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발표 : 이원수와 70년대 아동문학의 전환 -한국아동문학가협회의 창립과 아동문단의 재편 과정-

        원종찬 ( Jong Chan 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28 N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Juvenile Literature Authors Association led by Lee, Won-su in February of the year 1971 was a very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juvenile literature, because it created a new trend of realism in juvenile literature independent from the Korea Authors Association, which had kept close relation with the then dictatorial political power during the period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Korean War, the literary world of juvenile literature had been dominated by those who had juvenile literature department of the Korea Authors Association in their hands through the line of anticommunists. They justified escapism by disseminating the trends of creating infantile children`s verses and instructive fairy tales. Lee had placed emphasis on realism on the basis of national reality in the juvenile literature world by creation and criticism since Independence Day of Korea. He organized the Korea Juvenile Literature Association, published organs, and held seminars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se activities. Lee, O-deok`s criticism and Kweon, Jeong-seng`s creation, who were influenced by Lee, Won-su, made those trends more securely settled. Therefore, we can consider Lee, Won-su as the starting point of realism juvenile literature in the period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임길택의 『탄광마을 아이들』 연구

        김찬곤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2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1

        After Lim Gil-taek’s death, several critical articles, articles, and thesis analyzing his literature were written. All papers pointed out important points that must be looked at when looking at Lim Gil-taek’s literature. This paper carefully examined and reviewed the achievements so far, and then developed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areas that need to be pointed out again. First, this paper looked at Lim Gil-taek’s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hich has been active since its foundation. And also discussed his relationship with Lee O-deok, who actually led the writing session earlier. In this process, it was argued that Lim Gil-taek’s poetry reached the “Poetic Spirit” in Lee O-deok’s “Poetic Spirit and Play Spirit”(1977). In particular, I looked closely at various essays written by Lim Gil-taek. In this essay, we could see how he began to write poems with his heart in the life of people and children in Coal Mine Village. I also paid attention to the letters he wrote to Lee O-deok and he exchanged with his fellow teachers at Korean Writing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In this way, he was able to organize his the theory of poetry for children, and based on this, I analyzed the poetry world of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Children of Coal Mine Village

      • 아동문학평론가 이오덕의 우리말 의식에 관한 연구

        송희복(Song, Hui-bog) 한국어문교육학회 2011 어문학교육 Vol.42 No.-

        1. Lee O-deok wrote children's poetry, and he was a children's literature critic. He was also an educator, teacher, and a writing researcher. Although he passed away ten years ago, his reputation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2. His work, "The Poem Mind and the Play Mind," reflects his view of literature very well. Through his work, I analyze his view of realistic literature. 3. He sequaciously tried to correct and purify Korean literature through his many works. In this paper, I examine his love of Korean literature and his views on language. 4. I added meaning to his passionate attitude for Korean and his view of language as reflected in his later work, "Writing Straight in the Korean Alphabet." However, I critically analyze his view of language and point out his limitations.

      • KCI등재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론 연구 - 쓰기교육의 목표‧교육내용‧교수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주재우 한국작문학회 2024 작문연구 Vol.0 No.61

        본고는 이오덕 선생이 42년간 쓰기교육을 하면서 집필한 글쓰기 교육 저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국가교육과정의 체계(목표, 내용, 교수법)와 비교하여 그 차별성과 의미를 밝힌 연구이다. 첫째, 왜 쓰기를 가르쳐야 하는가?(목표) 쓰기의 본질에서 출발하지 않고 쓰기교육의 주체인 인간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론은 인간은 표현 욕구가 있으므로 남을 흉내 내지 않고 마음껏 표현할 있는 건강하고 민주적 시민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둘째, 무엇을 쓰게 할 것인가?(교육 내용)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론은 외부에서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학생에게 절실한 문제를 쓰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쥐어짜기’ 방법이 아니라 글감이 삶에서 우러나도록 ‘예고’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셋째,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교수법)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론은 좋은 글을 보여주는 교수법이 좋은 동기 부여라고 본다. 이때 좋은 글은 학생 수준의 좋은 글이며, 이는 모방의 대상이 아니라 예시임을 강조한다. 또한 말로 쓰기 교수법은 절실한 말을 글로 표현하는 기쁨을 가르쳐 줄 수 있다. This study reveals the differentiation of writing education theory by Lee O-deok during his 42-year long career of writing education by comparing it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centered goals,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Why should writing be taught? (goal)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writing education does not start with the knowledge of writing but focuses on humans, the subject of writing education. Lee-odeok's theory of writing education(LTWE) aims to cultivate healthy and democratic citizens who can express themselves freely without imitating others because humans desire expression. Second, what should be taught about writing? (Educational Content) LTWE considers that students should write a problem they need to solve rather than solve a given task in the classroom. For this, instead of a 'racking one's brain' method such as brainstorming, a technique such as 'pondering a task' is used so that the writing comes from real life problems. Third, how do you teach writing? (Teaching Method) LTWE states that a teaching method that yields good writing is motivation. Then, it is emphasized that good writing is well-written at the student level and is not an object of imitation but an example. In addition, teaching of verbal writing can teach the joy of expressing words, which is desperately needed.

      • KCI등재

        『창작과 비평』의 담론 통합 전략-1970년대 아동문학론 수용을 중심으로-

        김나현 ( Na Hyu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0

        본 논문은 1974년 이후 『창작과 비평』에 실리는 일련의 아동문학담론이 갖는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0년대 아동문단은 아동문학의 순수성을 주장하는 동심주의 그룹과 리얼리즘 문학론에 입각한 사회참여적 그룹으로 양분되어 있었는데, 후자에 속했던 이오덕은 서민적인 세계를 그리는 것이야말로 민족문학으로서의 아동문학이 갈 길이라고 천명하여 이원수를 그 전범으로 든다. 『창비』는 이오덕의 아동문학론 수용을 시작으로 동화, 동화 서평, 교육학 이론. 교육현장비평 등으로 관심사를 확장하며 지면을 편성하게 된다. 『창비』의 아동문학론 수용은 크게 세가지 전략적 이유를 갖는다. 첫째, 민족문학론을 아동문학 차원으로 확장함으로써 민족문학론의 보편성을 보이려는 열망을 실현할 것이다. 특히 아동문학론에서의 ``서민``개념은 민족문학론에서의 ``민중``과 상동성을 보이는 동시에 교묘히 위계국조를 만들어낸다. 둘째, ``서민/아동``의 도덕적 우월성과 아동문학론에 내장된 선조적 시간관은 『창비』민족문화론의 엘리트주의를 시현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창비』의 아동문학론과 교육학담론은 인접 학문담론을 수용해 지식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창비』의 담론통합전략을 보여준다. 『창비』는 문학-이론-운동의 삼일치를 지향했는데. 아동문학론, 비판적 교육학 이론, 교육현장에서의 운동을 차례로 소개하고 이를 ``민족교육론``이라는 의제로 통합함으로써 『창비』의 비평전략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significance of children`s literature discourse in Creations and Criticisms (Changbi). In the 1970s, children`s literature field was made up of two different kinds of people. The first group could be summarized as Donsim ideology. And second one claimed to support the theory of realism. Lee O-Deok who belonged to the latter group argued that children`s literature as the national literature should describe the world of Seomin(common people). Changbi accepted Lee`s theory in 1974. From there, Changbi expanded the range of own contents to pedagogy. Changbi`s acceptance of children`s literature discourse had three strategic meanings. First, through this acceptance Changbi could be testified to universal validity of national literature ideology. Second, the linear idea of time in children`s literature discourse could manifest an elitism of Changbi. And the last, this acceptance called the national pedagogy could be illustrative of the strategy to integrate the different discourses.

      • KCI등재

        탄광마을 어린이시집 『아버지 월급 콩알만 하네』 연구

        김찬곤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6

        임길택은 초등학교 교사이자 동시와 동화를 함께 쓴 어린이문학가이다. 지금까지 그의 동시와 동화는 많이 연구되었지만, 그가 교사로서 학급에서 엮어 냈던 ‘학급문집’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형편이다. 그가 1980년부터 1983년까지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사북초등학교에서 낸 학급문집은 당시 문화예술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때까지만 해도 탄광마을 사람들의 절박한 삶을 사북초등학교 아이들의 글만큼 절실하게 쓴 기록은 찾아보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그가 왜 아이들에게 부모님의 삶과 자신의 삶을 쓰게 했는지, 그 내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의 시 쓰기 지도가 어디에서 왔는지, 또 그것을 어떻게 실천하고 발전시켜 나아갔는지 정리해 보았다. 이 논문은 그가 엮은 학급문집(시·일기·생활글)에서 ‘어린이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탄광마을 어린이시 선집 『아버지 월급 콩알만 하네』를 텍스트로 삼고, 이것을 탄마을 여성의 삶, 탄광 노동자 아버지의 일과 아이들, 아이들의 삶과 탄마을로 주제를 잡아 그 주제에 해당하는 어린이시를 보기로 들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의 시 쓰기 지도가 ‘삶을 가꾸는 글쓰기’였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사북초 어린이가 썼던 ‘어린이시’와 그의 첫 ‘동시집’ 『탄광마을 아이들』(1990)과의 관계를 논할 때 많은 시사를 줄 것이라 믿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