서구사회 경험과 시사점 -건조 환경을 중심으로-

        이재하 ( Jae Ha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 No.3

        서구사회의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는 시민의 삶의 질 관점에서 그들의 근현대 도시계획을 성찰하고, 1970년대 이후 그 대안으로 경제기관으로서 도시가 아니라 사람을 위한 도시 만들기로 본격화되었다. 그들은 도심이 활력 있는 도시, 친환경적인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쉬운 도시, 공공 공간을 통해 공동체적 사회생활이 영위되는 도시, 다문화가 공존하고 다양한 문화 활동을 향유할 수 있는 도시, 다양하고 저소득층을 위한 저렴한 주택이 잘 공급되는 도시, 좋은 일자리가 잘 제공되는 도시, 주민들의 경제적 격차가 작은 도시, 어린이와 노인이 살기에 적합한 도시, 자연보존과 자원절약에 적극적인 도시, 도시의 고유한 특성이 경관에 표현된 정체성 있는 도시로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서구 도시들의 이러한 도시 만들기 중 전자의 5가지 건조 환경에 관한 경험을 엄밀히 검토하고, 그 교훈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의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 정책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Making cities livable has emerged as city-making not for a city as an economic machine, but for people (citizens), from the reflection on the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in the western society in terms of quality of life since the 1970s. It includes or emphasizes city-making toward the following livability (liveability): to maintain the vibrant downtown, to access easily environment-friendly multi-modal transportation, to have social life of community through public space, to enjoy diverse cultural activities with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o provide a wide type of housing and affordable housing for low income classes, to provide affluent good jobs, to be smaller economic disparity among residents, to become good city for children and elders, to be sensitive to natural conservation and resource-saving, and to have a city`s identity designed by its uniqueness. This paper reviews strictly the experiences of the former`s five different city-makings on the built environment in the western cities, and suggests its significant lesson and implication to the future making cities livable in Korea.

      • KCI등재

        한국 창조도시지수 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전해정(Chun, Hae-jung),장효천(Jang, Hyo-cheon),박헌수(Park, Heon-soo) 한국주거환경학회 2015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Korean index of creative cities. For the purpose,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ere selected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executed about them in terms of six areas in 2013. Besides 3T - talent, toleration and technology - of Florida which has been mostly used for establishment of the creative city index, culture, accessibility and livability were added to reflect the reality of Korea. The creative city index was prepared using min-max normalization. In addition, an index was made using 3T of Florida and six areas by applying equal weight and endogenous weight and then a total of four creative city indexes were written. After it, proper models were chosen using a multi-variate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a creative city index produced through equal weight using the six areas explained the models best. Regarding cities with a population of 13 million or less, the creative index gets lower as the size of population increases and the index was the highest when the size of employment was 3.85 million. Related to the creative city index by region, Seoul ranked first followed by Daejeon and Gyeonggi Province. On the other hand, Gangwon Province ranked 16th at the bottom, followed by South Jeolla Province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developing the Korean index of creative cities, it has contributed toward raising creativity of each city through helping the government and regional authorities check the present position of each region by detailed variable of each area and then improve lacking parts and provide assistance.

      • KCI등재

        살고 싶은 도시 요건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도시별 비교연구

        김헌민(金憲珉),조성남(趙成南),진기남(秦基南) 한국지방자치학회 201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actor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livability of cities and to analyse the citizens"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se factors in their current residential areas. The concept of livability i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of personal well-being, environmental well-being, lifeworlds and governance. A survey of residents" perception of livability of cities was conducted in six largest cities in Korea. Statistical analysis is done with the survey results from 953 respondents.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for most of the livability factors there is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citizens" satisfaction level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they attach to these factors. Infrastructure related to social support system was d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livability factor by the residents in Seoul and Inchon, while factor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were given high priority by the residents in other cities. Major policy implicat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policies designed to enhance the livability or quality of life in cities should aim to improve those factors given high priority by the citizens in each city. By doing so the perceived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livability factors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정주쾌적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서수복(Seo, Su Bog),엄수원(Eum, Soo Won) 대한부동산학회 2012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0 No.2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정주쾌적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적 차이를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의 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정주쾌적성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정주쾌적성 요인에 관한 지표를 선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분석은 대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정주쾌적성 만족도 설문자료에 의하였으며,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에 의해 정주쾌적성 요인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쾌적성의 만족도나 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쾌적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도시정책이 지역별로 차별화되어야 함을 보여 주었다. Enhancement of amenity as a city s growth strateg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o foster a livabl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theory of urban development by analyzing amenity for the individual citie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ity s growth.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amenity in Daejeon city. In order to achieve those purpose I theorized about the concept of amenity and built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empirical research to establish indicators for analyzing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factors consists of amenity on satisfaction of i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ants of amenity as a explanatory variable and satisfaction of i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eaningfu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ity s development strategy ultimately.

      • 대전광역시 정주쾌적도 분석을 통한 대전시 발전전략 모색

        김태명 ( Tae Myung Kim ),서수복 ( Soo Bok Seo )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정주쾌적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주쾌적성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정주쾌적성 요인들이 정주쾌적성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실증적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정주쾌적성 요인이 정주쾌적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조사연구를 설계하였으며 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주쾌적성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도시의 발전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Enhancement of amenity as a city`s growth strateg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o foster a livabl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theory of urban development by analyzing amenity for the individual citie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ity`s growth.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amenity in Daejeon city. In order to achieve those purpose I theorized about the concept of amenity and built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empirical research to establish indicators for analyzing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factors consists of amenity on satisfaction of i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ants of amenity as a explanatory variable and satisfaction of i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eaningfu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ity`s development strategy ultimately.

      • KCI등재

        살기 좋은 도시 미국 캘리포니아의 얼바인: 발전과정과 주요 특성

        변필성,안영진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1

        This study discusses the City of Irvine in California which is a livable place securing the balance between housing and jobs as well as high-quality amenities and that a private company has developed as a master-planned suburban community. The discussion refers to the context where good quality of life has become both an important resource for place marketing and an integral element of urban competitiveness and thus many cities restlessly try to make themselves the livable places having good quality of life. Concretely, this work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nstitution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Irvine as one of the most livable cities in US. And, using social and economic data, the work discusses features demonstrating livability of Irvine,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Orange County as a reference region. As well, the implications of Irvine for the making of livable cite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to Irvine. 이 글은 주택과 일자리 간의 균형(즉 자족성) 그리고 양질의 생활환경을 갖춘 살기 좋은 도시이자 마스터플랜에 입각해 건설된 미국 캘리포니아의 교외도시인 얼바인의 발전과정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 글의 논의는 우수한 삶의 질이 장소판촉과 도시 경쟁력에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도시들이 우수한 삶의 질을 갖춘 살기 좋은 도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점과 깊은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얼바인이 미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중의 하나가 된 배경, 특히 도시 개발사적 그리고 정책적 배경을 고찰하고, 사회경제적 자료를 활용해서 얼바인이 살기 좋은 도시로서 갖춘 특징을 오린지 카운티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살기 좋은 도시 건설과 관련해서 얼바인이 보여주는 시사점과 그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19. Research Report 2015-19 : Bridging Livable City Development over Local Climate Smart Development under UN SDGs

        ( Hoon Chang ),( Kyu Ri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기본연구보고서 Vol.2015 No.-

        최근 발표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향후 15년의 새로운 개발목표로서, 유엔(UN)은 세계 많은 국가 및 지역별 참여를 통해 17개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와는 다르게 이번 SDGs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적 참여가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UN 보고서에 따르면 지속적인 산업화로 인한 정주환경의 도시화로 인간의 정주환경에서 도시가 차지하는 부분이 지속적으로 많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SDGs는 하나의 목표로서 세계의 지속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주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편 기후-스마트 발전은 규모와 추진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선진국과 최빈국 모두 차용 가능한 발전 모델을 제시하여, 지역과 정부 간 협력 네트워크의 구축 및 추진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가능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학술 및 정책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개발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국제적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는 빠르게 적응하고 대응해야 하는 국가 중 하나이다. 따라서 유엔(UN)에서 발표한 지속가능발전 목표 중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정주환경으로의 개선이라는 목표 이행을 위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앞선 두가지 목표인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정주환경을 ‘살기 좋은 도시’와 ‘기후-스마트 발전’이라는 개념과 연계하여 각 개념의 역사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정주환경의 도시 개발을 위한 학술 및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과 독일을 선정하여 각 국 전문가들의 원고를 통해 국가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신뢰도 높은 국제기구의 발간 보고서와 자료들을 바탕으로 SDGs에 담긴 의미를 살펴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해당 목표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기후변화와 탄력을 강조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탄력적 기후변화 대응에서 지역정부의 참여와 사회·경제적 발전의 중요성이 함께 강조된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한국과 일본, 독일의 각국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재난·재해 및 사고 등에 더욱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준비된 탄탄한 지역정부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들 3개 국가의 사례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살기 좋으면서 기후변화에 탄력적인 도시를 계획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추진하는 원동력과 집행단계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독일은 가장 앞선 형태로 녹색공간 활용을 중심으로 한 발전에 초점을 두었다. 한편 이미 많은 재난과 재해를 경험하며 도시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탄력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법 및 행정적 체계를 구축한 일본은 도시민을 위한 미래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더 많은 중요성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법률적 체계를 기반으로 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지역정부의 탄력성을 증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아직 집행의 효율적 측면에 대해서는 의문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결과 글로벌 수준에서 논의되는 ‘기후-스마트 발전’은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고 우선시되는 개념이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의사 결정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자와 주민들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살기 좋은 도시에 관련한 주요 국가들은 SDGs의 궁극적인 비전과 목표에 대한 이행을 위해 각국 상황에 맞는 목표 설정과 개발 단계를 구축하고 있었고, 장기적인 대비책을 수립하여 실행단계로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위의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가 미래 발전정책의 방향 설정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Many parts of the World were informed the new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by 2015 as new development directions for next 15 years. Among SDGs, growing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nd local efforts was more addressed tha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which ended in 2015. New goals also did not miss to mention for improving various living conditions at all countries. Climate smart development is prevailed from developed countries to the least developing countries,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t scale and periods. Unlike MDGs, SDGs are required to put into efforts from all countries and to encourage building collaboration networks among local governments. Korea is a leading country to absorb and to act promptly from global actions; however links from new direction on climate chang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again to prepare Korea`s next 15 yea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and to investigate key concepts about climate smart or resilient development and livable city at the same time. Through literature reviews from credential report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lear understandings about historical progresses on SDGs stressed why these goals stressed climate change and resilient so important. The goal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 actions on resilient movements, but socio-economic improvements, livable environment, equally gave high importance. Manuscripts from three countries, Korea, Japan, and Germany, had enlightened strong local government efforts to make safer urban areas with well-prepared plans. Three cases shared consensus on necessary to build resilient city with livable conditions, however implementation levels showed gaps among cases, which Germany was highly advanced to deal with green spaces intensified development, while Japan gave socio-economic consideration with fully prepared urban structural resilience. Korea established legal bases in prompt reaction, but actual implementation to local areas were still in question.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to proceed in short period of research time, but it is sure to be a sound basic material for future policy recommen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