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한의 근대계몽기 문학사 서술 비교 —<조선문학통사>와 <조선문학개관>을 중심으로

        이길연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8 평화학연구 Vol.9 No.2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aesthetic standards in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among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and studied the distinction between literary periods. As for the study on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I used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cluding literary histories, authors and literary theories. In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n, it recognizes the literature from 1900 to 1910 as enlightenment literature of Joseon. An Outline of Joseon Literary History and An Introduction of Joseon Literature are mainly discussed in this study, and the two books were written with 27- year time gap. As for the authors, considering the controlled and uniformed system of North Korea, it is very interesting to discover that An Outline of Joseon Literary History was written by a group of co-authors from “Literary Institute of Social Science”, while An Introduction of Joseon Literature was written by two identified authors, Jeong Hong-gyo and Park Jeong-won. First, for the literary periods and aesthetic standards, it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periods from the point of Independence from Japan until before introduction of Juche literary theory (1966), and from the beginning of Juche literary theory to up until today. Before the Juche literary theory, North Korea’s literature was based on the orthodox Kafka’s literature, while the Juche literary theory emerged after the systematized Kim Il-sung Monotheism, or Juche Ideology. As for aesthetic standards of North Korea’s literature, progressism (progressive Romantic literature), realism (critical realism literature), patriotism (anti-Japan literature), enlightenment literature (bourgeois enlightenment literature) and People Orientation can be mainly considered One of th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them is that An Outline of Joseon Literary History followed the frame of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while An Introduction of Joseon Literature regarded Lee In-jik as a pioneer of a new-style novel and representative writer. As for the description methods, in the An Outline of Joseon Literary History literary works are classified by prose and poem, but An Introduction of Joseon Literature applied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mes, ideologies, contents etc. Therefore, we can find some writers and literary works in An Introduction of Joseon Literature, which were excluded in the "An Outline of Joseon Literary History" In case of Sou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there are verities based on the authors viewpoints and intention, while North Korean books are maintaining the unity and objective views due to the influence of communist system and ideology. We can also notice that due to the communism, individual authors’ intention and views are strongly limited. 본고는 북한의 문학사 가운데 근대전환기에 관한 미학적 기준과 문학사 간의 차별성을 고찰하였다. 그동안 근대전환기에 관한 연구는 남북한 모두에서 문학사, 작가 및 작품론을 비롯한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되어 왔다. 북한문학사의 근대전환기 인식은 1900년에서 1910년까지의 문학을 조선 계몽기로 보고 있다. 본고에서는 주로 『조선문학통사』와 『조선문학개관』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이 두 문학사는 서술연대가 27년이라는 간격을 두고 있다. 저자에 있어서도 『통사』의 경우에는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에서 단체 명의의 공동저작으로 이뤄졌는가하면, 『개관』의 경우에는 정홍교 · 박종원이라는 실명으로 간행된 점은 북한의 학문적 체제를 감안한다면 다소 특이한 현상이다. 먼저 시대 구분과 미학적 기준을 들어보면, 해방에서 주체문예론 대두 전(1966〜67)까지와 주체문예론의 등장에서 최근에 이르는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체문예론 이전의 북한문학은 카프문학의 정통성에 기초한 것으로 규정될 수 있는데 반해, 주체문예론의 대두는 유일사상인 주체문예론이 체계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북한문학사을 서술하는 미학적 기준은 구체적으로 인민성, 진보성(진보적 낭만주의 문학), 사실주의(비판적 사실주의 문학), 애국주의(반일애국문학), 계몽문학(부르조아 계몽문학) 등을 들 수 있다. 『조선문학통사』는 앞의 『조선문학사』 서술의 틀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조선문학개관』에서는 이인직을 신소설의 개척자이며 대표적인 작가의 한 사람으로 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술체계를 보면, 『조선문학통사』에서는 단지 장르간의 분류를 통해 산문과 시가로 간략히 구분하고 있는 반면, 『조선문학개관』에서는 특성에 따라 좀더 구체적으로 담겨진 내용이나 사상 그리고 작품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볼 때, 『조선문학통사』에서 논의에서 제외됐던 작가나 작품들이 『조선문학개관』에서는 다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남한의 문학사의 경우, 서술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음에 비해 북한의 경우, 그들 나름대로의 공동 체제와 이념을 염두에 두고 서술한 것으로 통일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 같으나 사회주의 이념의 미학에 기대어 서술자의 의도나 사고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문학사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 『조선-한국 당대문학사』를 중심으로

        이승윤(Lee Seung Yun)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This article looked into "Joseon - Korean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published by the publication department of Yanbian University, which may be a third eye toward Korean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may be a noteworthy text in that it is literary history aimed at both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y utilizing data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as Korean literary history published in a third country. Concerning the period that this study aimed at, it ranges from the period after liberation in 1945 to the Korean War in 1950.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describes this period by classifying it into poetic literature, novel literature, and play literature along with an overview of the time. Among them, this study proceeded to a discussion limited to the poem genr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describes the entir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from 1945 to 1980 while indicating South Korea as "Hanguk (Korea)" and North Korea as "Joseon". It is also interesting that in the main body of the book, it uses neutral expressions that do not belong to either South Korea or North Korea, just as the literature of the "South" and the literature of the "North" aside from its use of "(North) Joseon" and "Hanguk" indicates the literature of the North and the South.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period of literary history, the book is classified into 10-year periods from the 1950s to 1980s, and only Chapter 1 covers about five years from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in 1945 to the period immediately before the Korean War under the title of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reason why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adopted such a classification of periods may be because the book was intended to be poised on the border that does not belong either to the South or the North. The fact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emphasized in particular "mutual contact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and brought it to prominence while explaining the situation of literary circles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enables us to glimpse the direction of the description of literature history aimed at by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That may be read as a different expression of a consciousness of seeking "mutual contac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r aspiring to such contact and to be voluntarily in charge of its role under the special situation of being an "autonomous prefecture of the Joseon people in China", namely a third country. Meanwhile the "Literary History of the Joseon Race in China" (2007), which is used as a textbook for the Department of Joseon Literature at the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located in Beijing, China, may be a noteworthy text in that it is another literary history produced in the same China. The guidelines that they determined are the literature and history of the citize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also of the "Joseon race as a minority race" and they are not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people" who immigrated to China. Therefore, prior to mentio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country for literature of the Joseon race, it is defined in the semantic network with Chinese literary circles or Chinese society and history.

      • KCI등재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근현대문학사의 문화횡단적 실천 - 남한문학사ㆍ북한문학사ㆍ자국문학사라는 세 겹의 프리즘 -

        이선이 ( Lee Sun-y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근현대문학사를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자국문학사와 비교하여 서술 양상을 살핌으로써, 이들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횡단적 실천을 살피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는 약 25종이며, 이 가운데 한국근현대문학사는 약 16종이다. 저술 목적으로 볼 때, 연구용 문학사보다는 교재용 문학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시각과 서술내용으로 볼 때, 남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와 북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 그리고 남북문학사를 함께 수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선정하여 그 인식과 서술 양상을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중국문학사와 비교한 후, 의미의 이동과 생성의 지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문학사 인식과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의미 있는 전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의 근현대문학사는 서양문학의 영향만을 강조함으로써 중국문학의 영향을 간과했다는 점에 대한 반성적 시각 둘째, 북한문학사를 주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통일문학사 기술의 한 가능성을 제시한 점 셋째, 순수문학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문학의 대중성에 대한 강조와 다양한 매체와 연관된 작품을 수용하는 시각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점이 그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with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explores aspects of narrative and therefore examines transcultural practice presented in such texts. There have hitherto been approximately 25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and 16 of 25 works are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Regarding their purpose, the number of pedagogical works outstandingly exceeds the number of research works. In terms of perspective and contents,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ne that only embraces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another embracing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only and the other embracing the history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has selected representative texts from each category and compared recognition and narrative aspects to that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t further examines loci of definitions` transfer and formation as well.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valuable understanding of recognition and narr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irst, this study offers an introspective attitude, a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ccentuates influence of only Western literature, overlooking influence of Chinese literature. Second, this study proposes a new narrative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Unified Korean literature through independent and objective identification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Last, it emphasizes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 aside from pure literary-centrism - and expands possibilities of embracing distinct works relevant to multimedia.

      • KCI등재

        18세기 조선 『대학』 해석 연구 동향 및 제언

        이시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科學 Vol.- No.93

        본 연구는 18세기 조선의 ≷대학≸ 해석에 대한 선행연구의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은 성리학을 정치와 학문의 기반으로 삼으며 개국하였다. 특히 주자학은 조선의 최후까지 조선학자들에게 학문 탐구와 실천의 대상이 되었다. 17세기를 거치면서 주자학에 대한 이해는 점차 심화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학』은 학문의 중요한 기초 텍스트로 자리 잡았다. 특히 주희에 의해 재편집된 『대학장구』 체계가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정약용, 정제두와 같이 주자학을 벗어난 특정 인물의 해석에 집중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시각에 의하면 18세기 조선 경학의 특징은 마치 주자학을 극복하고 새로운 학술을 본격적으로 시도한 측면에 있는 듯하다. 물론 그러한 시선 또한 18세기를 이해하는 중요한 연구 시각이지만 그것만으로는 18세기 조선 경학사의 풍부한 국면을 충분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제 18세기 조선의 『대학』 해석은 기존 연구에서 주목해 온 ‘실학’, ‘양명학’, ‘제왕학’적 『대학』 해석을 포괄하면서도, 주자학이라는 광맥을 추가하여 보다 넓은 시야로 전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무엇을 참고했는가’, ‘어떻게 논의했는가’, ‘무엇을 다루었는가’, ‘어디에 활용했는가’, ‘동아시아 속 조선 해석의 특징은 무엇인가’라는 다섯 가지 의문 제기를 토대로 18세기 조선의 『대학』 해석 양상을 크게 ‘문헌 비평적 관점의 대두’, ‘저작 양상의 다양화’, ‘경전 내 쟁점 논의의 풍부화와 정밀화’, ‘『경사강의』 관련 저작물의 등장’ 등으로 특징짓고, 끝으로 그위상을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비교’해야 한다고 정리하였다. 18세기 조선의 경학은 조선성리학의 심화가 가장 극치를 이루는 시기이자, 새로운 사상의 시발점이라는 측면에서 동시에 다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 대한 조선학자들의 학적 관심과 성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조선 경학사의 기초를 다지고, 궁극적으로는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18세기 조선 경학의 위상을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탐색과 제안이 우리 학술사의 진경을 좀 더 뚜렷하게 드러 내는 데 일조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meticulously analyze the trend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大學) in 18th century Joseon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in 1392 with the Neo-Confucian ideals and doctrines as the state ideology. In particular, Zhu Xi’s Neo-Confucianism remained a central subject of scholarly inquiry and practice for Joseon scholars until the end of the dynasty. By the 17th century, the understanding of Zhu Xi’s Neo-Confucianism had deepened. Within this context, the Great Learning became a fundamental text for scholarly inquiry, and especially the system of Commentaries on the Daxue (Daxue Zhangju, 大學章句) edited by Zhu Xi became a significant area of research. However, existing research tended to focus on interpretations by specific figures like Jeong Yak-yong and Jeong Je-du, who deviated from Zhu Xi’s views. This approach suggests that the scholarship of 18th century Joseon attempted to overcome Zhu Xi’s teachings and explore new academic frontiers. While such a perspective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18th century, it alone does not fully capture the richness of Joseon’s scholarly landscape at the time. The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in 18th century Joseon needs to encompass not only the previously focused areas such as “practical learning”, “Yangmingism”, and “disciplines of kingship” but also include the broader context of Zhu Xi’s Neo-Confucianism. This paper will examine five key questions: What sources were consulted? How were the discussions framed? What themes were addressed? Where were the theories applied? What ar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Joseon scholars’ interpretations in East Asia? It will characterize the 18th-century Joseon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through emerging scholarly perspectives, diversification with regard to the trend of writings, enrichment of textual debates, and the appearance of related works like Lectures on Classics and History (經史講議) and ultimately, compare these aspects in the context of East Asia. This period was the pinnacle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a time when deep philosophical insights emerged, which also marked the beginning of new ideological movements. Through this research, the scholarly interests and achievements of Joseon scholars regarding the Great Learning will be objectively assess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history of Joseon scholarship, and ultimately, to position the scholarship of 18th century Joseon within the history of East Asian thoughts. It is hoped that this exploration and proposal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clarifying the true landscape of Korea’s scholarly history.

      • KCI등재

        도남 조윤제의 조선 시가사 기획 ― 형식의 역사화, 역사의 형식화 ―

        박슬기 ( Seulki Park ) 한림과학원 2017 개념과 소통 Vol.0 No.19

        이 글은 도남 조윤제의 『조선시가사강』과 이를 전후한 조선 시가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서, 도남이 구성하고 있는 조선 시가사의 원리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는 조선 시가사를 관통하는 원리이자 조선 시가의 현상을 추동하는 이념으로서 형식을 설정했고, 그것은 향가의 분석에서 찾아진 2구와 반절성이었다. 그는 향가라는 기원형식에서 출발하여 시조와 가사에 이르는 과정 속에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형식을 설정하고 이를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식을 역사화한다. 동시에 이 형식은 민족의 고유성이자 조선적인 것의 기원으로서, 역사의 흥망성쇠의 과정 속에서도 불변하는 것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불변하는 이념적 형식과 일치한다. 그는 이 지점에서 시가사의 이념을 민족사의 이념과 일치시킴으로써 역사를 형식화한다. 그러나 그의 서술에서 이념형은 수많은 조선 시가의 현상을 증명하는 데에는 실패한다. 즉 그의 이념형은 현상들의 생성과 소멸과정 속에서 그 부재성만이 증명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념형의 역사화 자체는 저항된다. 그리고 그런 차원에서만 역설적으로 이 무수한 충돌의 흔적들, 도남이 결국에는 설명하지 못했던 수많은 현상 자체가 자기를 역사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드러나는 것은 2구와 반절성이라는 이념의 이면에 있는 근대문학사가로서의 조윤제의 이념, 즉 시와 가의 구별이라는 근대문학의 이념이다. 이 지점에 조윤제가 1930년대에 조선 시가사를 구성하고자 했던 근본적인 동인이 자리한다. 그것은 조선 시가를 `문학적 현상`으로서 증명하고자 했던 혹은 해야만 했던 것, 즉 자기 자신의 증명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inciples underlying Jo Yunjae`s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 by analyzing his studies of premodern Korean poetic texts, as developed in his monograph, Principles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gang), and in his other work. For Jo,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governing traditional Korean poetic writing was form. His understanding of form was distilled from his analysis of Hyangga (the extant poetic genre from the ancient Silla period of Korea), and it has a dual character. He considered form as the most essential poetic attribute, and believed it had been preserved substantially intact during the modal changes from Hyangga to Sijo and to Gasa. In Jo`s discussion of this continuity of form throughout history, poetic form is historicized, becoming deeply intertwined with the origin of Korean-ness (i.e. of Joseon), and provides a steadfast anchor for the unchanging Korean character through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Thus, Jo created a vision of history which identified and synthesized the ideas governing both the history of poetry and that of the Korean nation. However, Jo`s theory of form fails to explain various features of premodern Korean poetry. His ideal form is profoundly difficult to establish, in the sense that its absence in history can be confirmed, rather than its existence, and the historical manifestation of Jo`s vision is unconvincing. To literary historians in modern Korea, Jo`s ideas simply cannot supply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throughout premodern Korea. Indeed, a better interpretation of Jo`s work would emphasize his unconscious desire to prove himself as a Korean literary historian through his blind insistence upon form.

      • KCI등재

        여성문학사 시대구분의 문제와 조선

        이경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1

        This paper tried periodization of women's classical literary history of Joseon, based on studies of Korean women's classical literary history. That is change of chronological writing. The standards of periodization are letter's status and change of women's discourses. Using the chronological writing, I intend to come back classical women's ‘anonymity’ and 'everydayness' into history. Depending on Hangeul's function and change of women's discourses, I tried to divide five periods and name them. 문학사 쓰기가 더욱 어려워진 요즘에,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를 토대로 조선여성문학사의 시대구분에 도전한다. 이를 위해 시대구분의 기준을 문자 수단의 위상과 여성 담론의 변화로 잡았다. 즉 한글 창제부터 『독립신문』 창간 이전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주로 학술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권(2000)-30권(2015)을 통해 집적된 연구를 중심으로 연표를 만들었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것은 연대기적 서술의 변용을 통한 조선여성문학사이다. ‘백과사전적’이면서 ‘포스트모던적’인 연대기적 서술의 변용은 개별 사건들을 선택하고 조직하고 맥락화하는 정도에 달렸다. 즉 여성문학적 사건들의 선택과 배치가 중요하며, 여성의 언어문자 생활의 여러 국면들을 가능한 폭넓게 재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여성문학사를 연대기로 작성함으로써 ‘익명’과 ‘일상’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 여성의 존재를 역사 안으로 복귀시키고자 했다. 작자‧연대 미상이라는 한국고전여성문학의 특수성 때문에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동시에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연대기적’ 서술을 적극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연대기적’ 통사 형식은 왕조나 세기의 전환, 문학 갈래의 교체와 같은 기준 등 문학사의 관습적 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도 주목할 만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대기적 서술이 역사가 짧은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에 무리한 일반화의 위험을 줄이는 ‘열린 체계’라는 장점이 될 수 있다. 조선여성문학사를 연대기적으로 서술하고 시대구분 하려 할 때 고려할 사항은 한글의 기능과 여성 담론의 변화로 보았다. 이에 따라 대략 다섯 시대로 나누고 이를 명명하였다. 인수대비의 시대, 황진이와 허난설헌의 시대, 『병자일기』의 시대, 소설과 규방가사의 시대, 『규합총서』의 시대가 그것이다. 명명의 방식은 각 시대의 특징을 대표하는 작가나 작품, 장르이다.

      • KCI등재

        『三韓紀畧』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의 번역 및 해설

        이미지(Lee, Mi-Ji)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5

        이 글은 일본 유학자 이토 토가이가 찬술한 『삼한기략』 중 고려 왕조 관련 내용을 국역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제시해 보았다.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은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총 7편의 소절 중 「군장략」·「기호략」·「토지략」·「문적략(문적휘)」에서만 고려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 왕조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소략하다고 하겠지만 고려 군주와 그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충실하게 소개된 편이다. 여러 기록을 비교 고찰해볼 때 『삼한기략』에 수록된 고려 왕조의 정치 분야 관련 정보의 주요 출처는 『동국통감』 「고려기」라 생각된다. 고려가 사용한 연호나 지방 제도에 대한 자료 수집은 매우 부실하지만 고려 문인들의 문적을 정리하여 제시한 「문적휘」는 일독해 볼 만 하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roduce records on the Goryeo from a book compiled by Ito Togay (伊藤東涯, 1670~1736), the famous scholar of Edo period in Japan to the Korean readers. The book is titled as Sankankiryaku (三韓紀畧, Brief History of Korea) and covers the history of he Korean peninsula. One might find the number of account on the Goryeo Dynasty is not many comparing with other dynasties such as the Silla or Joseon. Only four chapters out of seven, Gunjangryak (君長畧, Brief Account on the Kings), Gihoryak (紀號畧, Brief Account on the Era Names], Tojiryak (土地畧, Brief Account on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Each Dynasty), Munjukryak (文籍畧, Brief List of Anthologies of the Goryeo Scholar-Writers) carry the records on the Goryeo Dynasty. The Gunjangryak chapter provides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 Goryeo kings. It is highly assumed that Ito mainly consulted the accounts on the Goryeo of Dongguktonggam (東國通鑑, Comprehensive Mirror of Joseon History) that was already introduced and widely circulated among the scholarly society in Japan. 이 글은 일본 유학자 이토 토가이가 찬술한 『삼한기략』 중 고려 왕조 관련 내용을 국역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제시해 보았다.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은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총 7편의 소절 중 「군장략」·「기호략」·「토지략」·「문적략(문적휘)」에서만 고려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 왕조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소략하다고 하겠지만 고려 군주와 그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충실하게 소개된 편이다. 여러 기록을 비교 고찰해볼 때 『삼한기략』에 수록된 고려 왕조의 정치 분야 관련 정보의 주요 출처는 『동국통감』 「고려기」라 생각된다. 고려가 사용한 연호나 지방 제도에 대한 자료 수집은 매우 부실하지만 고려 문인들의 문적을 정리하여 제시한 「문적휘」는 일독해 볼 만 하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roduce records on the Goryeo from a book compiled by Ito Togay (伊藤東涯, 1670~1736), the famous scholar of Edo period in Japan to the Korean readers. The book is titled as Sankankiryaku (三韓紀畧, Brief History of Korea) and covers the history of he Korean peninsula. One might find the number of account on the Goryeo Dynasty is not many comparing with other dynasties such as the Silla or Joseon. Only four chapters out of seven, Gunjangryak (君長畧, Brief Account on the Kings), Gihoryak (紀號畧, Brief Account on the Era Names], Tojiryak (土地畧, Brief Account on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Each Dynasty), Munjukryak (文籍畧, Brief List of Anthologies of the Goryeo Scholar-Writers) carry the records on the Goryeo Dynasty. The Gunjangryak chapter provides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 Goryeo kings. It is highly assumed that Ito mainly consulted the accounts on the Goryeo of Dongguktonggam (東國通鑑, Comprehensive Mirror of Joseon History) that was already introduced and widely circulated among the scholarly society in Japan.

      • KCI등재

        해방기 남북한의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의 자리 -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을 중심으로 -

        임세화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해방기 여성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을까. 탈식민국가의 여성에게 ‘해방’이란 제국주의와 봉건 가부장제로부터의 “이중적 해방”으로 칭해졌다. 이 글은 해방 이후 ‘다시 해방’되어야 했던 ‘여성해방’ 운동의 특수한 성격과 의미를 해방기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을 통해 살펴보았다. 좌우의 이념 대립과 체제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남북은 통치의 정당성과 우월성을 확립하고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 하에 문해정치를 펼치기 시작한다. 해방기 남북의 교육 정책은 외연적으로는 문맹퇴치를 위시한 민족교육, 민주주의, 남녀평등의 민족 사업으로 선언되었지만, 그 근저에는 통치 체제에 대한 인민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이념화를 꾀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문해의 영향력과 여파를 이념 정치의 문제로 해석하는 냉전적 사고는 결과적으로 교육에 대한 조선인들의 열망과 이해관계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남북 교육정책의 출발과 방향성은 조선인들의 이상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것이었다. 조선의 문맹퇴치와 민족교육은 이미 그 출발에서부터 양단의 이질적인 이념성을 내장하고 있었고, 교육의 방향성은 점차로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점령국가의 이념 대결의 성격을 담지하게 되었다. ‘문맹퇴치 운동’ 저간의 이중성에서 드러나듯 남북이 각자의 상이한 목적을 가지고도 동일한 구호 아래 민족운동으로서 문해정치를 펼쳤던 것처럼, ‘여성해방’ 역시 전혀 다른 이념적 목적으로부터 출발했음에도 외연적으로는 동일한 기치와 선언 하에 그 노선이 생성되었다. 남북 모두 여권 신장과 평등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여성문해교육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운데, 해방기의 여성은 다시 한 번 민족의 ‘정치적 진보성’과 ‘근대성의 정도’를 드러내는 표지로서 작동하게 되었다. 남북 공히 내걸었던 ‘남녀평등의 민주주의 질서 확립’이라는 정책 기조는 각각 자본주의/공산주의 사회로의 재편이라는 점령의 기본 목표를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정치적 문제 해결과 사회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성 권익을 옹호하고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침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성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민주주의 이념의 실체와 효능감을 가시화하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역사상 여성독본은 당대적 현실, 사상적 변화와 통치 이데올로기, 성 역할을 담지하고 재생산하는 제도적 구성물이자 정치 기획물로 기능해왔다.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은 여성 사회주의자가 쓴 여성독본으로서, 근대계몽기 이래 여성에게 이중의 주박이 되었던 ‘독본’이라는 형식을 빌어 역설적으로 ‘여성해방’을 위한 문해를 설파했다. 이 두 권의 독본은 여성이 직접 쓴 ‘해방기 여성의 이상’으로서 해방기 독본류 발행의 경향에서나 여성운동사의 흐름에서 특수한 위상을 점한다. 이들은 특히 ‘경제적 주체’로서 여성이 바로 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민족국가 건립과 혁명의 동지로서 소환되는 구도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해방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 두 권의 책은 ‘여성해방’의 포문이 본격적으로 열리던 때에 통치 기획과 냉전 이념, 민족주의, 탈식민, 계몽이 결합되었던 근대여성운동의 상징적 사례이자 실체로서 주목을 요한다. 더불어 오랜 여성운동사에서 미완으로 머물던 이슈들을 현장 ... What did ‘liberation’ mean to Kore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r the women in post-colonial state, the ‘liberation’ meant the “dual liberation” from imperialism and feudal patriarchy. This article examined the spec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who had to be ‘liberated agai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teracy politics” and textbooks for Korean wom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ere escalating,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carry out literacy politic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legitimacy and superiority of their ruling system and achieving stability.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outwardly declared as a national project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the education of democracy and gender equality, but its underlying purpose was to secure public support for their ruling system and to seek for consolidating ideologies. The Cold War mode of thinking that interprets the influence and aftermath of literacy as a matter of ideological politics consequently became consistent with the aspirations of Koreans for education, but the start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ideals of the Koreans. From the beginning, illiteracy eradi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in Korea already had the nature of extremely heterogeneous ideology,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gradually contained the nature of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occupying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s revealed in the duality of the ‘illiteracy eradication movement’, the two Koreas carried out literacy politics as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same slogan despite their different goals. In the same way, the ‘women’s liberation’ also started from a completely different ideological purpose, but outwardly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slogan and declar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while using women’s literacy education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Korean woman in the liberation period once again acted as a mark to reveal the ‘political progressiveness’ and ‘degree of modernity’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e policy direction to ‘establish a democratic order based on gender equality’, which was put forwar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was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of the occupation of the two Koreas, namely, reorganizing South and North Korea into a capitalist/Communist society, respectively, and to seek social stability. However, the policy to advocate women’s rights and improve their status had actually served a wider political purpose in drawing women’s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visualizing the reality and efficacy of the democratic ideology. Historically, textbooks for women have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a political project that represent and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times, ideological changes, ruling ideology, and gender roles. Park Young-ae’s Textbook for Women(女性讀本) and Choi Hwa-sung’s Textbook for Joseon’s Women(朝鮮女性讀本) were written by female socialists, who paradoxically preached literacy for ‘women’s liberation’ using the form of ‘textbooks’, which have been a double shackle for women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textbooks, containing the ‘ideology of women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written by women themselves, and hold a special position in the trend of textbook public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or in the history of women’s liberation move...

      • KCI등재

        1930년대 조선 문학 개념과 경성제대 학자들의 문학사 서술 - 김태준, 조윤제의 문학사를 중심으로 -

        박슬기(Park, Seulki)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3

        이 글은 1930년대 조선 문학 개념을 둘러싼 담론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광수를 비롯한 근대 문학자들은 ‘한글’을 조선 문학의 유일무이한 조건으로 간주함으로써, 특수 문학으로서의 조선 문학을 민족어로 창작되는 보편적 근대 문학과 등가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개념은 민족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창작된 (비)한글 문학을 배제하며, 이로써 창작자인 민족의 역사적 과정 자체도 추상화한다. 이에 비해 옛 문학의 현상들을 문학 발전 과정의 보편적 체계에 비추어 고찰하고자 한 경성제대 학자들의 조선 문학사는 한글 문학으로서의 조선 문학개념이 실행하는 동일성의 신화를 해체하고 조선 문학 개념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김태준과 조윤제의 조선 문학 연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민족의 옛 문학들이 지닌 동일성과 차이적 현상 자체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그들의 문학사는 끊임없이 수정되고 보충되는 바, 이들의 서술을 통해 조선 문학은 갱신되어 왔으며 동시에 앞으로도 갱신될 하나의 유동적인 개념으로서 제시된다. 나아가 그들의 문학사는 근대 문학자들이 간과했던 조선 문학의 역사성을 환기함으로써 이를 창작해 온 조선 민족을 역사적 주체로서 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scourses surrounding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in the 1930s. Modern literary scholars, including Yi Kwang-su, regarded the use of Hangul as the one and only condition of Joseon literature, and saw Joseon literature as a form of general modern literature written in the national language. However, this concept excludes (non) Hangul literature created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results in an abstraction of the people’s historical process itself. Incontrast, Keijō Imperial University scholars sought to examine the phenomena of ol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general system of literary development. They dismantled the myth of sameness inherent in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and re-established the concept under a historical approach. The study of Joseon literature by Kim Tae-jun and Cho Yun-je focu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old literature, which exhibited differenttraits according to time period. Their view of literary history was repeatedly revised and improved, and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has been renewed based on their description. The concept will continue to take shape and develop in the future. By highlighting the historicity of Joseon literature, which was often overlooked by modern literary scholars, they demonstrated the possibilit yof the Joseon people serving as historical agents.

      • KCI등재

        권위를 생성하는 글쓰기와 변계량의 문장의 문학사적 의의 -조선의 전통과 중화주의의 길항-

        김풍기 ( Kim¸ Pung-gi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3 No.-

        Byeon Gye-ryang's creating skills of poetry is one of the best among the writ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ile there exist, in part, some prior studies on his capacity of writing poetry, those on his sentences themselves are insufficient. When looking into his works,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his works with reference to literary history because most of his writings were made at the official level. However, the very characteristics of formal writings are not always literary unnecessary or worthless of discussion. In particula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Byeon Gye-ryang was facing, it is considered that formal writing granted and demonstrated the authority of the newly established Joseon Dynasty and its king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the country with justification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ucceeding to what the ancestors had achieved. The various writing styles in Byeon Gye-ryang's collection of works were what the Joseon Dynasty needed at the public domain at that time, and by presenting those kinds of writing examples, his styles came to be a model for formal writing later. After all, Byeon Gye-ryang's formal writings led writing itself to the public level in many aspects, which deserves proper attention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Many of his writings, such as those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ures, related to Buddhism, useful in the process of operating national systems, and regarding historical orthodox respectively, were created at the public level rather than the private one. It is the case that the opening of a new era, for which the function of writing could be served, would not take place without institutionalization of writing. Hence, Byeon Gye-ryang's writing would be the matter of great importance for Joseon Dynasty and its kings so as to strengthen the country’s future prospe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