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간의 관계 분석

        이은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Researcher administered a survey that measured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o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consisting of 185 boys and 197 girls. Resear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using pa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visualization tendency is the key factor that affects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overal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visualization tendency were derived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82명(남 : 185, 여 : 197)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를 측정하였으며, 경로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를 매개하여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화 경향성이 기술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핵심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논의

        한정선 ( Jung Sun Hahn ),김소희 ( So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웹 기반 학습과 관련되어 이루어진 자기주도학습 연구는 주로 자기주도학습 수행에 필요한 교수-학습 전략을 다루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웹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학습능력을 기본 전제로 하며 이것은 곧 자기주도성과 개념적인 일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주도성은 자기주도학습의 원동력이 되는 학습자 고유의 성향으로 간주되지만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성이 실제로 발휘되는 데에는 정보기술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의해 그 정도가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향후 실증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Research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in Web-based Learning have included generally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performing self-directed learning. This article, based on reviews of empirical studies as well as theories of distanc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direction, confirmed that learner`s independence and autonomous are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learning in Web-based Learning, and two concepts consist in self-direction. Self-direction is regarded as an individual`s personality. However,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factors influenced on the degree of self-direction are one`s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in Web-based Learning. Theref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factors(self-direc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are empirically examined in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김소희 ( So Hee Kim ),한정선 ( Jung Sun Hah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학습하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닌 개인의 성격유형과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49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109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외향-내향형으로 외향적인 성향이 높아질수록 자기주도성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t=-3.02, p<.01) 학습자의 성격유형은 웹 기반 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t=2.01, p<.05) 자기주도성이 증가될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나(t=2.61, p<.05)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사이버대학의 수업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이버대학 뿐 아니라 교실수업과 웹 기반 수업을 혼용하는 전통적인 대학에서의 웹 기반 수업설계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being focused on learner`s self-direction.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by this purpose were: 1. Do personality types(extraversion-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feeling, and judging-perceiving) predict learner`s self-direction in cyber university? 2. Do learner`s personality types and self-direction predict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3. Do the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utilizing for web-based learning act as intermediary variables between self-dire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iven the MBTI, SDLRS(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the Attitudes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toward technology. 109 cases without missing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A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traversion- introver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ion. Also results show that gender, self-direction,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However, the attitude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did not act as intermediary variables between self-dire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These results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that may predict success in Web-based Learning.

      • KCI등재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이지애 ( Ji Ae Lee ),박수경 ( Soo Kyong Park ),김영민 ( Young Mi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factors on career choice of science-gifted students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regards to group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gifted education and critical events in relation to career choice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For the study, 104 university freshmen, 75 males and 29 females, were sampled from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many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entered this year.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o do with the perceptions concerning career choice and educational factors that cause them to choose such career directions. The educational factors on career choice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as 3 main categories such as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 (teaching-learning factor), human factor, attitude towards science factor and the subcategories within each categor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 project centered classes`` were highly interrelated with other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the experiment activity and environment for the activity`` and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ors).`` Second, the female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science high school were mo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uman factors on their decision for career than male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general high school. Third, this research found that historical scientific knowledge, perception of scientists` social status and job applications in the science field gave less influence rather than other factors on their decision for career. As a result of examining critical event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in relation to career choice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numerous students mentioned that the extracurricular science activities such as science camps and field trips gave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career choic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