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희전문학교의 학생자치단체와 간행물

        홍성표(Hong, Seong-Py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4 No.-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일제의 식민지라는 조선의 현실 속에서 ‘기독교주의’에 근거한 교육을 받으며 실력과 인격을 양성했으며, 학생자치단체를 결성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연전의 학생자치단체는 전도회로부터 시작되어 1915년에 전도회가 확대된 기독학생청년회가, 1923년에는 일반 학생들의 자치를 위해 학생회가 조직되었다. 이 외에 문과 학생들로 구성된 문우회, 상과 학생들로 구성된 경제연구회, 수물과 학생들로 구성된 이학연구회와 연극구락부, 관악단, 관현단 등이 조직되어 활동하였다. 학생들은 전도, 연극, 음악, 체육 등 여러 활동을 통해 식민지 조선사회와 소통하였고, 자신들의 생각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간행물을 발간하였다. 학생들이 발간한 간행물로는 학생회 기관지「연희」를 비롯하여「시온」, 「문우」, 「경제연구」, 「과학」등의 잡지와, 월간신문 󰡔연전 타임스󰡕 등이 있었다. 학생들의 간행물 발간은 일제의 식민지라는 조선 민족의 현실을 바탕으로, 학교의 교육방침인 기독교주의와 민족독립의 수단으로 세력을 넓혀가던 사회주의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 졌다. 학생들은 민족운동의 실천을 위해 사회주의의 주장을 수용하였으며,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던 조선 기독교회의 문제를 지적하고 개혁을 촉구하는 등, ‘올바른 기독교주의의 실천’을 민족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이 간행물을 발간하기 위해 모은 원고는 먼저 학교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했으며, 허가를 받은 원고는 다시 일제의 검열을 통과해야 했다. 일제는 엄격한 검열을 통해 식민지배에 대한 문제제기, 민족의식의 강조, 사회주의와 관련된 내용은 발간을 금지하였다. 일제는 연전의 학생 간행물이 과격사상을 선전한다는 이유로 수시로 발간을 금지하였고, 학생회를 해산시키는 등 학생활동을 탄압하였으나, 학생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민족운동의 실천을 위해 노력하였다. Students admitted to C.C.C received a Christian education to nurture their skills and personalities while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These students formed autonomous student groups to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The establishment of autonomous student groups at C.C.C began with the creation of a missionary group, which became The student YMCA in 1915. In 1923, The Student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to promote the autonomy of the student body at large. In addition, The Literary Society was formed by students from the Literary Department, The Economics Association by students from the Commercial Department, and The Scientific Association by students from the Science Department. Such publications included the Student Association paper Yunheui, along with the magazines Sion, Moon Woo, Kyungjei yunkoo and Kwahak and the monthly newspaper The Yunjun Times. The students accepted socialist values in their pursuit of nationalist goals. They criticized problems in the Korea Christian Association that had been denounced by society at large and urged for its overall reform. Throughout these activities, they advocated for the practice of righteous Christianity as the solution to the nation’s problems. The authorities often entirely prohibited C.C.C student publications, claiming that such works propagated radicalism, and forcibly dissolved the Student Council to crack down on student activities. Nevertheless, the students stayed strong against such suppression and worked hard to drive the nationalist movement.

      • KCI등재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전덕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8 東洋學 Vol.72 No.-

        본 논고는 2000년 이후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통일 이후 한국고대사연구의 과제를 간략하게 제시한 것이다. 2000년 이전까지 남한에서 삼국 가운데 신라사연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2004년과 2005년에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여 고구려사연구가 활성화되었고, 2009년 이후에 충청과 경기지역의 발굴조사가 확대되고, 공주와 부여, 익산의 백제유적지구에 대한 정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백제사연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1990년 이래 북한에서는 고구려와 고조선, 발해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백제와 신라, 가야사연구는 등한시하였는데, 이러한 사실은 『력사과학』에 개재된 고대사 논문 가운데 고구려와 고조선, 발해사를 다룬 것이 다수를 차지하고, 백제사 등을 다룬 논문이 매우 적었던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북한에서는 1993년 단군릉 발굴 이후, 단군이 기원전 30세기 초에 평양에서 고조선을 건국하였고, 기원전 1500년 무렵 전조선과 후조선의 교체기에 고대 노예소유자국가로서 구려와 부여, 진국이 성립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기원전 277년, 기원전 3세기 전엽, 기원전 1세기 말엽, 기원 1세기 초중엽, 기원 1세기 중엽경에 고구려와 부여, 백제, 신라, 가야가 중세 봉건국가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북한에서는 고조선사를 서술하면서 남한에서 僞書라고 규정한 『규원사화』, 『단기고사』, 『단군세기』 등을 사료로서 이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몽과 온조가 고구려와 백제를 건국한 연대를 각기 기원전 277년, 기원전 258년이라고 수정한 다음, 이에 맞추어 고구려본기와 백제본기 기록의 기년을 대폭 소급하여 새롭게 조정하였다. 후기신라사와 발해사연구는 맥락상으로 1980년대의 연구와 크게 달라진 측면을 발견할 수 없다. 남한에서 2000년대에 매년 300편 이상,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400여 편 이상, 2015년 이후에는 매년 500편 이상이 넘는 고대사 논문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2000년 이후 남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성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몇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2000년 이후 남한학계의 연구성과를 정리하면, 첫 번째, 삼국 초기와 고조선, 가야, 부여, 가야의 정치체제를 부체제로 이해하는 연구가 증가하였다는 점, 두 번째,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여 고구려사와 발해사연구가 크게 활성화되었다는 점, 세 번째, 다량의 목간과 다수의 금석문이 새로 발견되면서 고대사연구의 지평이 크게 확대되었다는 점, 네 번째, 고조선의 중심지와 낙랑군의 위치를 둘러싸고 이른바 상고사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이 와중에서 고대사학계에서 연구성과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적극 노력하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남한의 이른바 재야사학자들과 북한학계에서 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면서 고대사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향후 남북한 모두 ‘實事求是’와 탈민족주의적인 시각에 입각하여 고대사상을 구축하고, 합리적인 비판과 대안이 존중되는 학문 풍토를 정립하게 된다면, 이와 같은 한계는 충분히 극복되리라고 기대된다. This paper arranged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ancient history after 2000 and succinctly presented the future tasks for the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after reunification. Before 2000, history research of the Three Kingdoms in South Korea had been focused on the Silla’s. In 2004-5, the history research of Goguryeo was invigorated in response to China’s Northeast Project. After 2009, Baekje resear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excavation surveys in Chungcheong and Gyeonggi Province have expanded and the maintenance on Baekje Historic Areas in Gongju, Buyeo, and Iksan has been increasingly carried out. Since 1990, North Korea has concentrated on Goguryeo, Gojoseon, and Balhae, and neglected Baekje, Silla, and Gaya.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s that while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papers in Ryoksa Kwahak(The Journal of History-Science) dealt with history of Goguryeo, Gojoseon and Balhae, there were very few papers dealing with history of Baekje and so on.  After North Korea discovered the Tangun tomb in 1993, North Korea has argued that Tangun established the Gojoseon state in Pyeongyang at the beginning of the 30th century B.C. and that Guryeo, Buyeo, and Jinguk were established as ancient slave-possessing nations in the transitioning period between Early-Joseon and Later-Joseon, approximately at around 1500 B.C. Furthermore, North Korea has believed that Goguryeo, Baekje, Silla, and Gaya developed into medieval feudal states at around 277 B.C., early-3rd century B.C., late-1st century B.C., early or mid 1st century A.D., and mid-1st century A.D., respectively.  Not only North Korea has used the Gyuwonsahwa, Dangigosa, and Tangunsegi which were all defined as pseudographs in South Korea to explain Gojoseon’s history, but also North Korea changed the founding dates of Goguryeo and Baekje to 277 B.C., 258 B.C. and accordingly, adjusted the chronology in Goguryeobongi and Baekjebongi of Samguksagi retroactively. The research of the late-Silla and Balhae perio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earch of the 1980s in context.  In South Korea, over 300 papers were published each year in the 2000s, more than 400 papers were published annually from 2009 to 2014, and more than 500 papers were published annually after 2015.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ummarize the researches of the ancient history of South Korean academics since 2000. However, if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South Korean academics since 2000 are to be summarized by focusing on a few keywords, firstly,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studies which understood the political systems of the early Three Kingdoms, Gojoseon, Gaya, and Buyeo as Bu-system. Secondly, Goguryeo and Balhae studies have been highly invigorated to counteract China’s Northeast Project. Third, there have been new discoveries of various wooden tablets and epigraphs, greatly expanding the horizons of ancient history studies. Finally, there has been a lively dispute about the location of Gojoseon’s center and Nakranggun, while the academia has been trying to inform the public about their research achievements. Currently, it can be said that the pseudo-historian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n scholars are conducting arbitray studies of ancient history by emphasizing nationalism and patriotism. However, these limitations are expected to be overcome by establishing an ancient ideology based on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transnational point of view, and a scholarly climate in which rational criticism and alternatives are respected. 42

      • KCI등재

        특집 근대전환기 개념의 운동과 변주 : 19세기 말∼20세기 초 한,중,일 삼국의 실학 개념

        이경구 ( Kyung Ku Lee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5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의 실학 개념은 유학의 맥락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이전과 다르고, 특정한 역사 용어로 고정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현재와도 다르다. 당시 실학을 학문의 보편 정신으로 간주하여 서양문물 수용의 근거로 삼은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 같은 궤적은 한·중·일 삼국이 대체로 공유하였으나 차이도 있었다. 식민지였던 한국은 ‘비중국/친민족, 반일본/친근대’의 지향을 역사에서 실증하여 독립을 향한 운동력을 확보하려 했다. 실학은 그 점에서 꽤나 만족스러운 개념이었다. 중국은 실학을 주로 학문혹은 학자의 가치 지향과 관련해 주목하였지, 역사상의 특정 학파로 고정하지는 않았다. 일본의 실학 개념은 또 다른 유형이다. 실용·과학의 의미가 강조되어 인문학 전반에 대한 반대로 쓰이거나 고대동양의 이상적 이미지를 실학으로 차용하여 일본 중심의 대동아 건설에 활용하였다. The concept of Silhak around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was distinct from its previous usage, in that it had begun to move beyond the context of Confucianism, and also from its current usage, because it was not yet established as a specific historical term. Most notably, at this time Silhak was regarded as representing the universal spirit of learning, and so it became the basis for accepting Western civilization. This change was evident in all three countries, though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Korea, then a Japanese colony, tried to build momentum for its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historical verification of an identity which was non-Chinese but pro-Korean, and anti-Japanese but pro-modern; Silhak functioned quite satisfactorily for this purpose. China considered Silhak mainly in terms of its value in encouraging an orientation toward learning or scholarship, and Silhak was not established in China as a specific school. In Japan, the concept of Silhak was different again: it was used as a term which contrasted with the humanities as a whole, and particular emphasis was placed on its practical and scientific aspects. The Japanese also took Silhak as a background upon which an idealized image of the ancient Orient could be projected,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support their idea of building a Greater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