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정호 한국문헌정보학회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between the place attachment and the place value in public libraries; and also to identify whether frequency and purpose of usage, length of residence, and website use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users' place attachment and the perception of place value for public libraries. Users' place dependence affected the library's value positively(+) due to moderating effect of usage frequency of the library and the users' length of residence. In order to estimate the moderating effect by purpose of use, the groups were divided by purpose of library 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place value by groups were analyzed. However, website usage bore no effect on users' place attachment or perception of place value to their local library. This study showed that place attachment as an affective indicator on users is very useful variable to explain the value of libraries as a social and cultural place.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해보고, 이용빈도, 거주기간, 이용목적, 웹사이트 이용경험이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계층적 회귀분석결과, 이용빈도와 거주기간이 ‘장소의존성’과 상호작용하여 ‘체험가치인식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에 대한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용목적별로 집단을 구분하고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를 집단별로 분석하였다. 도서관 웹사이트 이용경험은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장소애착도라는 이용자의 감정적인 지표가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서 활용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I Only Hate Broccoli’: The Library as Place in 21st Century America

        Wayne A. Wiegand 한국문헌정보학회 20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No.4

        By taking a bottom-up “library in the life of the user” perspective rather than a top-down “user in the life of the library” perspective, this paper uses anecdotal evidence from the past and near present to examine the multiple roles the U.S. public library plays and has played as public space in the everyday lives of its patrons. By harnessing “public sphere ” theory discussed in Jürgen Habermas’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1989) and by the examining the rich literatures on civic life and institutions that have evolved from it, the author argues that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discourse has to expand its scope to include research and analysis of “library as place” from a user’s perspective if it hopes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the public library does for means to members of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reside.

      • KCI우수등재

        공공도서관을 위한 장소브랜딩모형의 설계와 브랜드이미지의 창조

        강유정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3

        본 연구에서는 Cai(2002)의 장소브랜딩모형을 수정 및 확장하여 공공도서관의 방문활성화를 위한 장소브랜딩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모형을 적용하여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창조사례를 제시하고 본 사례가 브랜드이미지로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소브랜딩모형과 브랜드마케팅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고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모형에 적합한 마케팅의 유형과 내용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이모형을 적용하여 창조된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사례가 브랜드이미지로서 적합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모형을 적용한 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정체성에 대한 이용자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를 이 두 변인의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을 구체화시키는 개념모형의 설계와 적용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방문활성화를 위한 장소브랜딩의 실현과 그 가능성을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a place branding model for public library was designed to revitalize public libraries’ user visits by modifying and extending the Cai(2002)’s Place Branding Model. By applying this model, an example of creating a brand image of a public library was presented, and it was verified that this example is suitable as a brand image.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place branding models and brand marketing was conducted, and the types and contents of marketing suitable for the place branding model of public library were founded. And to verify that the example of the public library’s brand image created by applying this model is suitable as a brand image, A survey of user perception was conducted on the brand image and brand identity of the applied library for this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In this wa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creasing the realization and real potential of place branding for promoting public libraries’ user visits through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conceptual model that embodies the place branding of public library.

      • KCI등재

        어린이 도서관에 있어서 장소성 구현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eong-Mi),곽동화(Kwack, Dong-Wha),천혜선(Cheon, Hye-Su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the planning factors for the embodiment of sense of place in public library. This study analyzes qualitatively the good places where the children seek for and evaluate in children’s library. The primary method of survey in this study is the caption evaluation. The survey is conducted in libraries of three types. In the caption evaluation, children lake good places into photograph by themselves and are asked for reasons, featur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ictures on good places, Through the study of th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takes four analysis frames, Path, Occupancy Place, Edge and Mark. According to four analysis frames, the principal feature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xamples in librarie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are put in order.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presenting the method of user’s positive evaluation, studying the sense of place in children’s view point, and presenting the interrelation pattern for embodiment of the rich sense of place.

      • KCI등재

        조선후기 사대부의 생활공간과 글쓰기 문화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의 기(記)를 중심으로-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생활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창조하며 교환하는 과정을 `記`라는 글쓰기 양식과 관련하여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18세기 경화세족인 耳溪 洪良浩의 사례를 선택하고, 이계의 글쓰기 방식에 나타나는 개성을 선명히 드러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洪吉周, 朴趾源, 趙龜命, 李光庭, 蔡濟恭, 申景濬 등 18·19세기 문인의 記文과 비교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계는 총 72편의 記를 창작했는데, 이 중 30편이 사대부의 생활공간인 宅·堂·室·齋·樓·亭·軒에 부쳐 쓴 것이다. 공간을 대상으로 한 기의 창작에서 창작자의 관직 여부나 학문적 경향, 활동 지역, 가치관 등은 기문의 내용과 주제, 형식 구성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계의 경우 글쓰기의 동기나 청탁자와의 관계에 따라 주제 구성이 상이해지는데, 자발적 창작의 경우에 기문 쓰기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사유와 성찰의 기회로 작용하거나 생애 기념의 의미를 지니며, 관리로서의 공적을 기념하고 다른 관리의 업무를 격려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특히, 이계의 기문 중 공적 관계를 돈독히 하고 기념하기 위해 쓴 것이 동시대 문인들에 비해 많은 것은 관리로서의 정체성이 이계의 기문 쓰기에 의미 있는 요소로 작용한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이계는 청탁을 받아 창작한 경우에도 글쓰기 과정을 자기 성찰의 계기로 삼았으며, 사승, 교우, 공적 관계 등의 관계 방식에 따라 차별적으로 주제를 구성했다. 이계는 생활공간에 대한 기문을 쓸 때 체험의 직접성을 중시했으며, 제호에 성찰적 의미를 담았다. 사실의 기록과 진술을 기본 형식으로 하여, 대화체와 문답체 서술을 택했으며 제호의 취지에 대한 독자의 합의와 동의과정을 유도하기도 했다. 이때 등장하는 가상의 객은 이계의 분신으로 보이는데, 객이 글쓴이의 취지에 동화해가는 과정을 표현함으로써 글의 주제를 강화하도록 했다. 이와 아울러 일화를 소개함으로써 글의 생동감을 확보하는 방식을 동원했다. This paper analyzed the writing process and exchange the records, the genre of ki(記), on the living places in the Chosun Dynasty, especially focusing on Hong, yang-ho who was living in Seoul as a distinguished noble clas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Hong, Yang-ho wrote 72 pieces of records of ki, and among 30 were about the living places like house(宅), room(堂), library(齋) and arbor(樓·亭), etc. In the process of writing ki, the official post, academic propensity, working area, and his own sense of values are influenced on the works as an decisive variables. In case of Hong, yang-ho, the theme of each ki was depended upon the writing motivations, relationship of a person who asked ki. In case of spontaneous writing ki, the writing process gave some opportunities of self-reflection, self-commemoration as a official and encouragement to his colleges and subordinates to the writer, Hong, Yang-ho. In case of receiving the other`s asking of writing ki, he showed reflective view point in his writing, and those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who asked some ki such as follower, friend and officials. The topic of every ki of Hong, Yang-ho was related with the usage of the place. First, a ki on the house was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user`s identity. Second, a ki on the private or official library and lecture hall was focused on the academy and education. Third, a ki on the rest place was focused on the aesthetic point and beautiful scenary, and also implied the reflective view of Confucianism. Fourth, some ki on the arbor for the archer and public security was revealed his sense of responsibility, satisfaction, and self-conceit on his official duty. When Hong, Yang-ho wrote some ki, he regarded the direct experience on the living place as an important point, and tried to give some meaning in the point of view of Confucianism. His ki was composed of record the fact and narrate of anecdote basically, and sometimes was written of dialogical style, and the latter case he portrayed some fictional characters as his another ego. Such writing process gave lots of opportunities to discover and compose his self-reflection to Hong, Yang-ho. He wrote his memorable events, his view of life, sense of values, principles of his life, relationship to others and view of academy education. These writings shows the traditional writing culture of typical noble class in the Chosun Dynasty. And every piece of ki written by Hong, Yang-ho was composed by his own writing motivation with his own consideration, structures, styles, and tastes. Such situation shows that the researches on the ki should be accomplished not only with typical approach, but also with every writer.

      • KCI등재

        조선후기 사대부의 생활공간과 글쓰기 문화 -耳溪 洪良浩의 ‘記’를 중심으로-

        최기숙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This paper analyzed the writing process and exchange the records, the genre of ki(記), on the living places in the Chosun Dynasty, especially focusing on Hong, yang-ho who was living in Seoul as a distinguished noble clas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Hong, Yang-ho wrote 72 pieces of records of ki, and among 30 were about the living places like house(宅), room(堂), library(齋) and arbor(樓ㆍ亭), etc. In the process of writing ki, the official post, academic propensity, working area, and his own sense of values are influenced on the works as an decisive variables. In case of Hong, yang-ho, the theme of each ki was depended upon the writing motivations, relationship of a person who asked ki. In case of spontaneous writing ki, the writing process gave some opportunities of self-reflection, self- commemoration as a official and encouragement to his colleges and subordinates to the writer, Hong, Yang-ho. In case of receiving the other's asking of writing ki, he showed reflective view point in his writing, and those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who asked some ki such as follower, friend and officials. The topic of every ki of Hong, Yang-ho was related with the usage of the place. First, a ki on the house was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user's identity. Second, a ki on the private or official library and lecture hall was focused on the academy and education. Third, a ki on the rest place was focused on the aesthetic point and beautiful scenary, and also implied the reflective view of Confucianism. Fourth, some ki on the arbor for the archer and public security was revealed his sense of responsibility, satisfaction, and self-conceit on his official duty. When Hong, Yang-ho wrote some ki, he regarded the direct experience on the living place as an important point, and tried to give some meaning in the point of view of Confucianism. His ki was composed of record the fact and narrate of anecdote basically, and sometimes was written of dialogical style, and the latter case he portrayed some fictional characters as his another ego. Such writing process gave lots of opportunities to discover and compose his self-reflection to Hong, Yang-ho. He wrote his memorable events, his view of life, sense of values, principles of his life, relationship to others and view of academy education. These writings shows the traditional writing culture of typical noble class in the Chosun Dynasty. And every piece of ki written by Hong, Yang-ho was composed by his own writing motivation with his own consideration, structures, styles, and tastes. Such situation shows that the researches on the ki should be accomplished not only with typical approach, but also with every writer. 이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생활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창조하며 교환하는 과정을 ‘記’라는 글쓰기 양식과 관련하여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18세기 경화세족인 耳溪 洪良浩의 사례를 선택하고, 이계의 글쓰기 방식에 나타나는 개성을 선명히 드러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洪吉周, 朴趾源, 趙龜命, 李光庭, 蔡濟恭, 申景濬 등 18 · 19세기 문인의 記文과 비교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계는 총 72편의 記를 창작했는데, 이 중 30편이 사대부의 생활공간인 宅 · 堂 · 室 · 齋 · 樓 · 亭 · 軒에 부쳐 쓴 것이다. 공간을 대상으로 한 기의 창작에서 창작자의 관직 여부나 학문적 경향, 활동 지역, 가치관 등은 기문의 내용과 주제, 형식 구성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계의 경우 글쓰기의 동기나 청탁자와의 관계에 따라 주제 구성이 상이해지는데, 자발적 창작의 경우에 기문 쓰기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사유와 성찰의 기회로 작용하거나 생애 기념의 의미를 지니며, 관리로서의 공적을 기념하고 다른 관리의 업무를 격려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특히, 이계의 기문 중 공적 관계를 돈독히 하고 기념하기 위해 쓴 것이 동시대 문인들에 비해 많은 것은 관리로서의 정체성이 이계의 기문 쓰기에 의미 있는 요소로 작용한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이계는 청탁을 받아 창작한 경우에도 글쓰기 과정을 자기 성찰의 계기로 삼았으며, 사승, 교우, 공적 관계 등의 관계 방식에 따라 차별적으로 주제를 구성했다. 이계는 생활공간에 대한 기문을 쓸 때 체험의 직접성을 중시했으며, 제호에 성찰적 의미를 담았다. 사실의 기록과 진술을 기본 형식으로 하여, 대화체와 문답체 서술을 택했으며 제호의 취지에 대한 독자의 합의와 동의 과정을 유도하기도 했다. 이때 등장하는 가상의 객은 이계의 분신으로 보이는데, 객이 글쓴이의 취지에 동화해가는 과정을 표현함으로써 글의 주제를 강화하도록 했다. 이와 아울러 일화를 소개함으로써 글의 생동감을 확보하는 방식을 동원했다.

      • KCI우수등재

        고대 이집트 도서관의 원형, 페르 앙크(Per Ankh) 추적

        윤희윤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4

        In ancient Egypt, temples were not only religious sanctuaries but also community centers. One of the core spaces created in the temple is the facility where priests and scribes copied and preserved texts on papyrus and other media. Its common designation was ‘pr-mḏ’(House of Books) and the ‘per-(nw)-seshw’(House of Scrolls). The general term used during that time was ‘Per Ankh’, and the modern term for it is ‘temple library’. Therefore,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the Per Ankh attached to the temple, and then trac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designate ‘healing place of the souls’ depicted on the hypostyle hall(Per Ankh) in the Ramesseum(mortuary temple) built by Ramses II of the New Kingdom as a library. As a result, Per Ankh, a hieroglyph combining the Per(house) and Ankh(life), was revealed to be a multi-purpose complex facility consisting of a learning and research center, a treatment and healing center with medical facilities and sanatoriums, a religious ceremony and a center for the celebration of eternal life, a scriptorium and a library. Therefore, the traditional argument that Per Ankh refers to a library cannot be justified. In the same context, the inscription ‘Ψυχῆς ἰατρεῖον’ on the doorplate of the hypostyle hall of the Ramesseum,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Greek historian Hecataeus of Miletus in the 4th century BC, was translated into Latin as ‘Psychēs Iatreion’ by Diodorus Siculus in the 1st century BC and described as the motto of the sacred library. However, Psyche is the goddess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and Iatreion means hospital(clinic, healing center) and pharmacy, so Per Ankh in the Ramesseum is a space to heal the soul of the pharaoh (Ka). Therefore, ‘Psychēs Iatreion = library’ is a distortion and a mistranslation. It is not the motto of the library, but a metaphor for the Per Ankh.

      • KCI등재후보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의 강학과 누정 활동 연구

        권수용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Na Do-Gyu who lived intensely and died represents a rural intellectual of 19th century. He plied unusual education activity over concentrating in his studies, and kept to prepar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In other words his varied activities includes the phases of the times of Honam area of 19th century. Although he was experiencing a mental conflict because of managing both studies and preparation for the state examination, he wasn’t able to give up easily the things like general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un-era. He, after death of his teacher Nosa Gi Jeong-Jin, built the Namdeok arbor on the west side of Gwangju where he lived, but there seems to be no animated arbor activities in the common sense at this arbor. The fact that there almost no remains poetry and pose let us know that no one enjoyed a life at this arbor except the owner, furthermore he didn’t enjoy a long life at this arbor. Then again, because this arbor was an education place, it could not but lack an activity of reciting a poem in advance. His arbor activities, however, was found in many places. He managed the Yukyoung library and the Bongyang lecture hall before the Namdeok arbor, and took a turn in the Bulwon arbor after. But most of those buildings at which he enjoyed his life was not built by himself but by other people. His activities at those arbors was lecture activities. 평생을 치열하게 살다간 나도규는 19세기를 살아갔던 향촌의 지식인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는 학문에 힘쓰는 과정 속에서도 남다른 교육활동을 펼쳐갔으며, 또한 과거시험 공부도 계속해나갔다. 즉 그의 다양한 활동 속에는 19세기 호남의 시대상이 들어있는 것이다. 학문하는 한편으로 과거공부도 병행해야 했기 때문에 심리적 갈등도 겪고 있지만, 그렇다고 이것을 쉽게 접어버릴 수 없는 조선시대 유학자의 일상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스승인 노사 기정진의 사망 후에 그가 살고 있는 곳인 광주의 서쪽에 남덕정을 세웠는데, 이곳에서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누정활동은 크게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즉 시문이 거의 남아있지 않으니, 그것은 주인 외엔 향유자가 없었고, 이곳에서 노닌 기간도 길지 못했다는 데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강학공간이기 때문에 시를 수창하는 활동은 결여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누정활동은 한군데에서만 나타난 것이 아니다. 남덕정 이전에도 육영재와 봉양서실을 운영하였으며, 이후에는 불원정에서 소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대부분이 다른 사람들의 힘에 의해 세워진 누정이다. 이곳에서의 누정활동의 특징은 강학활동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지명으로 보는 세책과 방각의 유통 양상

        신희경 ( Heekyung Shin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본 연구는 세책과 경판 방각의 간소 지명을 중심으로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문화지도로 작성함으로써 조선 후기 소설의 유통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기본 자료로 간기를 토대로 간소를 정리하고 세책가의 지명 39개, 방각소의 지명 26개를 대상으로 하여 위치를 비정하였다. 기존에 확정된 지명과 현재 위치 외에 세책가는 금호와 유호, 파곡 등의 위치를 수정 혹은 새롭게 비정하였고 방각소는 용동, 화곡, 화산 등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이렇게 논의한 지명을 자료로 하여 세책가와 방각소 각각의 분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지도로 작성하였다. 그 결과 세책가는 동북쪽과 남산 아래를 제외한 모든 지역 특히, 성외 지역에도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 상품 유통의 중심지이거나 종로 시전과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세책가와 가까운 주소지에서 대출하는 경향이 있으나 거리가 있는 곳에서도 대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방각소의 경우 전체 방각소 52.6%가 남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남부에서도 절반 이상이 광통방에 속한 지명이다. 서부에서는 반석방에 집중되어 있으며 방각소의 대부분이 성 안에 위치하는데 방각소의 분포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조선후기에 인구가 증가한 대표적인 지역이면서 상업지역인 중부에 방각소가 없다는 점이다. 시 대에 따라 방각소가 중심부로 이동하기는 하나 방각소의 입지는 공통적으로 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양상을 보인다. 세책가와 소설 방각소의 지명을 비율로 살펴보면 세책가는 서부, 남부, 중부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는 등 5개의 행정구역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소설 방각소는 절반 이상이 남부이며 중부와 북부에는 소설을 출판한 방각소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책가와 소설 방각소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 써 소설 유통의 지리적 양상을 파악하였는데 그 결과 조선 후기 소설 유통은 세책가가 있던 향목동과 방각소가 있던 미동과 유동이 인접한 현재 을 지로1가 인근에서 가장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ce of Publication names of lending library and woodblock printing shops in the context of statistical analysis and cultural mapping, aiming to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novels in the late Joseon period. Using foundational data from historical records, the study organized and compared the locations of 39 lending library and 26 woodblock printing shops. In addition to confirming existing names and locations, adjustments were made forLending library such as Geumho, Yuho, and Pagok, while woodblock printing shop locations in Yongdong, Hwagok, and Hwasan were verified. Based on the discussed place names, the distribution ofLending library and woodblock printing shops was statistically analyzed and visualized on a map. The results indicate thatLending library are uniformly distributed across all areas except the northeast and below Namsan, particularly concentrated in areas outside Seoul and close to Jongno, suggesting they were often located at the center of commercial activity.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borrow books fromLending library located nearby, but loans are also made from distant locations. As for woodblock printing shops, 52.6% of them are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region, with over half in the Gwangtongbang area. In the western region, there is a concentration in the Banseokbang area, and most woodblock printing shops are located within city walls. Notably, in the central commercial area where the popul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is an absence of woodblock printing shops. Although woodblock printing shops tended to move towards the central areas over time, their locations consistently formed around market centers.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Lending library and novel woodblock printing shops in terms of proportions, Lending library ar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western, southern, and central regions. In contrast, more than half of novel woodblock printing shops are in the southern region, with none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By mapping the locations of Lending library and novel woodblock printing shops, it was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of novel circulat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as most prominent in the vicinity of Euljiro 1-ga, where there were Lending library and woodblock printing shops in Hyangmok-dong and Midong, adjacent to each other.

      • KCI우수등재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을 위한 장소이미지요인에 관한 연구

        강유정,이지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방문의 활성화를 위하여, 도서관의 홍보 및 마케팅 전략으로 장소브랜딩을 적용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한 장소브랜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먼저 공공도서관 장소브랜딩의 구성요인 그리고 그 요인들 간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그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장소브랜딩한 이후의 기대효과인 이용자 충성도와 장소브랜딩의 구성요인들과의 관계를 도출하여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세우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총 34개 연구가설 중 21개가 채택되었고 장소이미지요인인 도서관신뢰성, 도서관호혜성, 도서관안전성 모두 이용자충성도에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창출에 기반이 될 장소이미지요인과 새로운 장소가치로 사회공헌가치를 도출하고, 공공도서관이 자관의 핵심가치(장소가치)에 적합한 장소이미지요인의 선택을 제안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홍보 및 마케팅을 위하여 장소브랜딩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장소브랜딩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서 높은 인지도와 충성도로 형성된 브랜드파워를 가지며 리더십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