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연구

        곽철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정보관리학회지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rst edition of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oday’s library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edition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published in 1906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First, SC is divided into eleven main classes and each class is subdivided into enumerated subdivisions from 000 to 999. Second, As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ere were three methods of synthesis. There was a flexibility to insert a new classification number at the appropriate location when a new topic that does not appear in the main table appeared.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irst, SC proposed a method of classification number synthesis for composite topics, which is an innovative method that was not available in previous library classification. Second, the subject matter was explain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auxiliary tables supporting the facets. Thir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a new topic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using the SC that can have a flexibl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library, or to use a short class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brary collection. Fourth, it provided a directory that can be considered as access points for digital materials.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하여 오늘의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06년에 발표한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에서 주제분류법의 주류는 크게 11가지로 구분되며, 각 주류는 000에서 999로 세분되어 열거식으로 나열되었다. 둘째, 분류기호 합성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셋째, 새로운 주제 처리 방법으로 본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면 적절한 위치에 새로운 분류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었다.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분류법에는 없었던 혁신적인 방법인 복합 주제에 대한 분류기호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싯을 지원하는 보조표 운영을 통하여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셋째, 자관별로 유연한 분류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분류법으로 분류체계에 새로운 주제를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도서관 장서 규모에 따라 간략한 분류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점으로 고려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한국십진분류법(KDC) 한국소설항목의 세분방안에 대한 연구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김성원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3

        Of the collec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the literature collection is the largest, and Korean fictions, about 14% of the entire collection constitute the largest single subject. However,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Korean fiction is represented in one section, that is, 813 which corresponds to the only one of thousand divisions. More specifically, only two sub-sections, 813.6 and 813.7 are supposed to be assigned to the huge collection of modern Korean fiction, and, in reality, only 813.6 is being used in most libraries. Even with the use of book numbers, such disproportionate allocation of classification numbers would definitely lower the discriminative capacity of call numbers given to each item. It would also bring about difficulties in both shelving, on the libraries' side, and finding items from shelf, on the users' sid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classifying Korean fictions in public libraries, including the composition of KDC schedules and the actual practice of classification, and then proposes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fictions. 문학류(literature)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분야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한국소설장서는 단일주제로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장서이다. 공공도서관 전체 장서의 14%가 한국소설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장서의 14%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소설장서의 분류를 위한 한국십진분류법(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의 분류항목은 813 하나의 목(目; section)이다. 전체 14%에 해당하는 장서가 천구분에 해당되는 하나의 목항목에 집중되어 분류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장서량이 많은 현대한국소설을 위한 항목으로는 세목(細目; sub section)인 813.6과 813.7의 두 항목이 배정되어 있고, 실제로 다수의 도서관에서는 813.6 하나의 세목항목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도서기호를 통해 추가적인 세분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한국소설류에 배정된 분류항목이 적어 개별자료에 부여된 청구기호의 식별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배가작업 및 이용자의 검색 모두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소설류의 세분 전개가 가능하도록 한국십진분류법(KDC) 해당 항목의 세분 전개방안을 모색하고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SCOPUS

        Features, Functions and Component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LIS tradition for the e-Environment

        Satija, M.P.,Martinez-Avila, Daniel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 201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 No.4

        This paper describes qualitie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that are commonly discussed in the LIS tradition and literature, and explains such a system’s three main functions, namely knowledge mapping, information retrieval, and shelf arrangement. In this vein, the paper state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bibliographic classifications, which broadly are subject collocation and facilitation of browsing the collection. It explains with details the component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ir functions. The major components are schedules, notations, and index. It also states their distinguished features, such as generalia class, form divisions, book numbers, and devices for number synthesis which are not required in a knowledge classification. It illustrates with examples from the WebDewey good examples of added features of an online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t emphasizes that institutional backup and a revision machinery are essential for a classification to survive and remain relevant in the print and e-environment.

      • KCI등재

        소재도서관 분류체계에 대한 비교 연구

        정옥경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classify various industrial and craft materials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terials libraries in domestic and foreign.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operation cases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 libraries, and then proposed a method to classify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items of KDC and DDC.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terial library was not classified by subject, but classified into the name of material and type, 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 material library was divided by Arabic numeral as a general classif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to access and share information because most of material libraries use th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library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o shar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terial librar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소재도서관의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산업 및 공예 소재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분류체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소재도서관의 운영사례와 분류체계를 조사한 후 일반분류표인 KDC와 DDC의 소재관련 분류항목을 비교 분석하여 소재자료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재도서관의 분류체계는 주제 중심으로 분류하지 않고 소재명과 형태로 분류하거나, 또는 일반분류표처럼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하여 주제 중심으로 분류한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소재도서관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소재정보의 접근 및 공유가 어렵다. 그러므로 소재도서관에 소장된 소재정보의 공유를 위한 소재도서관용 표준분류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재사용 라이브러리 시스템에 대한 분류 기준

        이성구 ( Lee Sung-ko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7 No.6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과 질을 개선하기 위한 재사용 접근 방법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이들 시스템들은 재사용 컴포넌트들을 효과적으로 분류, 저장, 검색,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적용한다. 그러나, 라이브러리 시스템들의 수가 증가할 때, 시스템들을 분류하고 그들의 속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은 어렵다.본 논문에서는 재사용 라이브러리 시스템들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제시된 기준들은 컴포넌트의 속성을 코드화 하는 패싯(facet)과 속성(attribute) 기반 분류 방법의 결합에 의해 정의된다. 제안된 분류 기준에 대한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컴포넌트 분류 방법과 응용 도메인에 기초한 대표적인 라이브러리 시스템들이 선택되고, 제안된 기준에 의해 분류된다. In order to improve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and quality, reuse approaches and supporting library systems have been proposed. Library systems have applied various methods to classify, store, retrieve, and comprehend reusable components effectively. As the number of library systems grows,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compare and analyze existing reuse libraries. In this paper, we present classification criteria for reuse library systems. A set of criteria is defined by integrating facet-based and attribute-based classification methods which encode the properties of a reusable component. In order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classification criteria, representative library systems based on application domains, as well as component classification methods are selected and reviewed. We then classify these library systems according to the proposed criteria.

      • KCI등재

        일제시대 도서관들의 도서분류표에 나타난 민속·민속학의 위치

        진필수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4

        The classification index of libraries in Japanese imperial period is a useful data in examining the indigenization or popularization of an academic discipline and its related concept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oncept of ‘minzoku(民俗)’, ‘minzokugaku(民俗學)’ positioned itself in the classification index of libraries in Japanese imperial period. Even though the knowledge of ‘jinruigaku(人類學)’․‘jinshugaku(人種學)’, translation of anthropology․ethnology in English were introduced into Japan in the academic leadership of Tsuboi Shogoro from 1880s, ‘bunka(文化)’, translation of culture in English was not formed into the important or clear concept which could shape an academic discipline. Tsuboi translated ethnography into ‘dozokugaku(土俗學), and intended to spread it as a key term in anthropological studies. In the circumstance where the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ways of human life comprehensively does not exist, the term ‘minzokugaku(民俗學)’ appeared as a translation of folklore in English in Japanese academic world in mid 1920s, and smoothly expanded its range of meanings as an academic field studying the ways of human life comprehensively. Because this phenomenon were thought to be connected with the indige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minzokugaku(民俗學)’, in this study, I analyzed how the meanings and position of ‘minzokugaku(民俗學)’ were established in various kinds of the classification index of libraries. Before ‘minzokugaku(民俗學)’ developed as an academic field, ‘huzoku(風俗)’ was the term, which occupied the main position in various kinds of the classification index of libraries. It was the term which almost meant the ways of human life. ‘dozokugaku(土俗學) was barely used in the classification index of libraries. From the late 1920s, ‘minzokugaku(民俗學)’ broadened its range of meanings and heightened its position in the classification index of libraries as a substitute for ‘fuzoku(風俗)’. But its status also dropped within the classification index of libraries when ‘minzokugaku(民族學)’ arose in Japanese academic world in mid 1930s. In spite of the fluctuation of its status, the successful indige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minzokugaku(民俗學)’ enabled to sustain its particular identity when American cultural anthropology were brought into Japanese academic world in postwar era. 일제시대 도서관들의 도서분류표는 특정 학문과 개념의 대중화 혹은 토착화를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서 유용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제시대 각종 도서관들의 도서분류표에서 民俗, 民俗學 용어가 어떻게 자리잡게 되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1880년대부터 츠보이 쇼고로의 주도로 anthropology․ethnology를 번역한 人類學․人種學의 지식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했지만, culture를 번역한 文化는 학술용어로 정립되지 못했다. 츠보이는 ethnography를 土俗學으로 번역하여 인류학적 연구의 중심 개념으로 보급하고자 했다. 인간의 생활양식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의 부재 속에서 1920년대 중반 일본학계에 등장한 民俗學은 folklore를 번역한 개념에서 인간 생활을 포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이 民俗學의 토착화 및 대중화와 관련된 것이라 생각하여 도서분류표에서 民俗, 民俗學의 의미와 위치가 어떻게 정립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民俗學이 발전하기 전까지 각종 도서분류표에서 인간의 생활양식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가장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風俗이었다. 土俗, 土俗學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民俗, 民俗學은 도서분류표에서 風俗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그 의미를 확장하고 위상을 상승시켰다. 1930년대 중반 民族學의 발전 속에서 民俗學은 상대적으로 그 위상이 하락하는 과정을 겪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民俗學의 대중화와 토착화는 전후 일본에서 미국식 문화인류학이 도입된 이후에도 그 특수한 학문적 경향을 지속시키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Implications of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on Dr. S R Ranganathan’s Colon Classification: An Explorative Study

        S. K Asok Kumar,B. Ramesh Babu,P. Nageswara Rao 한국문헌정보학회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No.4

        There have been several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library classification but most of the schemes failed to meet the new challenges in the organisation of information. Dr S R Ranganathan tried to revolutionise the whole thinking on classificatory approach, when he devised the Colon Classification (CC) in 1933. He developed the Colon Classification scheme with a sound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normative principles,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canons, etc. One important feature of CC is that, its use is not confined to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alone. This paper presents an over view of different editions of the CC highlighting the salient features of the editions. Further the implication of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has been described. The authors stressed that the features of such as greater hospitality, specificity and mixed notation has paved the way to design and develop the depth schedules on various micro level subjects and so far about 130 micro schedules have been published. The impressions by the leading LIS professionals during and after Ranganathan’s time have been highlighted. The authors expressed the fear that when the library world would see the complete version of the seventh edition of CC? It may be due to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engaging in the research or financial constraints. The authors are of the opinion that any scheme to flourish needs a sound research body to bring out the revised editions as done in the case of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The relevance of the CC in the contemporary world of Librarianship is discussed. Finally concludes that CC needs to be resuscitated as it is a precious national heritage; and still a force for the management of libraries.

      • KCI등재

        공공도서관 도서 분류를 위한 머신러닝 적용 가능성 연구: 사회과학과 예술분야를 중심으로

        곽철완 한국비블리아학회 202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machine learning targeting titles in the classification of books in public librar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ython’s scikit-learn library through the Jupiter notebook of the Anaconda platform. KoNLPy analyzer and Okt class were used for Hangul morpheme analysis. The units of analysis were 2,000 title fields and KDC classification class numbers (300 and 600) extracted from the KORMARC records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using six machine learning models, it showed a possibility of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book classification. Among the models used, the neural network model has the highest accuracy of title classification.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itle classification, the need for research on book titles, tokenization of titles, and stop words.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도서 분류를 위해 표제를 대상으로 머신러닝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데이터 분석은 아나콘다 플랫폼의 쥬피터 노트북을 통하여 파이썬의 싸이킷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한글 형태소 분석을 위해 KoNLPy 분석기와 Okt 클래스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공공도서관의 KORMARC 레코드에서 추출된 2,000건의 표제 필드와 KDC 분류기호(300대와 600대)이었다. 6가지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서 분류에 머신러닝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사용된 모델 중 표제 분류의 정확도는 신경망 모델이 가장 높았다. 표제 분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도서 표제에 대한 조사와 표제의 토큰화 및 불용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만화전문도서관의 운영정책 및 현황 비교분석연구 -프랑스, 벨기에,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한상정 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 Vol.0 No.64

        Currently, there is no special library which systematically collects and stores comics materials in Korea. Of course,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the comics library in Bucheon City have partly played such a role, but the current situation can be said to still have some margins of improvement. In this research, we compare comics libraries of three countries (France, Belgium, Japan) holding prominent positions within the global comics market, and that of Korea. Let's examin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brary, how they are established, and what are their directives in collecting, keeping and servicing comics. I will begin by introducing major overseas comics specialty libraries, which will provide the grounds on which to discuss problems and possible improvements in terms of the Korean comics library’s directive strategies. It is in light of this program that we consulted the current literature and conducted face-to-face and written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comparativ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e distinction had to be made between public and private corporations: while the French and Korean libraries pertain to the former case, those of Belgium and Japan pertain to the latter. In Belgium, what was remarkable was the role of professional librarians, despite the shortage of human resources and budget. In Japan, donation as the principal means of collection and improvements of research capabilities were worth noticing. The case of France was exemplary in terms of the quality of its programming capacity, of the role of professional librarians, of research centers, and of its collection strategies. This study aims to serve professionals believing in the possibility of a more professional, or a more prominent comics library, securing an institutional role nation-wide. 현재 우리나라에서 만화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보관하고 있는 전문도서관은없다. 물론 국립중앙도서관이나 부천시의 만화도서관이 부분적으로 그런 역할을수행하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한 편이다. 이 연구는, 만화 강국인 세 국가(프랑스, 벨기에, 일본)와 한국의 만화전문도서관을 비교분석한다. 각 도서관의 성격이 어떠하고, 어떻게 설립했고, 만화자료의 현황이 어떠한지, 어떻게 수집, 보관, 서비스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해외의 주요한 만화전문도서관에 대해 소개하고, 결국 한국 만화전문도서관의 문제점과 지향점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대면 및 서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네 국가의 만화도서관을 비교해본 결과, 프랑스와 한국의 경우가 공공법인이고, 벨기에와 일본이 사립법인이다. 벨기에는 부족한 인력과 예산에도 불구하고 전문사서의 역할이 눈에 띄었다. 일본은 기증을 통한 도서수집과, 연구역량의 강화가주목을 끌었다. 프랑스의 경우는 전문사서의 역할, 연구자료센터, 만화자료 수서원칙, 만화 관련 프로그램의 질적 부분을 참조할 만했다. 향후, 한국만화도서관이나 다른 도서관이 좀 더 전문적인 역할을 지향하거나만화 분야의 국립기관적 역할을 지향할 때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Cutter의 전개분류법에 대한 연구

        곽철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tter's Expansive Classification. The four elements about classification evaluation were applied to analyze it. Results show that first, from philosophy and religion class to literature class, the order of main classes is logical and evolutionary. Second, the notation is a pure notation including author mark. Third, the classification is expansive from first classification to seventh classification. Science classes were expanded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comparing to the first classification. From the third classification, all classes were expanded. Fourth, it was applied by the local list to indicate places emphasizing connection of geographical space. 본 연구의 목적은 Cutter의 전개분류법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류법 평가와 관련된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전개분류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주류 배열은 철학과 종교, 역사와 지리, 사회과학, 자연과학과 예술, 언어와 문학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그 순서가 논리적이며 진화적이다. 둘째, 기호법은 문자를 사용하는 순수기호법이며, 저자기호법을 포함시켰다. 셋째, 7개의 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표는 자연과학 분야가 전개되었고, 제3표부터는 전 주제 분야로 확산되었다. 넷째, 지역구분을 적용하였는데, 대륙별로 지역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나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