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후 文解敎育의 역사적 조명

        노병윤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6 No.-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and how its history has developed in each government. Korean literacy education after liberation can be examined according to historical trends as follow:First, it can be the period of state-dominated activity. The anti-illiteracy crusade to prepare the ground to build up a early democratic state until the end of 1950 after liberation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state. It’s the period that people realized that literacy ability is the important means and tool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state. Second, it can be the period of privately led literacy education activity. Literacy education was arranged without national support underwater from the end of 1960 to the end of 1990. Since then, it was the period that the non-governmental activity to be established as adult basic education based on development of social education. Third, it’s the period that the private activity was changed to the state-dominated activity. It placed the real condition of illiterate persons before the world from 1990 to the middle of 2000 and found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and literacy fields. It was the period to make a rough sketch of preparing the support systems and legislation. Fourth, it can be the period that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state cooperated with each other. After the legal system was carried out through the systematic operation of literacy education at national and private level based on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2007, alternatives to meet changed situations and long-term vision are required. Literacy education which has recently been arranged is similar with the process of ‘anti-illiteracy crusade’ which was done at national level in 1950s. It has been 30 years until literacy education saw the light of day again since it had gone to hibernation after 1960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ly meaningful in development of literacy education in that it sheds new light on Korean literacy education’s history when public interest in it has been higher. 본 연구는 한국의 문해교육(文解敎育)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문해교육의 역사가 정부 별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해방후 한국의 문해교육을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주도의 활동시기로 볼 수 있다. 해방 후 1950년대 말까지 초기 민주국가 건설의 기반 조성을 위한 문맹퇴치 활동은 국가의 기반을 다지는데 문해의 능력은 중요한 수단이며 도구임을 자각하는 시기였다. 둘째, 민간주도의 문해교육 활동 시기로 볼 수 있다. 1960년대 말부터 1990년도 말까지 문해교육은 국가 지원없이 수면아래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사회교육발전에 기초한 성인기초교육으로서의 정착을 위한 민간차원의 활동이 활발하였던 시기였다. 셋째, 민간에서 국가주도로 전환되는 시기다. 1990년∼2000년대 중반까지 비문해자의 실태를 세상에 알리고 문해교육기관과 문해현장을 발굴하는 시기로 지원제도 마련과 법제화를 위한 밑그림을 그리는 시기였다. 넷째, 민간과 국가의 협력시기로 볼 수 있다. 2007년 평생교육법의 제도화를 기반으로 문해교육에 대한 국가차원의 지원과 민간차원의 체계적인 운영을 통한 법제도화 시행 후 변화된 상황에 맞춘 대안과 장기적인 비전이 요구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문해교육’은 1950년대 국가차원에서 진행된 ‘문맹퇴치운동’과 진행과정의 유사성을 갖고 있다. 1960년대 이후 긴 동면기로 들어간 문해교육이 다시 세상 빛을 보기까지 약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해교육이 고조된 시점에서 한국문해교육의 역사를 재조명해 보는 것은 문해교육 발전에 소중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글로벌 동향 분석

        고병정 ( Byung-jung Ko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4 영화교육연구 Vol.18 No.2

        영화 리터러시 교육은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 교육의 핵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전 세계적으로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각국의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영화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어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영화 리터러시 교육 선진국의 교육 사례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육 정책, 교육 과정, 교수학습 방법, 교육 콘텐츠 등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전반적인 측면을 포괄하였다. 분석 결과, 국제화 시대의 영화 리터러시 교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영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감상 능력 함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둘째, 영화 제작 실습을 통해 영화 언어와 표현 방식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문화권의 영화를 감상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문화 간 소통 능력을 기르고 있다. 넷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영화 제작 및 감상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영화 리터러시 교육을 미디어 교육의 핵심 영역으로 설정하고 교육 과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화 제작 실습 교육을 강화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문화권의 영화를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여 문화 다양성 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연계하여 영화 교육 방법을 혁신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제화 시대에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글로벌 동향 분석을 통해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정책 수립과 교육 현장 적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ilm literacy education has emerged as a core area of media edu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importance of film literac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worldwide,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are being developed in educational settings across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lobal trends in film literacy education that respond to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First, a theoretic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or research related to film literacy education. Next, educational cases from advanced countries in film literacy education,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were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analysis encompassed a comprehensive range of aspects in film literacy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al policies, curricul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irst, there is a focus on cultivating critical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skills of films. Secon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film language and expression techniques is being developed through film production practices. Third, the ability to communicate across cultures is being fostered through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discussing films from various cultural spheres. Fourth, film production and appreciation educatio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is expanding. Based on this analysis of global trends,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we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ilm literacy education as a core area of media education and systematize the curriculum. Second, film production practice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encourag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Thir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by utilizing films from various cultural spheres as educational content. Fourth, film education methods should be innovated in conjunction with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presents practical measures for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global tr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olicy formulation and educational field application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와 법제화 방안에 대한 소고

        김슬기 (사)한국언론법학회 2023 언론과 법 Vol.22 No.1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equal and fre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space as they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hysical isolation caused by blockade policies. Subsequently, with the rapid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across the economy and society, strengthening citizens' digital an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has become the top priority policy task.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s being used interchangeably with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news literacy, internet literacy, AI literacy, etc.,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are unclear, leading to confusion. Media literacy i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literacy capabilities in digital technologies, as well as information and content provided through media. It is considered valid to view media literacy a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se capabilities. Media education can be defined as “media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the capabiliti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access, understand, utilize, communicate safely and ethically with media and the contents (information and content) circulated through media.”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e of the basic rights most closely related to media literacy is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to media is a concrete foundation for realizing personality rights, freedom of expression, political and economic basic rights, and the right to education in specific areas of life. Guaranteeing access to media alone for access to inform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ing, information disparity resolution, and enjoyment of information culture rights is not effective. Therefore, the state needs to actively support capacity-building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 necessary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education. In addition, To obtain quality information require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filled with exaggeration, explicit distortions, and fake news, one need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media, the ability to verify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judge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based on evidence. Therefore,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aim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in individuals. It is believ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the relevant media department to establish educational and support policies in order to quickly reflect media technology and industry environments, policy issues, etc.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When enacting the “Media Education Support Ac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llowing contents: ①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media education, ② the du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③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guardians, ④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edia education plan, ⑤ the operation of a media education committee and local unit consultative council, ⑥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⑦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local media education facilities, ⑧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s, ⑨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lifelong media education, and ⑩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세계 주요국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봉쇄정책으로 인한 물리적 단절 속에서 온라인 영역에의 동등하고 자유로운 참여 보장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후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기술이 급속하게 도입되는 것을 목도하면서 시민들의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최우선 정책 과제로 두게 되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인터넷 리터러시, AI 리터러시 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경계가 불분명하여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의된 미디어교육 관련 법안을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넘어 접근, 소통, 참여능력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이후 미디어 역기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보호능력 및 미디어 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시민의식까지 포괄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내용으로서의 정보와 미디어가 제공되는 기술방식인 디지털에 대한 리터러시 역량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미디어교육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정보 및 내용물)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소통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정의 가능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를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기본권 중 하나는 정보기본권이라 할 수 있다. 미디어 접근 능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으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 보장은 구체적인 생활 영역에서 인격권, 표현의 자유, 정치적 및 경제적 기본권, 교육받을 권리 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된다. 정보에의 접근, 수집, 처리, 정보격차 해소 및 정보문화 향유권 보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을 보장해주는 것에 그쳐서는 실효성이 없으며, 국가가 적극적으로 국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교육에 필요한 인적・물적 기반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어떠한 사상과 견해가 옳고 그른지,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사상의 자유 시장에 맡겨져 있으며, 이를 판단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므로, 과장이나 명백한 왜곡, 허위조작정보가 넘쳐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양질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국가는 국민들이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 이해, 평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기술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문화 변동, 생애주기별 특성이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 주제임에 비추어 평생교육이 필요성이 큰 분야라 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기술 및 산업 환경, 정책 이슈 등을 빠르게 교육 내용에 반영할 수 있도록 미디어 소관 부처에서 관련 교육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인터넷 영역에서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지고 있어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연계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향후 「미디어교육 지원법」 제정 시 ① 미디어교육의 정의와 목적...

      • KCI등재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쟁점 탐구

        정혜승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the directions of literacy education by clarifying the issues of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iteracy education. The issue of literacy education her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perspectives that recognizes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literacy, existence method of literacy, and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As for the recognition of which function the literacy does in an individual and/or society, the position that absolutely believes in the role and importance of literacy while looking at it as a myth conflicts with the position that sees literacy as a kind of mere human ability in a limited sense. As for the recognition related to which way the literacy exists, the autonomous point that sees literacy as a psychological ability of individual conflicts with the ideological point that literacy is highly related to ideology or power. As for the recognition what the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is, the position of emphasizing on the functional literacy conflicts with the position of emphasizing on the critical literacy. Since the issues that are confronted with are closely related from each other, the issues related to literacy education can be generalized as a conflict between two paradigms. They can be presented not only as the functional paradigm that puts together the position of regarding literacy as a myth, position of recognizing literacy as an autonomous model and position of asserting the functional literacy 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but also as the critical paradigm that puts together the position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and role of literacy in a limited sense, position of recognizing literacy as an ideologic model and position of arguing literacy 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Two paradigms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from the basic recognition about the study area and literacy based on one paradigm up to the the recognition about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method based on another paradigm. However since this is an issu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point of literacy and the educational value, it is difficult to judge which one of two paradigms are right or wrong.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literacy education in different ways. Therefore, both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can be said as those to be taken equally rather than taking one side. The thing that only pursues for functional literacy while believing blindly in the role of literacy is an attitude of not seeing a part rather than the whole. In the perspective that critical literacy could not be attained without an emphasis on the basic ability of function literacy, the position of educating both sides equally would be necessary. 이 연구는 문식성 교육에 대한 여러 논의들을 쟁점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식성 교육의 쟁점은 문식성의 의의와 역할에 대한 인식, 문식성의 존재 양태에 대한 인식, 문식성 교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 측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문식성이 개인과 사회에 어떤 기능을 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한 인식은 문식성을 신화로 보면서 그 역할과 의의를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입장과 문식성을 단지 인간 능력의 일종으로 제한적으로 보는 입장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문식성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한다고 보는가와 관련된 인식은 문식성을 개인의 심리적 능력으로 보는 자율적 관점과 이데올로기나 권력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고 보는 이데올로기적 관점이 대립하는 양상을 띤다. 문식성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은 기능적 문식성을 강조하는 입장과 비판적 문식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각 쟁점에서 대립하는 관점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어 문식성 교육과 관련된 쟁점을 두 패러다임의 대립으로 종합할 수 있다. 문식성을 신화로 믿는 입장, 문식성을 자율적 모델로 인식하는 입장, 기능적 문식성을 문식성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주장하는 입장을 아우르는 기능적 패러다임과 문식성의 의의와 역할을 제한적으로 인식하는 입장, 문식성을 이데올로기 모델로 인식하는 입장, 비판적 문식성을 문식성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주장하는 입장을 아우르는 비판적 패러다임을 상정할 수 있는 것이다. 두 패러다임은 기반으로 하는 학문 분야와 문식성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에서부터 교육 목표와 방법에 대한 인식에 이르기까지 상반된 관점을 가지고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문식성에 대한 관점, 교육적 가치관의 차이의 문제이므로 두 패러다임 중 어느 것이 옳고, 그르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양자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문식성 교육에 기여해 왔으며, 문식성 교육 목표를 설정할 때 기능적 문식성과 비판적 문식성은 어느 한 쪽만을 취해서는 안 되는, 다 잡아야 할 두 마리 토끼라고 할 수 있다. 문식성의 역할을 맹신하면서 기능적 문식성만을 추구하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태도이며, 기능적 문식성이 강조하는 기본적인 능력 없이 비판적 문식성은 성취될 수 없다는 점에서 양자를 균형 있게 교육하는 절충적 관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 분석

        조창빈 ( Cho¸ Chang-been ),김두영 ( Kim¸ Doo-young ),신민선 ( Shin¸ Min-s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3

        이 연구는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과 기관 실무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조사하여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무자들은 총 116명으로 일반·장애인평생교육시설 실무자 52명, 장애인복지시설 및 관련 협회 실무자들은 64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는 기관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 역시 이용자의 요구가 가장 많았고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방법 역시 이용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문해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가정영역에 한정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무자들이 인식하는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은 장애인 문해교육 전문 강사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장애인 문해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꼽았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교육부의 장애인 문해교육 교육과정의 대대적인 수정·보완, 장애인 문해교육 전문 강사 양성 및 파견 사업 운영, 장애인 문해교육 교과용 도서 개발 및 보급 사업 운영 등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iteracy education activation plan for the disabled by examining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operation status of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that provides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by finding a way to activate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recognized by institution staff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working-level staff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 total of 116 working-level staff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ing of 52 staffs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general public and disabled and 64 staff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related associ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conducted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ignificant number of responses answered that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operates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needs of institution users, and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running literacy education programs was also the needs of users. In addition,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planning was also based on the needs of users. However, literacy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were mostly limited to the home sector. Second, for the difficulties to overcome which were recognized by staff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most respondents answered a shortage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For the most urgent task to activate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ey selected the development of 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Ministry of Education's extensiv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disabled, training and dispatching specialized instructor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developing and distributing book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suggested.

      • KCI등재

        성인문해교육 관계자의 교육요구 분석

        임명희,김수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J-do adult literacy education officia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gion so that adult literacy education policies and continuous and effective projects can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contents of 150 officials in charge of literacy education at J-do Adult Literature Education Institute. Education needs were measured on a Likert 5-point scale for 16 variables using the survey tool for adult literacy education support policies developed by Heo Jun, Lee Ji-hye, and Gil Hye-ji (2020). Data processing used the SPSS 26.0 statistical package to derive the priority of adult literacy education needs by regional size throug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Results First, in regions with a population of 100,000 or more, Borich's demand priority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revealed the actualization of instructor fees, budget for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learner support (education costs, counseling, etc.), expansion of literacy education facilities, and short-range learning opportunities. Second, in area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50,000 and less than 100,000, variables were derived to secure facilities dedicated to literacy education and to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for short-range literacy education. Third, in area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50,000, the budget for operating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expanding literacy education contents, supporting learners (education expenses, counseling, etc.), promoting literacy education, and event variables were derived.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of adult literacy education by regional size, J-do found that none of the 16 variables appeared in common. The highest priority was “realization of instructor fees” in areas with a population of 100,000 or more, “secure facilities dedicated to literacy education” in areas with a population of 50,000 or more, and “budget for operating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in area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50,000. If the results of educational demand analysis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gion, the policy promotion must also vary by region,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o promote adult literacy education policie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목적 이 연구는 J도 성인문해교육 관계자들의 교육요구를 지역규모에 따라 분석하여 지역의 특성에 맞는 성인문해교육 정책 수립과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 연구는 J도 성인문해교육기관에서 문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관계자 150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허준, 이지혜, 길혜지(2020)가 개발한 성인문해교육 지원정책 실태조사 도구를 활용하여 16개 변인에 대해 Likert 5점 척도로 교육요구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통해지역규모별 성인문해교육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결과 지역규모별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 결과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결과 첫째, 인구 10만 이상 지역에서는 강사료의 현실화, 문해교육기관 운영 예산, 학습자 지원(교육비, 상담 등), 문해교육 내용 확대, 문해교육 전용 시설 확보, 신문해학습자확대, 근거리 문해교육 학습기회 제공 변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인구 5만 이상 10만 미만 지역에서는, 문해교육 전용 시설 확보, 근거리 문해교육 학습기회 제공 변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인구 5만 미만 지역에서는, 문해교육기관 운영 예산, 문해교육 내용 확대, 학습자 지원(교육비, 상담 등), 문해교육 홍보 및 행사 변인이 도출되었다. 결론 J도 지역규모별 성인문해교육 교육요구 분석결과, 16개 변인 중 공통으로 나타난 변인은 없었다. 인구 10만 이상 지역에서는‘강사료 현실화’, 인구 5만 이상 10만 미만 지역에서는 ‘문해교육 전용 시설 확보’, 인구 5만 미만 지역에서는 ‘문해교육기관 운영예산’이 최고 우선순위로 나타나, 지역규모에 따라 교육요구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역규모에 따라 교육요구분석 결과가 다르게나타나면 정책 추진도 지역별로 달라져야 하므로, 지역 특성에 맞는 성인문해교육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분석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한 쟁점 고찰

        박영수 ( Young-su Park ),박덕수 ( Duk-soo Park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문해교육의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해교육에 대한 인식과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이수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쟁점을 고찰하였다. 문해교육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해교육 학습자들은 문해교육을 통해 배움의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고 생각함으로써 문해교육이 평생교육의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문해교육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창의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문해교육 학습자들이 학습 활동을 원활하게 전개하기 위해서는 문해교육 이수 시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부 교사들은 이수 과목의 수 축소 및 내용 수준의 하향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도출된 3가지 쟁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인정 부여 측면에서 문해교육의 교육 수준을 높여야 하는가? 둘째, 학습자 수준 측면에서 문해교육의 교육 내용이 적정한가? 셋째, 문해교육의 이수 기간이 적정한가? 등이었다. This study looked into cognition about literacy education and course of literacy education program by executing survey targeting learner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I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urvey, this study considers the issues about literacy education program. The literacy education learners and teachers` cognitions are as follows. First, literacy education was doing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by the reason that learners think they could have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from literacy education. Second, although literacy education improves learner`s core ability which is emphasized at 2015 revised curriculum, it needs the introduction of program which can enhance one`s creative thinking ability. Third, in order for learners to progress smoothly, we need to find a way to increase literacy education completion time. Lastly, some teachers have the opin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subject and lower the content level. The three issues arising from these perceptions are as follows. Should education level of literacy education be raised in terms of recognition of academic ability? Is the education content of the literacy education appropriate in terms of learner`s level? Is the literacy education completion period appropriate?

      • KCI등재

        통합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가능성 탐색

        조혜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4 사고와표현 Vol.17 No.1

        본 논문은 리터러시 교육에 있어서 원래의 리터러시 개념에서 분화되어 나온 다양한 리터러시(multi literacies)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하여 통합 리터러 시 교육을 구현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리터러시 통합 의 필요성은 리터러시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제한된 자원(시간, 교 수 여건 등)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존에 분절적으로 이뤄졌던 리터 러시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에 있다. 이는 단순히 매체의 다양성을 확보하 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제 간 교육을 지향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필자는 기존의 다양한 리터러시 개념들을 고찰하여 시사점 을 탐색하였다. 이후 다양한 리터러시들을 개별적으로(분절적으로) 접근하여 교 육하기보다는 다양한 리터러시의 근간이 되는 기존의 리터러시 교육에 새로운 리터러시들을 통합하여 설계할 필요성을 제시하되, 매체의 다양성 확보와 더불 어 학제 간 교육을 통해 통합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이는 리터러 시 교육의 의미를 재음미하고 한정된 교육 자원 내에서 통합적인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하는 멀티 리터러시(multi literacy) 교육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탐색하면서 그것의 한계로서 어느 하나의 리터러시가 주도권을 잡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며 통합 리터러시(Integrated literacy) 교육의 실현 방안으로서 기존의 통합 교과목의 사례를 참조하여 통합리터러시 교과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제한점은 제안한 통합 리터러시 교과목이 리터러시 통합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을지, 그리고 그 효과성은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검증할 수 있는지 제시하지 못한 데 있다. 이는 향 후 교과목의 실질적인 운영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various literacies (multi literaci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literacy in literacy education. The need for literacy integration aim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ragmented literacy education b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tilizing limited resources (time, teaching conditions, etc.) without damaging the essence of literacy education. The ultimate goal is not simply to secure diversity in media, but to pursu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author examined various existing literacy concepts and explored their implications. Afterwards, rather than approaching and educating various literacies individually (segmentally), we suggested the need to integrate new literacies into existing literacy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of various literacies, and design them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well as securing the diversity of media. He emphasized the need to pursue integration. This i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and build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within limited educational resources. Second, the author critically explores the meaning of multi-literacy education proposed in existing research, raises the issue of any one literacy taking the lead as a limitation, and proposes ways to realize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An integrated literacy subject (draft) was proposed by referring to examples of existing integrated subject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fails to suggest to what extent the proposed integrated literacy course can achieve the purpose of integrating literacy, and by what standards and how its effectiveness can be verified. This will be verified through actual operation of future subject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김낙흥(Kim NakHeung),방효국(Bang Hyo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유아교사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17년에 진행된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연수에 참여한 대도시 지역 소재 영유아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이며, 총 229부가 회수되어 그 중 182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3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뉴스리터러시 관련 유아 교사의 실태와 관련하여 영유아교사들의 뉴스 관심도는 높지 않은 편이며, 교육 활용도 역시 높 지 않았다. 둘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및 현장 적용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영유아에게 필요하며 영·유아의 문자해독능력, 교사 지식 및 기술 부족, 연수 및 워크숍 기회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및 운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의 목표는 일상생활 속 뉴스를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육 방법으로는 생활 주제와 연관이 있을 때마다 실시하는 것,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토의, 교육의 내용으로는 뉴스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중점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연수가 있을 경우 대다수의 교사가 참여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한 소개에 대한 내용이 연수의 내용으로 다루어지길 원했으며,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방향 제시 및 유아교육 현장의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status of news literac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seek teaching method of news literacy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8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5 items. First, not only the level of interests on news which is part of general inclin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low, but also utiliza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were not high, regarding news in education and perception on news literacy educa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news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early childhood, concerning the necessity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perception of possibility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y considered news literacy education is difficult to appl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lack of opportunities to take part in training and workshop, lack of techniques and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literacy of young children. Third,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curriculum has to be constructed as follows; 1) the goal of the education is help early childhood become familiar with news in a daily routine. 2)news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in terms of teaching method. 3) teaching-learning method process is discussion. 4)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news, in regards to construc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perception of management. Most of participants responded they would participate in training on news literacy education, and requested practical contents and detailed teaching methods.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used for foundation of educational indicator and that invigorates news literac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